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160A -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7160A KR20180007160A KR1020160088021A KR20160088021A KR20180007160A KR 20180007160 A KR20180007160 A KR 20180007160A KR 1020160088021 A KR1020160088021 A KR 1020160088021A KR 20160088021 A KR20160088021 A KR 20160088021A KR 20180007160 A KR20180007160 A KR 201800071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listening function
- function
- music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euro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 간의 선택적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주변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와, 음악 또는 주변 소리를 표출하는 스피커부와, 마이크로부터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스피커부로 표출하는 주변 청취 기능과, 통신부로부터의 음향 파일이나 기저장된 음향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인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주변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와, 음악 또는 주변 소리를 표출하는 스피커부와, 마이크로부터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스피커부로 표출하는 주변 청취 기능과, 통신부로부터의 음향 파일이나 기저장된 음향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다 단순화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 간의 선택적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청인은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듣고 나누는데 이해가 곤란할 정도로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 즉, 청각에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하며, 난청 정도에 따라 경도 난청, 중도 난청, 중고도 난청 및 고도 난청 등으로 분류된다.
난청의 종류로는 전음성 난청, 감응성 난청 및 혼합성 난청이 있으며, 외이도가 상했다거나, 고막이 천공되었거나, 이소골이 이탈되었거나, 외이염 또는 중이염으로 인하여 실청되었거나, 노인성 난청, 선천적 난청, 유전적 난청, 고음에 의한 실청, 고열 및 약물 부작용에 의한 실청 등의 이유로 골도와 기도의 손상정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청각에 장애를 가진 난청인은 일상생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는바, 난청 정도를 충분히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치인 보청기가 필요하며, 보청기는 난청 정도에 따라 화자음 또는 주변음을 증폭시켜서 난청
인이 말소리를 보다 똑똑히 들을 수 있게 해주며, 보다 자연음에 가깝게 들리도록 보조해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화자음 및 주변음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송화기, 송화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정류 및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난청인의 귀로 전달하는 수화기 및 송화기, 수화기 및 증폭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상자형, 귀걸이형, 안경형 및 귓속형이 있으며, 최근에는 귓속형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귀 속 깊숙이 넣을 수 있는 고막형이 추가 되었다.
종래의 보청기의 경우, 착용자가 보청기를 작동시켜 주변 청취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악 청취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 간의 선택적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음악 청취 기능의 수행 중에도 위험 상황에서는 주변 청취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주변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와, 음악 또는 주변 소리를 표출하는 스피커부와, 마이크로부터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스피커부로 표출하는 주변 청취 기능과, 통신부로부터의 음향 파일이나 기저장된 음향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면서 마이크부를 제어하여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변 소리를 분석하여, 분석된 주변 소리에 위험 신호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분석된 주변 소리에 위험 신호가 포함된 경우, 수행 중인 음악 청취 기능을 중단하고 주변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변 청취 기능을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고 음악 청취 기능으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음악 청취 기능 선택 입력, 주변 청취 기능 선택 입력 및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선택 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선택의 입력 시에, 통신부가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부가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 연결된 경우, 전자 통신 기기로부터 음향 파일을 수신하여 음악 청취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 간의 선택적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음악 청취 기능의 수행 중에도 위험 상황에서는 주변 청취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음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음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전원의 온/오프 입력과 주변 청취 모드 선택 입력과 음악 청취 모드 선택 입력,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3)와, 주변의 소리(음성이나 음향) 등을 획득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와, 전원의 온/오프 상태와 현재 수행 중인 모드(또는 기능)(주변 청취 모드, 음악 청취 모드, 자동 모드)의 표시를 수행하는 표시부(7)와, 음성 또는 음악, 주변 소리 등의 소리를 표출하는 스피커(9)와,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패드, 테블릿 pc 등)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등)을 수행하는 통신부(11)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입력부(3)로부터의 선택/변환 입력에 따라 주변 청취 기능과 음악 청취 기능 중의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며, 자동 모드 대기 상태의 입력 시에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 여부에 따라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1)와, 입력부(3)와,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와, 표시부(7)와, 스피커(9) 및 통신부(11)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하여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먼저, 음향 청취 모드에 대하여 설명된다. 제어부(20)는 입력부(3)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음악 청취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하고, 저장된 음향(또는 음악) 파일(예를 들면, mp3, mp4 등)을 판독하여 저장된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9)에 음향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음향(음악)이 발생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음향을 청취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표시부(7)를 통하여 현재 음향 청취 모드를 수행 중임을 표시한다. 또는, 제어부(2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로부터 음향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된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9)에 음향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음향(음악)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변 청취 모드에 대하여 설명된다. 제어부(20)는 입력부(3)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주변 청취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하고,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 중의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주변 소리(음성 및 음향)를 획득한다. 이때, 제어부(20)는 표시부(7)를 통하여 주변 청취 모드를 수행 중임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주변 소리에서 노이즈 제거하여 증폭하거나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스피커(9)를 통하여 착용자의 청각 기관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자동 모드에 대하여 설명된다. 제어부(20)는 입력부(3)로부터 착용자에 의해 입력된 자동 모드 대기 상태에 대한 입력을 획득한 이후에, 통신부(11)를 통하여 전자 통신 기기가 통신 연결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이면, 제어부(20)는 전자 통신 기기로부터 음향 파일을 수신하여 수신하여 저장된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9)에 음향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음향(음악)이 발생되도록 한다. 제어부(20)는 일정 시간 동안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만약 일정 시간 이내에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20)는 입력된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입력을 폐기하고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초기 상태는 착용자(또는 사용자)가 입력부(3)를 통하여 입력(음악 청취 모드 선택 입력, 주변 청취 모드 선택 입력,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선택 입력 등)을 수행하면, 입력을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2는 도 1의 청음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청음 보조 장치는 양 단부(30a), (30b)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본체부(30)를 구비한다.
입력부(3)는 본체부(30)에 형성되며, 전원 온/오프 입력 또는 주변 청취 모드, 음악 청취 모드, 자동 모드 대기 상태의 선택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입력부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는 주변 소리(음향 및 음성)를 획득하기 위해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표시부(7)는 주변 청취 기능 또는 음악 청취 기능이 수행 중임을 표시하며, 예를 들면 색상(청색, 적색)이나 점멸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는 1개의 표시기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9)는 본체부(30)의 양 단부(30a), (30b)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스피커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귀에 넣어지거나 안착되도록 하여, 음악이나 음성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동작 시작 전에 초기 상태를 유지하거나, 입력부(3)의 전원 온 입력 전으로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단계(S1)에서, 입력부(3)가 모드의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으면 단계(S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이 유지된다.
단계(S3)에서,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활성화되며,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이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모두 공급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수행하며, 표시부(7)는 초기 상태 또는 모드의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도 전원을 인가 받아 활성화된다.
단계(S5)에서, 제어부(20)는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이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입력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이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입력이면 단계(S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주변 청취 모드 선택 입력 또는 음악 청취 모드 선택 입력이므로 단계(S7)로 진행한다.
단계(S7)에서, 제어부(20)는 선택된 모드인 주변 청취 모드 또는 음악 청취 모드를 수행한다.
단계(S9)에서, 제어부(20)는 통신부(11)가 독립적으로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하거나, 통신부(11)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여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단계(S9)에서, 제어부(20)는 통신부(11)를 통하여 전자 통신 기기가 유선 통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이 적용된 경우, 제어부(20)는 통신부(11)와 전자 통신 기기가 페이링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일정 시간 동안 단계(S9)를 수행하며, 만약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된 상태이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하여 이전 단계(S1)에서 입력된 자동 모드 대기 상태를 폐기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20)는 자동 모드를 수행하며, 통신부(11)를 통하여 통신 연결된 전자 통신 기기로부터 음향 파일을 수신하여, 스피커(9)를 통하여 재생하는 음악 청취 모드를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20)는 단계(S11)의 음악 청취 모드를 수행하면서,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로부터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분석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20)는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로부터 획득된 주변 소리에서 위험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위험 신호는 임펄스 신호와 같이, 급격한 크기나 급격한 크기 변화를 지닌 신호를 의미한다. 만약 제어부(20)가 위험 신호를 주변 소리에서 감지하였으면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의 음악 청취 모드와, 단계(S13)의 주변 소리의 분석을 수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20)는 단계(S11)의 음악 청취 모드를 중단하고, 주변 청취 모드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0)는 제 1 및 제 2 마이크(5a, 5b)로부터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스피커(9)를 통하여 착용자에게 음향으로 제공하여, 착용자가 위험 신호를 포함하는 주변 소리를 직접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20)는 단계(S17)의 주변 청취 모드의 수행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20)는 기준 시간 이내에 주변 청취 모드를 수행하고, 기준 시간의 경과 이후에는 단계(S11)의 음악 청취 모드로 복귀하기 위해 단계(S19)가 수행된다. 만약 기준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준 시간 동안 주변 청취 모드를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원부
3: 입력부
5a, 5b: 제 1 및 제 2 마이크 7: 표시부
9: 스피커 11: 통신부
20: 제어부
5a, 5b: 제 1 및 제 2 마이크 7: 표시부
9: 스피커 11: 통신부
20: 제어부
Claims (8)
- 외부의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주변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부와;
음악 또는 주변 소리를 표출하는 스피커부와;
마이크로부터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스피커부로 표출하는 주변 청취 기능과, 통신부로부터의 음향 파일이나 기저장된 음향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악 청취 기능을 수행하면서 마이크부를 제어하여 주변 소리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 소리를 분석하여, 분석된 주변 소리에 위험 신호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석된 주변 소리에 위험 신호가 포함된 경우, 수행 중인 음악 청취 기능을 중단하고 주변 청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 청취 기능을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하고 음악 청취 기능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음향 장치는 음악 청취 기능 선택 입력, 주변 청취 기능 선택 입력 및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선택 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자동 모드 대기 상태 선택의 입력 시에, 통신부가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통신부가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 연결된 경우, 전자 통신 기기로부터 음향 파일을 수신하여 음악 청취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021A KR101821671B1 (ko) | 2016-07-12 | 2016-07-12 |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JP2017133489A JP2018011297A (ja) | 2016-07-12 | 2017-07-07 | 音楽聴取機能及び周辺聴取機能を持つブルートゥース音響装置 |
US15/646,394 US20180018143A1 (en) | 2016-07-12 | 2017-07-11 | Audio Device with Music Listening Function and Surroundings Hearing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021A KR101821671B1 (ko) | 2016-07-12 | 2016-07-12 |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7160A true KR20180007160A (ko) | 2018-01-22 |
KR101821671B1 KR101821671B1 (ko) | 2018-01-24 |
Family
ID=6094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8021A KR101821671B1 (ko) | 2016-07-12 | 2016-07-12 |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018143A1 (ko) |
JP (1) | JP2018011297A (ko) |
KR (1) | KR1018216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4439B1 (ko) * | 2022-06-30 | 2024-02-06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Anc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이어폰 및 이의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46304A1 (en) * | 2000-04-24 | 2001-11-29 | Rast Rodger H. |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ontrol of acoustic isolation in headsets |
JP2008300894A (ja) * | 2007-05-29 | 2008-12-11 | Smk Corp | マイクロフォン付きヘッドセットの外部特定音認識方法及びマイクロフォン付きヘッドセット |
CN103313168A (zh) * | 2012-03-08 | 2013-09-1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耳机插孔驱动电路 |
KR101494306B1 (ko) | 2013-08-19 | 2015-02-26 | 김영서 |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
KR101585793B1 (ko) * | 2014-09-30 | 2016-01-15 | 정금필 | 스마트 보청기 |
KR101637326B1 (ko) | 2015-01-05 | 2016-07-07 | 주식회사 비에스엘 |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
-
2016
- 2016-07-12 KR KR1020160088021A patent/KR1018216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7-07 JP JP2017133489A patent/JP2018011297A/ja active Pending
- 2017-07-11 US US15/646,394 patent/US20180018143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1671B1 (ko) | 2018-01-24 |
JP2018011297A (ja) | 2018-01-18 |
US20180018143A1 (en) | 2018-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26649B2 (en) |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 |
KR101756674B1 (ko) | 보청기 기능의 능동 소음 제거 헤드셋 장치 | |
KR101585793B1 (ko) | 스마트 보청기 | |
US6671379B2 (en) |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 |
US9781524B2 (en) | Communication system | |
CN106888414A (zh) | 具有闭塞耳朵的说话者的自身语音体验的控制 | |
JP6419222B2 (ja) | 音質改善のための方法及びヘッドセット | |
KR101457928B1 (ko) | 현장맞춤형 히어링 이퀄라이저 | |
JP6400796B2 (ja) | 着用者の状態を知らせる聴音補助装置 | |
EP3095252A2 (en) | Hearing assistance system | |
KR20120034085A (ko) | 이어폰 구조체 및 그 작동 방법 | |
JP2010524407A (ja) | 聴力損失を補償するための動的ボリューム調整及びバンドシフト | |
KR20100121176A (ko) |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 |
WO2020238274A1 (zh) | 一种具有无线传输功能的助听器 | |
JP6668766B2 (ja) | 音声信号処理装置 | |
KR101450014B1 (ko) |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사용자 보조 장치 | |
US9338555B1 (en) | Earphones and hearing aids with equalization | |
KR101861357B1 (ko) |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 |
KR101821671B1 (ko) |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 |
KR100643311B1 (ko) | 스테레오 음향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101361822B1 (ko) | 분리형 보청기 | |
KR101971608B1 (ko) | 웨어러블 음향 장치 | |
KR101637326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 |
KR101528621B1 (ko) | 분리형 보청기 | |
KR101672942B1 (ko) |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