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274A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6274A KR20170026274A KR1020160109793A KR20160109793A KR20170026274A KR 20170026274 A KR20170026274 A KR 20170026274A KR 1020160109793 A KR1020160109793 A KR 1020160109793A KR 20160109793 A KR20160109793 A KR 20160109793A KR 20170026274 A KR20170026274 A KR 20170026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nput
- text
- pin position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930 Pseudomyxoma Peritone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06F17/24—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핀위치 설정부,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 및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이미지 가공부를 포함하여, 이미지를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콘텐츠 중 이미지 콘텐츠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휴대폰, PMP, PDA 등의 이동 단말 및 데스크탑 등의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말(termial)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단말은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된 또는 자신에게 기 저장된 콘텐츠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재생하거나, 실행시키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5153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은 단순히 제공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하기만 할 뿐, 이것을 수정 및 변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 저장되거나 사용자 생성한 콘텐츠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어렵고 직관적이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특히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를 가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고, 직관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핀위치 설정부,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로 가공하는 이미지 가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가 콘텐츠를 편집 하는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콘텐츠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이며,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된 이미지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콘텐츠 편집 장치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 레이어를 추가하여 표시시키고,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가공하여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이 구현된 것으로,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은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20)와 일군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구현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관련하여 '콘텐츠'는 디지털방식으로 제작되어 유통/편집되는 각종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정적 이미지 및 동적 이미지 포함)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적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형태의 변화되지 않는 고정된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고, 동적 이미지는 이미지의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거나, 이미지 내 객체 중 적어도 일부가 변화하는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채팅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SNS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단말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비접촉식 제어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유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터치 센서 및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가 및 터치 센서 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 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 지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모션, 즉 동작에 따라 탭(tap), 드래그(drag), 플리킹(flicking), 슬라이드(slide),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아웃(pinch out), 및 핀치 인(pinch 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들은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설명된 터치 입력들 이외의 다양한 다른 터치 입력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서버(20)는 편집된 콘텐츠를 타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다른 서버 각각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서버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 서버이거나,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 등 다양한 웹 콘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과 함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현하여 콘텐츠의 편집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서버(20)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로드밸런싱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일군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에 대해서 셜명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10)을 콘텐츠 편집 장치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콘텐츠 편집 장치(10)은 콘텐츠의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이미지와 함께 텍스트를 편집할 수도 있다.
즉,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미지와 별도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의 합성 객체와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특정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를 편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이미지란 고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되도록 핀에 의해 애니매이팅된 이미지일 수 있다. 즉, 동작 이미지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의해 가공된 이미지로서, 위에서 설명된 콘텐츠의 동적 이미지와 구별된 의미를 갖는 이미지이다.
한편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특정 위치 선택을 위한 입력, 텍스트 편집을 위한 입력, 이미지에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거나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를 가공하거나, 가공된 이미지를 텍스트 또는 별도의 이미지와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된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서버 또는 별도의 단말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 생성부(210), 핀위치 설정부(220),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230), 이미지 가공부(240), 합성부(250), 텍스트 입력부(260) 및 텍스트 편집부(27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생성부(2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편집(자르기(누끼따기), 붙이기), 수정, 변형, 결합, 합성 등)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로드시켜 가공을 수행할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생성부(210)는 두 개 이상의 이미지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할 수도 있 다. 또한, 이미지 생성부(21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생성부(2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직접 그려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공을 수행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은 이미지의 이동을 위한 요소이고, 포인트, 도형,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포인트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는 특정 지점이고, 도형은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원, 마름모, 사다리꼴, 별 등의 형상을 갖는 모양이고, 영역은 소정의 크기나 형태를 갖는 경계 내의 부분이다. 이러한, 핀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되거나 선택될 수 있고, 내부에 미리 결정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위치 설정부(220)는 이미지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핀위치 설정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핀위치를 설정하거나, 핀위치 설정부(220) 내부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핀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핀위치 설정부(220)는 내부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핀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핀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핀은 사용자에 의해 식별 및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다양한 형태(예를 들면, 포인터, 화살표, 십자가, 핸들 등)로 표시될 수 있다. 핀위치 설정부(220)는 생성된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핀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핀위치 설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핀위치 설정부(220)는 표시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행된 부분을 핀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 핀위치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핀위치는 핀위치 설정부(220)에 의해 동시에 설정되거나,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생성부(210)는 이미지가 생성되면 레이어를 추가로 표시하고, 레이어상에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핀위치 설정부(220)는 레이어상에 표시된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가 객체와 배경을 포함하는 경우, 배경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핀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230)는 핀위치와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한다. 핀위치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이미지는 핀위치와 대응한다. 한편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특정된 이미지의 일부 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230)는 특정 방향 또는 특정한 형태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수행된 탭, 플리킹, 슬라이드, 프레스, 멀티 터치, 핀치 아웃, 핀치 인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에 기초한 입력을 의미하며, 이동 입력 감지부(230)는 플리킹 입력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플릭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슬라이드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에 기초한 입력을 의미하며,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230)는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슬라이드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 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한편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230)는 레이어상에 수행된 이동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가공부(240)는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230)를 통해 입력된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한다. 이미지 가공부(240)는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가공부(240)는 이동 입력의 수행 방향에 따라 이미지의 일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가공부(240)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이미지의 일부가 소정의 시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핀위치가 설정된 경우, 이미지 가공부(240)는 생성된 이미지를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가공부(240)는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입력된 각각의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가공부(240)는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이동에 의한 정적 이미지, 즉 이미지의 일부가 이동 입력 중 한 시점에서 고정된 형태의 동작 이미지로 가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 가공부(240)에서 가공된 동작 이미지는 핀위치의 이동에 따른 정적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부(25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이미지를 별도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합성한다. 합성부(250)는 동작 이미지를 별도의 동작 이미지와 합성할 수도 있으며, 편집된 텍스트와 합성할 수도 있다.
합성부(250)는 동작 이미지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합성할 수 있다. 합성부(250)는 동작 이미지에 다양한 배경을 합성하거나, 동작 이미지와 사운드(음악, 음성, 효과음 등)을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부(250)는 동작 이미지에 다양한 효과(동작 이미지의 회전 등)를 갖도록 다양한 효과들과 합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부(26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입력한다. 텍스트 입력부(260)는 마우스, 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턴츠에는 텍스트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편집부(270)는 텍스트 입력부(260)에 의해 추가된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한다. 또한 텍스트 편집부(270)는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글자체, 글자크기, 글자색 입체감 또는 움직임 등)을 변경할 수도 있다. 텍스트 편집부(270)는 추가된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 제공된 텍스트의 스타일 으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텍스트 편집부(270)는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 제공된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가 콘텐츠와 함께 제공한 것일 수도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 이외의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일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특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이미지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 각각에서의 각 이미지는 콘텐츠 편집 장치(10)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를 통해 나타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가 채팅을 위한 콘텐츠로로 설명되지만, 얼마든지 다른 종류의 콘텐츠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편집할 이미지를 생성한다(S301).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로드시켜 가공을 수행할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생성된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S30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없이 콘텐츠 편집 장치(10) 내부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핀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핀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핀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생성된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핀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핀위치 설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콘텐츠 편지 장치(10)는 표시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행된 부분을 핀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 이동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305).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핀위치와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한다. 핀위치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이미지는 핀위치와 대응한다. 한편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특정 방향 또는 특정한 형태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수행된 탭, 드래그, 플리킹, 슬라이드, 프레스, 멀티 터치, 핀치 아웃, 및 핀치 인 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동을 위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동작 형태 동작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생성된 이미지의 일부에 핀위치(410)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핀위치(410)가 설정되면,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는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입력을 발생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감지된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S307).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입력된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한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동 입력의 수행 방향에 따라 이미지의 일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이미지의 일부가 소정의 시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생성된 이미지를 가공하여 애니메이팅된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좌우 방향의 이동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동작 입력의 범위가 클수록, 예를 들어 슬라이드 입력의 경우 길게 슬라이드 입력을 수행할수록 이미지의 동작 범위는 커질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동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맞춰 핀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이미지를 변경시켜, 자연스럽게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동작하는 것처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생성된 이미지를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입력된 각각의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이미지에 핀위치(401)가 설정되고, 이동 입력이 설정되어,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501)가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객체의 팔 부분에 핀위치가 설정되고 이동 입력이 설정됨에 따라 도 4의 이미지는 점차적으로 팔 부분이 아래로 이동된 도 5의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시 도4의 이미지로 점차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 합성에 대한 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9).
이미지 합성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를 합성 객체와 합성할 수 있다(S311).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이미지를 별도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합성한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동작 이미지를 별도의 동작 이미지와 합성할 수도 있으며, 편집된 텍스트와 합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동작 이미지와 합성되는 합성 객체(이미지 또는 텍스트)는 별도의 입력 장치에 기초하여 입력된 것일 수 도 있다. 텍스트의 경우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추가된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 제공된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기 제공된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가 콘텐츠와 함께 제공한 것일 수도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 이외의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것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일 수도 있다.
S309 및 S311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특정 이미지를 애니메이팅하여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고, 도6의 (b)에서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가 입력되면, 도 6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이미지와 함께 입력된 텍스트가 합성되어 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합성된 이미지는 도 6의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기 제공된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입력된 텍스트를 기 제공된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편집된 텍스트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이미지와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소정의 이미지와 합성시키고, 합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가 입력되고, 도 7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선택되면서 핀위치가 입력되고,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 입력을 사용자가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7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애니메이팅된 동작 이미지와 함께 입력된 텍스트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위치 설정 및 이동 입력은 레이어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편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편집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텐츠 편집 시스템
10: 콘텐츠 편집 장치 20: 서버
210: 이미지 생성부 220: 핀위치 설정부
230: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 240: 이미지 가공부
250: 합성부 260: 텍스트 입력부
270: 텍스트 편집부
10: 콘텐츠 편집 장치 20: 서버
210: 이미지 생성부 220: 핀위치 설정부
230: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 240: 이미지 가공부
250: 합성부 260: 텍스트 입력부
270: 텍스트 편집부
Claims (19)
-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
상기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핀위치 설정부;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이미지 가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위치 설정부가
복수의 핀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가공부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가공부는,
상기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입력된 각각의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가공부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이동 입력의 수행 방향에 따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이미지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합성하는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장치는,
텍스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입력부; 및
기 제공된 제공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입력된 텍스트를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키는, 텍스트 편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텍스트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텍스트를 상기 동작 이미지와 합성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
이미지가 생성되면, 화면에 레이어를 추가로 표시하고, 표시된 레이어상에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이미지 이동 입력 감지부는,
상기 레이어에 수행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이동을 위한 핀은 포인트, 도형, 영역을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정된 크기와 형태로 생성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위치 설정부는 상기 핀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자동으로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 콘텐츠 편집 장치가 콘텐츠를 편집 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에 핀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동에 대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핀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핀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입력된 각각의 이동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이동 입력의 수행 방향에 따라 상기 핀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 이미지로 가공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이미지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텍스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기 제공된 제공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입력된 텍스트를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를 통해 편집된 텍스트를 상기 동작 이미지와 합성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미지가 생성되면, 화면에 레이어를 추가로 표시하고, 표시된 레이어상에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어에 수행된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 제1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콘텐츠 편집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6/009586 WO2017039260A1 (ko) | 2015-08-28 | 2016-08-29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21667 | 2015-08-28 | ||
KR1020150121667 | 2015-08-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274A true KR20170026274A (ko) | 2017-03-08 |
Family
ID=584040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9793A KR20170026274A (ko) | 2015-08-28 | 2016-08-29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KR1020160109791A KR20170026272A (ko) | 2015-08-28 | 2016-08-29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KR1020160109792A KR101852901B1 (ko) | 2015-08-28 | 2016-08-29 |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9791A KR20170026272A (ko) | 2015-08-28 | 2016-08-29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KR1020160109792A KR101852901B1 (ko) | 2015-08-28 | 2016-08-29 |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20170026274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1295B1 (ko) | 2018-04-13 | 2019-09-16 | 김치곤 |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
KR20200025239A (ko) | 2018-08-29 | 2020-03-10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pet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
KR102080274B1 (ko) | 2018-08-27 | 2020-04-23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
KR102102303B1 (ko) | 2018-11-16 | 2020-05-29 |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US10970900B2 (en) | 2018-03-12 | 2021-04-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255395B1 (ko) | 2020-11-24 | 2021-05-24 |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 고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시트 |
KR102264102B1 (ko) | 2020-11-27 | 2021-06-14 |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 고내열성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6794B1 (ko) * | 2019-05-07 | 2020-12-04 | 임주은 | 커스텀 이모티콘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622552B1 (ko) * | 2019-05-29 | 2024-01-08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은닉 정보 임베딩 방법 및 장치 |
KR102112584B1 (ko) * | 2019-09-09 | 2020-05-19 | 김영재 |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
KR102320485B1 (ko) * | 2019-12-20 | 2021-11-02 | 주식회사 카카오 | 동적 이모지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단말 |
KR102482689B1 (ko) * | 2020-09-17 | 2022-12-29 | 주식회사 비밀리 |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05059B2 (ja) * | 1999-12-16 | 2005-10-12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スタイル処理方法 |
-
2016
- 2016-08-29 KR KR1020160109793A patent/KR201700262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8-29 KR KR1020160109791A patent/KR2017002627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8-29 KR KR1020160109792A patent/KR10185290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70900B2 (en) | 2018-03-12 | 2021-04-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021295B1 (ko) | 2018-04-13 | 2019-09-16 | 김치곤 |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
KR102080274B1 (ko) | 2018-08-27 | 2020-04-23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
KR20200025239A (ko) | 2018-08-29 | 2020-03-10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pet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
KR102102303B1 (ko) | 2018-11-16 | 2020-05-29 |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255395B1 (ko) | 2020-11-24 | 2021-05-24 |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 고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시트 |
KR102264102B1 (ko) | 2020-11-27 | 2021-06-14 |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 고내열성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6273A (ko) | 2017-03-08 |
KR20170026272A (ko) | 2017-03-08 |
KR101852901B1 (ko) | 2018-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26274A (ko)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
US11169705B2 (en) |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 |
US20240094872A1 (en) | Navigating through documents in a document viewing application | |
US10976773B2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US10915225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AU2018101226A4 (en) |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 |
KR102155688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US10310730B2 (en) |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8560960B2 (en) | Browsing and interacting with open windows | |
JP5171968B2 (ja) | ウェブベースコンテンツのレンダリングの加速 | |
US11604580B2 (en) |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 |
EP2811731B1 (en) |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 |
CN111970571B (zh) | 视频制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20170308271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 |
CN112230914B (zh) | 小程序的制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US20150180998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0286971B (zh) | 处理方法及系统、介质和计算设备 | |
KR102037179B1 (ko) | 이미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 |
CN115421631A (zh) | 界面显示方法和装置 | |
KR20140127131A (ko) |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 |
CN114546228A (zh) | 表情图像发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CN111399722A (zh) | 邮件签名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WO2017039260A1 (ko)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
CN118192847A (zh) | 壁纸设置方法及其装置 | |
CN116166242A (zh) | 一种基于画布的度量卡片实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6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16 Effective date: 2019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