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934A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0934A KR20180010934A KR1020160125717A KR20160125717A KR20180010934A KR 20180010934 A KR20180010934 A KR 20180010934A KR 1020160125717 A KR1020160125717 A KR 1020160125717A KR 20160125717 A KR20160125717 A KR 20160125717A KR 20180010934 A KR20180010934 A KR 201800109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on plate
- shield plate
- plug
- cap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래의 설명은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엔진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다양한 편의장치가 탑재되는 등 고급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차량 내에는 많은 전장품 및 제어기들이 탑재되고 있고, 각종 전장품에 대한 전원선, 제어 신호선, 제어기들 간의 통신선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비롯하여 케이블 등이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각종 전장품을 비롯하여 제어기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케이블 등의 일끝 단에는 커넥터가 장착되고, 이 커넥터는 전장품의 정격용량 및 사용전선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인-라인에서 각종 와이어링 하네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커넥터를 조립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3개의 커넥터가 마련되고, 3개의 커넥터 중 제1커넥터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이고, 제2커넥터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제3커넥터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플러그 구조로서 조립된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일 측에 제2 커넥터부가 결합되는 제1 커넥터부가 내설된 본체,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제1 커넥터부와 제2 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 및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동시에 인출하거나 삽입되게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부재가 포함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 커버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커넥터의 제조 후 차량 등에 장착하기 위한 이송과정에서 다수의 탭 단자 중의 일부가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탭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캡을 마련하는 경우, 제조시 보호 캡을 장착하고, 차량으로의 장착시 이 보호 캡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 수가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차량의 장착 후, 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탭 단자가 손상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경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기는 하지만, 보호판과 간섭되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호판의 벽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호판을 마련하여 커넥터의 이송시 탭 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보호판을 마련하여 커넥터의 조립 및 분해 과정에서 탭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하면서 탭 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공간 효율성이 높고, 소형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또는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형상 변형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가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변형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를 구비한 제 1 후크; 및 상기 제 1 후크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 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제 1 후크의 후크 바디와, 상기 제 2 후크의 후크 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용 돌기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판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 상기 레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보호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 및 상기 레버 바디부 또는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용 돌기와 오버랩되는 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바디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 슬라이딩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이탈 방지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돌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내측으로 벤딩 가능한 가변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이탈 방지 돌기를 넘어서 삽입될 때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걸림부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의 측벽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최대 두께는 0.8~1.0mm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의 이송시 탭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과정에서 탭 단자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보호판이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탭 단자를 가이드 하여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캡 하우징, 보호판 및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두 구성이 탈부착 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결합 가능한 단자들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개수의 단자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종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터 어셈블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하우징 및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초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하우징 및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초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캡 하우징 및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하우징에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2의 절개선 I-I를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보호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커넥터 어셈블리(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보호판(20)에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자의 각각이 삽입될 수 있다. 보호판(20)은, 상기 복수 개의 단자가 곧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작업 과정에서 상기 복수 개의 단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자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10), 캡 하우징(10)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20), 보호판(20)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30), 플러그 하우징(30)에 장착되는 레버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에 의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는 어느 특정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캡 하우징(10), 보호판(20), 플러그 하우징(30), 레버 하우징(40)에 마련된 각각의 구성 요소의 유기적 결합에 따른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상기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는 캡 하우징(10), 보호판(20), 플러그 하우징(30), 레버 하우징(40)에 마련된 각각의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기능에 따라 보호판(20)의 상승 또는 하강시 보호판의 상승 또는 하강을 실현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강 부재는 상기 캡 하우징(10)으로 인입되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0)에 의하여 상기 보호판(20)의 초기 상태의 결합이 해지되어 상기 보호판(20)이 하강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상승 부재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0)의 상승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보호판(20)이 상승하여 초기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는 동일 구성 요소이더라도 상기 보호판(20)의 상승 시 작용하는 구성인 경우 상승 부재에 대응하며, 상기 보호판(20)의 하강 시 작용하는 구성인 경우 하강 부재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캡 하우징(10)은, 보호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기(11)와, 보호판(20)을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초기 상태)로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판 지지 레버(12)와, 보호판(20)의 상승 또는 하강시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된 레버 후퇴 공간(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11)는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보호판(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11)는 캡 하우징(10)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부는 평평한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는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될 때, 이탈 방지 돌기(11)의 상부의 경사진 형상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부의 평평한 형상에 의해 캡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판(20)의 측벽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보호판(20)의 측벽의 두께는 예를 들어 0.8~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호판 지지 레버(12)는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보호판(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보호판 지지 레버(12)는 캡 하우징(10)의 내벽, 예를 들면, 내부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121)와, 레버 바디부(121)로부터 돌출된 받침부(122)와, 레버 바디부(121) 또는 받침부(122)에 연결되는 작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바디부(121), 받침부(122) 및 작용부(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바디부(121)는, 가변형으로 마련되어, 캡 하우징(10)의 내측면 및 레버 바디부(121) 사이에 형성된 레버 후퇴 공간(13) 내에서 변형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받침부(122)의 상부는 평평한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는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부(123)는 받침부(12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부(123)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에 마련된 다수의 탭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탭 단자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플러그 하우징(30)이 삽입되기 전까지 캡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L)만큼 이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플러그 하우징(30)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일정 거리(L) 내에서 캡 하우징(10) 내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작용부(12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21)과, 받침부(122)에 지지 가능한 캡 걸림부(22)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23)와, 레버 바디부(12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 슬라이딩 공간(25)과, 플러그 걸림부(23)가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변형 수용 공간(26)과, 이탈 방지 돌기(11)에 걸릴 수 있는 돌기 걸림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홈(21)은, 보호판(20)의 바닥벽의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홈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용 홈(21)은, 보호판(20)의 바닥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호판(20) 중 수용 홈(2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받침부(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호판(20)의 바닥벽 중 받침부(12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캡 걸림부(22)라고 할 수도 있다. 캡 걸림부(22)는, 보호판(20)의 바닥벽 중 보호판(20)의 삽입 방향(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받침부(122)와 오버랩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 걸림부(22)의 구조에 의하면, 캡 하우징(10)의 바닥부로부터 보호판(20)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간섭 구조물을 보호판(20)의 외측에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 걸림부(22)가 보호판(20)의 외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캡 걸림부(22)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보호판(20)의 외측에 위치되어야 하고,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하지만,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레버 슬라이딩 공간(25)은 보호판(20)의 측벽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슬라이딩 공간(25)은 보호판(20)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슬라이딩 공간(25)은,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보호판(20) 중 캡 걸림부(2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호판(20)의 측벽이 얇은 판재 형상을 갖더라도, 보호판(20) 및 보호판 지지 레버(12) 상호간 간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플러그 하우징(30)의 측벽에 돌출된 고정용 돌기(33, 도 4 참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보호판(20)의 측벽 내에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예를 들어, 보호판(20)의 테두리 중 수용 홈(21)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고정용 돌기(33)와의 간섭에 따라서 보호판(20)의 측벽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걸림부(23)가 보호판(20)의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걸림부(23)가 보호판(20)의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될 경우에는, 플러그 걸림부(23)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한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하지만,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변형 수용 공간(26)은, 예를 들어, 플러그 걸림부(23)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변형 수용 공간(26)은, 보호판(20)의 측벽 중 플러그 걸림부(23)가 형성된 부분의 주변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호판(20)의 측벽이 얇은 판재 형상을 갖더라도, 보호판(20) 및 플러그 하우징(30) 상호간 간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이탈 방지 돌기(11)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보호판(20)의 측벽 내에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이탈 방지 돌기(11)와의 간섭에 따라서 보호판(20)의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단에 걸릴 수 있는 수평부(271)와, 수평부(271)가 이탈 방지 돌기(11)와 간섭될 때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71) 및 벤딩부(272)는 예를 들어, 보호판(20)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걸림부(27)는, 도 3과 같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30)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각각 이동시켜 캡 걸림부(22)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분리시키는 분리용 돌기(32)와, 플러그 걸림부(23)에 걸리는 고정용 돌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용 돌기(32) 및 고정용 돌기(33) 각각의 하부는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 하우징(40)은 조작자가 캡 하우징(10)에 플러그 하우징(30)을 결합 또는 분리시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캡 하우징(10), 보호판(20), 플러그 하우징(30) 및 레버 하우징(4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세라믹 수지 등 절연성과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30)을 결합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결합방법으로서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 하우징(10) 내에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초기 상태)로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20)을 장착한다.
이러한 장착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작시 작업자가 보호판(20)을 캡 하우징(10) 내에 밀어넣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캡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에서 보호판(20)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단순 삽입에 의해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에 의해 저지되지만, 이탈 방지 돌기(11)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면을 구비하므로, 작업자가 압압하는 것에 의해 보호판(20)은 이탈 방지 돌기(11)를 용이하게 통과한다. 보호판(20)이 이탈 방지 돌기(11)를 통과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의 보호판 지지 레버(12)에 보호판(20)의 바닥벽에 형성된 캡 걸림부(22)가 걸려서 캡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벽과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캡 하우징(10)에 내장된 다수의 탭 단자의 일부분(선단)이 보호판(20)에 형성된 다수의 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초기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되면, 보호판(20)의 돌기 걸림부(27)가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를 넘어가는 과정에서, 보호판(20)의 내측으로 휘어진 후에 다시 복원되면서, 돌기 걸림부(27)의 수평부(271)의 상단은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단에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가 이탈 방지 돌기(11)를 완전히 넘어간 위치에서, 보호판(20)의 캡 걸림부(22)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받침부(122)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으로 더 이상 진입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초기 상태)로 유지되면서,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도 3 상태의 이후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의 결합 과정에서 도 2의 절개선 II-II를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걸림부(23)는, 예를 들어, 제 1 후크(231a), 제 2 후크(231b), 이동 공간(232) 및 진입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후크(231a)의 헤드부 및 제 2 후크(231b)의 헤드부 각각의 상부는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1 상측 경사부 및 제 2 상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후크(231a)의 헤드부 및 제 2 후크(231b)의 헤드부 각각의 하부는 내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1 하측 경사부 및 제 2 하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 1 하측 경사부 및 제 2 하측 경사부의 기울기는, 제 1 상측 경사부 및 제 2 상측 경사부의 기울기보다 완만할 수 있다. 제 1 후크(231a)의 후크 바디 및 제 2 후크(232b)의 후크 바디는, 보호판(20)의 측벽 내에 마련된 변형 수용 공간(26) 내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동 공간(232)은, 제 1 후크(231a)의 후크 바디 및 제 2 후크(231b)의 후크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고정용 돌기(33)는 이동 공간(23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진입부(233)는, 제 1 후크(231a)의 헤드부 및 제 2 후크(231b)의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플러그 하우징(30)이 보호판(20)에 체결될 때, 고정용 돌기(33)가 진입하는 부분이다.
도 3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되면, 먼저 플러그 하우징(30)의 고정용 돌기(33)가 보호판(20)의 플러그 걸림부(23)를 변형시키면서, 도 4와 같이 이동 공간(232)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의 분리용 돌기(32)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작용부(123)에 맞닿을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으로 보다 삽입되면, 도 5a와 같이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되기 전에 분리용 돌기(32)는 작용부(123)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수용 홈(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레버 바디부(121)는 외측으로 휘어지고, 결과적으로,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받침부(122, 도 2 참조)는, 캡 걸림부(22, 도 2 참조)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분리용 돌기(32)에 의해,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보호판(20)으로부터 분리되면, 도 5b와 같이 보호판(20)이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캡 하우징(10)으로 하강하면서,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고정용 돌기(33)가 플러그 걸림부(23)에 간섭되는 과정과, 분리용 돌기(32)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밀어내는 과정과,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되는 과정이 서로 동시에 시작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과정이 동시에 시작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 하우징(30)을 보호판(20) 및 캡 하우징(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캡 걸림부(22)와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분리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으로 보다 삽입되면, 도 6과 같이, 보호판 지지 레버(12)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 밀착되면서, 각각의 탭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30)에 수용되고,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12는 각각의 결합 과정에서 도 2의 절개선 II-II를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초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이 보호판(20) 및 캡 하우징(1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도 7a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면, 분리용 돌기(32)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외측으로 가압하기 전에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 하우징(30)이 도 7a의 거리 D만큼 상승하는 동안에는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0)을 분리시키는 힘만 요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서 분리용 돌기(32)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작용부(123, 도 3 참조)를 외측으로 가압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과정에서 고정용 돌기(33)는 이동 공간(23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용 돌기(33)가 이동 공간(232)의 상단에 맞닿기 전까지, 보호판(20)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b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8과 같이 고정용 돌기(33)는 보호판(20)의 플러그 걸림부(23)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이때부터 보호판(20)은 플러그 하우징(30)과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0)을 분리시키는 과정과, 분리용 돌기(32)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밀어내는 과정과, 고정용 돌기(33)가 플러그 걸림부(23)에 간섭하여 보호판(20)을 상승시키는 과정이 서로 동시에 시작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과정이 동시에 시작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 하우징(30)을 캡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9와 같이 분리용 돌기(32)는 작용부(123, 도 3 참조)를 완전히 넘어가고,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 보호판(20)의 캡 걸림부(22, 도 3 참조)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받침부(122, 도 3 참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도 3과 같이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 도 3 참조)는 보호판(20)의 돌기 걸림부(27)에 걸리게 됨으로써,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으로부터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서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초기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도 9의 상태, 다시 말하면,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 도 3 참조)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10과 같이 고정용 돌기(33)는, 보호판(20)의 플러그 걸림부(23)를 변형시키면서 도 11과 같이 상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 하우징(30)은 보호판(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12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은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서 일정 거리(L) 이격된 상태로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30)의 분리과정에 의해 캡 하우징(10) 내에 장착된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캡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실시 예는 예를 들어, 핀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ACU 커넥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으나, ACU 커넥터 어셈블리 이외의 다른 종류의 커넥터 어셈블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의 이송시 탭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과정에서 탭 단자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보호판이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탭 단자를 가이드 하여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캡 하우징, 보호판 및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두 구성이 탈부착 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결합 가능한 단자들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개수의 단자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종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터 어셈블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구조 및/또는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1)
-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형상 변형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가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변형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두께와 동일한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를 구비한 제 1 후크; 및
상기 제 1 후크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 2 후크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제 1 후크의 후크 바디와, 상기 제 2 후크의 후크 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용 돌기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판이 이동하지 않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
상기 레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보호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 및
상기 레버 바디부 또는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용 돌기와 오버랩되는 작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바디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 슬라이딩 공간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이탈 방지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돌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내측으로 벤딩 가능한 가변형으로 제공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이탈 방지 돌기를 넘어서 삽입될 때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걸림부는, U자 형상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의 측벽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최대 두께는 0.8~1.0mm인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92859 | 2016-07-21 | ||
KR1020160092859 | 2016-07-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0934A true KR20180010934A (ko) | 2018-01-31 |
KR102662993B1 KR102662993B1 (ko) | 2024-05-03 |
Family
ID=6108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5717A KR102662993B1 (ko) | 2016-07-21 | 2016-09-29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299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0018A (ko) * | 2018-03-19 | 2019-09-27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EP3544125A3 (en) * | 2018-03-19 | 2019-11-06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US20220109264A1 (en) * | 2020-10-06 | 2022-04-07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Connector Assembly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7337A (ja) * | 1997-08-18 | 1999-03-0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レバー式コネクタ |
KR20110120549A (ko) | 2010-04-29 | 2011-11-04 | 타이코에이엠피(유) |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
KR101091660B1 (ko) | 2010-09-30 | 2011-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콤비네이션 커넥터 |
KR101320881B1 (ko) * | 2012-09-06 | 2013-10-23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
KR20130121644A (ko) * | 2012-04-27 | 2013-11-06 | 타이코에이엠피(유)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
KR20130126163A (ko) * | 2012-05-11 | 2013-11-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KR20140032289A (ko) * | 2012-09-06 | 2014-03-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
2016
- 2016-09-29 KR KR1020160125717A patent/KR1026629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7337A (ja) * | 1997-08-18 | 1999-03-0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レバー式コネクタ |
KR20110120549A (ko) | 2010-04-29 | 2011-11-04 | 타이코에이엠피(유) |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
KR101091660B1 (ko) | 2010-09-30 | 2011-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콤비네이션 커넥터 |
KR20130121644A (ko) * | 2012-04-27 | 2013-11-06 | 타이코에이엠피(유)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
KR101575390B1 (ko) | 2012-04-27 | 2015-12-09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
KR20130126163A (ko) * | 2012-05-11 | 2013-11-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KR101320881B1 (ko) * | 2012-09-06 | 2013-10-23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
KR20140032289A (ko) * | 2012-09-06 | 2014-03-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0018A (ko) * | 2018-03-19 | 2019-09-27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EP3544125A3 (en) * | 2018-03-19 | 2019-11-06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US10763610B2 (en) | 2018-03-19 | 2020-09-01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US20220109264A1 (en) * | 2020-10-06 | 2022-04-07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Connector Assembly |
EP3982491A1 (en) * | 2020-10-06 | 2022-04-13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Connector assembly |
US11824300B2 (en) * | 2020-10-06 | 2023-11-21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erminal protection fea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2993B1 (ko) | 2024-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330B1 (ko)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 |
US9124079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EP2892114B1 (en) | Motor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motor using the same | |
US20120285728A1 (en) | Corrugated tube protector | |
US947890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80010934A (ko)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
EP2645834B1 (en) | Casing cover | |
US9673561B2 (en) | Connector and structure for fixing connector to wiring harness | |
US20200303842A1 (en) | Connector | |
EP3822127B1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US9954310B2 (en) | Fixing structure for fuse holder and fuse cover | |
WO2010055623A1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KR102633432B1 (ko) |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
US10170849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 |
KR101404637B1 (ko) | 차량용 컨벤셔널 박스 | |
JP5093397B2 (ja) | 電気接続箱 | |
KR101360099B1 (ko) | 파샬 타입 차량용 전원연결박스 | |
US9137910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101608365B1 (ko) | 커넥터 | |
JP2016220308A (ja) | 電気接続箱 | |
JP2000231966A (ja) | 電気接続箱 | |
JP5040962B2 (ja) | セキュリティ装置 | |
JP6412728B2 (ja) | 電気接続箱 | |
KR200473367Y1 (ko) | 정션박스 | |
JP2009171816A (ja) |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