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13784A - 인감 센서를 갖는 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감 센서를 갖는 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784A
KR20180013784A KR1020170095813A KR20170095813A KR20180013784A KR 20180013784 A KR20180013784 A KR 20180013784A KR 1020170095813 A KR1020170095813 A KR 1020170095813A KR 20170095813 A KR20170095813 A KR 20170095813A KR 20180013784 A KR20180013784 A KR 2018001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rn
ultrasonic sensor
sound wav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529B1 (ko
Inventor
준노스케 요코야마
마나부 하다
유스케 호리시타
미치오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5Detecting external or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보처리장치는,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출력부를 구비한다. 혼은, 상기 음파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파의 출력 방향을 제한한다. 커버 부재는 상기 음파출력부상에 설치되고,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혼의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개구의 수평 폭이상의 폭을 갖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인감 센서를 갖는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HUMAN PRESENCE SENSOR}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에 구비된 사람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의 커버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처리장치에는, 정보처리장치의 사용자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하, 인감 센서라고 부른다)가 구비되어 있다. 인감 센서에 의해 정보처리장치의 사용자가 검지되면, 슬립 모드중의 정보처리장치는,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3-195308호 공보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센서와, 그 센서의 검지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감시창을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일본 특허공개 2013-195308호 공보에서는, 커버 부재의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시창이 형성되기 때문에, 감시창에 침입하는 손가락등의 대상물에 의해 센서가 고장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손가락이 침입하지 않도록 감시창의 개구면적을 지나치게 제한하면, 센서의 검지 범위가 작아져,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를 적절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에 대한 손가락의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의 검지 범위가 작아지지 않도록 고안된 센서의 커버 부재를 갖는 정보처리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출력부와, 상기 음파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파의 출력 방향을 제한하는 혼(horn)과, 상기 음파출력부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혼의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개구의 수평 폭이상의 폭을 갖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측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많은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복합기(MFP)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2는 상기 MFP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초음파 센서의 검지 에어리어를 나타낸다.
도 4는 인감 센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5는 기판에 실장된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6은 커버 부재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7은 혼 장착 전후의 인감 센서부를 나타낸다.
도 8a는 인감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도다. 도 8b는 인감 센서부를 나타낸 상면도다. 도 8c는 인감 센서부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9는 초음파 센서가 실장된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다.
도 10a, 10b, 10c, 10d는 상기 혼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a 및 11b는 상기 혼에 장착된 완충 부재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a 및 12b는 상기 인감 센서부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13T1, 13T2, 13T3, 13T4는 상기 MFP의 정면에 사용자가 똑바로 근접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4T1, 14T2, 14T3, 14T4는, 상기 MFP의 옆으로부터 사용자가 MFP에 근접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5T1, 15T2, 15T3, 15T4는, 통행인이 MFP 앞을 통과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6은 초음파 센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는 복귀 알고리즘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17은 비교 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18a, 18b, 18c는 상기 비교 예에 따른 커버 부재를 사용한 초음파 센서의 사각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여러가지 측면 및 특징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 프린트, 카피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MFP)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MFP(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MFP(10)는, 전원부(100)와,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스캐너부(독취부)(300)와, 프린터부(인쇄부)(400)와, 조작부(500)와, 인감 센서부(600)를 구비하고 있다. MFP(10)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전력 모드, 즉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를 가지고 있다. 스탠바이 모드는, 스캔, 프린트, 카피등의 복수의 기능을 행할 수 있는 모드다. 슬립 모드는, 그 스탠바이 모드보다 낮은 전력소비를 제공한다. 스탠바이 모드는 고급 구성과 전원 인터페이스(ACPI) 규격으로 규정된 S0스테이트에 해당하고, 슬립 모드는 그 ACPI규격으로 규정된 S3스테이트에 해당한다.
MFP(10)는, 슬립 모드에의 이행 조건을 충족시킬 때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에 이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조작부(5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고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 MFP(10)는,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에 이행한다. 슬립 모드에의 이행 조건은, 상기한 소정시간의 경과뿐만 아니라, 조작부(500)에 설치된 절전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한 것, 미리 설정된 슬립 이행 시간이 된 것, 프린트 처리나 스캔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을 포함한다.
슬립 모드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200), 스캐너부(300), 프린터부(400) 및 조작부(500)에의 전력공급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슬립 모드에서는, 조작부(500)의 표시부(501)가 소등된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조작부(500)의 표시부(501)가 점등된다. 또한,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200), 스캐너부(300), 프린터부(400) 및 조작부(500)에 전력이 공급된다.
슬립 모드에서는, 인감 센서부(600)에 전력이 공급된다. 슬립 모드에 있어서, 인감 센서부(600)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MPF(10)는 슬립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에 이행한다.
도 2는, MFP(10)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스캐너부(300)는,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독취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캐너부(300)는, 스캐너 제어부(321)와 스캐너 구동부(322)를 구비한다. 스캐너 구동부(322)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원고를 독취 위치까지 반송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스캐너 제어부(321)는, 스캐너 구동부(3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캐너 제어부(321)는, 스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메인 콘트롤러부(200)와의 통신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정보에 근거해서 스캐너 구동부(322)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린터부(400)는, 전자 사진방식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프린터부(400)는, 프린터 제어부(421)와 프린터 구동부(422)를 구비한다. 프린터 구동부(422)는, (도시하지 않은)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정착기의 가압 기구 및 히터를 구비한다. 프린터 제어부(421)는, 프린터 구동부(422)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린터 제어부(421)는, 프린트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메인 콘트롤러부(200)와의 통신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프린터 구동부(4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스캐너부(300)와 프린터부(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조작부(500)에 입력된 카피 지시에 따라, 스캐너부(300)에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게 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그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부(400)에 출력한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프린터부(400)에 화상의 인쇄를 지시한다.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원계통, 즉 제1 전원계통과 제2 전원계통을 갖는다. 슬립 모드에서도 동작이 필요한 디바이스는 제1 전원계통에 속한다. 슬립 모드에서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디바이스는 제2 전원계통에 속한다. 전원부(100)로부터 전원 인터페이스(I/F)(201)를 통해 전원공급을 받은 내부 전원생성부(202)는, 슬립 모드에서, 제1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슬립 모드에서는,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슬립 모드에서,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대신에, 제한하면 좋다. 슬립 모드에서,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의 클록 게이팅(gating)과 클록 주파수 저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은, 전원제어부(211), 근거리 통신망(LAN) 콘트롤러(212), FAX콘트롤러(213)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4)를 포함한다. MFP(10)가 슬립 모드중일 때에도, MFP(10)가 슬립 모드에서 FAX수신이나 네트워크로부터의 프린트 요구의 수신시에,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할 수 있도록, FAX콘트롤러(213)와 LAN콘트롤러(212)에 전력이 공급된다.
내부 전원생성부(202)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은, 중앙처리 유닛(CPU)(221), 화상처리부(222), 스캐너I/F(223), 프린터I/F(22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25) 및 판독전용 메모리(ROM)(226)를 포함한다. 슬립 모드에서는,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된다.
전원제어부(211)는, MFP(10)의 전력 모드를 제어하는 디바이스다. 이 전원제어부(211)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나 논리회로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한 전원제어부(211)는, 인터럽트 신호A, B 및 C를 입력한다. 슬립 모드에서 전원제어부(211)에 인터럽트 신호A∼C 중 하나가 입력되면, 전원제어부(211)는, 내부 전원생성부(202)를 제어하여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MFP(10)가 슬립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한다.
인터럽트 신호A는, FAX콘트롤러(213)가 출력한 신호다. FAX콘트롤러(213)는, FAX회선으로부터 FAX수신시 인터럽트 신호A를 출력한다. 인터럽트 신호B는, LAN콘트롤러(212)가 출력한 신호다. LAN콘트롤러(212)는, LAN으로부터 프린트 잡 패킷이나 상태확인 패킷의 수신시의 인터럽트 신호B를 출력한다. 인터럽트 신호C는, 조작부(500)의 마이크로컴퓨터(514)로부터 출력된 신호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인감 센서부(600)의 검지 결과에 근거해서 MFP(10)의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경우나 절전 버튼(512)이 눌러졌을 경우에, 인터럽트 신호C를 출력한다.
인터럽트 신호A∼C 중 하나가 입력되면, CPU(221)는 전력을 공급받고나서, 슬립 모드에 이행하기 전의 상태에 MFP(10)를 복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221)는, 슬립 모드에서 셀프리프레쉬 동작을 행하고 있었던 RAM(214)으로부터 MPF(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독취한다. 그리고, CPU(221)는, 독취한 정보를 사용하여서 MFP(10)를 슬립 모드에 이행하기 전의 상태에 복귀시킨다. 그리고, CPU(221)는, 인터럽트 신호A∼C 중 복귀 요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부(500)는, LCD패널과 터치패널이 일체가 된 LCD터치패널 유닛(524)(표시부501)과, 숫자 키패드 조작과 스타트 키 조작등의 사용자의 키 조작을 검지하는 키부(515)와, 부저(526)를 구비한다. LCD터치패널 유닛(524)에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CPU(22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이 묘화된다. LCD콘트롤러(523)는, CPU(22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LCD터치패널 유닛(524)에 화상을 표시한다. LCD터치패널 유닛(524)의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면, 터치패널 콘트롤러(516)는, 접촉된 위치의 좌표 데이터를 해석하여, 마이크로컴퓨터(514)에 통지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좌표 데이터를 CPU(221)에 통지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그 좌표 데이터 대신에 접촉된 아이콘을 나타내는 정보를 CPU(221)에 통지해도 좋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키부(515)의 조작을 정기적으로 스캔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사용자가 키부(515)에 조작을 행하였다고 판단하면, 조작된 키부(515)의 정보를 CPU(221)에 통지한다. CPU(221)에 사용자가 LCD터치패널 유닛(524)이나 키부(515)에 조작을 행한 것이 통지되면, CPU(221)는,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MFP(10)를 동작시킨다.
조작부(50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가지고 있다. 주 전원LED(511)는, MFP(10)의 주 전원이 온일 때에 점등한다. 통지LED부(527)는, 마이크로컴퓨터(514)에 의해 점등이 제어되어, 잡 실행중이나 에러 발생등의 MFP(10)의 상태를 사용자에 통지한다.
조작부(500)도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원계통, 즉 제1 전원계통과 제2 전원계통을 가지고 있다. 슬립 모드에서도 동작이 필요한 디바이스는 제1 전원계통에 속하고, 슬립 모드에서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디바이스는 제2 전원계통에 속한다. 제1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은, 마이크로컴퓨터(514)와, 주 전원LED(511)와, 절전 버튼(512)과, 절전LED(513)와, 터치패널 콘트롤러(516)와, 키부(515)를 포함한다. 제2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은, LCD콘트롤러(523)와, LCD터치패널 유닛(524)과, 부저(526)와, 통지LED부(527)를 포함한다. MFP(10)가 슬립 모드에 있을 경우에도, 절전 버튼(51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의 수신시에 MFP(10)가 슬립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절전 버튼(512) 및 이 절전 버튼(512)을 점등시키는 절전LED(513)에 전력이 공급된다.
인감 센서부(600)는, 제1 전원계통에 속하는 디바이스이며, 슬립 모드에서 MFP(10)의 사용자를 검지하기 위해서 동작한다. 인감 센서부(600)는, 초음파 센서(610)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를 정기적으로 독취하여 해석 함으로써, MFP(10)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610)는, 초음파의 입력과 출력을 하나의 칩으로 행하는 센서다. 초음파 센서(610)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발진용 칩과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용 칩을 별도의 칩으로서 구비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음파출력부)(610)는, 초음파 센서(610)의 내부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초음파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압전 소자가 수신한 진동에 대응하는 전기신호(전압값)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센서(610)의 이용을 중심으로 하여 후술하겠지만, 이 센서는 초음파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대신에, 초전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초음파 센서(610)에 발진 신호를 소정시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610)의 압전 소자가 진동하여, 비가청 지역의 약 40KHz의 초음파가 소정시간 출력된다.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초음파 센서(610)가 수신한 초음파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MFP(10)의 사용자의 존재를 판단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가 MFP(10)의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인터럽트 신호C를 전원제어부(211)에 출력한다. 전원제어부(211)는, 인터럽트 신호C가 입력되면, 전원부(100)를 제어하여 MFP(10)의 전력 모드를 슬립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전원생성부(202)로부터 인감 센서부(6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예를 중심으로 상술했지만, 인감 센서부(600)에의 전력공급을 전원부(100)가 직접 행해도 좋다.
도 3은,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에어리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610)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인체등의 대상물에서 반사한 초음파(이하, 적절하게 반사파라고 부른다)를 수신한다. 초음파를 출력하고나서 반사파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인체나물체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514)가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인체나 물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초음파 센서(610)는,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에어리어가 MFP(10)의 정면, 혹은 다소 하향 위치에 설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검지 에어리어는, MFP(10)로부터 약 2m까지의 범위다. 인감 센서부(600)의 설정 위치는, 스캐너부(300)의 전방면이며, MFP(10)를 그 정면에서 볼 때 조작부(500)와 반대측이다. 인감 센서부(600)는, 조작부(500) 앞에 서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게 조작부(500)쪽으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도 4는, 인감 센서부(600)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인감 센서부(600)는, 초음파 센서(610)가 실장된 기판(620)과, 기판(620)을 고정하는 대좌(고정 부재)(630)와,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의 출력 방향을 제한하는 혼(640)과, 완충 부재(스폰지)(650)를 구비한다. 초음파 센서(610)는, 표면 실장 소자(SMD)형의 초음파 센서이며, 기판(620)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다. 초음파 센서(61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초음파를 출력하고, 또한, 수신한 초음파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다.
대좌(630)는, (초음파 센서(610)가 실장된) 기판(620)을 조작부(500)쪽에 기울여서 배치하기 위한 부재다.
도 5는, 기판(620)에 실장된 디바이스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기판(620)은, 2층의 글래스 에폭시 기판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620)은, 초음파 센서(610), 구동회로(621), 신호 수신 저항(622), 증폭 회로(623), 검파회로(624) 및 역치회로(625)를 구비한다. 구동회로(621)는, CPU(221)로부터 출력된 구동 펄스P를 수신시에 그 초음파 센서(610)의 압전 소자를 진동시킨다. 신호 수신 저항(622)은, 초음파 센서(610)에 의해 수신된 초음파의 음압을 전압으로 변환한다. 증폭 회로(623)는, 변환된 전압을 증폭한다. 증폭 회로(623)에 의해 증폭된 전압파형V1은, 검파회로(624)에 의해 복조된다. 검파회로(624)로부터 출력된 신호V2는, 역치회로(625)에서 설정된 전압 레벨과 비교된다. 그리고, 역치회로(625)로부터 아날로그 신호S가 마이크로컴퓨터(514)에 출력된다. 기판(620)은, MFP(10)의 정면에서 약 15도만큼 조작부(500)쪽에 기울여 배치되어 있다. 그 기판(620)의 각도는, 상기 15도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500)와 인감 센서부(600)간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500)와 인감 센서부(600)와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각도가 작아지고, 거리가 멀 경우에는 각도가 커진다.
혼(640)은,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가 확산하지 않도록 초음파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다. 혼(640)이 없으면, 검출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어렵다. 혼(640)의 커버 부재(301)(도 7)측의 개구(644)는, 약 13mm×13mm의 정사각형이다. 초음파 센서(610)에 거리가 가까움에 따라 개구(644)의 사이즈가 작아지는 막자사발형상으로 되어 있다. 혼(640)의 개구(644)의 개구 치수는, 상기한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 부재(650)는, 혼(640)과 (후술한 도 6)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 부재(650)는, 혼(640)과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초음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혼(640)과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이하, 커버 부재(30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커버 부재(301)의 상세를 나타낸다.
커버 부재(301)는, MFP(10)의 하우징의 일부다. 커버 부재(301)에는, 인감 센서부(600)를 MFP(10)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304)과, 후크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부재(301)에는,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를 외측에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302)(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302)은, 수평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형성된 개구다. 3개의 슬릿(302)은, 슬릿간에 약 1.6mm의 간격으로 평행으로 형성된다. 각 슬릿(302)의 치수는 약 3.4×16.5mm이고, 각 슬릿(302)의 치수는, 이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슬릿(302)의 수평 개구 치수는, 약 16.5mm이며, 혼(640)의 수평방향의 개구치수의 13mm보다도 크다. 상기한 것 같이, 각 슬릿(302)의 수평방향의 개구치수(약 16.5mm)를, 혼(640)의 개구치수(약 13mm)보다도 크게 하여, 혼(640)을 통해 출력된 초음파를 커버 부재(301)로 차단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커버 부재(301)에, 복수의 슬릿(302)을 형성 함으로써, 초음파가 출력되는 개구면적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슬릿(30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범위에 있어서, 수평면 위에 이동하는 사람의 검지를 방해하는 사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범위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반사파가 안정한 강도로 되돌아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릿(302)과 비교하기 위해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각각 갖는 복수의 슬릿을 형성한 비교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각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커버 부재(301A)다. 그 비교 예에 따른 커버 부재(301A)의 슬릿(302A)은, 각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302A)이 수평방향으로 병치되는 것이외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슬릿(302)과 같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8a, 18b, 18c는, 비교 예에 따른 커버 부재(301A)를 사용할 때에 사각이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비교 예에 설명된 것처럼, 각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02A)을 수평방향으로 병치하면, 도 18a와 같이, MFP(10)로부터 먼 위치에 서는 사용자가 초음파 센서(610)의 사각에 들어가버릴 수도 있다. 사용자가 초음파 센서(610)의 사각에 들어가버리면, 반사파의 진폭Va가 매우 작아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슬릿(302)을 연직방향으로 병치하는 경우, 사각이 (사용자의 복부와 흉부에) 연직방향으로 존재한다. 그렇지만, 초음파 센서(610)는, 복부나 흉부이외의 부위에서 반사한 초음파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문제 없다.
도 18b 및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MFP(10)의 앞을 가로지를 경우, 사용자가 초음파 센서(610)의 사각에 들어갈 때와 사용자가 그 사각에서 나올 때, 검출 거리D가 거의 변화되지 않지만 검출 진폭V만이 크게 변동한다. 이에 따라, 비교 예와 같이, 각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슬릿(302A)을 형성하고 수평방향으로 커버 부재(301A)에 병치하면, 사용자가 사각에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진폭V를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7은, 혼 장착 전후의 인감 센서부(600)를 나타낸다.
인감 센서부(600)는, 스캐너부(300)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 판금(고정 부재)(700)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620)은, 나사(626)에 의해 대좌(630)에 고정되어 있다.
혼(640)은, 기판(620)의 초음파 센서(610)가 실장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혼(640)은, 대좌(630)에 고정된다. 혼(640)의 커버 부재(301)측의 단부에는, 완충 부재(650)가 부착되어 있다. 완충 부재(650)는, 혼(640)과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혼(640)과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이에 따라, 혼(640)과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폰지로 형성된 완충 부재(650)는, 혼(640)의 진동이 커버 부재(301)에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a, 8b, 8c는, 인감 센서부(600)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8a는, 스캐너부(300)의 인감 센서부(600)가 배치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 8b는 스캐너부(300)의 인감 센서부(600)가 배치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8c는, 도 8b의 선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사용자가 인감 센서부(600)에 접촉가능한 위치에 인감 센서부(600)를 배치하면, 초음파 센서(610)나 기판(620)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초음파 센서(610)나 기판(620)이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부(300)의 커버 부재(301)로 인감 센서부(600)를 덮고 있다. 커버 부재(301)에는,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를 외부에 출력하고, 외부에 반사한 초음파의 반사파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302)이 구비된다. 각 슬릿(30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릿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슬릿(302)의 수평방향의 길이(횡폭)는, 혼(640)의 수평방향의 개구치수보다도 크다.
도 9는, 초음파 센서(610)가 실장된 기판(620)을 나타낸 평면도다.
기판(620)에는, 초음파 센서(610)가 실장되어 있다. 기판(620)에는, 상기한 구동회로(621), 신호 수신 저항(622), 증폭 회로(623), 검파회로(624), 역치회로(625)등이 실장되어 있지만, 도 9에서는 이들 소자들이 생략되어 있다. 기판(620)에는, 기판(620)을 대좌(63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626)를 통과시키는 나사 구멍(620a)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판(620)의 나사 구멍(620a)이 형성되는 부분은, 대좌(630)와 기판(620) 사이의 접촉 부분이다. 나사(626)는, 나사 구멍(620a)을 통하여 대좌(630)에 고정된다. 기판(620)의 나사 구멍(620a)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대좌(630)에 형성된 클로(claw)부(631)가 걸리는 잘린(notch) 부분(620b)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620)의 초음파 센서(610)의 주위에는, 슬릿620c 및 620d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620c는, 기판(620)상의 초음파 센서(610)와 나사 구멍(620a)과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620d는, 기판(620)상의 초음파 센서(610)와 잘린 부분(620b)과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620c의 종방향(도 9의 Y방향)의 길이는, 초음파 센서(610)의 상기 종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슬릿620d의 종방향의 길이는, 초음파 센서(610)의 상기 종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기판(620)상의 초음파 센서(610)와 나사 구멍(620a)과의 사이에는, L자형의 슬릿620e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620e는, 나사 구멍(620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620e도, 슬릿620c와 마찬가지로, 기판(620)상의 초음파 센서(610)와 나사 구멍(620a)과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기판(620)에 슬릿620c, 620d 및 620e를 형성함으로써, 초음파 센서(610)의 진동이, 나사(626)나 클로부(631)로부터 다른 부재(프레임 판금(700)과 대좌(630))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620)과 프레임 판금(7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금속제의 나사(626)가 채용된다. 그러나, 기판(620)과 프레임 판금(7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을 경우, 플라스틱제의 나사(626)를 채용해도 좋다. 플라스틱제의 나사(626)를 채용할 경우, 초음파 센서(610)의 진동이 나사(626)를 통해서 다른 부재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620)에는, 혼(640)에 형성된 보스(boss)(643)를 통과시키는 보스 구멍(62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 구멍(620f)에 혼(640)의 보스(643)가 들어갈 때, 초음파 센서(610)에 대한 혼(640)의 위치는 고정밀도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음영 영역에는, 완충 부재(651)가 접촉된다. 기판(620)에 슬릿620c 및 620d가 형성된 영역에 완충 부재(651)가 접촉한다.
도 10a, 10b, 10c, 10d는, 혼(46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a는 혼(46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선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0c는 혼(460)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10d는 도 10a의 선C-C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혼(640)은, 기판(620)에 실장된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송신된 초음파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부재다. 혼(640)은, 도 10a 및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610)에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서 개구 사이즈가 작아지는 막자 사발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640)의 내면(645)은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지만, 그 내면(645)은 곡면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혼(640)에는, 혼(640)을 대좌(630)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 641 및 642가 설치된다. 혼(640)은, 기판(620)에 고정되지 않고, 대좌(630)에 고정되어 있다. 혼(640)을 대좌(630)에 고정 함으로써, 초음파 센서(610)의 진동이 혼(640)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620)에 형성된 슬릿620c, 620d 및 620e에 의해 혼(640)으로의 진동을 충분히 제한할 수 있으면, 혼(640)을 기판(620)에 고정해도 좋다.
혼(640)에는, 도 10b 및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610)에 대하여 혼(64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2개의 보스(643)가 형성되어 있다.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에 지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혼(640)을 초음파 센서(610)에 접근시켜서 배치하는 편이 낫다. 그렇지만, 혼(640)을 초음파 센서(610)가 실장된 기판(620)에 고정하면, 초음파 센서(610)의 진동이 혼(640)에 전파되어, 이 진동이 혼(640)에 의해 저해된다.
도 11a 및 11b는, 혼(640)에 장착된 완충 부재(650, 651)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a는, 혼(640)의 커버 부재측에 장착된 완충 부재(650)를 나타낸다. 도 11b는, 혼(640)의 기판측에 장착된 완충 부재(651)를 나타낸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 부재(650)는, 혼(640)과 커버 부재(30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 부재(650)는, 스폰지다. 완충 부재(650)는, 혼(640)의 커버 부재(301)측의 개구보다 큰 개구를 가진다.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 부재(651)는, 상기 혼과 기판(62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 부재(651)도 상기 완충 부재(650)와 같이, 스폰지다. 완충 부재(651)는, 혼(640)의 기판(620)측의 개구보다 큰 개구를 가진다.
완충 부재(650 및 651)가, 흡음성 및 차음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글래스 울(glass wool), 락 울, 연질 우레탄폼, 및 거친 표면을 갖고 다수의 기포형상을 함유하는 그 밖의 다공질 재료와 같은 흡음성이 뛰어난 소재를, 완충 부재(650 및 651)로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폰지, 고무, 및 압축 응력이 작고 피착체의 요철에 적절하게 맞는 그 밖의 유연한 소재 등과 같은 차음성이 뛰어난 소재를, 완충 부재(650 및 651)로서 채용할 수 있다.
완충 부재(650 및 651)는, 방진성 및 제진성이 높은 소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무, 스폰지, 및 그 밖의 탄성 댐핑재 등과 같은 방진성 및 제진성이 뛰어난 소재를, 완충 부재(650 및 651)로서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 부재(650 및 651)로서, 니토 전공사제의 EPT-실러 혹은, 이노아쿠사제의 CALMFLEX를 채용하고 있다.
도 12a 및 12b는, 인감 센서부(600)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12a는 인감 센서부(60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2b는 인감 센서부(600)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640)이 대좌(630)에 고정되기 전에는, 완충 부재(651)는, 압축되지 않고 있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1)가 혼(640) 앞에 부착되기 전에, 완충 부재(650)는 압축되지 않고 있다.
대좌(630)에 혼(640)이 고정되면, 완충 부재(651)가 압축되어서, 기판(620)과 혼(640)과의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가 기판(620)과 혼(640)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기판(620)이 완충 부재(651)를 통해 혼(640)에 접촉하므로, 초음파 센서(610)의 진동이 기판(620)으로부터 혼(640)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 부재(301)가 부착되면, 완충 부재(650)가 압축되어서, 커버 부재(301)와 혼(640)과의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초음파가 커버 부재(301)와 혼(640)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혼(640)이 완충 부재(650)를 통해 커버 부재(301)에 접촉하므로, 초음파 센서(610)의 진동이 혼(640)으로부터 커버 부재(301)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T1, 13T2, 13T3, 13T4는, MFP(10)의 정면에 사용자가 똑바로 근접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3T1, 13T2, 13T3, 13T4는, 횡위치(상단)에서 보았을 때 MFP(10)와 사용자와의 위치 관계, 위(중단)에서 보았을 때에 MFP(10)와 사용자와의 위치 관계, 및 초음파 센서의 검지 결과(하단)를 나타낸다. 도 13T1, 13T2, 13T3, 13T4는, 시각 t1∼t4에 있어서의 상태를 각각 좌에서 우로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 14T1, 14T2, 14T3, 14T4와 도 15T1, 15T2, 15T3, 15T4도 같다.
도 13T1 내지 13T4(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의 파형은, 초음파의 발진에 따르는 파형과 반사파에 의한 파형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감 센서부(600)는, 소정시간 초음파 센서(610)를 발진시켜 초음파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의 초기 단계에서는, 초음파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에 의한 영향이 발생한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610)는, 인체나 물체로 반사한 초음파의 반사파를 수신한다. 초음파 센서(610)는, 반사파의 음압강도를 전압값(검지 진폭V라고 한다)으로서 출력한다. 초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분리되면, 상기한 발진에 따르는 파형은 출현하지 않는다.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초음파가 직접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므로, 도 13T1 내지 13T4에 나타낸 파형과 같은 파형이 된다.
도 13T1은, 사용자가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가능한 위치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소정의 역치진폭Vth2보다 큰 검지 진폭V1이, 초음파 센서(610)가 초음파를 발진하고나서 시간D1이 경과했을 때에 발생하고 있다. 시간D1은, 초음파가 출력되고나서 사용자의 몸에서 반사해서 초음파 센서(610)에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이 때문에, 그 시간D1은, MFP(10)와 사용자와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시간D1(직접파를 출력하고나서 반사파를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거리D1으로서 취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소정의 거리Dth(이하, 역치거리Dth라고 부른다)보다도 먼 위치에 역치진폭Vth2보다 큰 검지 진폭V의 검지시에 검지 에어리어A1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위치에 역치진폭Vth1(>Vth2)보다 큰 검지 진폭V의 검지시에 검지 에어리어A2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한다.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먼 위치에 사용자가 있을 경우는, 먼 위치로부터의 반사파가 확산해서 그 반사파의 일부를 수신할 수 없어서, 검지 진폭V는 작아진다. 도 13T1에서는,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3T2는, 사용자가 검지 에어리어A2를 향해서 이동하고 아직 검지 에어리어2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거리D1보다 가깝고 역치거리Dth보다 먼 거리D2에 있어서, 역치진폭Vth2보다 큰 검지 진폭V2가 출력된다. 검지 진폭V2는, 검지 진폭V1보다 크다. 도 13T2에서는,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3T3은, 사용자가 검지 에어리어A2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거리D3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 큰 검지 진폭V3이 출력된다. 도 13T3에서는,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였지만, 소정시간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3T4는, 사용자가 검지 에어리어A2내에 체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거리D4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 큰 검지 진폭V4가 출력된다. 소정시간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면, MFP(10)는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스탠바이 모드에 이행한다. 그 소정시간은, 예를 들면, 300ms다.
도 14T1, 14T2, 14T3, 14T4는, MFP(10)의 옆에서 사용자가 MFP(10)에 근접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4T1은, 사용자가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가능한 위치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거리D5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5가 출력된다. 이 시점에서는, 소정시간(예를 들면, 300ms)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4T2는, 사용자가 검지 에어리어A2에 있어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거리D6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6가 출력된다. 이 시점에서도, 소정시간(예를 들면, 300ms)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4T3은, 사용자가 MFP(10) 앞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거리D7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7이 출력된다. 이 시점에서도, 소정시간(예를 들면, 300ms)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4T4는, 사용자가 MFP(10) 앞에서 체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거리D8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8이 출력된다. 이 시점에서, 소정시간(예를 들면, 300ms)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했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한다.
도 15T1, 15T2, 15T3, 15T4는, 통행인이 MFP(10) 앞을 통과하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15T1은, 사용자가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가능한 범위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거리D9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9가 출력된다. 이 시점에서는, 소정시간(예를 들면, 300ms)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5T2는, 통행인이 검지 에어리어A2에 있어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가까운 거리D10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10이 출력된다. 이 시점에서도, 소정시간(예를 들면, 300ms) 계속해서 역치진폭Vth1을 초과하는 검지 진폭V가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5T3은, 통행인이 검지 에어리어A2에서 나온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먼 거리D11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11이 출력된다.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11이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5T4는, 사용자가 검지 에어리어A1에서 나온 상태를 나타낸다.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로서, 역치거리Dth보다도 먼 거리D12에 있어서, 역치진폭Vth1보다도 작은 큰 검지 진폭V12이 출력된다. 역치진폭Vth1보다도 큰 검지 진폭V11이 역치거리Dth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MFP(1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도 15T4와 같이, 통행인이 MFP(10)를 사용하는 위치(조작부(500) 앞)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기 시작하면, 검지 거리D는 서서히 멀어지고, 검지 진폭V는 서서히 작아진다.
도 16은,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는 복귀 알고리즘을 나타낸 흐름도다. MFP(10)의 마이크로컴퓨터(514)가 프로그램에 따라 도 16의 각 단계를 실행한다.
단계 S1001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ms)의 간격으로 초음파 센서(610)의 검지 결과를 취득한다. 단계 S1002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초음파 센서(610)로부터 취득한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검지 진폭Vth1보다 큰 검지 진폭V가 발생한 거리D를 산출한다. 단계 S1003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산출한 거리D가 상기 소정의 역치거리Dth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산출한 거리D가 소정의 역치거리Dth이상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1003에서 YES), 단계 S10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004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카운트C를 증분한다. 그 후, 단계 S1005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카운트C가 소정값Ct(예를 들면, Ct=4)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카운트C가 소정값Ct이상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1005에서 YES), 단계 S10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006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인터럽트 신호C를 전원제어부(211)에 출력한다. 전원제어부(211)가 인터럽트 신호C를 수신하면, 전원제어부(211)는 MFP(10)를 슬립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에 복귀시킨다. 그리고, 단계 S1007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카운트C를 클리어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산출한 거리D가 역치거리Dth미만이라고 판단했을 경우(단계 S1003에서 NO), 단계 S10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00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카운트C를 클리어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514)는, 상기 카운트C가 소정값Ct미만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1005에서 NO), 단계 S1001의 처리에 되돌아간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6)

  1.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출력부;
    상기 음파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파의 출력 방향을 제한하는 혼; 및
    상기 음파출력부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혼의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개구의 수평 폭이상의 폭을 갖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혼의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개구의 수평폭이상의 폭을 각각 갖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하우징의 일부인,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부는, 음파를 출력하고 음파를 수신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음파의 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부는 초음파 센서인, 정보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9.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출력부;
    상기 음파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음파의 출력 방향을 제한하는 혼; 및
    상기 음파출력부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혼의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적어도 1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슬릿은, 본 정보처리장치를 평면적으로 볼 때, 사각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혼의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슬릿의 각각은,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평면적으로 볼 때, 사각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하우징의 일부인, 정보처리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부는, 음파를 출력하고 음파를 수신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한 음파의 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부는, 초음파 센서인, 정보처리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KR1020170095813A 2016-07-29 2017-07-28 인감 센서를 갖는 정보처리장치 KR102170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0106A JP6783577B2 (ja) 2016-07-29 2016-07-29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製造方法
JPJP-P-2016-150106 2016-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784A true KR20180013784A (ko) 2018-02-07
KR102170529B1 KR102170529B1 (ko) 2020-10-27

Family

ID=6101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13A KR102170529B1 (ko) 2016-07-29 2017-07-28 인감 센서를 갖는 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8863B2 (ko)
JP (1) JP6783577B2 (ko)
KR (1) KR102170529B1 (ko)
CN (1) CN107666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928B1 (ko) * 2021-02-24 2021-11-10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수중용 3차원 스캐닝 소나
JP2022138518A (ja) * 2021-03-10 2022-09-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
JP2023030344A (ja) * 2021-08-23 2023-03-0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6949A1 (en) * 2005-05-27 2006-11-30 Hubbell Incorporated. Occupancy sensor assembly
US20150261168A1 (en) * 2014-03-17 2015-09-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956B2 (ja) * 1988-06-27 1996-10-16 松下電工株式会社 超音波ホ―ン取付構造
JPH02162898A (ja) * 1988-12-15 1990-06-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センサ
JPH0659039A (ja) * 1992-08-04 1994-03-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61538A (ja) * 1995-08-25 1997-03-07 Omron Corp 物体検出装置および車両検出装置
US6250162B1 (en) * 1998-04-24 2001-06-2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Ultrasonic sensor
JP2000105115A (ja) * 1998-09-29 2000-04-11 Hoshizaki Electric Co Ltd 超音波式物体検知装置及び超音波式貯氷検知装置
JP2002296343A (ja) * 2001-03-29 2002-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ヘッド
JP5732616B2 (ja) * 2009-07-21 2015-06-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侵入センサ
JP5870795B2 (ja) 2012-03-21 2016-03-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移動体検出装置、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JP2016034735A (ja) * 2014-08-04 2016-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6949A1 (en) * 2005-05-27 2006-11-30 Hubbell Incorporated. Occupancy sensor assembly
US20150261168A1 (en) * 2014-03-17 2015-09-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7682A (ja) 2018-02-01
US20180034988A1 (en) 2018-02-01
CN107666553A (zh) 2018-02-06
KR102170529B1 (ko) 2020-10-27
US10218863B2 (en) 2019-02-26
JP6783577B2 (ja) 2020-11-11
CN107666553B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7527B2 (en) Apparatus that detects person by using sonic sensor, method, electronic apparatus that includes the det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7542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JPH10254623A (ja)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0574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5642474B2 (ja) 入力装置、振動装置および入力検出方法
KR20180013784A (ko) 인감 센서를 갖는 정보처리장치
US101521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2987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power state shifting based on amplitudes of received sound waves
JP674850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製造方法
US201800316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ibration component for generating vibration is mounted
US10209358B2 (en) Object detection using sonic waves
JP2013195285A (ja) 画像形成装置
JPH0667793A (ja) 座標入力装置
JP6233533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6768443B2 (ja) 画像形成装置
US970407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voltage generating unit outputting control voltage
JP2007066282A (ja) タッチパネル取り付け構造
JP2001125658A (ja) パソコンの電源切り忘れ防止装置および方法
JP201921304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269350A (ja) 装置管理システム、装置管理プログラム、情報出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