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81488A -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488A
KR20170081488A KR1020160000581A KR20160000581A KR20170081488A KR 20170081488 A KR20170081488 A KR 20170081488A KR 1020160000581 A KR1020160000581 A KR 1020160000581A KR 20160000581 A KR20160000581 A KR 20160000581A KR 20170081488 A KR20170081488 A KR 2017008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unmanned
mo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김민영
이영배
이우성
이정재
김승년
윤병욱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488A/ko
Priority to US15/398,287 priority patent/US10551833B2/en
Priority to CN201710004345.8A priority patent/CN107040698B/zh
Priority to EP17150295.8A priority patent/EP3188467B1/en
Publication of KR2017008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8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simple or augmented images from one or more cameras located onboard the vehicle, e.g. tele-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2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scanning movement of lens or camera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3203
    • H04N5/23238
    • H04N5/232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장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 회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위치 검출 회로, 상기 이동 장치, 상기 카메라,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위치 검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공중으로 날리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비행하는 중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위치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이 촬영된, 복수의 3차원 위치들을 검출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위치들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위치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Method for Shooting Image Using a 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법, 무인 촬영 장치, 및 무인 촬영 장치를 조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 촬영 장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 중 드론 장치(또는 무선 비행체)는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일 수 있다. 드론 장치는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정찰, 감시 등의 용도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물건 배송,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등의 용도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인 촬영 장치(또는 드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이스틱 형태의 조작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터치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pitch up/down, roll left/right 와 같은 조작 스틱 또는 조작 버튼을 조절하여 무인 촬영 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은, 사용자가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구도에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조작 장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 방향, 고도 등을 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인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장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 회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위치 검출 회로, 상기 이동 장치, 상기 카메라,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위치 검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공중으로 날리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비행하는 중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위치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이 촬영된, 복수의 3차원 위치들을 검출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위치들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위치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예: 드론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은 사용자가 무인 촬영 장치를 복잡한 조작 방법을 익히지 않더라도,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구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은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무인 촬영 장치를 자동으로 이동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 및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좌표계의 변환을 통한 무인 촬영 장치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핀치 인/핀치 아웃 입력을 통한 구도 변경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들 중 선택을 통한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에서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1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1)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 또는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무인 촬영 장치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무인 촬영 장치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 및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전자 장치(10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인 촬영 장치(101)가 드론 장치인 경우를 중심으로 논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동 장치(예: 바퀴, 2족 보행)를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하는 로봇 장치일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외부에 하우징(110), 이동 장치(120), 및 카메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무인 촬영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내부에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회로 또는 센서 등을 장착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이동 장치(12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의 구성을 고정하고 보호할 수 있다.
이동 장치(120)는 무인 촬영 장치(101)의 비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동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장치(120)는 하우징(110)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하우징(110) 내부의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장치(1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지정된 위치로 무인 촬영 장치(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13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하, 이미지)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30)의 렌즈 부분은 주변의 환경을 촬영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무인 촬영 장치(10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 장치 없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이동되거나 축소/확대되면,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출력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미지의 이동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상기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이미지를 촬영하기 적합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출력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축소되는 경우, 이미지의 확대/축소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확대/축소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된 이미지를 촬영하기 적합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화면상에서의 이미지의 이동 정보 또는 확대/축소 비율에 관한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거리에 관한 계산을 수행하고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화면상에서의 이미지의 이동 정보 또는 확대/축소 비율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거리 등의 이동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무인 촬영 장치(101)에 상기 이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수신한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화면상에서의 이동된 이미지 또는 확대/축소된 이미지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이미지의 변경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거리 등의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101)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는 도 3 내지 도 1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이동 장치(230), 통신 회로(240), 위치 인식 장치(250), 카메라(26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무인 촬영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무인 촬영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이동 장치(230)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 카메라(260)를 이미지의 촬영, 통신 회로(240)를 이용한 전자 장치(102)와의 데이터 송수신, 위치 인식 장치(250)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101)의 위치 인식, 메모리(220)를 이용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위치 정보를 저장과 관련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무인 촬영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카메라(26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및 각각의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 촬영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변형되거나, 특정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이미지와 연관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장치(230)는 도 1에서의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및 상기 프로펠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장치(230)은 프로세서(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장치(230)를 구동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위치로 무인 촬영 장치(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통신 회로(240)는, 예를 들면, 무인 촬영 장치(101)와 전자 장치(102)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회로(240)는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전자 장치(102)로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회로(240)은 전자 장치(102)로부터 이미지의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210)로 수신한 이미지의 변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변경 정보는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장치(250)는 이미지 촬영 당시의 무인 촬영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절대적 좌표(예: GPS 좌표) 또는 상대적 좌표(예: 전자 장치(102)와의 상대적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위치 인식 장치(250)는 센서(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기울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6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메모리(220)에 저장되거나 전자 장치(102)로 전송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카메라(250)는 줌인/줌아웃 기능을 통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지정된 각도(예: 360도)의 회전을 통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장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 회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위치 검출 회로, 상기 이동 장치, 상기 카메라,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위치 검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비행하는 중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위치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이 촬영된, 복수의 3차원 위치들을 검출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위치들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위치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지정된 이동 거리 또는 지정된 시간 단위로 촬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동, 확대 또는 축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인식된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구 좌표계 또는 원통 좌표계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장치의 이동을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로부터 동일한 직선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로부터 동일한 수평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거나, 지정된 객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동작 310에서, 프로세서(210)은 이동 장치(230)를 이용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은 무인 촬영 장치(101)이 기본 설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사용자에게 영상 촬영을 위한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사용자가 무인 촬영 장치(101)을 이용한 촬영을 시작하는 경우, 인물 모드, 풍경 모드, 사용자 지정 모드 등의 촬영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1) 인물 모드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또는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인물 촬영에 적합한 높이와 거리(예: 지상으로부터 높이 2m 상공, 사용자와의 거리 50cm)로 이동할 수 있다. 2) 풍경 모드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또는 전자 장치(102))를 기반으로 지정된 높이와 거리(예: 지상으로부터 높이 3m 상공, 지정된 객체로부터 거리 10m)로 이동할 수 있다. 3) 사용자 설정 모드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프로세서(210)는 카메라(120)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초기 설정 위치로 이동하면서, 카메라(260)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객체(예: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하는 지정된 크기의 원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예: 사람, 건물, 시설 등)을 중심으로 하는 지정된 크기의 원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인식된 객체(예: 사람의 얼굴)을 중심으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 주기 간격(예: 0.1초)으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치 인식 장치(250)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절대적 좌표(예: GPS 좌표) 또는 상대적 좌표(예: 전자 장치(102))와의 상대적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인식 장치(250)는 전자 장치(102)와의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 초음파 신호의 세기 등의 변화 또는 고도를 기반으로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치 인식 장치(250)는 기준 위치(예: 전자 장치(102)위치)에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변화값으로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기록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은 각각의 이미지와 위치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340에서, 프로세서(210)은 통신 회로(240)을 통해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주기(예: 0.1초 내지 1초) 마다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한 이미지들 중 자신이 원하는 구도와 일치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변환한 프리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리뷰 이미지는 촬영된 이미지 보다 작은 용량의 데이터, 낮은 해상도, 작은 사이즈 또는 다운 샘플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동작350에서, 통신 회로(240)는 전자 장치(102)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프로세서(210)는 이동 장치(230)을 제어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로 무인 촬영 장치(101)를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따르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해당 위치로 이동 후, 자동으로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해당 위치로 이동 후, 사용자의 촬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동작 361에서, 전자 장치(102)는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2)에 설치된 무인 촬영 장치(101)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행 시작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 신호가 무인 촬영 장치(101)에 송신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장치(230)를 구동하여 비행을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미리 설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2)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작 362에서, 전자 장치(102)는 무인 촬영 장치(101)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초기 설정 위치로 이동 중 또는 이동한 이후, 촬영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63에서, 전자 장치(102)는 이미지 선택 또는 이미지 변경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조작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동/확대/축소하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64에서, 전자 장치(102)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무인 촬영 장치(102)의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정보는 무인 촬영 장치(101)이 이동 방향, 이동 좌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좌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미지를 이동/확대/축소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이동 정보는 이미지의 변경 정도에 따라 계산된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365에서, 전자 장치(102)는 무인 촬영 장치(101)에 이동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수신한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230)을 조작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자동으로 또는 전자 장치(102)의 촬영 신호에 의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동작 366에서, 전자 장치(102)는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한 무인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촬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구동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 이미지를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구도를 변경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다시 조작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의 촬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방법은 이동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촬영 장치(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에서 수행되고, 상기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무인 촬영 장치와 미리 연동된 전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정보 또는 이미지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이동하면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동작은 지정된 이동 거리 또는 지정된 시간 단위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촬영된 상기 무인 촬영 장치의 촬영 위치 정보 또는 촬영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상기 카메라를 지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는 부분 이미지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한 상기 부분 이미지의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변환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변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 정보 또는 확대 정보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객체로부터 동일한 직선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객체로부터 동일 수평 거리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확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거나, 지정된 객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객체(예: 사용자(410) 또는 사용자(410)가 파지하고 있는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410) 또는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무인 촬영 장치(101)이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410)에 의해 선택되거나 이미지 처리를 통해 인식된 객체(예: 주변 건물, 인물)를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 중인 이미지 또는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무인 촬영 장치(101)에서 전송한 이미지(401)를 디스플레이(102a)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2a)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401)를 이용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제1 내지 제3 객체(410 내지 430)이 촬영된 경우, 이미지(401)는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촬영 객체(410a 내지 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촬영 장치(101)에서 전송한 이미지(401)는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에 관한 정보(예: 크기, 해상도 등)에 기반하여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02a)에 표시되는 이미지(401)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2a)를 우측 방향으로 스와이프 하는 경우, 촬영 객체(410a 내지 430a) 모두는 디스플레이(102a)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지(401)의 한 지점을 터치하고, 상하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미지(401)는 이동하고, 터치 입력을 종료하면, 전자 장치(102)는 이미지(401)의 이동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401)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만큼 지정된 객체(예: 사용자(410))를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상기 이미지(401)의 변경 거리에 비례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지(401)를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3cm, y축 방향(예: 세로 방향)으로 +4cm 이동한 경우,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410)를 중심으로 가로 30cm, 세로 40cm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스틱 또는 터치 버튼을 이용하여 고도 조절, 방향 조절 등의 미세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이미지(401)를 직관적으로 이동하고, 이동 결과에 대응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지(401)를 이동하여, 간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구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좌표계의 변환을 통한 무인 촬영 장치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2)는 지정된 객체를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고, 무인 촬영 장치(102)의 위치 이동은 원통 좌표계(450) 또는 구좌표계(460)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예: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무인 촬영 장치(101)는 상기 이미지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정도에 대응하여, 지정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은 전자 장치(102)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예: 사물 또는 사람)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은 원통 좌표계(450) 또는 구좌표계(460)의 원점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 중 선택한 하나의 객체를 상기 회전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이미지의 변화값(예: 이미지의 이동값)은 원통 좌표계(450) 또는 구 좌표계(460)의 θ값에 반영하여 계산될 수 있다. 목표 좌표가 되는 P의 좌표는 직교 좌표계(470)의 좌표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상기 직교 좌표계(470)의 좌표 값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좌표변환 알고리즘은 무인 촬영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2)에서 연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지정된 객체(예: 전자 장치(102))와 동일한 수평 거리 범위에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에 관한 연산은 원통 좌표계(45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지정된 객체(예: 전자 장치(102))와 동일한 직선 거리 범위에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에 관한 연산은 구 좌표계(46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서는 전자 장치(102)에서 이미지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방향, 상하 방향,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는 이미지(501)을 이동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2a)을 터치하고,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이미지(501)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화면상의 제1 객체(510) 및 제2 객체(520)는 디스플레이(102a) 상의 최초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이미지(501)를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02a)에는 추가 이미지(501a)가 일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이미지(501a)는 이미지(501)가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지 않던 부분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일부만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 해당 부분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추가 이미지(501a)는 기본 설정된 배경 이미지(예: 백색 또는 회색 이미지, 또는 이미지(501)의 가장 자리 색과 유사한 이미지 등)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종료하면, 터치 입력이 종료될 당시에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는 축소 이미지(502b) 형태로 디스플레이(102a)의 일부에 출력될 수 있다. 축소 이미지(502b)가 출력되는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102a)의 나머지 영역에는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에 따라 촬영되고 있는 이미지(502)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촬영 이미지(502)와 자신이 설정한 이미지(502b)를 비교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가 자신이 원하는 구도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축소 이미지(502b)를 다시 선택하는 경우,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동을 멈추고, 사용자에 의해 다시 선택된 구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현재 촬영 이미지(502)를 터치하여 새로운 구도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102)는 축소 이미지(502b)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동하는 경우, 이미지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이동하여, 변경된 이미지(502b)를 촬영할 수 있는 구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P1 위치에서 P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이동하거나, 이미지 처리를 이용하여 인식된 객체(예: 사용자(550))를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미지의 이동 거리는 구 좌표계의 θ값에 반영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미지의 이동 거리가 커질수록 구 좌표계의 θ값이 커질 수 있고, 이미지의 이동 거리가 작아질수록 구 좌표계의 θ값이 작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이미지(501)를 이동하는 방향과, 무인 촬영 장치(101)이 이동하는 방향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핀치 인/핀치 아웃 입력을 통한 구도 변경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는 이미지(601)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를 이동시키거나 카메라의 줌인/줌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미지(601)가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를 통해 출력 중인 상태(예: 도6(a))에서, 사용자는 핀치 아웃(pinch out) 동작을 통해 이미지(601)를 확대시켜, 확대 이미지(601a)를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종료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의 입력(예: 핀치 아웃 동작)에 기반하여 현재의 위치보다 객체(610)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의 입력(예: 핀치 아웃 동작)에 기반하여 별도의 이동 없이 무인 촬영 장치(101)의 카메라(260)의 줌인 기능을 통해 객체(610)를 더 가까이에서 촬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이미지(601)가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를 통해 출력 중인 상태(예: 도6(a))에서, 사용자는 핀치 인(pinch in) 동작을 통해 이미지(601)를 축소하여 축소 이미지(601b)를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종료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의 입력(예: 핀치 인 동작)에 기반하여 현재의 위치보다 객체(6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의 입력(예: 핀치 인 동작)에 기반하여 별도의 이동 없이 무인 촬영 장치(101)의 카메라(260)의 줌 아웃 기능을 통해 객체(610)를 더 멀리에서 촬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핀치 인/핀치 아웃 동작 및 스와이프 동작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 또는 핀치 인/핀치 아웃 입력을 통해 이동/확대/축소하여, 자신이 원하는 구도의 이미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가 이미지의 조작을 완료한 후, 별도로 표시된 실행 버튼(예: 터치 버튼 또는 물리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이미지가 이동, 확대/축소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장치(230)을 제어하여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또는 카메라(260)의 줌인/줌 아웃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인 촬영 장치(101)의 고도 또는 이동 방향 등을 구체적으로 조작하지 않고, 이미지를 이용한 직관적인 조작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구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들 중 선택은 통한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객체(예: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지정된 경로(예: 제1 지점 내지 제3 지점(101a 내지 101c)를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전자 장치(102)를 중심으로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거나, 전자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710)를 중심으로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변 객체(720)를 중심으로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각각의 이미지를 촬영한 정보(예: 무인 촬영 장치(101)의 위치, 카메라의 각도 정보, 줌인/줌아웃 정보, ISO 정보,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이동 거리(예: 1m) 마다 이미지를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시간(예: 0.1초 내지 1분)마다 이미지를 전자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2)를 통해 전송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된 이미지 중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관한 정보(예: 파일명, 이미지 식별 번호 등)을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선택된 이미지와 연관된 촬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확인된 촬영 정보(예: 무인 촬영 장치(101)의 위치, 카메라의 각도 정보, 줌인/줌아웃 정보, ISO 정보,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정보 등)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인 촬영 장치(101)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고도 등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무인 촬영 장치(101)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한 무인 촬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의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카메라(260)를 제어하거나 이동 장치(230)를 제어하여, 파노라마 이미지(801)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6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무인 촬영 장치(101)에 장착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위치에서 카메라(260)를 회전하여 파노라마 이미지(801)를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동 장치(230)를 제어하여 이동하면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파노라마 이미지(80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장치(230)를 제어하여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801)는 이미지 왜곡(예: 끝부분에 생기는 굴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일반 카메라로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보다 고화질의 이미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무인 촬영 장치(101)는 파노라마 이미지(801)를 지정된 블록 단위로 구분하고, 각각의 블록이 촬영된 카메라(260)의 회전 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801)는 전자 장치(102)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노라마 이미지(801) 중 일부 이미지(예: 부분 이미지(810)) 선택하여, 상기 일부 이미지를 촬영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무인 촬영 장치(1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이미지(801)에서 사용자가 부분 이미지(810)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2)는 선택된 블록에 관한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선택된 부분 이미지(810)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카메라(260)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촬영 장치(101)는 카메라(260)의 방향을 유지한 채, 줌인 기능을 실행하거나 해당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촬영 장치(101)는 부분 이미지(810)와 동일한 이미지 구도를 촬영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파노라마 이미지(801)의 전체 모습을 확인하고, 원하는 구도로 무인 촬영 장치(1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지정된 객체(예: 이미지 처리를 통해 인식된 인물(910) 또는 주변 시설(920))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경로(예: 기준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도 9(a)에서는 나선형 경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일정 높이 이상에서 수직 상승하는 경로, 객체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로 등 다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따르면, 상기 경로는 전자 장치(102)에서 영상 촬영을 위해 제공하는 다양한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가 인물 모드, 풍경 모드, 사용자 지정 모드 등의 촬영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경로는 1) 인물 모드에서는 수직 방향 상승 경로, 2) 풍경 모드에서는 대각선 방향 상승 경로, 3) 사용자 지정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일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각각의 이미지를 촬영한 정보(예: 무인 촬영 장치(101)의 위치, 카메라의 각도 정보, 줌인/줌아웃 정보, ISO 정보,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가 지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한 이미지는 전자 장치(102)의 디스플레이(102a)에 사진 앨범과 같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2a)에 출력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예: 축소 이미지(930))를 선택하는 이미지에 관한 정보(예: 파일명, 이미지 식별 번호 등)을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선택된 이미지와 연관된 촬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확인된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로 이동하고 카메라(26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촬영 장치에서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 촬영에 따른 저장 데이터(1001)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 데이터(1001)촬영한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촬영 위치 정보, 또는 촬영 설정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 데이터(1001)은 이미지 프레임(1010) 및 추가 정보(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1010)은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추가 정보(1020)은 해당 이미지를 촬영할 당시의 무인 촬영 장치(101)의 촬영 위치 정보(1021) 또는 촬영 설정 정보(예: 피사체와의 거리(1022), ISO 감도(1023)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촬영 설정 정보는 셔터 속도 또는 조리개 정보, 필터 정보 등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인 촬영 장치(101)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촬영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예: ISO 감도)을 변경하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2)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무인 촬영 장치(101)는 선택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설정 항목의 값을 유지하면, 추가적으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전자 장치(102)에 이미지 프레임(1010)에 포함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프레임(1010)을 변환한 프리뷰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2)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하거나 확대/축소하여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변경된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촬영 장치(101)는 이미지의 변경 정보 및 추가 정보(1020) 내의 위치 정보(1021)를 기반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촬영 장치(101)는 위치 정보(1021)에 따른 위치에서 이미지의 변경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2) 또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전자 장치(102)를 통해 확인하고,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촬영 정보를 무인 촬영 장치(101)에 전송하여 무인 촬영 장치(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2)는 선택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추가 정보(1020) 내의 위치 정보(1021)를 무인 촬영 장치(101)로 전송하고, 무인 촬영 장치(101)는 수신한 위치 정보(1021)에 기반하여 촬영을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1)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2)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1110), 통신 모듈(1120), 가입자 식별 모듈(1124), 메모리(1130), 센서 모듈(1140), 입력 장치(1150), 디스플레이(1160), 인터페이스(1170), 오디오 모듈(1180), 카메라 모듈(1191), 전력 관리 모듈(1195), 배터리(1196), 인디케이터(1197), 및 모터(11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121), Wi-Fi 모듈(1122), 블루투스 모듈(1123), GNSS 모듈(1124)(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1125), MST 모듈(1126),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127)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1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1129)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1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은 프로세서(11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1122), 블루투스 모듈(1123), GNSS 모듈(1124), NFC 모듈(1125), 또는 MST 모듈(1126)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 Wi-Fi 모듈(1122), 블루투스 모듈(1123), GNSS 모듈(1124), NFC 모듈(1125), 또는 MST 모듈(1126)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C(integrated chip)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127)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127)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 Wi-Fi 모듈(1122), 블루투스 모듈(1123), GNSS 모듈(1124), NFC 모듈(1125), MST 모듈(1126)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129)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0)(예: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1132) 또는 외장 메모리(11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1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마스크(mask) ROM, 플래시(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낸드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아플래시(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1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1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모듈(1136)은 메모리(1130)보다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은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모듈로써, 안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된 실행 환경을 보장해주는 회로일 수 있다. 보안 모듈(1136)은 별도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1136)은,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스마트 칩, SD(secure digital) 카드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101)의 고정 칩 내에 내장된 내장형 보안 요소(embedded secure element(e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모듈(1136)은 전자 장치(1101)의 운영 체제(OS)와 다른 운영 체제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모듈(1136)은 JCOP(java card open platform)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1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140A), 자이로 센서(1140B), 기압 센서(1140C), 마그네틱 센서(1140D), 가속도 센서(1140E), 그립 센서(1140F), 근접 센서(1140G), 컬러 센서(1140H)(예: RGB 센서), 생체 센서(1140I), 온/습도 센서(1140J), 조도 센서(11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1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11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101)는 프로세서(11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1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1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11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11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154), 키(key)(11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1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1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1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1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11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1158)는 마이크(예: 마이크(11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1162), 홀로그램 장치(1164), 또는 프로젝터(11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162)은 터치 패널(11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1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1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60)는 상기 패널(1162), 상기 홀로그램 장치(1164), 또는 프로젝터(11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70)는, 예를 들면, HDMI(1172), USB(11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176), 또는 D-sub(D-subminiature)(11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11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 카드/MMC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182), 리시버(1184), 이어폰(1186), 또는 마이크(11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1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1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1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1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97)는 전자 장치(1101) 혹은 그 일부(예: 프로세서(11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1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1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무인 촬영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프로세서가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출력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이미지에 기반한 정보를 상기 드론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2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5)

  1. 무인 촬영 장치(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장치;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 회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위치 검출 회로;
    상기 이동 장치, 상기 카메라,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위치 검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비행하는 중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위치 검출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이 촬영된, 복수의 3차원 위치들을 검출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위치들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위치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지정된 이동 거리 또는 지정된 시간 단위로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동, 확대 또는 축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인식된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구 좌표계 또는 원통 좌표계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장치의 이동을 계산하도록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로부터 동일한 직선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로부터 동일한 수평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거나, 지정된 객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설정된 장치.
  11. 이동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촬영 장치(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시키는 동작;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무인 촬영 장치와 미리 연동된 전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정보 또는 이미지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 촬영 장치가 이동하면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동작은
    지정된 이동 거리 또는 지정된 시간 단위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촬영된 상기 무인 촬영 장치의 촬영 위치 정보 또는 촬영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은
    상기 카메라를 지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구성하는 부분 이미지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한 상기 부분 이미지의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변환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변화 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 정보 또는 확대 정보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객체로부터 동일한 직선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객체로부터 동일 수평 거리 거리를 유지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무선 촬영 장치를 이동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확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거나, 지정된 객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무인 촬영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상기 무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프로세서가
    상기 무인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출력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이미지에 기반한 정보를 상기 드론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인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000581A 2016-01-04 2016-01-04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Withdrawn KR20170081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81A KR20170081488A (ko) 2016-01-04 2016-01-04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US15/398,287 US10551833B2 (en) 2016-01-04 2017-01-04 Method for image capturing using 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201710004345.8A CN107040698B (zh) 2016-01-04 2017-01-04 无人图像捕获装置的图像捕获方法和支持其的电子装置
EP17150295.8A EP3188467B1 (en) 2016-01-04 2017-01-04 Method for image capturing using 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81A KR20170081488A (ko) 2016-01-04 2016-01-04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88A true KR20170081488A (ko) 2017-07-12

Family

ID=5775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81A Withdrawn KR20170081488A (ko) 2016-01-04 2016-01-04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51833B2 (ko)
EP (1) EP3188467B1 (ko)
KR (1) KR20170081488A (ko)
CN (1) CN107040698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92A1 (ko) * 2017-11-09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 장치를 조종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90093285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드론을 이용한 예술사진 촬영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드론
KR20190128425A (ko) * 2018-05-08 2019-11-18 선종현 원통좌표계 기반 무인이동체 조종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122755B1 (ko) * 2019-10-23 2020-06-15 주식회사 네스앤텍 화면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짐벌 제어 방법
CN112265632A (zh) * 2020-09-23 2021-01-2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wlan布局系统
KR102291331B1 (ko) 2020-09-17 2021-08-18 김대철 건설폐기물 및 쓰레기의 무단투기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저전력 저용량의 콤팩트형 무선감시장치
KR102347972B1 (ko) * 2021-08-18 2022-01-07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4970S1 (en) 2016-02-22 2018-04-10 SZ DJI Technology Co., Ltd. Aerial vehicle
WO2018058312A1 (zh) * 2016-09-27 2018-04-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CN106516089B (zh) * 2016-10-28 2019-05-21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无人机
US10340820B2 (en) * 2016-12-30 2019-07-02 Wing Aviation Llc Electrical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80186472A1 (en) * 2016-12-30 2018-07-05 Airmada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360-degree camera system
WO2019144317A1 (en) 2018-01-24 2019-08-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olar panel inspection by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9200615A1 (en) * 2018-04-20 2019-10-24 Nokia Shanghai Bell Co., Ltd.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facilitating tuning of an antenna
WO2019227033A1 (en) * 2018-05-24 2019-11-28 International Electronic Machines Corp. Sensitive area management
CN108776477A (zh) * 2018-06-04 2018-11-09 苏州世纪天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柱坐标的智能雪地修复系统
JP7298116B2 (ja) * 2018-08-03 2023-06-2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2530203A (zh) * 2021-02-08 2021-03-19 新石器慧义知行智驰(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车的远程场景的图像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4035714A1 (en) * 2022-08-09 2024-02-15 Pete Bitar Compact and lightweight drone delivery device called an arcspear electric jet drone system having an electric ducted air propulsion system and being relatively difficult to track in fligh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434B2 (en) 2007-06-09 2012-01-03 Cxnanophysics, Llc Templated growth of graphenic materials
IL188655A (en) * 2008-01-08 2011-09-27 Rafael Advanced Defense Sys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remote control vehicle past obstacles
FR2961601B1 (fr) 2010-06-22 2012-07-27 Parrot Procede d'evaluation de la vitesse horizontale d'un drone, notamment d'un drone apte au vol stationnaire autopilote
US8965598B2 (en) * 2010-09-30 2015-02-2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utomatic flight control for UAV based solid modeling
US9336568B2 (en) * 2011-06-17 2016-05-10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03188431A (zh) * 2011-12-27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控制无人飞行载具进行影像采集的系统及方法
CN202494448U (zh) * 2012-02-24 2012-10-17 黄克明 一种航拍数据同步获取装置
US9070289B2 (en) * 2013-05-10 2015-06-30 Palo Alto Research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racking and estimating the speed of vehicles from a mobile platform
CN103426282A (zh) * 2013-07-31 2013-12-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遥控方法及终端
WO2015082311A1 (en) * 2013-12-06 2015-06-11 Bae Systems Pl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92A1 (ko) * 2017-11-09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 장치를 조종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90093285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스칼라웍스 드론을 이용한 예술사진 촬영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드론
KR20190128425A (ko) * 2018-05-08 2019-11-18 선종현 원통좌표계 기반 무인이동체 조종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122755B1 (ko) * 2019-10-23 2020-06-15 주식회사 네스앤텍 화면 터치 방식을 이용하는 짐벌 제어 방법
KR102291331B1 (ko) 2020-09-17 2021-08-18 김대철 건설폐기물 및 쓰레기의 무단투기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저전력 저용량의 콤팩트형 무선감시장치
CN112265632A (zh) * 2020-09-23 2021-01-2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wlan布局系统
KR102347972B1 (ko) * 2021-08-18 2022-01-07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WO2023022317A1 (ko) * 2021-08-18 2023-02-23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파노라마 영상 제공시스템
US12273626B2 (en) 2021-08-18 2025-04-08 Igi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panoramic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40698A (zh) 2017-08-11
EP3188467A1 (en) 2017-07-05
US20170192422A1 (en) 2017-07-06
US10551833B2 (en) 2020-02-04
EP3188467B1 (en) 2020-08-05
CN107040698B (zh)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488A (ko) 무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72264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control method,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method, control terminal,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89837B1 (ko)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6697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US1063590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006030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image by using camera comprising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mirror
EP3786896A1 (en) Pos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716991B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80971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80042718A (ko) 영상을 촬영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7937A (ko) 이미지 합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2002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47891A (ko) 영상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462818B (zh) 电子设备及用于在该电子设备中显示360度图像的方法
US201801572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70019595A (ko)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96190A (ko) 무인 비행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97884A (ko)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108280A (ko) 포커스에 대한 그래픽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34428A (ko)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981973B (zh) 防止危险自拍的方法、装置、及储存介质
KR102739958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920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80046789A (ko) 가이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