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092A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5092A KR20160135092A KR1020160027000A KR20160027000A KR20160135092A KR 20160135092 A KR20160135092 A KR 20160135092A KR 1020160027000 A KR1020160027000 A KR 1020160027000A KR 20160027000 A KR20160027000 A KR 20160027000A KR 20160135092 A KR20160135092 A KR 201601350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per blade
- wiper
- cover portion
- support portion
- wid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ng part of, or an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wiper bla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 운행 중에 이물질이나 눈 또는 비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암에 연결된 링크장치를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부채꼴 모양으로 반복적인 왕복회전운동을 한다.
와이퍼 블레이드가 왕복회전운동을 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의 양 단부는 동일한 시간 동안 다른 이동 거리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 단부가 (a)의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1)의 회전축으로부터 가까운 쪽 단부는 (b)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 때, 와이퍼 블레이드(1) 양 단부가 유리창을 가압하는 가압력, 유리창 표면의 상태, 와이퍼 스트립의 상태, 기온, 강우량 등의 조건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 양 단부의 각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가 왕복 회전운동을 할 때,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를 생산, 조립, 보수 또는 교체하는 작업자가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1)를 동시에 손을 잡는 경우,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납품 및 보관시,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1)가 하중을 받는 경우 등의 와이퍼 블레이드(1) 취급시에도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 작동 시, 사용자가 와이퍼 블레이드(1)를 손으로 구속하는 경우, 강설 또는 기타 이물질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의 왕복 회전운동이 국부적으로 구속될 경우, 또는 세차 시, 세차 도구에 와이퍼 블레이드(1)가 걸리는 경우 등의 와이퍼 블레이드(1) 사용시에도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퍼 암(2)이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연결축(3)과 와이퍼 블레이드(1)의 측벽(4)이 연결되는 좁은 영역(5)에 응력이 집중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의 연결축과 와이퍼 블레이드(1)의 측벽(4)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의 연결축을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에 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재의 연결축을 인서트 성형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지재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와 금속재의 연결축 간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결합력이 감소되고, 수지재인 커버부와 금속재인 연결축간의 열 팽창률 차이로 인하여 인서트 성형 후, 외관이 불량해지며, 마찬가지로, 수지재인 커버부와 금속재인 연결축간의 열팽창률 차이로 인하여 와이퍼 암이 삽입되는 커버부의 내측면의 치수를 구간별로 관리하기 어렵고, 금속재인 연결축에 녹이 발생하거나 연결축과 커버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유분 제거 공정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굵은 두께의 연결축이 일체로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를 사출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단일 소재의 합성수지재로 사출할 경우, 연결축이 위치한 부분의 커버부의 측벽의 두께가 연결축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커버부의 측벽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사출된 커버부가 냉각되면서 연결축이 위치한 부분의 커버부의 측벽이, 연결축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커버부의 측벽보다 더 많이 수축된다. 따라서, 냉각 후, 커버부의 측벽을 바깥쪽에서 볼 때, 연결축이 위치한 부분이 연결축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보다 움푹 패여진 상태가 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연결축을 굵게 하여 강도를 확보할 경우, 체결될 와이퍼 암들과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연결축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형되어,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연결축과 커버부와의 결합력이 떨어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축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에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결합되며, 커버부보다 굴곡 강도가 높은 수지재의 연결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클립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부와 연결클립이 결합되더라도, 외관이 양호하고 연결클립과 커버부 간의 결합력이 높은 연결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잇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연결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키 방향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에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결합되며, 커버부보다 굴곡 강도가 높은 수지재의 연결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클립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부와 연결클립이 결합되더라도, 외관이 양호하고 연결클립과 커버부 간의 결합력이 높은 연결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왕복회전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할 때, 와이퍼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체결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이 커버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할 때, 와이퍼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체결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이 커버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당업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연결 클립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는,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퍼 스트립(미도시)과,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미도시),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10), 및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와이퍼 스트립(미도시)은 직접 차량의 유리면에 접촉하여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와이퍼 스트립은 탄성재료, 즉 고무재와 같은 탄성재료 또는 탄성 합성재료로 이루어진다.
레버조립체(미도시)는 와이퍼 스트립을 직접 지지한다. 레버조립체(미도시)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요크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요크 형상의 요크레버 단부가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할 수 있다.
커버부(10)는 레버조립체(미도시)를 수용하고 와이퍼 암(2)과 결합한다. 와이퍼 암(2)이 커넥터(20)을 통해 커버부(10)로 가압력을 전달하고, 커버부(10)는 와이퍼 암(2)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을 레버조립체(미도시)에 전달하고, 레버조립체(미도시)는 가압력을 와이퍼 스트립에 전달한다.
커버부(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 커버부(1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며, 한 쌍의 측벽(11)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12) 및 와이퍼 암(2)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클립(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 클립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이 커버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클립(100)은 연결축(110) 및 연결축(1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가 결합되는데, 도 6을 참조하면, 연결클립(100)의 연결축(110)이 커버부(10)의 리세스(12)에 위치하도록, 각각의 지지부(120)는 커버부(10)의 한 쌍의 측벽(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연결클립(100)은 커버부(10)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연결클립(100)을 사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 때, 연결클립(100)은 커버부(10)의 재질보다 더 굴곡 강도가 높은 재질의 수지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10)보다 더 굴곡 강도가 높은 재질의 연결클립(100)을 사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여, 연결클립(100)에 응력이 집중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후, 사전 제작된 연결클립(100)을 커버부(1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버부(10)의 재료인 용융상태의 수지재를 금형 내에 투입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를 결합한다. 이 때, 연결클립(100) 및 커버부(10)가 모두 수지재이므로, 인서트 사출시, 연결클립(100)과 사출물 간의 용융 결합이 발생한다. 따라서, 금속재 연결축을 인서트 성형하는 형태에 비하여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간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는 커버부(10)의 리세스(12)를 형성하는 측벽(11)의 형상에 맞도록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방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 길이(a)가 지지부(1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 높이(b)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연결축(110)에 발생된 응력이 지지부(120)와 커버부(10)의 측벽(11)이 접하는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므로, 연결클립(1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는, 연결클립(100)의 각각의 지지부(120)가 커버부(10)의 한 쌍의 측벽(11)에 각각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클립(100)의 각각의 지지부(120)가 커버부(10)의 한 쌍의 측벽(11)에 각각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면, 지지부(120)와 측벽(11)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간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는,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내측면(122)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10)에 형성된 리세스(12)에 노출되도록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와이퍼 암(2)과 와이퍼 블레이드(1)가 결합되면, 와이퍼 암(2)의 단부가 리세스(12)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커버부(10)의 측벽(11)간의 거리를 구간별로 정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지지부(120)의 내측면(122)이 커버부(10)에 형성된 리세스(10)에 노출되도록 삽입된 형태로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가 결합되면, 인서트 사출 공정시, 이미 한 쌍의 지지부(120)의 내측면 간의 거리가 정밀하게 관리된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내측면이, 커버부(10)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과 접한 상태에서 커버부(10)가 형성되므로, 커버부(10)의 측벽(11)간의 거리를 구간별로 관리하기 용이하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도11 내지 도 13 및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20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100)과 마찬가지로,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커버부(10)와 결합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연결클립(200)은 연결축(210) 및 연결축(2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도11 내지 도 13 및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220)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다른 부분보다 폭이 작은 협폭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협폭부(223)가 지지부(2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협폭부(223)가 지지부(220)의 상단 또는 하단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10)이 배치된 위치에는 협폭부(223)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a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d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e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3)의 폭(d2)은, 지지부(2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인 광폭부(229)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3)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모두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만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협폭부(223)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이 경사면을 포함하여 연결축(210)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협폭부(223)의 폭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3)가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협폭부(223)의 폭(d2)은, 지지부(2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다른 모든 부분의 폭보다는 작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3)의 폭(d2)이, 지지부(2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일부분의 폭(d3)보다 크고, 가장 두꺼운 부분인 광폭부(229)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공정시,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와 커버부(10)의 측벽(11)이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결합된다면, 연결클립(200)이 커버부(10)의 측벽(11) 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연결클립(200)을 커버부(1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내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연결클립(200)의 연결축(210)은 고정장치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는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의 재료인 용융상태의 수지재를 금형 내에 투입할 때, 그 투입 압력이 매우 높고, 연결클립(200)은 유연한 재질인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연결클립(200)의 연결축(210)과는 달리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는 투입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가 변형된 상태에서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c 및 도 10b는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의 지지부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한 상태로 커버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100)의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커버부(10)의 측벽(11)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매우 가까운 상태에서 결합되므로, 연결클립(100)이 커버부(10)의 측벽(11)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커버부(10)의 측벽(11)의 외면 또는 내면과 커버부(10)의 측벽(11) 내부에 배치된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외측면(121) 또는 내측면(122)간의 거리가 매우 작은 부분이 발생하므로, 커버부(10)의 외관이 불량해지고,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와의 결합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200)의 경우,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가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한 상태로 커버부(10)와 결합되더라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3)에 의하여, 연결클립(200)이 커버부(10)의 측벽(11)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커버부(10)의 측벽(11)의 외면 또는 내면과 커버부(10)의 측벽(11) 내부에 배치된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의 외측면(221) 또는 내측면(222)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작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 도11 내지 도 13 및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220)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다른 부분보다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 두께가 작은 협폭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는 도 8,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c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d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클립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4)의 키 방향 두께(h2)는, 지지부(2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인 광폭부(229')의 키 방향 두께(h1)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4)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모두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협폭부(224)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이 경사면을 포함하여 연결축(210)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협폭부(224)의 키 방향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4)가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협폭부(224)의 키 방향 두께(h2)는, 지지부(2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다른 모든 부분의 키 방향 두께보다는 작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4)의 키 방향 두께(h2)가, 지지부(220)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일부분의 키 방향 두께(h3)보다 크고, 가장 두꺼운 부분인 광폭부(229')의 키 방향 두께(h1)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공정시,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15a 및 도15b는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클립의 지지부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한 상태로 커버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클립과 커버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인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100)의 경우,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좌측 일단 또는 우측 일단이 커버부(10)의 측벽(1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매우 가까운 상태에서 결합되므로, 연결클립(100)이 커버부(10)의 측벽(1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커버부(10)의 측벽(11)의 상면 또는 하면과 커버부(10)의 측벽(11) 내부에 배치된 연결클립(100)의 지지부(120)의 상면 또는 하면간의 거리가 매우 작은 부분이 발생하므로, 커버부(10)의 외관이 불량해지고, 연결클립(100)과 커버부(10)와의 결합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200)의 경우,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가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한 상태로 커버부(10)와 결합되더라도,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24)에 의하여, 연결클립(200)이 커버부(10)의 측벽(1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커버부(10)의 측벽(11)의 상면 또는 하면과 커버부(10)의 측벽(11) 내부에 배치된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의 상면 또는 하면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로 작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부(220)의 내측면(222) 또는 외측면(221)에 적어도 하나의 홈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5)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5)가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인서트 사출시 커버부(10)의 재료인 용융상태의 수지재가 홈부(225) 내부에 유입되어 결합되므로,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간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으로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또한, 홈부(225)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5)가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인서트 사출시 커버부(10)의 재료인 용융상태의 수지재가 홈부(225) 내부에 유입되어 결합되므로,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간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위에서는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 의 내측면(222) 또는 외측면(221)에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 또는 키 방향으로의 홈부(225)가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와이퍼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 또는 키 방향의 돌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지지부(220)의 내측면(222) 또는 외측면(221)에 복수의 돌기(22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228)가 형성될 경우, 인서트 사출시 용융상태의 수지재가 돌기와 돌기 사이에 유입되어 결합되므로,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간의 전체적인 결합력이 증대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220)의 내측면(222) 또는 외측면(221)의 표면이 거칠 수 있다.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의 내측면(222) 또는 외측면(221)의 표면이 거칠면, 연결클립(200)과 커버부(10)간의 전체적인 결합력이 증대된다. 연결클립(20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제작시, 방전 가공을 통해 금형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전 가공 후, 금형의 부식 가공시, 부식 사양을 조절하여 금형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또는, 방전 가공 및 부식 가공 후, 금형 표면에 대한 연마 가공을 생략함으로써, 금형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이 거친 금형을 사용하여 연결클립(200)이 제작될 경우,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의 내측면(222) 또는 외측면(221)의 표면이 거칠게 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부(220)의 내측면(222)의 상단 또는 하단에 챔버(226)가 형성될 수 있다. 사전 제작된 연결클립(200)을 커버부(1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내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매우 좁은 금형 사이의 공간에 연결클립(200)이 삽입되어야하는데, 연결클립(200)을 금형 내부로 삽입할 때,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지 않아,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금형에 접촉하더라도, 금형이 챔버(226)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연결클립(200)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연결클립(200)의 지지부(220)의 내측면(222)에 핀타입 암의 단부가 고정되는 암 고정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핀타입 암의 단부가 고정되는 암 고정홈(227)을 커버부(10)의 측벽(11)의 내측면에 형성하기 위해, 커버부(1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암 고정홈(227)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추가하는 것보다는 연결클립(20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암 고정홈(227)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만드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암 고정홈(227)이 한 쌍의 지지부(220)의 내측면 간의 거리가 정밀하게 관리되는 연결클립(200)에 형성됨으로써, 암 고정 부위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연결클립(200)의 연결축(210)에 피육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축(210)이 지지부(220)와 접하는 부분에 피육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의 폭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축(210)과 지지부(220)가 접하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연결축(210)이 지지부(220) 와 접하는 부분이 두꺼울수록 파손 방지 효과가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도 9e 내지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10)이 지지부(220)와 접하는 부분의 두께(t2)가 연결축(210)의 두께(t1)보다 크게 되도록 피육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볼록한 라운드 형태일 수 있고,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오목한 라운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11)보다 더 두꺼운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시, 연결클립(200)이 금형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기 위해서는 연결클립(200)이 금형과 접하여 고정되는 부분이 필요하다. 이 때, 금형과 피육부(211)의 외주면(212)과 접하게 되면, 연결클립(200)이 금형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의 키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이 구속되어, 금형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정렬된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와이퍼 블레이드
2: 와이퍼 암
10: 커버부
11: 측벽
12: 리세스
20: 커넥터
100, 200: 연결클립
110, 210: 연결축
120, 220: 지지부
121, 221: 외측면
122, 222: 내측면
211: 후육부
223, 224: 협폭부
225: 홈부
226: 챔버
227: 암 고정홈
228: 돌기
2: 와이퍼 암
10: 커버부
11: 측벽
12: 리세스
20: 커넥터
100, 200: 연결클립
110, 210: 연결축
120, 220: 지지부
121, 221: 외측면
122, 222: 내측면
211: 후육부
223, 224: 협폭부
225: 홈부
226: 챔버
227: 암 고정홈
228: 돌기
Claims (25)
-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 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보다 작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또는 키 방향으로 홈부 또는 돌부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 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보다 작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 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보다 작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챔버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 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두께보다 작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핀타입 암의 단부가 고정되는 암 고정홈이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연결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의 굴곡강도 는 상기 커버부의 굴곡강도보다 더 높은,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은 상기 커버부와 용융결합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높이보다 큰,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벽에 각각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에 노출되도록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표면이 거친,
와이퍼 블레이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부분에 피육부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 하는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레버조립체; 및
와이퍼 암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수지재의 연결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광폭부 및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두께가 상기 광폭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두께보다 작은,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연결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키 방향 두께가 작아지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의 굴곡강도는 상기 커버부의 굴곡강도보다 더 높은,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은 상기 커버부와 용융결합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키 방향 높이보다 큰,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벽에 각각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에 노출되도록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또는 키 방향으로 홈부 또는 돌부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표면이 거친,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챔버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핀타입 암의 단부가 고정되는 암 고정홈이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부분에 피육부가 형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000A KR20160135092A (ko) | 2016-03-07 | 2016-03-07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000A KR20160135092A (ko) | 2016-03-07 | 2016-03-07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6688A Division KR101779766B1 (ko) | 2015-05-13 | 2015-05-13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5092A true KR20160135092A (ko) | 2016-11-24 |
Family
ID=5770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7000A KR20160135092A (ko) | 2016-03-07 | 2016-03-07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35092A (ko) |
-
2016
- 2016-03-07 KR KR1020160027000A patent/KR20160135092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99117B2 (ja) | ウインドワイパブレード | |
KR100990760B1 (ko) |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 |
KR100501753B1 (ko) | 자동차의윈드실드용와이퍼블레이드 | |
KR101592577B1 (ko) |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 |
CN104235130A (zh) | 弹性附接组件及减少位置变化和增大刚度的方法 | |
US6357873B1 (en) | Positive-fit connection between a metallic link and an injection-moulded plastic part notably for spectacles | |
KR20110063544A (ko) |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부 및 와이퍼 블레이드 | |
CN104235126A (zh) | 用于待配合在一起的部件的可弹性变形定位钩及组装方法 | |
CN107031573B (zh) | 用于将风挡擦拭器叶片保持器连接到驱动臂的系统的元件 | |
US9751501B2 (en) | Connection assembly for a wip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 |
CN103415420B (zh) | 尤其用于机动车窗玻璃刮水装置的刮水片适配器装置 | |
JP6372404B2 (ja) | モールド部付電線 | |
KR101779766B1 (ko)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
MX2013011883A (es) |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 |
KR20160135092A (ko)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
KR101599690B1 (ko)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
KR101599691B1 (ko) |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 |
CN107150577A (zh) | 挤制构件角连接 | |
KR101281560B1 (ko) | 오조립 방지 커넥터 | |
WO2011161619A1 (en) | A windscreen wiper | |
US20150375716A1 (en) | Wiper blade | |
US10131324B2 (en) | Spline for use in a wiper assembly | |
US20140331439A1 (en) | Assembly for producing a motor vehicle windscreen wiping system and connection device including such an assembly | |
KR102551991B1 (ko) | 상호 요철 각도 조절 결합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 |
US11208078B2 (en) | Adapter making up a wip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