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9845A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845A
KR20180019845A KR1020160104046A KR20160104046A KR20180019845A KR 20180019845 A KR20180019845 A KR 20180019845A KR 1020160104046 A KR1020160104046 A KR 1020160104046A KR 20160104046 A KR20160104046 A KR 20160104046A KR 20180019845 A KR20180019845 A KR 2018001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arva
white spotted
larvae
hovenia dulc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범
Original Assignee
(주)보뚜슈퍼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뚜슈퍼푸드 filed Critical (주)보뚜슈퍼푸드
Priority to KR102016010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845A/ko
Publication of KR2018001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한 후 숙성하여 숙성된 유충을 제조한 후, 상기 숙성된 유충을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식품 사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고유의 독성은 없애고, 숙취 해소 효과는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Hangover Comprising Extract of Protaetia Orientalis Larva and Hovenia Dulcis Fruit}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헛개나무 열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하여 숙성한 이후, 건조하여 제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 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알코올은 뇌의 억제중추를 마비시켜 섭취 시 외관상 흥분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의식과 동작을 억제하고 수면 및 마취 효과가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주요한 기호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상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알코올이 체내로 유입되면 물에 잘 녹는 알코올의 특성에 의해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뇌와 간을 포함한 신체 각 조직에 분포된다. 간세포에는 알콜탈수소화 효소(알콜 분해 효소)가 있어 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 효소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진 후, 최종적으로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간에서 대사되지 않은 알코올은 혈중에 남아있다가 호흡기, 피부 또는 소변으로 배출된다. 알코올은 섭취량이나 혈중 농도에 관계없이 매 시간당 일정량만 대사되며, 알코올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역가나 농도는 각 개인의 유전적인 정도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각 개인의 성별, 연령, 체중, 영양상태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 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은 형이 있다.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형 아세트알데히드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며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알코올의 독성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여러 숙취 현상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음주는 일시적으로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장애, 설사 등의 숙취현상을 유발하며, 중독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고, 뇌 등의 중추 신경계 뿐 아니라 소화기관 및 간 등의 대사기관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흰점박이꽃무지(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는 딱정벌레목 꽃무지과에 속하는 곤충으로써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유럽에 분포하며 7월 상순부터 출현하며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8월 상순이고, 일부 성충으로 월동하는 개체도 있으나 대부분은 3령 유충으로 월동한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시기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며 현재 대량생산하고 있는 사육농가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유충을 칭하는 “굼벵이”로 불리기도 한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동의보감>에서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 즉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의 해소 등을 포함하여 월경불순, 시력감퇴, 백내장, 금창, 산후풍, 악성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라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흰점박이꽃무지를 대상으로 기능성 분석 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에 의해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특허 문헌에 대해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66121호(발명의 명칭 :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이용한 숙취 해쇼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식품 사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고유의 독성은 없애고, 숙취 해소 효과는 높일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양조식초에 침지하여 5일 이상의 숙성 과정을 거쳐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이취 및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탁월한 숙취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식품 사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고유의 독성은 없애고, 숙취 해소 효과는 높일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양조식초에 침지하여 5일 이상의 숙성 과정을 거쳐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이취 및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탁월한 숙취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한 후 숙성하여 숙성된 유충을 제조한 후, 상기 숙성된 유충을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딱정벌레목 꽃무지과에 속하는 곤충의 유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숙취’는 술에 몹시 취한 뒤의 수면에서 깬 후에 특이한 불쾌감이나 두통, 또는 심신의 작업능력 감퇴 등이 1-2일간 지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기능’은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일체의 구실 또는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풍미’는 음식 고유의 맛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침지(浸漬)’는 특정 대상을 액체에 담가 적시는 일체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한 후 숙성하는 구성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킬 경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포함된 미량의 독소를 제거하고, 이취를 제거하여 풍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하는 과정을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포함된 다수의 유효 성분이 아세트산의 산화 과정에 의해 인체에 보다 쉽게 흡수될 수 있는 물질로 변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약효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바람직하게는 세척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및 멸균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척, 멸균 및 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척, 멸균 및 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멸균 및 건조 처리를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은 바람직하게는 식초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조식초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과일식초 또는 곡물식초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과일식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과일식초에 침지하여 숙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과일식초에 침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킬 경우 과일식초 이외의 다른 식초를 이용하여 숙성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유충 추출물의 풍미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초의 pH는 바람직하게는 2.0-5.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0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7-3.3일 수 있다.
상기 식초의 pH가 2.0 미만일 경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기능성이 소멸되고, 숙성 과정에서 독성이 생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식초의 pH가 5.0을 초과하는 경우 숙성 과정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이 변질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식초는 상기 식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꿀이 추가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숙성 시 숙성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15일 수 있다.
상기 숙성 온도가 1 미만일 경우 이취 제거 및 기능성 증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숙성 온도가 15를 초과할 경우 숙성 과정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이 변질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숙성 시 숙성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5-20 일일 수 있다.
상기 숙성 기간이 5 일 미만일 경우 이취 제거 및 기능성 증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숙성 기간이 20 일을 초과할 경우 숙성 과정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신맛이 증가하여 풍미가 감소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100 중량부 및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헛개나무 열매 파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할 경우 조성물의 풍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숙취 해소 효과 층면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등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헛개나무 열매 자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한 가공물뿐만 아니라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또는 헛개나무 열매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만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을 상기 유충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i) 디에틸에테르, 또는 (j) 부틸아세테이트를 식물에 처리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유충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유충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0.1-100 ㎎/kg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포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스쿠알란 및 소듐 시트레이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부틸렌 글라이콜, 시트릭산, 판테놀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 모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에 대한 세포 생존율 분석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한 후 숙성하여 숙성된 유충을 제조한 후, 상기 숙성된 유충을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식품 사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고유의 독성은 없애고, 숙취 해소 효과는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포함된 조성물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사육예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스머프 곤충나라 영농조합법인(남양주시)에서 구매한 3령 유충을 사용하였으며, 사육온도는 25를 유지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환경은 40 ㎝(가로) × 30 ㎝(세로) × 20 ㎝(높이) 크기의 투명한 곤충사육용기를 이용하여 용기의 2/3정도를 약 60~65%의 수분이 함유된 참나무 발효톱밥을 채운 후 유충을 20마리씩 사육하였다.
제조예 2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2-1 : 식초 숙성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제조
상기 사육예의 방식으로 사육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3일 동안 굶긴 후,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시키고, -80의 초저온 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 건조기에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동결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매실식초 100 중량부 및 상기 매실식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의 꿀을 포함하는 혼합액에 침지한 후 5에서 10일간 숙성시켜 식초 숙성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의 방법으로 제조한 식초 숙성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동결 건조기에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실시예 1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를 동결 건조기에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비교예 1의 헛개나무 열매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 혼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4-1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2의 방법으로 제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 100 중량부 및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헛개나무 열매 파우더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실시예 2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혼합 추출물은 상기 사육예의 방식으로 사육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3일 동안 굶긴 후,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시키고, -80의 초저온 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 건조기에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비교예 2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를 제조하고, 상기 비교예 2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 100 중량부 및 상기 비교예 2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조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헛개나무 열매 파우더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비교예 3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1 : 혼합 추출물 현탁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혼합 추출물 1 g을 증류수(D.W.) 1L에 넣은 후, 초음파 분쇄기 230줄(Jule)로 10초간 2회 미세화시켰다. 초음파 분쇄기로 미세화시킨 혼합 추출물 혼합액을 4,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시키고, 상층액을 회수한 후 0.25 ㎛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 5의 혼합 추출물 현탁액(증류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독성평가
흰점박이꽃무지의 대식세포인 Raw 264.7에 대한 독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세포에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현탁액을 각각 처리하고 24 시간 경과한 시점에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nyphenol)-2- (4-sulfophenyl)-2H-tetrazolium } 시약을 넣고 36에서 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microplate reader(Beckman,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비교예 6의 혼합 추출물 현탁액에서 경미한 독성이 검출되었으나, 상기 실시예 4의 혼합 추출물 현탁액의 경우 세포독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예 2 : 혈중 알코올 농도 평가
실험예 2-1 : 동물실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의 숙취해소용음료 조성물의 알코올 분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쥐를 이용한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 속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체중 200-250 g의 Sparague-Dawlay(SD)계 수컷 흰쥐 10마리를 5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 1일간 절식 후 실험 개시 30분전에 하나의 군에는 상기 실시예 1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100 mg/kg 생수에 현탁시켜 쥐들에 경구 투여하고, 다른 군에는 생수만을 동일한 양 투여하였다. 30분 후에 순수 에탄올을 증류수에 40 ㎎/ml 의 농도로 희석시켜 1 g/kg의 농도로 각군의 실험쥐들에게 경구 투여하였다. 이와 같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들을 2시간 후에 폐로부터 0.7 ml의 혈액을 채취한 후 4에서 5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액을 디지털 에탄올 농도계(Atago PET-109, Japan)를 이용해 혈액 내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쥐들의 경우 알코올 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체번호 에탄올농도(%w/v)
알코올 투여군 알코올 및 조성물 투여군
1 0.98 0.41
2 1.12 0.43
3 1.03 0.42
4 1.11 0.39
5 1.09 0.44
실험예 2-2 : 임상실험
개인에 따라 알콜 분해 능력이 다른 점을 감안하여, 개인별로 일주일 간격으로 각 알코올과 함께 각 조성물을 섭취하고 음주측정을 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보뚜슈퍼푸드에 근무하는 임직원 중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의 중년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평균 음주회수는 1주일 2회, 평균음주량은 소주(1병 360 mL) 2병이었다. 실험은 매주 수요일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 2일(월, 화)간은 금주하도록 하였다. 기본 시료(대조구)로는 소주(360 ml, 19.5%)1병과 두부 154 g, 오이25 g, 김치 40 g을 30분에 걸쳐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시식이 완료된 시점부터 음주측정기(센텍코리아, AL1102)를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상기 실시예 1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중량기준 10 배 희석액 100 mL는 상기 기본 시료의 섭취를 시작한 후 10분 후에 음용하였으며, 시료 이외의 음식이나 음료는 금지하고 음주 측정동안 행동도 자제하도록 하였다. 비교예로는 시판 숙취해소음료인 컨*션 100 mL를 음용시킨 후 음주측정을 실시하였다.
대조구 실시예 1 비교예
시식완료직후 0.088 0.066 0.077
30분 후 0.092 0.061 0.069
60분 후 0.085 0.054 0.068
90분 후 0.079 0.048 0.061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숙취해소용음료 조성물은 초기 알코올 분해능력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알코올 분해능력 또한 대조구 및 비교예와 비교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관능평가
기호 평가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의 풍미와 후각적 기호를 조사하였으며, (주)보뚜슈퍼푸드에 근무하는 임직원 등 30명을 선정하여 해당 인원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파우더 및 혼합 파우더를 그 대상으로 하여, 시식 후 1에서 10까지 10단계로 제조방법 처리구의 기호성을 평가하여 기록하게 하였다. 시식 시에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을 정제수에 10배 희석한 음료 100 mL를 제공하였다. 기호성은 풍미와 후각적 특성 두 가지 요소로 분리하여 시식 및 기록하였다. 비교예로는 상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을 정제수에 10배 희석한 음료를 각각 100 mL 씩 제공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풍미와 후각적 특성 두 측면의 답변 모두에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시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얻어냈으며, 그 수치에 있어서도 비교예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하였을 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의 풍미 및 후각적 기호성이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한 것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풍미 8.89 8.90 6.72 6.79 4.69 6.12
1.13 1.12 0.93 1.21 1.32 1.25
후각적 특성 8.87 8.88 6.52 7.06 4.26 6.35
0.88 1.23 0.99 1.07 1.09 1.01
각 항목별 상단칸은 평균값, 하단칸은 그 표준편차

Claims (10)

  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에 침지한 후 숙성하여 숙성된 유충을 제조한 후, 상기 숙성된 유충을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이 포함된 침지액은 식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는 과일 또는 곡물을 발효하여 제조한 과일식초 또는 곡물식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의 pH는 2.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는 상기 식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꿀이 추가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시 숙성 온도는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시 숙성 기간은 5-20 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100 중량부 및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건조 헛개나무 열매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160104046A 2016-08-17 2016-08-17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80019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046A KR20180019845A (ko) 2016-08-17 2016-08-17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046A KR20180019845A (ko) 2016-08-17 2016-08-17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845A true KR20180019845A (ko) 2018-02-27

Family

ID=6139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046A KR20180019845A (ko) 2016-08-17 2016-08-17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8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92B1 (ko) * 2018-10-26 2019-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성 식용곤충, 벌나무, 대추 및 헛개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120144B1 (ko) * 2019-11-29 2020-06-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친구들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80516A1 (ko) * 2020-10-14 2022-04-21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92B1 (ko) * 2018-10-26 2019-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성 식용곤충, 벌나무, 대추 및 헛개나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120144B1 (ko) * 2019-11-29 2020-06-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친구들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07233A1 (ko) * 2019-11-29 2021-06-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벨트의 친구들 천연복합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80516A1 (ko) * 2020-10-14 2022-04-21 농업회사법인제주황금꽃벵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EP2057994A1 (de) Feigenkakteen-Extraktzubereitung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45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80090937A (ko) 정제뱀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2443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JP3334725B2 (ja) 体内アルコール、その代謝物の低下促進剤及び口中清涼剤
KR101821712B1 (ko) 삼칠근 추출물, 비누풀잎 추출물, 검정콩 잎 추출물, 녹두 잎 추출물 및 호랑이콩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8743B1 (ko)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3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
KR20180019838A (ko) 기능 및 풍미가 개선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24373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761125B1 (ko) 허니부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H05271063A (ja) 活性酸素消去・除去剤
KR20180019843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CN109394801A (zh) 含有栗寄生提取物的用于抑制糖基化终产物的生成及促进糖基化终产物的分解的组合物
KR20180019847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및 칼라만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26075B1 (ko) 명월초에서 분리한 화합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20200062856A (ko) 지구자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초코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