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719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8719A KR20170028719A KR1020150125699A KR20150125699A KR20170028719A KR 20170028719 A KR20170028719 A KR 20170028719A KR 1020150125699 A KR1020150125699 A KR 1020150125699A KR 20150125699 A KR20150125699 A KR 20150125699A KR 20170028719 A KR20170028719 A KR 201700287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slide
- mobile terminal
- groove
- slide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바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커버 내측 측면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하는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후크 구조보다 더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조립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어 케이스와 바디의 체결력을 높이는 결합구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사이즈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체결구조에 제한이 있어 조립/분해가 용이하며 사용중에 분리되지 않는 체결구조의 구현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어 케이스와 바디의 체결력을 높이는 결합구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커버 내측 측면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하는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제3 측면과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홀은 상기 제2 케이스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제4 측면으로 꺾어진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을 커버하는 제3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2 커버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에 체결 될 수 있다.
상기 제3 케이스는 폴리머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에 형성된 나선홈; 상기 슬라이드 바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나선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를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를 이용하여 인입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는 POM(Poly Oxy Methyle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는 일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외측에 위치하며,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제1 측면에 형성된 후크홈;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제1 측면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과 체결되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메탈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바디의 제1 측면에 형성된 후크홈; 상기 제1 케이스의 제1 측면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과 체결되는 후크;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커버 내측 측면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하는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후크구조 보다 더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조립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2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c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3 케이스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2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c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3 케이스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이종의 재질로 구분된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외관 디자인을 위해 금속 재질을 이용하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나, 안테나 성능을 위해 부분적으로 비전도성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부품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제나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이중 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만, 이중사출 방식은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장점은 있으나, 이종 재질 사이의 경계부분이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케이스(101, 102, 103)에 적용이 적절치 않은 문제가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디스플레이부, 인쇄회로기판(185), 배터리, 카메라, 음향출력부, 인터페이스 등 각종 부품을 실장(각종 부품이 실장된 프론트 케이스(101)를 이하 '바디(200)'라고 한다.)하고 그 후에 배면의 리어 케이스(102)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를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일체형인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리어 케이스(102)가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노출되는 체결구조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케이스(102)와 바디(200)가 결합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 후크와 스크류가 있다. 후크는 리어 케이스(10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바디(200)에 형성된 후크홈(1017)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리어 케이스(102)의 둘레를 따라 배치할 수 있다.
후크를 이용한 체결방식은 리어 케이스(102)에 힘을 가해 리어 케이스(102)가 벌어지면서 상기 후크 홈으로 후크가 인입되는 원리이다. 이러한 방식은 리어 케이스(102)의 탄성에 의지하기 때문에 후크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면 체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일반적으로 후크의 돌출부 크기는 0.4mm전후에 불과하다. 따라서 후크로 바디(200)와 리어 케이스(102)를 체결하는 방법은 체결력이 약한 문제가 있다.
체결력 강화를 위해 스크류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스크류는 머리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개수를 최소로 이용하고 이동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과의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 다만, 스크류의 개수를 줄이면 체결부(1046)위에서 이격된 위치는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2가지 방법은 장단점이 있는 바, 본 발명은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바디(200)와 리어 케이스(102)의 체결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체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리어 케이스(102)는 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200)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바디(200)에 결합하는 제1 케이스(1021), 상기 바디(200)의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제3 측면과, 제1 측면 일부 및 제2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1022); 및 상기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을 커버하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이동 단말기의 좌우 측면이고 제3 측면은 상측 측면이며, 제4 측면은 하측 측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기 4개의 측면의 상하좌우는 바뀔 수 있다. 제1 케이스(1021)는 메탈 소재를 이용하고 제2 케이스(1022)와 제3 케이스는 폴리머 소재를 이용하여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리어 케이스(10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케이스(1022)를 이동 단말기의 상측방향에서 결합하고 제1 케이스(1021)를 바디(200)의 배면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다. 그 후 도 3과 같이 제1 케이스(1021)의 측면 부분과 바디(200)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로 슬라이드 바(104)를 삽입한다. 슬라이드 바(104)는 도 3과 같이 제1 케이스(1021)의 양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일측에만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c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슬라이드 바(104)가 제1 케이스(1021)와 바디(200)의 제1 측면(또는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케이스(1022)의 측면 내측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1015)과 상기 제1 케이스(1021)의 측면 내측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홈(1025)이 형성하는 슬라이드 홀(1035)은 상기 슬라이드 바(104)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 바(104)는 체결력을 위해 원형보다는 단면이 각이 진 형상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이거나 도 7과 같이 비정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슬라이드 홀(1035)로 밀어 넣어야 하므로 단면의 형상은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일반적인 후크에 비해,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바(104)는 훨씬 크게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후크보다 더 강한 체결력으로 상기 제1 케이스(1021)와 바디(200)를 체결한다. 제1 케이스(1021)를 바디(200)의 배면에서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104)는 상기 제1 케이스(1021)의 결합방향과 직각인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즉, 체결 방향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손쉽게 체결하면서 쉽게 분해되지는 않는다.
제1 케이스(1021)는 바디(200)의 배면에서 결합시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도 4와 같이 제1 케이스(1021)의 내측면은 바디(200)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이 평면을 이룬다. 특히, 도 4와 같이 내측면은 제1 케이스(1021)가 결합하는 방향(배면->전면)과 나란하거나, 전면 방향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역경사를 갖는 경우 결합시 힘을 가해 결합하거나 결합이 불가능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2 케이스(1022)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드 바(104)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슬라이드 바(104)는 제1 케이스(1021)에서 더 연장되어 제2 케이스(1022) 부분에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또는 2개의 이종 재료로 이루어진 제1 케이스(1021)와 제2 케이스(1022)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제1 케이스(1021)에서 제2 케이스(1022)까지 연장된 슬라이드 바(104)는 제1 케이스(1021)와 제2 케이스(1022)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하나의 부재처럼 바디(20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3 케이스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슬라이드 바(104)는 제1 케이스(1021)와 중첩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에 걸림홈(10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104)를 상기 슬라이드 홀(1035)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걸림홈(1049)에 손톱을 걸어 잡아당길 수 있다.
슬라이드 바(104)는 슬라이드 홀(1035)의 길이보다 더 길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측면까지 연장된 체결부(104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에 슬라이드 바(104)의 체결부(1046)를 스크류(1047)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슬라이드 바(104)는 슬라이드 홀(1035)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제1 케이스(1021)와 제2 케이스(1022)를 슬라이드 바(104)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에, 제4 측면 부분을 커버하는 제3 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다. 제3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후크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보다 강한 체결력을 위해 상기 스크류(1047)가 제3 케이스와 체결부(1046)를 관통하여 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류(1047)가 일측면에 노출되기는 하지만, 노출되는 부분은 인터페이스부(160), 이어잭, 스피커 등이 위치하는 하측 또는 상측의 측면 부분이기 때문에 바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046)는 이동 단말기의 한 쪽에서만 스크류(1047)로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1047)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케이스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케이스(1023)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안테나 패턴이 내측 표면에 결합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과 메인기판(18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3 케이스(1023)를 바디(200)에 결합하면, 메인기판(185)에 실장된 단자와 제3 케이스(1023)의 안테나 패턴이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슬라이드 바(104)를 제1 케이스(1021)의 제2 측면에만 구비하고, 제1 측면에는 후크(102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후크(1027)가 바디(200)의 제1 측면에 형성된 후크홈(1017)에 걸리도록 결합한 후에 배면 방향에서 바디(200)의 제2 측면과 제1 케이스(1021)의 제2 측면이 맞닿도록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104)의 개수를 줄여 제조 비용 및 공정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21)의 제1 측면에 형성된 후크(1027)의 크기도 종래에 배면방향에서 힘을 가해 리어 케이스(102)의 형태 변형을 유도하여 결합하는 방식에 비해 더 큰 사이즈의 후크(1027)를 확보할 수 있어, 후크만 사용하는 구조보다 더 강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104)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는 보다 손쉽게 슬라이드 바(104)를 슬라이드 홀(1035)에 체결하는 방법 제공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104)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슬라이드 홀(1035)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홈에 상응하는 나사산(1041)이 상기 슬라이드 바(104)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슬라이드 바(104) 자체를 스크류 형태로 형성하여 스크류(1047)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슬라이드 바(104) 자체가 미끌어져 빠지지 않도록 더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1041)은 슬라이드 바(104)의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바(104)의 삽입 방향의 단부 부분에만 형성된 경우 회전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손쉽게 결합 가능하다.
도 10은 상기 슬라이드 바(104)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10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104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0)의 회전력를 이용하여 인입출 될 수 있다. 랙피니언 기어(10)의 원리를 이용하여 피니언 기어(10)가 구비된 지그에 바디(200)와 제1 케이스(1021)를 결합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슬라이드 바(104)의 톱니(1043)와 피니언 기어(10)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안착한다. 피니언 기어(10)를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바(104)는 랙기어처럼 직선운동을 하며 슬라이드 홀(1035)에 삽입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후크구조 보다 더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조립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15: 제1 슬라이드 홈
1017: 후크홈 1025: 제2 슬라이드 홈
1035: 슬라이드 홀 10: 피니언 기어
200: 바디 102: 리어 케이스
1021: 제1 케이스 1022: 제2 케이스
1023: 제3 케이스 1027: 후크
104: 슬라이드 바 1041: 나사산
1043: 톱니 1045: 체결부
1047: 스크류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15: 제1 슬라이드 홈
1017: 후크홈 1025: 제2 슬라이드 홈
1035: 슬라이드 홀 10: 피니언 기어
200: 바디 102: 리어 케이스
1021: 제1 케이스 1022: 제2 케이스
1023: 제3 케이스 1027: 후크
104: 슬라이드 바 1041: 나사산
1043: 톱니 1045: 체결부
1047: 스크류
Claims (12)
- 바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커버 내측 측면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하는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제3 측면과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홀은 상기 제2 케이스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한 제4 측면으로 꺾어진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을 커버하는 제3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제2 커버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스는 폴리머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에 형성된 나선홈;
상기 슬라이드 바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나선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를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니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를 이용하여 인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는
POM(Poly Oxy Methylen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는
일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외측에 위치하며,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제1 측면에 형성된 후크홈;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제1 측면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과 체결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메탈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바디;
상기 바디의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바디의 제1 측면에 형성된 후크홈;
상기 제1 케이스의 제1 측면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과 체결되는 후크;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마주보며 상기 제1 커버 내측 측면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하는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5699A KR20170028719A (ko) | 2015-09-04 | 2015-09-04 | 이동 단말기 |
US15/072,081 US9813098B2 (en) | 2015-09-04 | 2016-03-16 | Mobile terminal |
EP16161033.2A EP3139241B1 (en) | 2015-09-04 | 2016-03-18 | Mobile terminal |
CN201610409496.7A CN106506732B (zh) | 2015-09-04 | 2016-06-13 | 移动终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5699A KR20170028719A (ko) | 2015-09-04 | 2015-09-04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719A true KR20170028719A (ko) | 2017-03-14 |
Family
ID=5558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5699A KR20170028719A (ko) | 2015-09-04 | 2015-09-04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13098B2 (ko) |
EP (1) | EP3139241B1 (ko) |
KR (1) | KR20170028719A (ko) |
CN (1) | CN10650673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6259983U (zh) * | 2016-12-15 | 2017-06-1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终端外壳及移动终端 |
US10222837B1 (en) * | 2018-04-24 | 2019-03-0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isplay module having a removably fixed retention member |
US10564672B1 (en) * | 2018-08-10 | 2020-02-18 | Google Llc | Electronic sub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9525687A (zh) * | 2018-11-01 | 2019-03-26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61257A1 (en) * | 2003-08-25 | 2006-05-31 | M2SYS Co., Ltd. |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US7529571B2 (en) * | 2003-09-03 | 2009-05-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
JP4530218B2 (ja) * | 2005-03-07 | 2010-08-25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 |
KR101168936B1 (ko) * | 2006-05-16 | 2012-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US7964808B2 (en) * | 2006-10-23 | 2011-06-21 | Lg Electronics Inc. | Button apparatus and mobile appliance having the same |
KR101469969B1 (ko) * | 2007-07-04 | 2014-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
CN101742848B (zh) * | 2008-11-26 | 2013-05-29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 |
US9723730B2 (en) | 2009-09-30 | 2017-08-01 | Apple Inc. | Beam bar snap in an electronic device |
CN201590010U (zh) * | 2009-11-30 | 2010-09-22 |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 翻盖装置 |
JP5963272B2 (ja) | 2011-02-23 | 2016-08-03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情報端末 |
EP2498479B1 (en) | 2011-03-10 | 2013-11-13 | King Slide Works Co., Ltd. | Locking device for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CN202190479U (zh) * | 2011-08-19 | 2012-04-11 |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 滑盖式移动终端的滑轨与上滑壳体的组装结构 |
US9871898B2 (en) | 2013-05-08 | 2018-01-16 | Apple Inc. | Cerami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
-
2015
- 2015-09-04 KR KR1020150125699A patent/KR20170028719A/ko unknown
-
2016
- 2016-03-16 US US15/072,081 patent/US981309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3-18 EP EP16161033.2A patent/EP313924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6-06-13 CN CN201610409496.7A patent/CN10650673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39241B1 (en) | 2018-10-10 |
CN106506732A (zh) | 2017-03-15 |
CN106506732B (zh) | 2019-08-13 |
US9813098B2 (en) | 2017-11-07 |
EP3139241A1 (en) | 2017-03-08 |
US20170070254A1 (en) | 2017-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995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06242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7500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51677B1 (ko) |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 |
KR20170006075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28719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166834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1708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 |
KR2017008444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60054777A (ko)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
KR20190037967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3299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17204A (ko)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60028126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44092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87178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7843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60150543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7801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179824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30821A (ko) | 이동단말기 | |
KR20170022143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07974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48076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06957A (ko) | 이동 단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