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7116A -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116A
KR20160127116A KR1020167026895A KR20167026895A KR20160127116A KR 20160127116 A KR20160127116 A KR 20160127116A KR 1020167026895 A KR1020167026895 A KR 1020167026895A KR 20167026895 A KR20167026895 A KR 20167026895A KR 20160127116 A KR20160127116 A KR 2016012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open end
refill
hear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983B1 (ko
Inventor
사빈느 르페브르
프랑수와 고티에
Original Assignee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filed Critical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ublication of KR2016012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B05B11/0013Attachment arrangements comprising mean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화장품 재료인 재료 리필(100)를 패키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개방 단부(204)를 갖는 쉬스(202), 및 리필(100)이 쉬스(202) 내에 유지되는 로킹된 위치와 리필(100)이 쉬스(202)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언로킹된 위치 사이에서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가능 어셈블리(20)는,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와 맞물리며 앵커링 부재(30)를 갖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및 구동 부재(60)가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로의 앵커링 부재(30)의 앵커링을 바이어싱하는 구동 위치, 및 구동 부재가 앵커링 부재(30)를 릴리즈하는 풀린 위치로 이동되는 것과 같이, 거기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와 맞물리는 구동 부재(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료 리필 패키징 디바이스{MATERIAL REFILL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특히 화장품에 대한,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패키징 디바이스는 개방 단부를 갖는 쉬스(sheath), 및 리필이 쉬스 내에 홀딩되는 로킹된(locked) 위치와 리필이 쉬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언로킹된(unlocked) 위치 사이에서 쉬스의 개방 단부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기에 적절한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디바이스들은, 특히 스프레이, 펌프, 또는 병 유형일 수 있는 화장품 리필들에 대해 알려져 있다. 지난 수년에 걸쳐, 특히 화장품의 분야에서, 이러한 유형의 리필들이 화장품 패키징을 제조하는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환경에 대한 그것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화장품 리필들을 수용하는 패키징 디바이스들로 기존의 패키징을 교체하기 위한 조금씩 증가하는 요구가 존재하며, 이러한 경우 화장품이 사용되었으면 리필만을 폐기하여 패키징 디바이스 자체가 유지될 수 있다. 리필이 비워지면, 사용자는 새로운 또는 상이한 리필로 대체하기 위하여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언로킹하고 리필을 제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첫째로 패키징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외관 품질들을 갖는 것, 및 둘째로 다 쓴 리필을 대체하기 위한 조작들이 또한 사용자에게 가능한 한 단순할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패키징 디바이스는 사용하기에 용이해야만 하며,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리필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새로운 리필이 용이하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 하고, 즉, 이는 사용자의 적은 힘 또는 사용자의 부분에 대한 적은 주의만을 요구해야만 한다. 또한 패키징 디바이스는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의 개방 단부에 용이하게 로킹되게끔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만 한다. 또한, 리필은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되어야만 하며, 즉,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우연히 그것의 언로킹된 위치로 이동하지 않아야만 한다.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들은,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 내에 홀딩되며 쉬스의 개방 단부를 넘어 연장하는 탄력적인 텅(tongue)들이 구비되는 구동기 엘러먼트를 포함하는, 미국 특허 번호 3,080,989호로부터 알려진다.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2개의 개구들을 제공하며, 구동기 엘러먼트의 탄력적인 텅들 상의 돌출부(bulge)가 상기 커버의 개구들 내의 캐치(catch)되는 방식으로 쉬스 상에 배열되는 리테이너(retainer) 커버를 더 포함한다. 리필을 바꾸기 위하여, 사용자는 텅들이 커버로부터 풀리도록 구동기의 텅들을 누르는 것으로 충분하며, 그에 따라 커버가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반대로, 새로운 리필을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넣기 위하여, 리테이너 커버는, 탄력적인 텅들의 돌출부들이 다시 상기 커버의 개구들 내에 맞물릴 때까지 제자리로 밀어 넣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조작들, 특히 텅들을 누르는 것은, 텅들을 개구들로부터 풀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힘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텅들을 풀기 위하여 텅들 상에 가해져야만 하는 힘의 양이 매우 크지는 않은 경우, 텅들이 원치 않는 방식으로 슬롯(slot)들로부터 풀리게 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에 더하여, 텅들이 다수 회 조작된 이후에, 텅들의 힌지(hinge)들이 약해져서 텅들이 더 이상 돌출부들을 홀딩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패키징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동안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텅들의 돌출부들을 누를 수 있으며, 이는 텅들이 커버의 개구들로부터 우연히 풀리는 것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징 디바이스를 신뢰할 수 없다.
또한, 리테이너 커버의 하단 부분이 특히 가시적이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패키징 디바이스의 전체 외관이 상대적으로 매력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쉬스의 개방 단부와 함께 동작하며 앵커(anchor) 부재를 제공하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 및 또한 거기에 대하여 이동되기에 적절한 동안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와 함께 동작하는 구동기 부재로서, 그에 따라서 상기 구동기 부재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에 대한 축 방향 움직임에 의하여, 구동기 부재가 앵커 부재로 하여금 쉬스의 개방 단부에 앵커링되도록 강제(urge)하는 구동된 위치 및 구동기 부재가 앵커 부재를 릴리즈(release)하며 착탈가능 어셈블리로 하여금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풀린 위치로 이동되기에 적절한, 상기 구동기 부재, 이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결과로서 달성된다.
앵커 부재를 쉬스의 개방 단부에 앵커링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앵커 부재를 풀기 위하여, 사용자가 구동기 부재를 축 방향으로 누르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에 도달할 때,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의 개방 단부에 로킹되며, 리필이 쉬스 내에 홀딩된다.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그것의 로킹된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마치 리필이 사용자의 손에 직접적으로 홀딩되어 있는 것처럼 리필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징 디바이스가 리필의 디스펜서(dispenser) 엘러먼트를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또한, 앵커 부재가 앵커링되는 것 또는 릴리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움직임이 축 방향이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외관과 관련하여 광범위한 선택들이 이용가능하며, 이는 급격히-돌출하는 부분들을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는다.
리필은, 예를 들어, 리필이 병일 때 일어나는 바와 같이 넥(neck)을 제공하는 유형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넥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 리필은 제어하기 위한 제어 엘러먼트, 예를 들어, 스프레이 헤드, 스토퍼(stopper), 또는 유사한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제어 엘러먼트가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넘어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특히 사용자가 리필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리필의 제어 엘러먼트를 조작할 때, 구동기 부재가 원치 않는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키징 디바이스는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쉬스에서 패키징 디바이스를 쥘 때,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구동기 부재에 도달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우연히 언로킹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풀린 위치에 도달할 때,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언로킹되며,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쉬스로부터 사용된 리필을 제거하고 이를 새로운 리필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키징 디바이스는 사용하기에 특히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쉬스의 개방 단부에 로킹하거나 또는 이를 개방 단부로부터 언로킹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2개의 엄지들을 사용하여 구동기 부재를 누르는 것으로 충분하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단일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용어 "단일 어셈블리"는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전체로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동기 부재가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언로킹될 때, 사용자는, 쉬스 상에 또는 쉬스 내의 제 위치에 남아 있는 어셈블리의 어떠한 부분도 없이, 단일 동작으로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제거한다. 이러한 배열들이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로킹하고 언로킹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들며, 사용자가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일 부분을 잘못 위치시키는 것을 회피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상기 부재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로부터 축 방향으로 움직인 이후에,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풀린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끔 강제하는데 적절한 추력(thrust)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추력 수단들은 구동기 부재와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의 하단 벽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들은 구동기 부재를 그것의 구동된 위치로부터 그것의 풀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패키징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기 부재는, 상기 부재가 쉬스의 내부를 향해(즉, 쉬스의 하단 벽을 향해) 눌려지는 것에 의해 그것의 구동된 위치로부터 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부재는, 상기 부재가 상기 쉬스의 출구를 향해(즉, 쉬스의 하단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밀어 내어지는 것에 의해 그것의 풀린 위치를 향해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언로킹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쉬스를 홀딩하면서 쉬스의 내부를 향해 구동기 부재를 누르며, 그 결과 구동기 부재가 추력 수단들을 압축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사용자가 구동기 부재를 누르는 것을 중단하면, 추력 수단들이 "릴리즈되며" 이들이 구동기 부재를 쉬스의 출구를 향해 밀어 넣고,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풀린 위치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추력 수단들은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제조하기에 간단하고 값이 싼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기 부재 및 리테이너 인터페이스 중에서 선택된 엘러먼트들 중 하나의 엘러먼트는, 구동기 부재 및 리테이너 인터페이스 중에서 선택된 다른 엘러먼트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장-형 캠(heart-shaped cam)과 함께 동작하는 팔로워 핀(follower pin)을 포함하며, 상기 캠은 핀에 대한 심장-형 경로를 획정(define)한다.
심장-형 캠의 동작이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심장-형 캠이 심장-형 경로 상의 팔로워 핀에 대한 적어도 2개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획정하며, 안정적인 위치들 중 하나는 구동기 부재의 구동된 위치에 대응하고, 다른 안정적인 위치는 구동기 부재의 풀린 위치에 대응한다. 하나의 안정적인 위치로부터 다른 안정적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구동기 부재를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팔로워 핀은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와 구동기 부재 중에서 선택된 엘러먼트들 중 하나의 탭(tab) 상에 형성된다. 예로서, 팔로워 핀은 상기 탭의 자유 단부 상에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리테이너 인터페이스는, 팔로워 핀이 심장-형 경로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탭을 향하여(facing)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방지(anti-escape) 접합부(abutment)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들을 사용하여, 팔로워 핀이 심장-형 경로 내에서 제 위치에 정확하게 남아 있으며, 이로부터 풀리게 되는 위험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들이 패키징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추가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앵커 부재는,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에 도달할 때 쉬스의 벽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 특히 홈과 함께 동작하기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ojection), 특히 립(rib)을 포함한다.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에 도달할 때, 앵커 부재의 돌출부가 쉬스의 벽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캐치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배열들을 사용하여,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의 개방 단부에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킹된다. 사용자가 리세스로부터 돌출부를 분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패키징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추가로 강화시키기 위하여, 리세스가 관통형 리세스일 필요는 없으며(즉, 리세스가 슬롯을 형성해야만 하는 것은 아님), 이는 디바이스의 외관과 관련하여 이용가능한 광범위한 선택들을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앵커 부재는 그 위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텅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되는 가능성에 있어서, 텅은 쉬스 내부에 배열되며, 돌출부는 쉬스의 벽을 향하는 텅의 면들 상에 배열되고, 즉, 돌출부가 쉬스 내에 형성된 리세스를 향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기 부재는, 앵커 부재를 쉬스의 개방 단부에 앵커링하기 위하여, 텅을 쉬스의 벽을 향해 누르기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서(presser) 표면을 포함한다.
구동기 부재가 쉬스의 하단 벽을 향해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구동기 부재의 프레서 표면은, 텅의 둘출부가 쉬스 벽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맞물리는 위치에 텅이 도달할 때까지 앵커 부재의 텅을 쉬스를 향해 점진적으로 밀어낸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텅은 탄력적이며, 앵커 부재가 쉬스의 개방 단부에 앵커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정상(natural) 위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정상 위치에서, 텅은 디바이스의 축을 향하여 경사지며, 그 결과 돌출부의 외측 직경 치수가 리세스의 직경 치수보다 더 작다.
텅이 구동기 부재의 프레서 표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겪지 않을 때, 상기 텅은 자동적으로 그것의 정상 위치로 복귀하며, 이는 구동기 부재가 쉬스로부터 릴리즈되게끔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리테이너 인터페이스 및 구동기 부재는 길이 방향 가이드(guide) 표면들을 통해 서로 함께 동작한다.
이러한 배열들은, 리테이너 인터페이스 및 구동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동시에 이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패키징 디바이스 및 유체 리필을 포함하는 패키징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리필의 넥 둘레에 및/또는 상기 리필의 제어 부재 둘레에 배열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되는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때 본 발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되고 본 발명의 이점들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패키징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쉬스 내에 설치된 리필을 포함하는 패키징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패키징 디바이스는 쉬스의 개방 단부에 로킹된 위치로 도시된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b는 패키징 디바이스에 캡(cap)이 구비된 상태의 도 1b의 패키징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2a는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앵커 부재의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앵커 부재의 밑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가이드 부재의 밑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절개도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심장-형 캠을 도시하는 상태의 도 3a의 가이드 부재의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어셈블리된 상태의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가이드 부재 및 리테이너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a는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앵커 부재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앵커 부재의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쉬스의 개방 단부에 로킹된 착탈가능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a 및 도 3b의 구동기 부재의 심장-형 캠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평면 VIIIA-VIIIA 상의 세부사항의 도면이다.
도 8b는,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언로킹될 때의, 도 6의 평면 VIIIA-VIIIA 상의 세부사항의 도면이다.
도 9는,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언로킹된 위치에 있는 착탈가능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 1a의 패키징 디바이스의 세부사항의 단면도이다.
화장품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키징 어셈블리가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패키징 어셈블리는 패키징 디바이스(200) 및 화장품 리필(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키징 디바이스(200)는 개방 단부(204) 및 단부(204)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단 벽(206)을 갖는 쉬스(2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레이를 형성하는 리필(100)은 넥(102) 및 푸쉬버튼 유형의 조작을 위한 제어 엘러먼트(104)를 포함한다. 리필(100)은 쉬스(202) 내에 수용되며, 쉬스(202)의 하단 벽(206) 상에 배열된 폼(foam)(206a)과 같은 내부 커버링에 대하여 눌려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폼(206a)은, 리필(100)과 쉬스(202)의 하단 벽(206) 사이의 충격들을 감쇠시키는 것 및 리필(100)을 쉬스(202) 내에 정확하게 끼워 넣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쉬스(202)는 하부 케이싱(208a)을 더 포함한다.
도 1a와 도 9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패키징 디바이스(200)는 리필(100)이 쉬스(202) 내에 홀딩되는 로킹된 위치(도 1a 참조)와 리필(100)이 쉬스(2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언로킹된 위치(도 9 참조) 사이에서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기에 적절한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착탈가능 어셈블리(20)는 넥(102) 둘레에 그리고 리필(100)의 제어 엘러먼트(104) 둘레에 배열된다.
도 1b에서, 패키징 디바이스(200)는 내부 벽(212) 및, 삽입부(214)와 내부 벽(212) 사이에 하우징(216)을 획정하는 상기 삽입부(214)를 포함하는 캡(2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밸러스트 추(ballast weight)가 상기 하우징(216)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캡(210)의 내부 벽(214)은 상부 케이싱(208b) 내에 하우징된다.
패키징 디바이스의 축 A는 패키징 디바이스(200)의 길이 방향 축으로서 획정된다.
도 1a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착탈가능 어셈블리(20)가,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에 앵커링되기에 적절한 앵커 부재(30) 및 가이드 부재(40)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를 포함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앵커 부재(30) 및 가이드 부재(40)는 영구적인 방식으로 함께 클리핑(clip)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착탈가능 어셈블리(20)가,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와 구동기 부재(60)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52)으로부터 추력을 받으며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되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에 대하여 축 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되기에 적절한 구동기 부재(6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기 부재(60)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에 대하여, 구동기 부재(60)가 앵커 부재(30)로 하여금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에 앵커링되게끔 강제하는 구동된 위치, 및 구동기 부재가 앵커링 부재(30)를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로부터 릴리즈하는 풀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 상에 로킹하거나 또는 이를 거기로부터 언로킹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쉬스를 홀딩하면서 구동기 부재(60)를 쉬스(202)를 향해 누르는 것으로 충분하다.
착탈가능 어셈블리(20)는 도 2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부재(30)는, 전반적으로 타원형인 개구(34)를 획정하는 전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명확히 나타내는 관통형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구체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32)의 형상 및 치수들은 쉬스(202)의 개방 단부의 형상 및 치수들에 맞추어 적응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플레이트(32)가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에 기대어(against) 지탱되고, 플레이트 내의 개구(34)는 쉬스(202) 내의 개구와 동일한 축 A 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34)의 형상 및 치수들과 쉬스의 형상 및 치수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앵커 부재(30)는, 개구(34)를 따라 둘레에 규칙적으로 분포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4개의 텅들인, 쉬스(204)의 내부 벽 내에서의 클리핑을 위한 클립-체결구(clip-fastener) 텅들(36)을 더 포함한다. 쉬스(202)의 내부 벽을 향하는 그것의 면 상에서, 클립-체결구 텅들(36)의 각각은, 착탈가능 어셈블리(20)가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에 로킹되는 그것의 위치에 있을 때, 쉬스(202)의 내부 벽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208)과 함께 동작하기에 적절한 클립-체결구 립(36a)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들의 고유 탄력성(natural springiness)의 결과로서, 클립-체결구 텅들(36)은 쉬스(202)의 벽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radially) 멀어지도록 자연스럽게 배향되며, 그 결과 착탈가능 어셈블리가 쉬스의 개방 단부로부터 언로킹될 때, 텅들(36)의 립들(36a)이 쉬스(202)의 내부 벽 내에 형성된 홈들(208)로부터 탈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40)의 벽(40')이 전반적으로 튜브형이며 4개의 개구들(43)을 포함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 및 앵커 부재(30)가 함께 클리핑될 때, 개구들(43)은 앵커 부재(30)의 클립-체결구 텅들(36)을 향한다. 개구들(43)의 치수들 및 형상은 앵커 부재(30)의 클립-체결구 텅들(36)의 치수들 및 형상에 맞추어 적응된다.
가이드 부재(40)는, 쉬스(202)의 하단 벽(206)을 향하며 거기에 개구(42a)가 형성된 하단 벽(42)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40)는,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는 심장-형 캠들(44)(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캠들)을 더 포함한다. 심장-형 캠들(44)의 각각은, 가이드 부재(40)의 하단 벽(42)으로부터 축 방향 A로 돌출하는 축 방향 벽 부분(40'') 내에 형성된다. 2개의 부분들(40'')은, 가이드 부재(40)의 벽(40')으로부터 후퇴(set back)되며 쉬스(202)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나아가도록 하단 벽(42) 상에 배열된다.
각각의 심장-형 캠(44)은 쉬스(202)의 벽을 향하는 심장-형 경로(45)를 제공하며, 상기 심장-형 경로(45)는 심장-형 경로(45)에 대하여 "도드라지게(in relief)" 돌출하는 가이드 엘러먼트(46) 둘레에서 부분(40'') 내로 "리세스"된다. 가이드 부재(40)의 벽(40')이 심장-형 캠들(44)을 향하는 2개의 개구들(48)을 더 제공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4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탈출-방지 접합부들(38)이 앵커 부재(30) 상에 형성되며, 이들은 앵커 부재(30) 및 가이드 부재(40)가 함께 클리핑될 때 심장-형 캠들(44)의 심장-형 경로들(45)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각각의 탈출-방지 접합부(38)는 플레이트(32)의 개구(34)의 에지 상에 배열되며, 축 방향 A를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한다. 접합부들(38)은 결합 암(junction arm)(38a)에 의해 앵커 부재(30)의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앵커 부재(30) 및 가이드 부재(40)는, 가이드 부재(40)의 외측 벽 상에 형성된 립들(41)과 함께 동작하는 앵커 부재(30) 내에 형성된 리세스들(39)을 사용하여 함께 클리핑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6개의 립들(41) 및 6개의 리세스들(39)이 존재한다. 도 4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함께 고정되면, 앵커 부재(30) 및 가이드 부재(40)가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를 형성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구동기 부재(60)가 튜브형 베이스(64)에 의해 연장되는 튜브형 프레서 부분(62)을 포함하며, 프레서 부분(62) 및 베이스(64)가 방사상 연결 피스(66)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구동기 부재(60)는, 이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구동기 부재(60)를 리테이너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부재(40)의 내부 벽 상에 형성된 스플라인(spline)들(47)과 함께 동작하기에 적절한 가이드 홈들(64a)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가이드 홈들(64a) 및 4개의 스플라인들(47)이 존재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구동기 부재(60)가 스플라인들(47)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40)가 가이드 홈들(64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구동기 부재의 프레서 부분(62)이 크림핑(crimp)된 캡(7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추가적인 크림핑된 캡(80)이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캡(80)이, 플레이트(32)의 치수들에 맞는 측방 튜브형 부분(82), 및 구동기 부재(60)의 축 방향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고 또한 상부 케이싱(208b)의 클립-체결을 촉진시키도록 성형된 캡(70)을 둘러싸는 중심 튜브형 부분(84)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구동기 부재(60)는 가요성 탭들(68)(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탭들)을 더 포함하며, 탭들(68)의 각각의 자유 단부에는, 구동기 부재(60)가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상에 장착될 때 심장-형 캠들(44)의 심장-형 경로들(45)의 개별적인 심장-형 경로와 함께 동작하기에 적절한 팔로워 핀(68a)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탭들(68)은 쉬스(202)의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약간 반지름 방향으로 경사지며, 그 결과 팔로워 핀들(68a)이 심장-형 캠들(44) 상에 반지름 방향 힘(radial force)을 가하고, 자연스럽게 심장-형 캠들(44)의 심장-형 경로(45) 내에 맞물리는 경향이 있다.
쉬스의 벽을 향하는 가요성 탭(68)의 각각의 면이 앵커 부재(30)의 탈출-방지 접합부들에 기대어 접합부 내에 위치되기에 적절한 돌기(68b)를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구동된 위치에서, 탭들(68)이 탈출-방지 접합부들의 내부 면들에 기대어 배열되며, 이는 돌기들(68a)이 심장-형 캠들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a 및 도 1b 및 도 9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52)이 가이드 부재(40)의 하단 벽(42)에 기대어 지탱되도록 제 위치에 놓여진 이후에, 구동기 부재가 부분적으로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내로 삽입되며, 그 결과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홈들(47)이 구동기 부재(60)의 스플라인들 내에 맞물리고, 그 결과 팔로워 핀들(68a)이 심장-형 경로들(45) 내에 맞물린다. 따라서, 착탈가능 어셈블리(20)가 장착될 때, 스프링(52)이 쉬스(202)의 하단 벽(20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기 부재(60)에 추력을 가한다.
도 5a, 도 5b, 및 도 8a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의 외측 표면 상에서, 구동기 부재(60)의 베이스(66)는, 립들(36a)이 쉬스(202)의 홈들(208) 내에 캐치될 수 있도록(더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8a 참조) 구동기 부재(40)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에 도달할 때 텅들을 쉬스(202)를 향해 밀기 위하여 앵커 부재(30)의 클립-체결구 텅들(36)과 함께 동작하기에 적절한 프레서 표면들(69)(구체적으로, 8개의 프레서 표면들)을 포함한다.
심장-형 캠(44) 및 팔로워 핀(68a)과 심장-형 경로(45) 사이의 공동-동작이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심장-형 캠들(44)의 각각의 심장-형 경로(45)는 팁(tip)이 위쪽을 가리키는 뒤집힌 심장의 형상을 갖는다. 심장-형 경로(45)는 가이드 부재(40)의 부분(40'') 내로 리세스되며, 이는 상기 심장-형 경로(45) 내에서 팔로워 핀(68a)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 엘러먼트(46)를 "도드라지게" 형성한다. 가이드 엘러먼트(46)는, 심장-형 경로(45) 내에서 팔로워 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쉬스(202)의 하단 벽(206)을 향해 경사진 제 1 램프(ramp)(46a), 및 심장-형 경로(45) 내에서 팔로워 핀(68a)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쉬스(202)의 하단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제 2 램프(46b)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심장-형 경로(45)는 "팁"(451), 제 1 로브(lobe)(452), 및 제 2 로브(453)을 제공하며, 구동 트랙(454), 풀림 트랙(disengagement track)(455), 및 구동 트랙(454)과 풀림 트랙(455) 사이의 결합 부분(457)을 획정한다. 결합 부분(457)은 제 1 플랩(flap)(457a) 및 제 2 플랩(457b)을 포함한다.
심장-형 경로(45)는 심장의 팁 내에 형성된 상단 접합부(458) 및 가이드 엘러먼트(46)의 제 2 램프(46b)에 의해 형성된 하단 접합부(459)를 더 제공한다. 따라서, 심장-형 경로(45)의 제 1 플랩(457a)은 제 1 로브(452)의 하단 단부로부터 하단 접합부(459)로 연장하며, 제 2 플랩(457b)은 하단 접합부(459)로부터 제 2 로브(453)의 하단 단부로 연장한다.
도 3b에서, 그들의 상단 단부들에서, 가이드 부재(40)의 부분들(40'')의 각각이, 상기 심장-형 경로(45)의 팁(451)에서 심장-형 경로(45)로 이어지며 쉬스(204)의 하단 벽(206)을 향해 배향된 숄더(shoulder)로 아래로 연장하는 램프(441)를 형성하는 홈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해야만 한다. 숄더는 심장-형 경로(45)의 상단 접합부(458)에 대응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 1a 및 도 1b에서, 팔로워 핀(68a)의 자유 단부가, 장착 동안 팔로워 핀(68a)이 심장-형 캠(44)의 홈(441) 내로 들어가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드는 베벨형(beveled) 부분(68c)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만 한다. 구동기 부재(60) 및 가이드 부재(40)를 함께 어셈블리하는 동안, 팔로워 핀(68a)은 램프들(441)의 상단에 제공된다. 아래쪽을 향해 구동기 부재를 누르는 것이, 핀들(68a)이 램프들(441)을 넘어서 심장-형 캠들 내로 들어갈 때까지 탭들(68)이 굽어지게끔 한다. 스프링(52)의 영향 하에서, 각각의 팔로워 핀은 심장-형 경로(45)의 상단 접합부(458)에 기대어 차단(block)된다. 상단 접합부(458)는 또한 팔로워 핀(68a)이 부분(40'')의 램프(441) 내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심장-형 캠(44)은 심장-형 경로(45) 내에서 팔로워 핀(68a)에 대한 4개의 개별적인 위치들을 획정한다. 팔로워 핀(68a)의 제 1 안정적인 위치(PS1)는 구동기 부재(60)의 풀린 위치에 대응한다. 제 1 안정적인 위치(PS1)에서, 팔로워 핀(68a)은 스프링(52)의 추력의 영향 하에서 상단 접합부(458)에 기대어 심장-형 경로(45) 내에서 차단된다.
팔로워 핀(68a)의 제 2 안정적인 위치(PS2)는 구동기 부재(60)의 구동된 위치에 대응한다. 제 2 안정적인 위치에서, 팔로워 핀(68a)은 스프링(52)의 영향 하에서 하단 접합부(459)에 의해 심장-형 경로(45) 내에서 차단된다.
팔로워 핀(68a)의 제 1 불안정한 위치(PI1)는, 팔로워 핀(68a)이 그것의 제 1 안정적인 위치(PS1)로부터 쉬스(202)의 하단 벽(206)을 향해 이동된 이후에, 제 1 안정적인 위치(PS1)를 넘어 제 1 로브(452)의 하단 단부 내에 획정된다. 이러한 동작이 스프링(52)이 압축되게끔 한다.
팔로워 핀의 제 2 불안정한 위치(PI2)는, 팔로워 핀(68a)이 그것의 제 2 안정적인 위치(PS2)로부터 쉬스(202)의 하단 벽(204)을 향해 이동된 이후에, 제 2 안정적인 위치(PS2)를 넘어 제 2 로브(453)의 하단 단부 내에 획정된다. 이러한 동작이 스프링(52)이 압축되게끔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 어셈블리(20)가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 상에 로킹될 때, 구동기 부재(60)가 구동된 위치에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기 부재(60)의 구동된 위치에서, 팔로워 핀(68a)은, 쉬스(202)의 하단 벽(20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기 부재에 추력을 가하는 스프링(52)의 영향 하에서 하단 접합부(459)에 의해 제 2 안정적인 위치(PS2)에서 차단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로워 핀(68a)의 제 2 안정적인 위치(PS2)에서, 구동기 부재(60)의 프레서 부분들(69)이 클립-체결구 텅들(36)을 쉬스(202)의 내부 벽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밀어내며, 그 결과 텅들(36)의 립들(36a)이 쉬스(202)의 홈들(208) 내에 캐치된다.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로부터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언로킹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구동기 부재(60)의 프레서 부분(62)을 쉬스(202)의 하단 벽(206)을 향해 누른다. 이는, 팔로워 핀이 제 2 불안정한 위치(PI2)에 도달할 때까지 팔로워 핀(68a)으로 하여금 심장-형 경로(45)의 제 2 플랩(457b) 내에서 움직이게끔 한다. 사용자가 프레서 부분(62)을 누르는 것을 중단할 때, 구동기 부재(60)는 스프링(52)에 의해 가해지는 추력의 영향 하에서 쉬스(202)의 하단 벽(20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밀어 내어진다. 이는, 팔로워 핀이 구동기 부재가 그것의 풀린 위치에 있는 제 1 안정적인 위치(PS1)에 도달할 때까지 팔로워 핀(68a)으로 하여금 풀림 트랙(455) 내에서 움직이게끔 한다.
도 8b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기 부재(60)의 풀린 위치에서, 앵커 부재(30)의 클립-체결구 텅들(36)이 더 이상 구동기 부재(60)의 프레서 부분들(69)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받지 않으며, 그들의 고유 탄력성의 결과로서, 이들이 쉬스(202)의 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다시 튀어 오른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9에서 화살표(E)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로부터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제거할 수 있다.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쉬스(202)의 개방 단부(204) 상에 다시 로킹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구동기 부재(60)의 프레서 부분(62)을 다시 누르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는, 팔로워 핀이 제 1 불안정한 위치(PI1)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팔로워 핀(68a)이 그것의 구동 트랙(452) 내에서 움직이게끔 한다. 사용자가 프레서 부분(62)을 누르는 것을 중단할 때, 구동기 부재(60)가 스프링(52)의 추력을 받으며, 이는, 팔로워 핀이 제 2 안정적인 위치(PS2)에 도달할 때까지 팔로워 핀이 제 1 플랩(457a)을 따라 이동하게끔 한다.

Claims (14)

  1. 특히 화장품에 대한 유체 리필(100)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디바이스는 개방 단부(204)를 갖는 쉬스(sheath)(202), 및 상기 리필(100)이 상기 쉬스(202) 내에 홀딩되는 로킹(lock)된 위치와 상기 리필(100)이 상기 쉬스(2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언로킹(unlock)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쉬스(202)의 상기 개방 단부(204)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기에 적절한 착탈가능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상기 패키징 디바이스로서,
    상기 패키징 디바이스는, 상기 쉬스(202)의 상기 개방 단부(204)와 함께 동작하며 앵커(anchor) 부재(30)를 제공하는 리테이너 인터페이스(retainer interface)(50), 및 또한 거기에 대하여 이동되기에 적절한 동안에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와 함께 동작하는 구동기 부재(60)로서, 상기 구동기 부재(60)는,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에 대한 축 방향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 부재(60)가 상기 앵커 부재(30)로 하여금 상기 쉬스(202)의 상기 개방 단부(204)에 앵커링되도록 강제(urge)하는 구동된 위치 및 상기 구동기 부재가 상기 앵커 부재(30)를 릴리즈(release)하며 상기 착탈가능 어셈블리(20)가 상기 쉬스(202)의 상기 개방 단부(204)로부터 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풀린 위치로 이동되기에 적절한, 상기 구동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 어셈블리(20)는 단일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부재(60)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동된 이후에, 상기 구동기 부재(60)가 그것의 풀린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끔 강제하기에 적절한 추력(thrust) 수단을 더 포함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부재(60)는, 상기 구동기 부재(60)가 상기 쉬스(202)의 내부를 향해 눌려지는 것에 의해 그것의 구동된 위치로부터 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구동기 부재(60)는, 상기 구동기 부재(60)가 상기 쉬스(202)의 출구를 향해 밀어 내어지는 것에 의해 그것의 풀린 위치를 향해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패키징 디바이스.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력 수단은 스프링(52)을 포함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부재(60) 및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중에서 선택된 엘러먼트들 중 하나의 엘러먼트는, 상기 구동기 부재(60) 및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중에서 선택된 다른 엘러먼트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장-형 캠(heart-shaped cam)(44)과 함께 동작하는 팔로워 핀(follower pin)(68a)을 포함하며, 상기 캠은 상기 핀(68a)에 대한 심장-형 경로(45)를 획정(define)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팔로워 핀(68a)은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및 상기 구동기 부재(60) 중에서 선택된 상기 엘러먼트들 중 하나의 엘러먼트의 탭(tab)(68) 상에 형성되는, 패키징 디바이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는, 상기 팔로워 핀(68a)이 상기 심장-형 경로(45)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탭(68)을 향하여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방지 접합부(abutment)(38)를 제공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부재(30)는, 상기 앵커 부재(60)가 그것의 구동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쉬스(202)의 벽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208)와 함께 동작하기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6a)를 포함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앵커 부재(30)는 그 위에 상기 돌출부(36a)가 형성되는 텅(tongue)(36)을 포함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부재(60)는, 상기 앵커 부재(30)를 상기 쉬스(202)의 상기 개방 단부(204)에 앵커링하기 위하여, 상기 텅(36)을 상기 쉬스(202)의 벽을 향해 밀기에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서(presser) 표면(69)을 포함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텅(36)은 탄력적이며, 상기 앵커 부재(30)가 상기 쉬스(202)의 상기 개방 단부(204)에 앵커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정상(natural) 위치를 제공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인터페이스(50) 및 상기 구동기 부재(60)는 길이 방향 가이드 표면들(47, 64a)을 통해 서로 함께 동작하는, 패키징 디바이스.
  14. 유체 리필(100)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키징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패키징 어셈블리로서,
    상기 착탈가능 어셈블리는 상기 리필(100)의 넥(neck)(102) 둘레에 및/또는 상기 리필(100)의 제어 엘러먼트(104) 둘레에 배열되는, 패키징 어셈블리.
KR1020167026895A 2014-02-28 2015-02-23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 KR102220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1625A FR3018033B1 (fr) 2014-02-28 2014-02-28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e recharge d'un produit
FR1451625 2014-02-28
PCT/FR2015/050433 WO2015128572A2 (fr) 2014-02-28 2015-02-23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e recharge d'un prod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116A true KR20160127116A (ko) 2016-11-02
KR102220983B1 KR102220983B1 (ko) 2021-02-26

Family

ID=5072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895A KR102220983B1 (ko) 2014-02-28 2015-02-23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61177B2 (ko)
EP (1) EP3110283B1 (ko)
JP (1) JP6521465B2 (ko)
KR (1) KR102220983B1 (ko)
CN (1) CN106061320B (ko)
ES (1) ES2738383T3 (ko)
FR (1) FR3018033B1 (ko)
WO (1) WO20151285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6591B1 (fr) * 2015-05-26 2018-10-19 L'oreal Dispositif de traitement de la chevelure
CN111746140B (zh) * 2016-06-10 2022-05-1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墨水补充容器
US10350901B2 (en) * 2016-06-10 2019-07-16 Seiko Epson Corporation Ink bottle
ES2765860T3 (es) * 2016-07-29 2020-06-11 Aptar Radolfzell Gmbh Dispensador de líquido
FR3089431B1 (fr) 2018-12-05 2021-01-01 Qualipac S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par dose d’un produit fluide, incluant un flacon reutilisable
FR3101066B1 (fr) 2019-09-25 2022-02-25 Pochet Du Courval Récipient à contenant interne en verre et méthode d’assemblage du récipient par utilisation d’un insert d’espacement et verrouillage
KR102332817B1 (ko) * 2020-03-16 2021-11-30 (주)연우 이중 용기
US11382398B2 (en) * 2020-10-05 2022-07-12 Samhwa Co., Ltd Cosmetic container
FR3122650B1 (fr) * 2021-05-10 2023-05-12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FR3126287A1 (fr) 2021-08-30 2023-03-03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e recharge équipée d'une pompe
SE545150C2 (en) * 2021-10-13 2023-04-18 Simon Olsson Refillable dispenser for deodorant with an applicator part hinged to a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989A (en) * 1960-10-31 1963-03-12 Dorset Rex Inc Refillable holder for bottles and the like
US4371087A (en) * 1980-01-02 1983-02-01 Cartier International B.V. Package for perfume products
US5499747A (en) * 1994-05-16 1996-03-19 Quennessen; Bernard R. Retractable carrier for, and in combination with, a vial-type fluid dispenser
KR20150096525A (ko) * 2012-12-20 2015-08-24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제품 특별히 화장품 패키징을 위한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121A (en) * 1973-11-16 1975-08-19 Vca Corp Package having bottle support member therein
JPS60173225U (ja) * 1984-04-25 1985-11-16 株式会社 葛飾プレス工業所 棒状化粧料容器
JP2589730Y2 (ja) * 1993-08-27 1999-02-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容器
US5358147A (en) * 1993-09-02 1994-10-25 S. C. Johnson & Son, Inc. Spray dispensing package
FR2775258B1 (fr) * 1998-02-24 2000-05-12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et utilisation d'un te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cosmetique, pharmaceutique ou dermopharmaceutique
US6569387B1 (en) * 1999-08-10 2003-05-27 S.C. Johnson & Son, Inc. Dual function dispenser
JP2003180445A (ja) * 2001-12-20 2003-07-02 Yoshida Industry Co Ltd レフィル式ディスペンサー容器
FR2865910B1 (fr) * 2004-02-11 2006-04-28 Rexam Reboul Distributeur de produit cosmetique, hygienique ou pharmaceutique
FR2868050B1 (fr) * 2004-03-24 2006-06-02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GB0503095D0 (en) * 2005-02-15 2005-03-23 Reckitt Benckiser Uk Ltd Holder
PL2240382T3 (pl) * 2008-02-14 2013-06-28 Belcap Switzerland Ag Napełniane zamknięcie z przyciskiem do uruchamiania
FR2927825B1 (fr) * 2008-02-26 2011-08-26 Rexam Reboul Ensembl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R2942116B1 (fr) * 2009-02-17 2013-08-09 Oreal Dispositif de support d'un article cosmetique et procede associe
KR101050492B1 (ko) * 2009-06-09 2011-07-22 (주)연우 전동식 화장품 용기
FR2957590B1 (fr) * 2010-03-22 2014-04-25 Lindal France Sas Diffuseur a gachette
US8459508B2 (en) * 2010-07-30 2013-06-11 S.C. Johnson & Son, Inc. Shroud for a dispenser
JP5665176B2 (ja) * 2010-09-30 2015-02-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リフィール容器
TWI573540B (zh) * 2015-12-10 2017-03-11 Cosmetic contai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989A (en) * 1960-10-31 1963-03-12 Dorset Rex Inc Refillable holder for bottles and the like
US4371087A (en) * 1980-01-02 1983-02-01 Cartier International B.V. Package for perfume products
US5499747A (en) * 1994-05-16 1996-03-19 Quennessen; Bernard R. Retractable carrier for, and in combination with, a vial-type fluid dispenser
KR20150096525A (ko) * 2012-12-20 2015-08-24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제품 특별히 화장품 패키징을 위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8033A1 (fr) 2015-09-04
CN106061320A (zh) 2016-10-26
JP2017512077A (ja) 2017-05-18
US9861177B2 (en) 2018-01-09
CN106061320B (zh) 2019-10-18
WO2015128572A3 (fr) 2015-12-17
ES2738383T3 (es) 2020-01-22
FR3018033B1 (fr) 2016-03-25
EP3110283A2 (fr) 2017-01-04
US20170000237A1 (en) 2017-01-05
EP3110283B1 (fr) 2019-04-24
JP6521465B2 (ja) 2019-05-29
WO2015128572A2 (fr) 2015-09-03
KR102220983B1 (ko)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116A (ko) 유체 리필을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디바이스
JP4066408B2 (ja) アクチュエータ機構
EP1648539B1 (en) Medicament container with needle protection housing
US10399104B2 (en) Retractable covering element and product packaging and application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 system
US8807148B2 (en) Kit including a material application device, and use of such kit
KR10158440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150102952A (ko)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KR101555825B1 (ko) 주사 디바이스
CN109070120B (zh) 液体分配器
TW201029745A (en) Pump having a flexible mechanism for engagement with a dispenser
JPH09308526A (ja) 棒状化粧料容器および棒状化粧料カートリッジ
KR20240001257A (ko) 자동 주사 장치를 위한 낙하 테스트 특징부를 구비한 강성 바늘 쉴드 분리기
KR101562837B1 (ko) 주사기 캐리어용 체결 메커니즘을 갖는 주사 디바이스
JP2000135117A (ja) 化粧用ディスペンサ
US20050098584A1 (en) Dispensing device with pivoting spray nozzle
CN111727001A (zh) 用于饮用瓶的封闭件
JP4813354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CN110652097A (zh) 按钮式可替换包装管
US7359287B2 (en) Watch with a container
CN211483321U (zh) 按钮式可替换包装管
EP4035562A1 (en) Refill insert
CN109907467B (zh) 化妆品容器
KR101970255B1 (ko) 버튼 분리형 팩트
CN111918827A (zh) 片剂分配器
JP7470422B2 (ja) 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