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739A -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7739A KR20170047739A KR1020150148188A KR20150148188A KR20170047739A KR 20170047739 A KR20170047739 A KR 20170047739A KR 1020150148188 A KR1020150148188 A KR 1020150148188A KR 20150148188 A KR20150148188 A KR 20150148188A KR 20170047739 A KR20170047739 A KR 201700477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ed air
- case
- guide groove
- spray
- spray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3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gas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liquid upstream the mixing cha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8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gas and liquid jets intersecting in the mixing cha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2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liquids, e.g. containing solids, or liquids and elastic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1)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되, 입구(11) 측에는 원통형 관 형상의 원통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12) 측에는 원통부(13)와 연결된 채 내,외경이 출구(12) 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13)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부(15) 상부는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공급관과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0)와;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 맞닿은 채 상부 내측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5)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이퍼부(14)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퍼부(14)의 하측으로 액상혼합공간(23)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체결홀(22)에 중간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며, 외측 단부(31)는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공급되는 액상관이 결합되고, 내측 단부(3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되,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0) 출구(12) 내주면보다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중앙에 상부로부터 하부로부터 관통한 형상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양측에 측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내측으로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단턱지게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단부(31)부터 상기 보조가이드홈(34)까지 상기 보조가이드홈(34)보다 내경이 작은 액체공급홀(35)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레이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특허문헌 2와 같은 이젝터 방식을 취하면서도 단순히 액체가 이젝터 상의 홀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부의 다수의 홈 가공이 이루어진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출구 중심측으로 돌출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가일층 분무 효율이 높고 액체 낭비가 적은 분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1)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되, 입구(11) 측에는 원통형 관 형상의 원통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12) 측에는 원통부(13)와 연결된 채 내,외경이 출구(12) 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13)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부(15) 상부는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공급관과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0)와;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 맞닿은 채 상부 내측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5)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이퍼부(14)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퍼부(14)의 하측으로 액상혼합공간(23)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체결홀(22)에 중간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며, 외측 단부(31)는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공급되는 액상관이 결합되고, 내측 단부(3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되,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0) 출구(12) 내주면보다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중앙에 상부로부터 하부로부터 관통한 형상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양측에 측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내측으로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단턱지게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단부(31)부터 상기 보조가이드홈(34)까지 상기 보조가이드홈(34)보다 내경이 작은 액체공급홀(35)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레이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특허문헌 2와 같은 이젝터 방식을 취하면서도 단순히 액체가 이젝터 상의 홀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부의 다수의 홈 가공이 이루어진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출구 중심측으로 돌출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가일층 분무 효율이 높고 액체 낭비가 적은 분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하여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를 미립화시켜 분무할 수 있도록 한,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나 채소 등을 재배하기 위한 밭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경작지에는 물의 공급이나 액상 비료나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분무장치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분무장치의 일예로 "다양한 거리로의 물분사가 가능한 농업용 스프링 클러의 고효율 노즐유닛"(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8409호, 특허문헌 1)에는 볼트머리와 유사하게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물줄기를 유도하기 위한 홈이 음각으로 형성된 노즐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방식은 물 공급관에 펌프 등을 통해 고압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미세한 홈을 통해 물줄기가 대기중으로 분사되어 작물에 공급되는 방식이다.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은 고압으로 물을 송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비산 거리를 증가시키기에는 적합하다.
하지만 물 입자(물줄기) 크기가 크면 클수록 고압으로 배출되는 물 입자에 담긴 에너지가 커지게 되고, 큰 에너지의 물입자가 자칫 크기가 작거나 연약한 작물, 예를 들어 탈락되기 쉬운 잘 익은 블루베리 등에 공급될 경우 작물이 탈락되거나 손상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만한 기술로 "초미립자 분무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2853호, 특허문헌 2)에는 약액 분무를 위한 송풍관 배출구에 이젝터 입구를 결합시킴으로써 송풍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의 흐름으로 이젝터에서 발생하는 진공현상에 의해 약액이 이젝터로 흡입되면서 초미립자 형태가 형성되어 분무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압축공기의 이동에 따라 진공현상의 저압부를 형성시켜 이 저압부에 의해 약액탱크로부터 약액이 이젝터 내부로 주입되어 압축공기 분사시 약액에 기류현상이 발생하면서 초미립자화 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도 1은 특허문헌 2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특허문헌 2와 같은 구조는 특허문헌 1과 비교하여 약액을 초미립자화되어 공기중에 분산될 때 마치 연무와 같이 고르게 분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이젝터의 약액이 공급되는 관과 인접한 부분의 벽면을 타고 약액이 흘러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부분적으로 약액 일부는 바닥으로 뚝뚝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약액 일부가 목적지로 연무화되어 분산되어 분무되지 못하고 바닥에 떨어져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다른 기술로 "액체분무기와 그 노즐바디"(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309호, 특허문헌 3)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노즐 구조가 공개되어 있기도 하나, 특허문헌 3과 같이 복잡한 구조는 제조 단가가 높고, 다수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져 부식의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고장이 잦고, 고장시 쉽게 수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상부케이스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보다 압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케이스에는 분무대상이 되는 액상이 공급되는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공급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약액과 같은 액체가 미립화된 상태로 최대한 고르게 분산되어 분무될 수 있는 분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레이바의 내측 단부는 테이퍼부의 출구측으로 돌출되면서도 압축공기가이드홈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더불어 압축공기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액체공급홀보다 크기가 큰 보조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테이퍼부 중앙측 압축공기의 흐름, 테이퍼부를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 테이퍼부의 출구측으로 돌출된 스프레이바 상면에 부딪혀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과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액체공급홀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크기가 큰 보조가이드홈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와류를 일으키면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미립화 및 분산율을 가일층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출구측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상술한 복합적인 와류를 일으키면서 흡입되는 구조를 통해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스프레이바나 하부케이스 내주면을 타고 흘러 떨어져 낭비되는 현상도 방지하려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2와 같은 이젝터 방식을 취하면서도 단순히 액체가 이젝터 상의 홀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부의 다수의 홈 가공이 이루어진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출구 중심측으로 돌출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가일층 분무 효율이 높고 액체 낭비가 적은 분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특허문헌 3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노즐 장치에 비해 제조 원가를 낮추고,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스프레이바 중 일부는 측벽부가 수평으로 뉘여진 형상이나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테이퍼부 출구 측에서의 압축공기의 흐름의 변화가 더욱 커지도록 하여 액체의 흡입 와류가 더욱 복잡하게 됨으로써 보다 미세한 연무가 형성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스프레이바는 두 개의 케이스가 서로 나선 결합되어 테이퍼부 출구 측으로 돌출된 내측 단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테이퍼부 내주면에 나선형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흡입 와류를 더욱 복잡하게 하여 가일층 미세한 연무가 형성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1)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되, 입구(11) 측에는 원통형 관 형상의 원통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12) 측에는 원통부(13)와 연결된 채 내,외경이 출구(12) 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13)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부(15) 상부는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공급관과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0)와;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 맞닿은 채 상부 내측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5)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이퍼부(14)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퍼부(14)의 하측으로 액상혼합공간(23)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체결홀(22)에 중간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며, 외측 단부(31)는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공급되는 액상관이 결합되고, 내측 단부(3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되,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0) 출구(12) 내주면보다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중앙에 상부로부터 하부로부터 관통한 형상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양측에 측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내측으로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단턱지게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단부(31)부터 상기 보조가이드홈(34)까지 상기 보조가이드홈(34)보다 내경이 작은 액체공급홀(35)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레이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레이바(30)중 어느 하나는 측벽부(33a)가 경사지거나 뉘여진 형상으로 하부케이스(20)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프레이바(30)는, 일측케이스(36)와, 일측케이스(36)와 나사결합되는 타측케이스(37)로 이루어져 있어 테이퍼부(14) 출구(12) 중심을 향해 돌출된 내측 단부(3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테이퍼부(14) 내주면에는 나선형 돌기(1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상부케이스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보다 압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케이스에는 분무대상이 되는 액상이 공급되는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공급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약액과 같은 액체가 미립화된 상태로 최대한 고르게 분산되어 분무될 수 있는 분무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레이바의 내측 단부는 테이퍼부의 출구측으로 돌출되면서도 압축공기가이드홈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더불어 압축공기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액체공급홀보다 크기가 큰 보조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테이퍼부 중앙측 압축공기의 흐름, 테이퍼부를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 테이퍼부의 출구측으로 돌출된 스프레이바 상면에 부딪혀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과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액체공급홀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크기가 큰 보조가이드홈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와류를 일으키면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미립화 및 분산율을 가일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출구측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상술한 복합적인 와류를 일으키면서 흡입되는 구조를 통해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스프레이바나 하부케이스 내주면을 타고 흘러 떨어져 낭비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2와 같은 이젝터 방식을 취하면서도 단순히 액체가 이젝터 상의 홀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부의 다수의 홈 가공이 이루어진 스프레이바가 테이퍼부 출구 중심측으로 돌출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가일층 분무 효율이 높고 액체 낭비가 적은 분무장치가 제공된다.
더불어, 이러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특허문헌 3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노즐 장치에 비해 제조 원가를 낮추고,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스프레이바 중 일부는 측벽부가 수평으로 뉘여진 형상이나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테이퍼부 출구 측에서의 압축공기의 흐름의 변화가 더욱 커지도록 하여 액체의 흡입 와류가 더욱 복잡하게 됨으로써 보다 미세한 연무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프레이바는 두 개의 케이스가 서로 나선 결합되어 테이퍼부 출구 측으로 돌출된 내측 단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테이퍼부 내주면에 나선형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흡입 와류를 더욱 복잡하게 하여 가일층 미세한 연무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분무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2,3의 측단면 및 평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프레이바의 내측 단부에서의 액체와 압축공기의 흐름 예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2,3의 측단면 및 평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프레이바의 내측 단부에서의 액체와 압축공기의 흐름 예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케이스(10), 하부케이스(20) 및 스프레이바(30)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를 취한다.
상부케이스(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1)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구(11) 측에는 원통형 관 형상의 원통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12) 측에는 원통부(13)와 연결된 채 내, 외경이 출구(12) 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원통부(13)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부(15)는 하부케이스(20)에 상부케이스(10)가 안착된 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원통부(13)는 단턱부(15)를 기준으로 상측은 미도시된 에어공급관과 체결된다.
도면에는 원통부(13)의 입구(11) 측 외주면에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미도시된 에어공급관과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산(16)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턱부(15)를 기준으로 원통부(13)의 출구(12) 측 외주면에는 하부케이스(20)와의 결합을 위한 제2나사산(17)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공급관은 다양한 압축공기 발생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데, 가능한 링 블로워가 바람직하다.
링 블로워는 팬 블로워에 비해 풍량은 낮으나 풍압이 높은 조건에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의 분무장치의 경우 액체의 공급이 외부 동력이 아닌 진공 발생에 따른 흡입압력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풍압을 높여 액체의 흡입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테이퍼부(14)의 단부 벽면 부분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이루어져 끝단이 뾰족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출구(12)를 통과하면서 압축공기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때 압력 해제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분산이 공기 분산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더 나아가 스프레이바(30)가 최대한 상측의 출구(12)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케이스(20)는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 맞닿은 채 상부 내측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5)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내주면에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제2나사산(17)과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나사산(21) 하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이퍼부(14)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퍼부(14)의 하측으로 액상혼합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레이바(30)는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체결홀(22)에 중간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다.
스프레이바(30)의 체결 방식은 단순 타격식 가압 방식이나 미도시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간에 와셔나 너트 등이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스프레이바(30)의 외측 단부(31)는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공급되는 미도시된 액상관이 결합되고, 내측 단부(3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내측 단부(32)는 도 3의 확대된 부분 및 도 4의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0) 출구(12) 내주면보다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중앙에 상부로부터 하부로부터 관통한 형상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양측에 측벽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스프레이바(30)는 상기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내측으로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단턱지게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단부(31)부터 상기 보조가이드홈(34)까지 상기 보조가이드홈(34)보다 내경이 작은 액체공급홀(35)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레이바(30)중 어느 하나는 측벽부(33a)가 경사지거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뉘여진 형상으로 하부케이스(20)에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레이바(30)는 일측케이스(36)와, 일측케이스(36)와 나사결합되는 타측케이스(37)로 이루어져 있어 테이퍼부(14) 출구(12) 중심을 향해 돌출된 내측 단부(3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테이퍼부(14) 내주면에는 나선형 돌기(14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 입구(11)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원통부(13)를 통과하다가 테이퍼부(14)를 통과하면서 압력 또는 유속이 커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출구(14) 주변의 압축공기의 흐름을 보면 테이퍼부(14) 내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과, 중앙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갖게 된다.
이때, 출구(14)를 통과함과 더불어 갑자기 공간이 넓어지는 공간인 액상혼합공간(23)에서 상대적으로 상측 공간보다 넓은 공간에 도달하여 압력이 해제되면서 분산되려 하게 되는데,
복수의 스프레이바(30)는 출구(14)와 근접한 채 출구(14) 중심을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퍼부(14)를 타고 이동하면서 가압 또는 가속된 압축공기는 스프레이바(30) 내측 단부(32)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속 고압의 압축공기가 압축공기가이드홈(3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액체공급홀(35)에는 진공에 가까운 흡입압력이 작용하여 액체공급홀(35) 상의 액체가 압축공기가이드홈(33) 측으로 빨려나오게 된다.
그런데, 액체공급홀(55)의 선단측에는 액체공급홀(55)보다 면적이 크면서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보조가이드홈(34)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보조가이드홈(34)의 상부, 중간, 하부에 각기 다른 형태의 흡입 와류가 형성되게 된다.
이는 압축공기는 비교적 하부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흐르는 흐름을 가지기 때문에 그 배후 공간에 걸리는 마이너스 압력이 보조가이드홈(34)의 상부, 중간, 하부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데다, 보조가이드홈(34)은 도면과 같이 액체공급홀(55)보다 상하로 더 큰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액체공급홀(55)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액체는 보조가이드홈(34)의 상측 공간으로 향하는 흐름을 갖게 되고, 중간 부분에서 배출되는 액체는 도면과 같이 비스듬히 하향되게 향하는 흐름을 갖게 되며, 하측으로 배출되는 액체는 보조가이드홈(34) 상측에 비해 압축공기가 더 넓은 폭으로 분산되면서 와류가 형성되는 흐름을 가져 도면과 같이 보다 큰 와류의 흐름을 갖는 현상을 갖게 된다.
즉, 액체공급홀(55)에 흡입 압력이 발생하는 것은 특허문헌 2와 동일하나, 스프레이바(30)의 내측 단부(32)가 중앙측으로 출구(12)보다 더 돌출된 구조에 더불어 압축공기가이드홈(33) 및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로 인해 단순 흡입류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와류가 함께 형성되어 액체의 일방향 성을 최소화한 채 분산이 보다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가 출구(12)를 통과하면서 액상혼합공간(23)에서 분산되는 것과 맞물려 압축공기와 함께 최대한 입자가 작아진 상태로 고르게 분산되어 분무되게 된다.
즉, 상부케이스(10)를 통해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스프레이바(30)를 통과하면서 진공상태에 의한 흡입압력이 보다 와류를 형성하면서 보다 미세화 또는 고르게 분산되는 미스트(mist)화되어 외부로 초미립자 상태로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특허문헌 2와 같이 약액 통과부분이 본체와 한 몸체로 결합되어 있고, 약액 공급 부분의 구조가 일반 타공된 홀 형식에 그친 것과 비교할 때 훨씬 액상의 분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연결 및 분리, 스프레이바(30)의 체결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방식으로 설치,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방식이라 할 것이다.
더불어, 복수의 스프레이바(30)중 어느 하나는 측벽부(33a)가 경사지거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뉘여진 형상으로 하부케이스(20)에 체결되어 있는 경우 압축공기의 흐름이 각 스프레이바(30)의 설치 위치에서 평면상 대칭이 이루어지지 않고 불규칙화되어 액체의 분산 효과를 보다 높여주게 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수평으로 완전히 뉘여진 형상보다는 경사진 형상을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는 수평으로 뉘여진 형상의 경우 수평으로 뉘여진 형상 측에서 테이퍼부(14)를 타고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반대편 스프레이바(30)의 액체공급홀(55)을 향하는 방향이 되어 흡입 압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어긋난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연결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레이바(30)는 일측케이스(36)와, 일측케이스(36)와 나사결합되는 타측케이스(37)로 이루어져 있어 테이퍼부(14) 출구(12) 중심을 향해 돌출된 내측 단부(3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압축공기의 압력, 유속, 액체의 점성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돌출되는 길이 조절을 통해 흡입 압력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가능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바(30)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 내측 상단이 테이퍼부(14)의 경사진 내주면의 연장선상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테이퍼부(14)를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원할하게 압축공기가이드홈(33)에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테이퍼부(14) 내주면에는 나선형 돌기(14a)가 형성되는 경우 일부 경사지게 배치된 스프레이바(30)와 나선형 돌기(14a)를 타고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동일선상이 되도록 하여 도 4, 5의 확대된 부분에 보이는 복합적인 흡입 와류가 경사지게 배치된 스프레이바(30)에도 원할하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3차원 입체화된 흡입 와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연결되는 링블로워 유량에 따라 단독 혹은 여러 개로 사용이 가능하며, 과수, 채소, 하우스 경작지, 양돈, 낙동, 양계, 공장, 빌딩, 주택 등의 각종 분무 소독, 방역, 물 공급, 약물 공급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스프링클러 방식 또는 분무기에 연결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상부케이스
11 : 입구
12 : 출구 13 : 원통부
14 : 테이퍼부 14a : 돌기
15 : 단턱부 16 : 제1나사산
17 : 제2나사산 20 : 하부케이스
21 : 제3나사산 22 : 바체결홀
23 : 액상혼합공간 30 : 스프레이바
31 : 외측 단부 32 : 내측 단부
33 : 압축공기가이드홈 33a : 측벽부
34 : 보조가이드홈 35 : 액체공급홀
36 : 일측케이스 37 : 타측케이스
12 : 출구 13 : 원통부
14 : 테이퍼부 14a : 돌기
15 : 단턱부 16 : 제1나사산
17 : 제2나사산 20 : 하부케이스
21 : 제3나사산 22 : 바체결홀
23 : 액상혼합공간 30 : 스프레이바
31 : 외측 단부 32 : 내측 단부
33 : 압축공기가이드홈 33a : 측벽부
34 : 보조가이드홈 35 : 액체공급홀
36 : 일측케이스 37 : 타측케이스
Claims (4)
-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1)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되, 입구(11) 측에는 원통형 관 형상의 원통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구(12) 측에는 원통부(13)와 연결된 채 내,외경이 출구(12) 측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13)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부(15) 상부는 압축공기 공급용 에어공급관과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0)와;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4)에 맞닿은 채 상부 내측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단턱부(15)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테이퍼부(14) 단부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퍼부(14)의 하측으로 액상혼합공간(23)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체결홀(22)에 중간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며, 외측 단부(31)는 분무 대상이 되는 액체가 공급되는 액상관이 결합되고, 내측 단부(3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되,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0) 출구(12) 내주면보다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측 단부(32)는 평면상에서 중앙에 상부로부터 하부로부터 관통한 형상의 압축공기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양측에 측벽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가이드홈(33)의 내측으로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상으로 단턱지게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단부(31)부터 상기 보조가이드홈(34)까지 상기 보조가이드홈(34)보다 내경이 작은 액체공급홀(35)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레이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레이바(30)중 어느 하나는 측벽부(33a)가 경사지거나 뉘여진 형상으로 하부케이스(20)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바(30)는,
일측케이스(36)와, 일측케이스(36)와 나사결합되는 타측케이스(37)로 이루어져 있어 테이퍼부(14) 출구(12) 중심을 향해 돌출된 내측 단부(3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14) 내주면에는 나선형 돌기(1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8188A KR20170047739A (ko) | 2015-10-23 | 2015-10-23 |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8188A KR20170047739A (ko) | 2015-10-23 | 2015-10-23 |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7739A true KR20170047739A (ko) | 2017-05-08 |
Family
ID=6016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8188A KR20170047739A (ko) | 2015-10-23 | 2015-10-23 |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773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80167A (zh) * | 2018-01-30 | 2018-05-29 | 广州大学 | 一种凸起扰流雾化装置 |
CN115151374A (zh) * | 2020-02-20 | 2022-10-04 | 刘俊日 | 诱导气穴现象及康达效应的流体供给装置 |
-
2015
- 2015-10-23 KR KR1020150148188A patent/KR2017004773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80167A (zh) * | 2018-01-30 | 2018-05-29 | 广州大学 | 一种凸起扰流雾化装置 |
CN115151374A (zh) * | 2020-02-20 | 2022-10-04 | 刘俊日 | 诱导气穴现象及康达效应的流体供给装置 |
CN115151374B (zh) * | 2020-02-20 | 2024-01-30 | 刘俊日 | 诱导气穴现象及康达效应的流体供给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4488B1 (ko) | 휴대식 초미세 분무기 | |
US20240342735A1 (en) | Apparatus for nanoparticle generation | |
JP6908215B2 (ja) | 加圧空気アシスト式フルコーンスプレーノズル組立体 | |
KR101079206B1 (ko) |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 |
WO2010140702A1 (ja) | ノズル | |
JP2014207893A (ja) | 噴霧器 | |
JP2020163255A (ja) | 噴霧装置 | |
RU2616891C1 (ru) | Форсунка | |
KR20170047739A (ko) | 스프레이바를 이용한 분무장치 | |
US7472843B2 (en) | Air induction liquid spray nozzle assembly | |
JP2011098284A (ja) | 気液混合ノズル | |
JP6404204B2 (ja) | 噴霧器 | |
RU2551063C1 (ru) |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 |
JP2008161834A (ja) | ノズルおよび気液噴霧装置 | |
RU2526783C1 (ru) |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кочетова | |
JP2012066168A (ja) | 液体霧化装置および液体霧化方法 | |
KR200495277Y1 (ko) | 동적 노즐 | |
RU2665539C1 (ru) | Форсунка вихревая | |
JP2012030179A (ja) | 微細化装置 | |
CN211407151U (zh) | 一种小型农业机械灌溉机构 | |
RU2593109C1 (ru) |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 |
RU2764303C1 (ru) |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 |
RU2619561C1 (ru) |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кочетова | |
WO2023228634A1 (ja) | 噴霧装置 | |
JP2024118636A (ja) | ノズ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