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09A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2109A KR20170002109A KR1020150092104A KR20150092104A KR20170002109A KR 20170002109 A KR20170002109 A KR 20170002109A KR 1020150092104 A KR1020150092104 A KR 1020150092104A KR 20150092104 A KR20150092104 A KR 20150092104A KR 20170002109 A KR20170002109 A KR 201700021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polyester
- skin layer
- longitudinal direction
- cor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층 및 이의 양면에 스킨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우수한 슬립성, 외관특성 및 코팅공정성을 구현하며, 높은 투명도와 낮은 수축률을 가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학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층 및 이의 양면에 스킨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우수한 슬립성, 외관특성 및 코팅공정성을 구현하며, 높은 투명도와 낮은 수축률을 가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광학용 필름은 디스플레이용 광학소재로 사용되는 필름이다. 이는 LCD BLU(Back Light Unit)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의 표면 보호용 광학 소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학용 필름은 최근 태블릿(Tablet)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 용도에 적합하도록 높은 투명도를 가지며, 우수한 표면 특성 및 낮은 수축률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만약, 투명도가 낮으면 휘도가 떨어지고, 표면 특성이 좋지 않거나 필름의 수축률이 높을 경우 코팅 후 컬(curl)이 발생하거나 최종 제품의 형태가 변형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을 고려하여, 광학용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고온 숙성시키거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이나 폴리이미드(PI)와 같은 고내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하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고온 숙성시키는 공정은 생산성을 떨어뜨리거나 수분 등에 의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PEN이나 PI를 사용하는 것은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나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며 폴리에스테르 대비 후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제2009-279923호(특허문헌 1)에는 습도변화에 대한 치수안정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며 컬을 억제할 수 있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공중합 성분을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나, 후가공 공정에서 수축률이 심해 컬(curl)이 발생하고, 제조원가가 상당히 비싼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높은 투명도, 낮은 수축률 및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진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 가공성이 양호하고 열변형이 적어 공정성이 우수한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특히 터치 패널 또는 BLU 용도에 적용 시 우수한 물성 및 제조 공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어층 및 이의 양면에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코어층과 이의 양면에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필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층의 양면에 2층 이상의 스킨층으로 이루어진 다층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두 개 이상의 용융압출기에서 압출용융한 후 캐스팅 및 이축연신 후 열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열처리 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완 시켜 수축률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양태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한 압출기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압출시키고 다른 압출기에서 폴리에스테르와 입자를 동시에 용융압출시킨 후 각각의 용융물이 피드 블록에서 만나 공압출되어 제조된다. 이후, 캐스팅에서 냉각된 다음 순차적으로 이축연신된 후 권취된다. 이때, 상기 이축연신은 먼저 길이방향으로 실시한 다음 폭방향으로 연신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는 표면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6 ≤ Ra ≤ 20
(식 2)
80 ≤ Rz ≤ 400
상기 식 1 및 2에서, Ra는 중심선 평균거칠기이며, Rz는 10점 평균거칠기이다. 이는 2차원 접촉식 표면조도 측정기(Kosaka사의 SE3300)로 측정한 평균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20nm 초과이면서 10점 평균거칠기(Rz)가 400nm 초과인 경우 점착층에 기재필름의 표면이 전사될 수 있어 최종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Ra가 6nm 미만, Rz가 80nm 미만인 경우 평활성은 우수하나 코팅 공정성 및 제품 취급성이 떨어져 코팅 공정시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블로킹이 발생될 수 있으며, 코팅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6 내지 20nm 이면서 동시에 10점 평균거칠기가 80 내지 4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Ra 및 Rz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코팅 공정성 및 코팅 불균일로 인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 저하를 야기하므로 상기 범위를 모두 만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상술한 평균조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과 동시에 열풍에 의한 건조 시 수축률이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 각도에서의 필름 수축률(S45)에 대한 135도 각도에서의 필름 수축률(S135)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수축률은 95℃에서 60분 동안 유지하면서 측정한 것이다.
(상기 식 3에서, S45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 각도에서의 수축률, S135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35도 각도에서의 수축률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기계분석기(TMA)를 이용하여 측정 시 도 2의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길이변화의 비가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길이변화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을 40℃에서 -20℃로 냉각(-10℃/min)시켜 10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40℃로 승온(10℃/min)시킨 후 열기계분석기(TMA)로 측정한 것이다. 상기 식 4에서, Δl 및 Δw은 각각 길이방향의 길이 변화(Δl) 및 폭방향의 길이변화(Δw)를 의미한다.
상기 길이방향의 길이변화에 대한 폭방향의 길이변화의 비는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고온에서의 후가공 공정 시 열변형이 심하게 일어나 제품 변형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하드코팅이나 ITO 스퍼터링 공정 상 컬이나 열주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오프라인 숙성처리를 필요로 하여 비용 및 시간이 추가 발생할 수 있고 공정을 한 번 더 거치므로 스크래치나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더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길이변화의 비는 앞서 표면조도 및 수축률의 조건과의 조합으로 코팅 특성, 코팅 작업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하는 우수한 물성 및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스킨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코어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단독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고유점도가 0.6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62 내지 0.75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코어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0.6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이 감소되고 공압출시 계면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 초과인 경우에는 압출 가공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2층 이상 공압출되어 형성되는 스킨층은 고유점도가 0.6 내지 0.8, 바람직하게는 0.64 내지 0.8인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내열성 및 작업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상기 스킨층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고유점도 범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합성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킨층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0.6 미만인 경우는 공압출 시 계면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점도가 너무 낮아서 압출공정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고유점도가 0.8 초과인 경우는 통상의 압출기에서 압출가공이 용이하지 않아서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며 또한 고온에서 압출 시 필름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층은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입경이 0.5 내지 5㎛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6㎛인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5㎛ 초과이면 투명도가 현저히 떨어지거나 빛 투과도가 많이 떨어져 BLU 평가 시 육안으로 결점 판단이 어려워지므로 광학용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며, 0.5㎛ 미만이면 입자 함유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상기 무기입자는 스킨층에서의 함량이 5 내지 100ppm인 것이 광학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의 범위와 조합하여 조절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0.5 내지 5㎛인 것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평활성이 떨어져 터치 패널용에 적용 시 사용이 곤란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입자는 연신 공정을 통해 필름의 슬립성 및 귄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만, 필름 총 두께가 25 내지 250㎛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25㎛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길이방향으로 연신한 후 폭방향으로 연신을 통상적으로 하고 열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수축률을 제어하기 위해서 열처리온도를 올리거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완을 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열처리온도보다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이완시키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내 코어층의 함량은 70 내지 90중량%, 스킨층의 함량은 10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층의 함량이 70 내지 80 중량%이며, 스킨층의 함량이 20 내지 30중량%인 것이 공압출 시 계면안정화가 우수하여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필름의 헤이즈(JIS K 715의 규정에 따름)가 0.5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일 수 있다. 열처리 전 필름의 헤이즈는 입자의 크기와 함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광학 성능을 구현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을 포함하는 광학용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유점도가 0.6 내지 1.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고유점도가 0.6 내지 0.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킨층을 공압출 캐스팅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축연신하는 단계 및 이축연신된 시트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완시키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공압출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압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양태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일축 용융압출기 또는 이축용융압출기에서 압출용융하여 캐스팅할 수 있다. 일양태로, 제1압출기에서 코어층 성분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시키고, 제2압출기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성분을 동시에 용융압출시킨 후 각각의 용융물이 피드 블록에서 만나 공압출, 캐스팅되고 냉각시켜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미연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미연신 시트는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스킨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킨층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필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층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코어층이 전체 필름의 70 내지 90중량%이며, 스킨층이 10 내지 30중량%인 것이 공압출 공정상 계면 안정성이 우수하여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스킨층은 무기입자를 5 내지 100ppm 포함하여 광학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을 조절하는 구성과 조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때,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인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이축연신하는 단계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연신시킨 다음 폭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권취할 수 있다. 연신비율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2 내지 4배 연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 각각 3 내지 3.5배 연신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2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이완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하드코팅이나 ITO 스퍼터링 가공 등의 후가공시 고온에서 열수축을 감소시켜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필름 표면의 외관 및 광학특성을 초기와 같이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200℃ 미만이면 이완이 충분하지 않아 고온에서의 열수축률 감소 효과가 미미하며, 열처리 온도가 250℃ 초과이면 필름 자체가 열분해되어 손상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방법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열풍 오븐을 사용하는 것이 필름 표면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좋다.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이완율은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1.0 내지 2.0%이며, 폭방향으로 1.5 내지 7.0%인 것이 더욱 좋다. 이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고온의 후공정에서 열수축률이 증가할 수 있다. 열수축률이 증가하면 컬이나 열주름이 발생하여 다층필름의 외관이 떨이지고, 광학특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광학필름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에 컬이나 열주름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오프라인 숙성처리를 통하여 필름의 표면을 회복시키는 공정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게 소비될 우려가 있으며, 추가 공정 상 스크래치 또는 이물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높은 투명도, 낮은 수축률 및 우수한 표면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 가공성이 양호하고 열변형이 적어 공정성이 매우 뛰어난 광학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은 디스플레이용, 특히 터치 패널 또는 BLU 용도에 적용 시 우수한 물성 및 제조 공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필름 수축률 측정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 각도 및 135도 각도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열기계 분석기로 길이방향의 길이변화 및 폭방향의 길이변화의 비를 측정 시 온도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열기계 분석기로 길이방향의 길이변화 및 폭방향의 길이변화의 비를 측정 시 온도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물성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1) 고유점도
페놀과 1,1,2,2-테트라클로로 에탄올을 6:4의 무게비로 혼합한 시약 100ml에 PET 펠렛 (샘플) 0.4g을 넣고, 90분 동안 용해시킨 후, 우베로데 점도계에 옮겨 담아 30℃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유지시키고, 점도계와 흡인 장치(aspirator)를 이용하여 용액의 낙하 초수를 구했다. 용매의 낙하 초수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한 다음, 하기 수학식 1 및 2에 의해 R.V 값 및 I.V값을 계산하였다.
하기 수학식에서 C는 시료의 농도를 나타낸다.
[수학식 1]
[수학식 2]
(2) 투명도(Haze)
제막된 필름을 헤이즈 미터(Nipon denshoku, Model NDH 5000)을 이용하여, JIS K 715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 표면조도 (Ra)
2차원 접촉 표면조도측정기(Kosaka사, SE3300)를 이용하여, Ra(중심선 평균거칠기) 및 Rz(10점 평균거칠기)를 측정하였다.
(4) 수축률
필름을 200 × 200mm 크기로 자른 후 길이와 폭의 길이를 측정 후 95℃에서 60분 동안 열풍오븐에서 열처리 후 변한 길이와 폭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수축률(%)= (열처리 전 측정 길이 - 열처리후 측정 길이)/열처리 전 측정길이 × 100
(5) 열기계분석기(TMA) 측정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16mm, 폭방향으로 4.5mm으로 자른 후, TMA(TA사, TMA Q400)를 이용하여 열변형길이(Dimension change)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상온 40℃에서 10℃/min으로 20℃까지 냉각 후 20℃에서 isothermal로 10분 동안 유지한 다음 다시 10℃/min으로 40℃까지 승온한 후 열변형길이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코어층에는 고유점도가 0.65인 폴리에스테르칩(PET칩)을 사용하고, 스킨층에는 고유점도가 0.64인 폴리에스테르칩(PET칩) 및 평균입경이 1.6㎛인 실리카 입자를 80ppm 사용하여, 각각 공압출 캐스팅하였다(스킨층/코어층/스킨층으로 공압출함). 이후, 기계방향으로 3배, 폭방향으로 3.4배로 순차적으로 연신하고, 230℃에서 열처리하면서 폭방향은 3%, 길이방향은 0.8% 이완시켜서 75㎛의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은 전체 필름 중량에 대하여 코어층은 80중량%, 스킨층은 20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스킨층의 입자 구성과 함량은 표1에 나타내었고, 제조 후 필름의 물성은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스킨층의 폴리에스테르칩을 고유점도가 0.8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스킨층의 폴리에스테르칩을 고유점도가 0.6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전체 필름 중량에 대하여 코어층 80중량%, 스킨층 2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전체 필름 중량에 대하여 코어층 90중량%, 스킨층 1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리카 입자를 100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리카 입자를 5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평균입경이 5㎛인 실리카 입자를 10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평균입경이 0.5㎛인 실리카 입자를 100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고유점도가 0.65인 PET칩을 사용하고, 열처리하면서 이완 시 길이방향으로는 이완시키지 않고 폭방향으로만 이완을 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스킨층의 폴리에스테르칩을 고유점도가 0.55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스킨층의 폴리에스테르칩을 고유점도가 0.85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전체 필름 중량에 대하여 코어층 60중량%, 스킨층 4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전체 필름 중량에 대하여 코어층 95중량%, 스킨층 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6]
평균입경이 0.5㎛인 실리카 입자를 110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7]
평균입경이 6㎛인 실리카 입자를 10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8]
평균입경이 0.4㎛인 실리카 입자를 110ppm 함유하는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층별 원료조성 및 두께
[표 2]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평가 결과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표면조도, 수축률 및 치수변화율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높은 투명도, 낮은 수축률과 동시에 우수한 표면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디스플레이용, 특히 터치 패널 또는 BLU 용도에 적용 시 우수한 물성 및 제조 공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용 필름에 적용이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스킨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으로,
상기 스킨층은 고유점도가 0.65 내지 0.8인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하기 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식 1) 6 ≤ Ra ≤ 20
(식 2) 80 ≤ Rz ≤ 400
(식 1 및 2에서 단위는 nm이며, Ra는 중심선 평균거칠기이며, Rz는 10점 평균거칠기를 의미한다.)
(식 3)
(식 3에서, S45 및 S135는 95℃에서 60분 동안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수축률을 측정한 것이다. 이때, S45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 각도에서의 수축률, S135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35도 각도에서의 수축률을 의미한다.)
(식 4)
(식 4에서, Δl 및 Δw은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을 40℃에서 -20℃로 냉각(-10℃/min)시켜 10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40℃로 승온(10℃/min)시킨 후 열기계분석기(TMA)로 측정한 것이다. 이때, Δl은 길이방향의 길이 변화를, Δw은 폭방향의 길이변화를 의미한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JIS K 715의 규정에 따른 헤이즈가 0.5 내지 3%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코어층이 전체 필름의 70 내지 90중량%이며, 스킨층이 10 내지 30중량%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총 두께가 25 내지 250㎛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무기입자를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5㎛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공압출된 것으로, 코어층의 양면에 스킨층이 적어도 한 층 이상 적층된 것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제1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 고유점도가 0.6 내지 1.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층 및 이의 양면에 고유점도가 0.6 내지 0.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무기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킨층을 공압출 및 캐스팅하여 형성하는 미연신 시트 제조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이축연신단계 및
상기 이축연신된 시트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완시키는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길이방향으로 1.0 내지 2.0%, 폭방향으로 1.5 내지 7.0%의 이완율의 범위로 이완을 실시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200 내지 250℃에서 실시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필름은 코어층이 전체 필름의 70 내지 90중량%이며, 스킨층이 10 내지 30중량%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무기입자를 5 내지 100ppm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5㎛인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104A KR20170002109A (ko) | 2015-06-29 | 2015-06-29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104A KR20170002109A (ko) | 2015-06-29 | 2015-06-29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109A true KR20170002109A (ko) | 2017-01-06 |
Family
ID=5783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2104A KR20170002109A (ko) | 2015-06-29 | 2015-06-29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210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9923A (ja) | 2008-04-21 | 2009-12-03 | Teijin Ltd | 二軸配向多層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2104A patent/KR201700021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9923A (ja) | 2008-04-21 | 2009-12-03 | Teijin Ltd | 二軸配向多層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11978A1 (en) | Laminated film and molded object | |
KR20170126851A (ko)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1985469B1 (ko) |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991416B2 (ja) | 偏光板 | |
KR20180077585A (ko) |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98345B1 (ko)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 |
KR20130003505A (ko) | 다층필름 | |
TWI707763B (zh) | 聚酯多層膜及其製造方法 | |
CN107031160B (zh) | 光学聚酯薄膜 | |
JP5643452B2 (ja) |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 |
KR102397408B1 (ko) |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037126A (ko) |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
KR20170002109A (ko)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20170096681A (ko) | 3층 구조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 |
JP6154872B2 (ja) |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JP6272048B2 (ja) |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20150074323A (ko) |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 |
KR20230024007A (ko) |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 |
JP6701790B2 (ja) |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
KR20150077746A (ko) |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5433425A (zh) | 光学薄膜及其制备方法 | |
JP6171287B2 (ja) |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KR20140087602A (ko) | 공정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2차전지 셀파우치용 나일론필름 | |
KR20090072107A (ko) | 슬립성이 향상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및 그제조방법 | |
JP2010181870A (ja) | 偏光膜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