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86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1869A KR20160071869A KR1020140179594A KR20140179594A KR20160071869A KR 20160071869 A KR20160071869 A KR 20160071869A KR 1020140179594 A KR1020140179594 A KR 1020140179594A KR 20140179594 A KR20140179594 A KR 20140179594A KR 20160071869 A KR20160071869 A KR 20160071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olling
- cursor
- control device
- display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크롤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와의 인터랙티브성을 강화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스크롤링을 구현한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자연스럽게 스크롤링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가 가리키는 실제 위치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한 상기 커서의 위치 사이의 거리차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커서의 모양은 기하학 형태의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커서의 모양은 원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모양을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가로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스크롤링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 및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스크린상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투명도, 색상값,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거리가 임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원래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의 검출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의 검출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 및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스크린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스크롤링을 수행할 때에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경험시켜 줄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가운데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걸쳐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경우에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경우에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에 추가할 수 있는 아이템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 화면에서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커서의 변형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가운데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걸쳐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경우에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경우에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에 추가할 수 있는 아이템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 화면에서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커서의 변형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에 위치하는 키의 선택은 키의 눌림 또는 키의 터치, 키의 드래그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는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또는 웹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제 컨텐츠가 출력되는 부분은 스크린 또는 화면으로 불리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1a 내지 1e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된다.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어 장치(2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200)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비디오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비디오 화면의 일부에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포함하는 스크롤링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5)에는 스크롤링 아이템(311 내지 321) 등을 포함하는 스크롤링 영역(310)이 제공되고,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300)가 표시될 수 있다.
스크롤링(scrolling)은 컴퓨터 디스플레이나 텔레비전 제품에서,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상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말한다. 스크롤링은 텍스트나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변경시키지 않고 전체적으로 보여지지 않는 더 큰 이미지를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자의 뷰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스크롤링은 대체로 컴퓨터에서 CPU 또는 그래픽 카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의 하단에는 스크롤링 영역(310)이 마련되어 있고, 스크롤링 영역(310)에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의 일부인 스크롤링 아이템(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이 표시되어 있다.
스크롤링 아이템들은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영상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템,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템, 사용자가 실행한 컨텐츠의 이력(history)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들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영화 또는 드라마에 대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영화 또는 드라마 포스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음악이 포함된 앨범의 포스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마지막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채널에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했던 화면 이미지 또는, 해당 채널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사용자가 실행한 컨텐츠의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컨텐츠에서 마지막으로 실행된 화면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크롤링 아이템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의 포트를 나타내는 아이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을 나타내는 아이템, PC 포트(PC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및 USB 포트(USB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일 수 있다.
통상,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는, 스크롤링 아이템들을 표시하기 위한 스크롤링 영역(310)보다 길며, 따라서 스크롤링 영역(310)에는 전체 스크롤링 리스트중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롤링 영역에 보여지지 않는 스크롤링 아이템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커서를 화면 가장자리에 부딪히면 부딪힌 방향으로 스크롤링 영역을 이동시키는 방식을 에지 스크롤이라 한다. 따라서,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영역(310)의 왼쪽 끝에서 더 스크롤링 함으로써 예를 들어 스크롤링 아이템(311) 보다 더 왼쪽에 배열된 스크롤링 아이템이 스크롤링 영역(31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크롤링 영역의 오른쪽 끝에서 더 스크롤링함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321)보다 더 오른쪽에 배열된 스크롤링 아이템을 스크롤링 영역(31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커서(cursor:300)는 컴퓨팅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 또는 포인팅 장치에 응답하여, 컴퓨터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말한다.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는 디스플레이상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는 주로 포인터(pointer)라고 불리운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서 움직이면 제어 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배치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의 에지가 아닌 부분 즉, 중간에 커서(300)가 표시될 때는 커서의 원래 모양인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커서(300)의 모양이 원형인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커서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것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의 에지에 닿은 경우 원래 원형이었던 커서의 모양이 찌그러져서 타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운데에서 에지쪽으로 진행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장치(200)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이 변형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가운데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하단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가 아닌 가운데에 표시되어 있으며, 커서(300)는 원래 모양인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닿은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스크롤링이 더 일어나는 경우 원형이었던 커서의 모양이 찌그러져서 타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300)가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장치(200)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이 변형되어 타원형으로 출력될 수 있다. 스크롤링 거리가 큰 경우에는 커서의 모양을 더 많이 변형시키고 스크롤링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커서의 모양을 더 조금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의 에지와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는 일치한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포인팅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에지 쪽으로 가져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가 화면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롤링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써 커서라는 딱딱한 요소를 물성을 가진 것처럼 사용자로 하여금 느끼게 할 수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에지 스크롤링 동작시 편하고 자연스럽고 재미를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에 위치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포인팅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의 에지 쪽으로 가져가서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롤링 영역(310)에 표시되는 스크롤링 아이템들을 원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의 모양과는 다르게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에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310)에 표시된 아이템들은 도 1d에 도시된 원래의 형태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보다 높이는 줄어들고 너비는 넓어진 형태로 출력됨이 표시되어 있다. 각 아이템의 너비가 넓어졌기 때문에 도 1d에서는 311부터 321까지 11개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스크롤링 영역(310)에 표시되었지만 도 1e에서는 311부터 319까지 9개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표시되었다. 또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킬 때 높이만 변경시커나 너비만 변경시키거나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서 더 많이 스크롤링하려고 하면 스크롤링 아이템들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함으로써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 제어부(180), 및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커서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 장치(200)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을 변경시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가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한 것에 응답해서 스크롤링 영역에 표시되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60)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6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커서의 모양과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6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제어부(180),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에 복수개의 윈도우로 구성된 멀티 윈도우 화면이 제공되고 복수개의 윈도우 각각에 복수개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디오가 출력될 때, 비디오 처리부(110)는 복수개의 비디오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비디오를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에 제어에 의해, 커서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 장치(200)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의 모양은 기하학 형태의 모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의 모양은 원 형태이며, 변형된 커서의 모양은 타원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에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스크롤링 방향이 가로 방향이면 상기 커서를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고 상기 제어 장치(200)의 스크롤링 방향이 세로 방향이면 커서를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커서가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한 것에 응답해서,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스크롤링 아이템의 투명도, 색상값,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가 화면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소정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40)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튜너부(140)은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튜너부(14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되는 멀티윈도우 화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윈도우에 복수개의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튜너부(1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은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크린 상에 표시될 커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커서의 모양을 기하학 형태의 모양으로 할 수 있고, 커서의 모양을 원 형태로 할 수 있고, 변형된 커서의 모양을 타원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된 스크롤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커서가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한 것에 응답해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163),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및 후면 중 하나에 위치하는 패널 키(panel key, 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표시하고, 커서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 장치(200)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가 가리키는 실제 포인팅 위치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한 커서의 위치 사이의 거리차에 기초하여 스크롤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원래 형태가 원 형태인 커서를 스크롤링 거리에 기초하여 커서의 모양을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가로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고,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스크롤링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을 제공하고,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가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투명도, 색상값,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크롤링 거리가 임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원래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에 제공하고,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 검출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에 제공하고,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 검출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커서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 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광 수신부(163),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61) 및 카메라부(162) 중 하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은, 커서의 변형 정도에 관한 사용자 설정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에 관한 사용자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할 수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00)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30)는 도 4b의 (a)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a)와 같이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201)를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는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 애플리케이션, 또는 아이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방향 키나 버튼은 상, 하, 좌, 우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입력부(230)는 4방향 키나 4 방향 버튼 대신에 2 방향 키나 2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도 4b의 (b)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b)와 같이 터치 패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230)는 제어 장치(200)의 터치 패드를 통해 드래그(drag), 터치(touch) 또는 플립(fli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를 들면,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방향, 터치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도 4b의 (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c)는, 4 방향키(204), 터치 패드(203)를 모두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0)가 포인팅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200)의 자이로 센서(241)를 이용하여 기울이는 방향 또는 각도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는 감지된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커서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를 통하여 감지된 제어 장치(200)의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 키, 터치패드, 포인팅 기능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키, 터치패드, 포인팅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변형 정도,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도 3,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구현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의 어느 위치를 가리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60)는 제어 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80)는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커서가 출력될 스크린 상의 좌표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스크린상의 계산된 위치에 커서(3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한다.
도 3,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구현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의 어느 에지에 접촉하도록 제어장치(200)를 동작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60)는 제어 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80)는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커서가 출력될 스크린 상의 좌표를 계산하는데 이때 계산 결과에 따라 커서가 출력될 스크린상의 좌표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고, 또한 제어 장치가 가리키는 위치가 화면의 바깥쪽으로 더 나아가서 스크롤링 거리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키도록 그래픽 처리부(184)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스크린상의 계산된 위치에 변형된 모양의 커서(3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한다.
스크린의 에지는 스크린의 위쪽 에지, 아래쪽 에지, 왼쪽 에지, 및 오른쪽 에지를 포함한다. 이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에서는 일 예에 따라 스크롤링 영역(600)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일부에 배열되어 도 1a 내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링 영역의 에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와 일치하는 경우에, 스크롤링 영역상에서 커서가 움직이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서는 스크롤링 영역상에서의 이동 뿐만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에서 화면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커서의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라 x 축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 직전의 커서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는 화면에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600)을 제공한다. 스크롤링 영역(600)에는 스크롤링 아이템(610)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되어 있다.
620은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 즉, 마우스나 리모트 콘트롤러와 같은 제어 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를 나타낸다. 630은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도시된 것이며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화면상에 출력하지 않고, 포인팅 위치(620)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630)의 표시 및 커서(630)의 변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에 대응하는 커서(630)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포인팅 위치(620)에 기초하여 스크롤링 거리를 계산하며 이러한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커서의 모양을 변형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내부에 있을 때,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가 x축 스크롤 바운더리(640)에 위치할 때가지는 커서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스크롤링 바운더리(640)은 예를 들어, 커서(630)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끝 에지에 닿았을 때,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끝 에지로부터 커서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가 x축 스크롤 바운더리(640)를 벗어나서 스크롤링 영역(600)의 바깥으로 나가기 시작하면, 즉,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에지에 접촉하고 또한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가 스크롤링 영역(600) 바깥으로 이동하여 에지 스크롤링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커서의 변형이 시작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내부의 x축 스크롤 바운더리(640) 상에 있어서, 아직 에지 스크롤링이 일어나기 전이며 따라서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와 커서(630)의 위치는 동일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커서(630)를 원래의 형태인 원형을 유지하여 출력한다.
도 6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지 스크롤 후의 커서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을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끝보다 더 바깥으로 향하게 하여,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범위를 벗어나 스크롤링 영역(600)의 바깥까지 나와있다. 스크롤링 범위(650)는 ex로 표시되어 있으며, 현재 포인팅 위치(620)로부터 x축 스크롤 바운더리(640)까지의 거리인 스크롤링 거리는 dx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x 축 방향으로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끝보다 더 왼쪽에 있어서 스크롤링 거리(dx)가 발생했지만, 스크롤링 영역(600)의 y 축 방향으로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범위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y 축 방향으로는 스크롤링 거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스크롤링 거리가 하나의 축인 x 축에서 발생한 경우 커서 변형시 커서의 확대/축소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rx=커서의 x 축상 확대/축소 비율
ry=커서의 y 축상 확대/축소 비율
rx 나 ry가 1인 경우는 커서의 확대나 축소 없이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하고, rx, ry가 1보다 작은 경우는 x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각각 커서가 축소되는 상태, rx, ry가 1보다 큰 경우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커서가 확대되는 상태를 말한다.
도 6의 (b)의 경우, x 축상으로만 스크롤링 거리(dx)가 발생하고 y 축상으로는 스크롤링 거리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dy=0이다. 그리고, 커서가 x 축 방향으로 축소되는 양 만큼 y축 방향으로는 확대되어야 하기 때문에, ry는 rx를 통해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커서의 확대/축소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x=1-(dx/ex)
ry=2-rx
이와 같이 계산된 rx, ry에 따라 x 축상으로는 축소되고, y 축상으로는 확대된 커서(630)의 모양이 도 6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도 7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라 y 축 방향으로 에지 스크롤 직전의 커서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스크롤링 영역(600)에는 스크롤링 아이템(610)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되어 있다.
620은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를 나타낸다. 630은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도시된 것이며 실제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화면상에 출력하지 않고, 포인팅 위치(620)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630)의 표시 및 커서(630)의 변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포인팅 위치에 기초하여 스크롤링 거리를 계산하며 이러한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커서의 모양을 변형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내부에 있을 때,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가 y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60)에 위치할 때까지는 커서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Y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40)은 예를 들어, 커서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아래쪽 에지에 닿았을 때, 스크롤링 영역(600)의 아래쪽 에지로부터 커서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가 y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60)를 벗어나서 스크롤링 영역(600)의 바깥으로 나가기 시작하면, 즉,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에지에 접촉하고 또한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가 스크롤링 영역(600) 바깥으로 이동하여 에지 스크롤링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커서의 변형이 시작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내부의 y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60) 상에 있어서, 아직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기 전이며 따라서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와 커서(630)의 위치는 동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커서(630)를 원래의 형태인 원형을 유지하여 출력한다.
도 7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지 스크롤 후의 커서의 출력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을 스크롤링 영역(600)의 바닥(bottom)쪽 끝보다 더 바깥으로 향하게 하여,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범위를 벗어나 스크롤링 영역(600)의 바깥까지 나와있다. y축 스크롤링 범위(670)는 ey로 표시되어 있으며 현재 포인팅 위치(620)로부터 y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60)까지의 거리인 스크롤링 거리는 dy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y 축 방향으로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바닥쪽 끝보다 더 아래에 있어서 스크롤링 거리(dy)가 발생했지만, 스크롤링 영역(600)의 x 축 방향으로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범위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x 축 방향으로는 스크롤링 거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도 7의 (b)의 경우, y 축상으로만 스크롤링 거리(dy)가 발생하고 x 축상으로는 스크롤링 거리기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dx=0이다. 그리고, 커서가 y 축 방향으로 축소되는 양 만큼 x축 방향으로는 확대되어야 하기 때문에, rx는 ry를 통해서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커서의 확대/축소 비율 rx, ry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y=1-(dy/ey)
rx=2-ry
이와 같이 계산된 rx, ry에 따라 x 축상으로는 확대되고, y 축상으로는 축소된 커서(630)의 모양이 도 7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걸쳐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는 경우에 커서의 모양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모두 에지 스크롤이 일어난 경우 즉 x축 방향 및 y 축 방향 양쪽으로 스크롤링 거리가 발생한 경우에도 도 6 및 도 7에서의 계산 방법에 따라 rx, ry를 계산하면 커서는 x축상으로도 축소되고 y축상으로도 축소되기 때문에 커서의 모양이 너무 작아져서 시각적으로 보기에 좋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x축 및 y축으로 모두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6 및 도 7에서의 계산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620)는 스크롤링 영역(600)의 x 축상으로도 바깥에 있고 y축상으로도 바깥에 있기 때문에 dx 및 dy가 모두 존재한다.
dx는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의 x좌표로부터 x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40)까지의 거리
dy는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의 y좌표로부터 y축 스크롤링 바운더리(660)까지의 거리
rx=1-(dx/ex)
ry=1-(dy/ey)
그리고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모두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오프셋을 계산해서 rx, ry에 더해준다.
s=rx+ry
rx+=(2-s)*rx/s
ry+=(2-s)*ry/s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위치에 따라 x축 스크롤링 거리(dx), 및 y축 스크롤링 거리(dy)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커서의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모두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서의 확대/축소 비율 rx, ry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x=(rx) + (rx+)
ry=(ry) + (ry+)
이와 같이 계산된 rx, ry에 따라 x축 및 y축으로 모두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대/축소 비율이 결정된 커서(630)의 모양이 도 8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스크롤링 속도를 연동시킬 수 있다. 즉, 커서가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면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가 실제 가리키는 위치가 스크린에서부터 얼마나 멀어지는가에 비례하여 커서의 모양을 찌그러뜨리고, 또한 얼마나 찌그러졌는지의 정도에 따라 스크롤링되는 속도를 유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는 커서가 스크린의 에지에 부딪혔을 때 사용자는 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ex: 스크롤링 범위
px: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의 x좌표
bx= x축상의 베이스 위치
HeadPos: 스크롤의 시작 위치
스크롤의 세기 v는 0 부터 1까지 변화할 수 있는 값으로서,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v=abs(px-bx)/ex
px와 bx가 동일하여 v=0 은, 스크롤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말하고,
기본 이동거리 상수는 CHANGEAMOUNT 이다.
스크롤링 영역(600)에서 왼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의 HeadPo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HeadPos+=v*CHANGEAMOUNT
즉, 왼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의 HeadPos 값은 이전 HeadPos값에 v*CHANGEAMOUNT을 더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9의 (a)의 상태 즉, HeadPos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끝에 위치된 상태에서, 왼쪽방향으로 더 스크롤링을 함으로써 HeadPos 변화량 즉, HeadPos+ 가 v*CHANGEAMOUNT 인 경우, HeadPos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a)에 도시된 HeadPos 값으로부터 v*CHANGEAMOUNT 만큼 증가된 위치의 값으로 된다.
또한 오른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의 HeadPo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HeadPos-=v*CHANGEAMOUNT
즉, 오른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의 HeadPos 값은 이전 HeadPos값에 v*CHANGEAMOUNT을 뺌으로써 얻어진다. 도 9의 (a)의 상태 즉, HeadPos가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끝에 위치된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더 스크롤링을 함으로써 HeadPos 변화량 즉, HeadPos- 가 v*CHANGEAMOUNT 인 경우, HeadPos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a)에 도시된 HeadPos 값으로부터 v*CHANGEAMOUNT 만큼 감소된 위치의 값으로 된다.
도 10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 커서(630a)의 에지 스크롤 전에 표시되는 원래 형태를 나타낸다.
원형 커서(630a)의 높이는 Height 이고, 너비는 Width로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지 스크롤 발생후 원형 커서가 타원형 형태로 변형된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620)가 스크롤 영역의 왼쪽 끝을 넘어서 스크롤 영역의 바깥에 있으므로 에지 스크롤이 일어나서 원형 커서는 타원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서의 변형 비율 즉 확대/축소 비율 rx와 ry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if (dx==0 && dy==0) {rx = ry = 1;}
else if (dx==0) {ry=1-(dy/ey); rx=2-ry;}
else if (dy==0) {rx=1-(dx/ex); ry=2-rx;}
else {rx=1-(dx/ex); ry=1-(dy/ey);
s=rx+ry;
rx+=(2-s)*rx/s; ry+=(2-s)*ry/s;
}
계산된 rx 및 ry에 기초하여 반지름이 CURSOR_RADIUS인 커서의 너비, 높이,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커서의 폭 Width=rx*CURSOR_RADIUS*2
커서의 높이 Height=ry*CURSOR_RADIUS*2
커서의 x좌표 X=l (스크롤 영역의 왼쪽 끝 바운더리)
커서의 y좌표 Y=py-Height/2 (py:실제 포인팅 위치의 y 좌표값)
커서의 모양은 도 10에서 원형의 예를 들었지만,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나 그냥 사각형이나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630b)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형태인 경우에도 도 10에서와 마찬가지로 커서의 폭과 높이 및 위치가 계산될 수 있다. 다만 커서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는 경우에, CURSOR_RADIUS 대신에 Width/2 나 Height/2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의 (b)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형태가 변형되어, (a)에 도시된 원래의 사각형보다 높이는 더 커지고 너비는 더 좁아진 형태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커서(630b)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커서의 변형 값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630c)가 사각형 형태인 경우에도 도 10에서와 마찬가지로 커서의 폭과 높이 및 위치가 계산될 수 있다. 다만 커서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는 경우에, CURSOR_RADIUS 대신에 Width/2 나 Height/2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의 (b)에는 사각형의 형태가 변형되어, (a)에 도시된 원래의 사각형보다 높이는 더 커지고 너비는 더 좁아진 형태의 사각형의 커서(630c)가 표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커서의 형태로서 원형,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사각형의 예를 들었지만, 어떠한 형태의 커서 모양이라도 커서의 변형을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나 다이아몬드 형태와 같이 커서가 높이와 너비를 갖는 도형이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계산 방법에 따라서 커서의 변형을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스크롤링 아이템을 변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어 장치의 포인팅 위치에 따라 스크롤링 리스트에서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면, 스크롤링 아이템을 변형함으로써,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13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 및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스크린상에 제공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의 하단에 스크롤링 영역(700)을 제공한다. 스크롤링 영역(700)에는 스크롤링 리스트가 표시되고 스크롤링 리스트에는 복수개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배열되어 있다. 도 14의 (a)에서 스크롤링 영역(700)내에는 스크롤링 아이템(701-708)이 표시되어 있다. 각 스크롤링 아이템은 예를 들어 높이 h와 너비 w를 가지는 사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720)를 디스플레이부(115)의 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단계 13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가 상기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서 더 많이 스크롤하려고 할 때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720)는 스크롤링 영역(700)의 왼쪽 바운더리에 닿는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인지시키기 위해서 스크롤링 아이템을 변형시켜 출력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를 h'으로 너비를 w'으로 변형하여 출력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경우에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의 (a)에는 스크롤링 아이템(801,802,803,804)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800)이 도시되어 있다. 각 스크롤링 아이템은 높이 h와 너비 w의 크기를 가진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인지시키기 위해서 스크롤링 아이템을 변형시켜 출력한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롤링 영역(800)에 스크롤링 아이템 (801,802,803)을 표시하고,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는 h'으로줄어들고 너비는 w'으로 넓혀서 출력한다. 이때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만을 변형하거나,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너비 만을 변형하거나, 높이와 너비 모두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를 줄이고 줄어든 높이만큼 너비를 늘림으로써, 변형되기 전 원래의 스크롤링 아이템의 넓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경우에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의 (a)에는 스크롤링 아이템(901,902,903,904)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900)이 도시되어 있다. 각 스크롤링 아이템은 높이 h와 너비 w의 크기를 가진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인지시키기 위해서 스크롤링 아이템을 변형시켜 출력한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롤링 영역(900)에 스크롤링 아이템 (901,902,903)을 표시하고,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는 h'으로줄어들고 너비는 w'으로 넓혀서 출력한다. 이때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만을 변형하거나, 각 스크롤링 아이템의 너비 만을 변형하거나, 높이와 너비 모두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에 추가할 수 있는 아이템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했음을 자연스럽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사이즈를 변형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스크롤링 아이템의 속성을 더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롤링 아이템 즉 높이가 줄어들고 너비가 넓어진 스크롤링 아이템의 상태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투명도를 변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롤링 아이템 즉 높이가 줄어들고 너비가 넓어진 스크롤링 아이템의 상태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색상값을 변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롤링 아이템 즉 높이가 줄어들고 너비가 넓어진 스크롤링 아이템의 상태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명도를 변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롤링 아이템 즉 높이가 줄어들고 너비가 넓어진 스크롤링 아이템의 상태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채도를 변화시켜 줄 수 있다.
도 18a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8a의 (a)를 참조하면,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900)과,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910)가 표시되어 있다. 스크롤링 리스트(910)은 9개의 스크롤링 아이템 A, B, C, D, E, F, G, H, I, K, L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크롤링 영역(900)은 6개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고, 도 18a의 (a)에서는 스크롤링 영역(900)에 스크롤링 아이템 D부터 I까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영역(900)에서 왼쪽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 D의 왼쪽 부분에 배열되어 보여지지 않던 스크롤링 아이템 A, B, C를 스크롤링 영역(900)에 더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오른쪽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 I의 오른쪽 부분에 배열되어 보여지지 않던 스크롤링 아이템 J, K, L을 스크롤링 영역(900)에 더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스크롤링 리스트의 길이는 모든 스크롤링 아이템들의 너비의 합으로서 contentsize로 표시되어 있고, 스크롤링 영역(900)의 길이는 Width로 표시되어 있다.
HeadPos는 스크롤링 리스트(900)의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바운더리 부분을 0으로 기준으로 삼고,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의 길이를 1로 정한다면, 도 18a의 (a)에서 HeadPos는 -3이 된다.
도 18a의 (b)를 참조하면, 도 18a의 (a)에 도시된 스크롤링 아이템 표시 상태에서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오른쪽 스크롤링에 의해 스크롤링 영역(900)에 스크롤링 리스트의 오른쪽 끝부분에 있는 6개의 스크롤링 아이템 G 부터 L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 18b에서 HeadPos는 -6이 된다.
도 18a의 (c)를 참조하면, 도 18a의 (b)에 도시된 스크롤링 아이템 표시 상태에서 제어 장치를 이용한 왼쪽 스크롤링에 의해 스크롤링 영역(900)에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 부분에 있는 6개의 스크롤링 아이템 B 부터 G가 표시된다. 그리고 도 18c에서 HeadPos는 -1이 된다.
도 18a의 (d)를 참조하면, 도 18a의 (c)에 도시된 스크롤링 아이템 표시 상태에서 제어 장치를 이용한 또다른 왼쪽 스크롤링에 의해 스크롤링 영역(900)에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 끝부분에 있는 6개의 스크롤링 아이템 A 부터 F가 표시된다. 도 도 18a의 (d)에서 스크롤링 리스트의 시작 위치인 HeadPos는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바운더리 위치와 일치하여 0이 된다.
HeadPos는 ?ontentsize + Width 에서부터 0까지의 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8a의 (b)에 도시된 스크롤링 리스트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이 오른쪽 끝까지 스크롤링되어 스크롤링 영역(900)에 오른쪽 끝 스크롤링 아이템 6개가 포함된 경우, HeadPos는 최소값을 가진다. 이 경우 HeadPos 값은 ?ontentsize + Width 가 된다. HeadPos의 최대값은 도 18a의 (d)에 도시된 경우 즉, 스크롤링 리스트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이 왼쪽 끝까지 스크롤링되어 스크롤링 영역(900)에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 끝 스크롤링 아이템 6개가 포함된 경우이다. 이때의 HeadPos 값은 0 으로서 HeadPos의 최대값이다. 따라서, HeadPos는 일반적인 스크롤링 상태에서는 <?ontentsize + Width> 에서부터 <0>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8a의 (d)에서 HeadPos는 아이템을 그리기 시작하는 위치인 DrawingHeadPos와 동일하다.
그런데 도 18a의 (d)의 스크롤링 아이템 표시 상태 즉, 스크롤링 영역(600)의 왼쪽 바운더리에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 끝까지 다다른 경우에 사용자가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왼쪽으로 더 스크롤링하려고 하면 도 18a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adPos 값이 0보다 더 커지게 되는 특수한 상황이 된다. 도 18a의 (e)를 참조하면, 윗쪽은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에지에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 끝이 다다른 상태의 스크롤링 리스트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왼쪽으로 더 스크롤링하려고 하면 도 18e의 아래쪽과 같이 스크롤링 리스트의 시작 위치인 HeadPos의 값이 0 보다 더 커지고, 결국 DrawingHeadPos와 HeadPos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 범위인 0보다 커지게 됨을 검출함으로써,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다다랐으므로 스크롤링 아이템 변형을 시작하는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8a의 (b)에 도시된 스크롤링 아이템 표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롤링을 오른쪽 끝으로 더 진행함으로써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 범위인 ?ontentsize+Width 보다 더 작아지게 됨을 검출함으로써,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다다랐으므로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을 시작하는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8a의 (e)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서 더 스크롤링이 일어나는 경우에,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끝부분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을 그리기 시작하는 위치 즉, DrawingHeadPos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 부분에 도달했음을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인식시켜 주기 위해, 도 18a의 (2)의 상황에서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끝부분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을 그리기 시작하는 위치 DrawingHeadPos를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바운더리가 아니라 왼쪽 바운더리보다 좀더 오른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DrawingHeadPos의 값은 다음과 같은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float AutoScrollArea::calcDrawHeadPos() {
if (HeadPos < -Contentsize+Width) {// HeadPos 값이 -Contentsize+Width 보다 작은 경우
const float d = (-Contentsize+ Width - HeadPos);
const float t = d / Width;
return
-contentSize+Width-MOVELIMIT*interp(t); // 옆의 식과 같이 DrawHeadPos 계산
}
else if (HeadPos > 0) { //HeadPos가 0보다 큰 경우
const float d = HeadPos;
const float t = d / Width;
return MOVELIMIT*interp(t);
} //옆의 식과 같이 DrawHeadPos 계산
return HeadPos; // HeadPos 값이 -Contentsize+Width 보다 작지 않고, 0보다 크지 않은 경우 DrawHeadPos 값은 HeadPos 값과 동일
}
위 계산 방법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8a의 (f)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8a의 (f)을 참조하면, 스크롤링 아이템의 디폴트 높이는 DEFSIZE이고 스크롤링 아이템 변형에 따라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는 size로 표시되어있다. 또한 스크롤링 아이템의 디폴트 상태에서의 y 축 위치는 DEFPOS이고, 스크롤링 아이템 변형에 따라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의 y 축 위치는 POS로 표시되어 있다. DEFORMLIMIT는 스크롤링 아이템이 변형되는 양의 최대값을 말한다.
이제,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와 위치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DEFSIZE=100
DEFORMLIMIT=0.8
if (headpos<-contentSize+width) { // 오른쪽 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하려는 경우
t=(-contentSize+width-HeadPos)/width; // t를 계산
}
else if (headPos>0) { // 왼쪽 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하려는 경우
t=HeadPos/width; //t를 계산
}
size=DEFSIZE*lerp(1,DEFORMLIMIT,interp(t));//size 계산
pos=DEFPOS+(DEFAULTSIZE-size)/2 //Pos 계산
여기서, lerp() 선형 보간 함수로서 lerp(a,b,t)=a+t(b-a)으로 계산된다. lerp()는 a에서 b까지 변화시키는데 t 만큼 갔을 때의 값을 돌려주는 것으로, 하나의 값에서 다른 값으로 부드럽게 변화시키고 싶을 때 이용되는 함수이다.
따라서, lerp(1,DEFORMLIMIT,interp(t))는 1에서 DEFORMLIMIT까지 변화시키는데, interp(t) 에서의 값을 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인 size는 디폴트 사이즈 100을 기준으로 1에서 0.8(위에서 DEFORMLIMIT 설정값)까지 변화시키는데, 이를 lerp(1,DEFORMLIMIT,interp(t))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제 도 18b를 참조하여 lerp(1,DEFORMLIMIT,interp(t))을 설명한다.
도 18b에 Interp(t) 보간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Interp(t)는 1에 가까울 수록 낮은 기울기의 보간 곡선(Interpolation Curve)이다.
본 실시예에서 t는 HeadPos에 비례하는 값이다. 도 18a의 (f)에 도시된 상태를 예로 들면,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이 스크롤링 영역의 왼쪽 바운더리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더 왼쪽으로 스크롤링을 하면 HeadPos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데, 왼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값이 작으면 HeadPos도 작아지게 되고, HeadPos와 비례하는 값인 t도 작아지게 된다. 도 18b를 참조하면 t가 작은 값인 경우에는 Interp(t)는 상대적으로 기울기의 변화가 큰 값을 가지게 되고, lerp(1,DEFORMLIMIT,interp(t))=1+ interp(t) (DEFORMLIMIT-1)이므로, lerp는 상대적으로 급격히 값이 변화하게 된다.
또한 도 18a의 (f)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값이 커지면 HeadPos도 커지게 되고, HeadPos와 비례하는 값인 t도 커지게 된다. 도 18b를 참조하면 t가 큰 값인 경우에는 Interp(t)는 상대적으로 기울기의 변화가 작은 값을 가지게 되고, lerp(1,DEFORMLIMIT,interp(t)) = 1+ interp(t) (DEFORMLIMIT-1)이므로, lerp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값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의 범위를 적게 벗어난 경우에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인 Size의 변화량은 크고,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의 범위를 많이 벗어날 수록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인 Size의 변화량은 작아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저항력이 커짐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8a의 (f)를 참조하면,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이 스크롤링 영역의 왼쪽 바운더리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더 왼쪽으로 스크롤링을 하면 HeadPos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실제 스크롤링 아이템을 그리기 시작하는 위치인 DrawingHeadPos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8a의 (f)를 참조하면 DrawingHeadPos는 스크롤링 영역(900)의 왼쪽 바운더리와 일치하지 않고, 스크롤링 영역의 왼쪽 바운더리보다 약간 오른쪽의 위치에서 시작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DrawingHeadPo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if (headPos<-contentSize+width) {// 오른쪽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하려는 경우
t=(-contentSize+width-HeadPos)/width;
return ContentSize+width-MOVELIMIT*interp(t)
}
else if (headPos>0) { // 왼쪽 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하려는 경우
t=HeadPos/width;
return MOVELIMIT*interp(t)
여기서, MOVELIMIT은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서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상수값을 나타내고,
Interp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에 가까울 수록 낮은 기울기를 가지는 보간 곡선이다.
위에서 왼쪽 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하려는 경우를 예로 들면, t는 HeadPos에 비례하는 값이고, Interp(t)는 1에 가까울 수록 낮은 기울기의 보간 곡선(Interpolation Curve)이다.
도 18a의 (f)에 도시된 상태를 예로 들면,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이 스크롤링 영역의 왼쪽 바운더리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더 왼쪽으로 스크롤링을 하면 HeadPos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데, 왼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값이 작으면 HeadPos도 작아지게 되고, HeadPos와 비례하는 값인 t도 작아지게 된다. 도 18b를 참조하면 t가 작은 값인 경우에는 Interp(t)는 상대적으로 기울기의 변화가 큰 값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DrawingHeadPos= MOVELIMIT*interp(t)으로서 기울기의 변화가 큰값을 가지게 된다.
도 18a의 (f)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크롤링 리스트의 왼쪽이 스크롤링 영역의 왼쪽 바운더리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더 왼쪽으로 스크롤링을 하면 HeadPos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데, 왼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값이 커지면 HeadPos도 커지게 되고, HeadPos와 비례하는 값인 t도 커지게 된다. 도 18b를 참조하면 t가 큰 값인 경우에는 Interp(t)는 상대적으로 기울기의 변화가 작은 값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DrawingHeadPos= MOVELIMIT*interp(t)으로서 기울기의 변화가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의 범위를 적게 벗어난 경우에는 DrawingHeadPos 의 변화량은 크고,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의 범위를 많이 벗어날 수록 DrawingHeadPos 의 변화량은 작아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저항력이 커짐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도 18a의 (g)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을 원래의 형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을 원래의 형태로 복귀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HeadPos가 일반적인 HeadPos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스크롤링 동작 중이 아닌 경우, 즉 스크롤링 동작이 해제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을 원래의 형태로 복귀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if (Headpos<-contentSize+width) {
// 오른쪽 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된 경우 다음과 같이 애니메이션 수행
value0=HeadPos; value1=-contentSize+width;
startAt=elapsedTime();
startAnimation();
}
else if (HeadPos>0) {
// 왼쪽끝보다 더 많이 스크롤된 경우 다음과 같이 애니메이션 수행
value0=HeadPos; value1=0;
startAt=elapsedTime();
startAnimation();
DURATION;
// 복귀 Animation Duration
t=elapsedTime()-startAt;
v=1;
// 경과시간이 이미 지나면 기본값 1
if (t<DURATION)
v=t/DURATION;
else
stopAnimation();
// animation 종료
HeadPos=lerp(value0,value1,interp(v));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 영역(10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로 방향 스크롤링 영역(1000)에는 스크롤링 아이템 1010,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 1080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중 일부 스크롤링 아이템 1020 내지 1060이 표시된다. 일 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 1010,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 1080은 각각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1, 2, 3, 4, 5, 6, 7, 8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리스트를 가로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 1010부터 스크롤링 아이템 1080 중 일부 스크롤링 아이템을 스크롤링 영역(100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로방향 스크롤링 리스트의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3을 나타내는 스크롤링 아이템(1030)이 선택된 상태에서 또는 단지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커서가 스크롤링 아이템(1030)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을 이용하여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수행하면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세로 방향 스크롤링은 사용자가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아이템(1030) 상에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3 에 대응하는 세로 방향 스크롤링 리스트에는 스크롤링 아이템으로서 부가정보 1(1030-1), 부가정보 2(1030-2)를 포함한다. 도 19의 (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3을 나타내는 스크롤링 아이템 (1030)의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링을 하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정보 2를 나타내는 스크롤링 아이템(1030-2)을 스크롤링 영역(100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3에 대응하는 스크롤링 아이템(1030)과 관련한 세로 방향 스크롤링 리스트를 도시하였지만, 다른 스크롤링 아이템 1010 내지 1080도 또한 마찬가지로 각각 그에 대응하는 세로 방향 스크롤링 리스트를 갖도록 배열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중 선호 프로그램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현재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현재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종료한 후 다음 제공할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 영역(1100)이 도시되어 있다. 세로 방향 스크롤링 영역(1100)에는 스크롤링 아이템 1110, 1120, 1130, 1140, 1150, 1160, 1170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중 일부 스크롤링 아이템 1120 내지 1160이 표시된다. 일 예에 따라 스크롤링 아이템 1110, 1120, 1130, 1140, 1150, 1160, 1170은 각각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1, 2, 3, 4, 5, 6, 7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리스트를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 1110부터 스크롤링 아이템 1170까지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로방향 스크롤링 리스트의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에 의해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4를 나타내는 스크롤링 아이템(1140)이 선택된 상태에서 또는 단지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커서가 스크롤링 아이템(1140)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수행하면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방향 스크롤링은 사용자가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아이템(1140) 상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스크롤링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4 에 대응하는 가로 방향 스크롤링 리스트에는 스크롤링 아이템으로서 부가정보 1(1140-1), 부가정보 2(1140-2), 부가정보 3(1140-3), 부가정보 4(1140-4)를 포함한다. 도 20의 (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바이더 식별자 4를 나타내는 스크롤링 아이템 (1140)의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링을 하면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정보 2를 나타내는 스크롤링 아이템(1140-2)을 스크롤링 영역(110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롤링 거리에 따른 커서의 변형을 멀티 윈도우 화면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멀티 윈도우 화면은 복수개의 윈도우로 구성된 화면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여러 개의 윈도우로 나누어 복수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는 멀티 윈도우 화면이 제공된다. 도 21의 (a)에 도시된 멀티 윈도우 화면은 제1윈도우(2110), 제2윈도우(2120), 제3윈도우(2140), 제4윈도우(2140)을 포함한다. 멀티 윈도우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윈도우에는 별개의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윈도우를 통해 튜너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 컨텐츠, 외부 입력 장치나 내부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멀티 윈도우 화면에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각 윈도우를 별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된 멀티윈도우 화면의 각 윈도우의 에지에 커서가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300)가 유튜브 동영상 썸네일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제4윈도우(2140)의 에지에 접촉하고 나서 더 스크롤하는 경우에 커서(300)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1의 (a)에 도시된 제4윈도우(2140)의 왼쪽 에지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의 에지는 아니지만, 도 21의 (a)에 도시된 예에서 멀티 윈도우 화면에서는 각 윈도우를 하나의 별개의 스크린처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21의 (a)에서 커서(300)이 접촉하고 있는 제4윈도우(2140)의 에지도 스크린의 에지처럼 간주하여 커서의 변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채널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제3윈도우(2130)의 에지에 접촉하고 나서 더 스크롤하는 경우에도 커서(300)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의 변형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스크롤링 아이템의 크기를 변형시키는 실시예에서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정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0)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스크롤링 아이템 변형 정도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2200)에서 DEFROMLIMIT 아이템(2210)을 제어함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설정할 수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DEFROMLIMIT 아이템(2210)에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바(2220)를 예를 들어 0.5와 1.0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DEFORMLIMIT 값을 설정할 수 있다. DEFORMLIMIT 값은 도 18f를 참조하여 설명한 값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DEFORMLIMIT 값을 최소값으로 놓음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크게 하여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가 최소가 되게 할 수 있거나, DEFORMLIMIT 값을 최대값으로 놓음으로써 스크롤링 아이템의 변형 정도를 작게하여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가 원래의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와 차이가 없도록, 즉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 및 장점들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를, 아래 청구항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본 개시의 설명적 예시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가 가리키는 실제 위치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한 상기 커서의 위치 사이의 거리차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링 거리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모양은 기하학 형태의 모양인,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모양은 원 형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모양을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가로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스크롤링 속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 및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스크린상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투명도, 색상값,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거리가 임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의 검출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의 검출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커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가리키는 실제 위치와 상기 스크린의 에지에 접촉한 상기 커서의 위치 사이의 거리차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링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모양은 기하학 형태의 모양인, 디스플레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모양은 원 형태이며,
상기 스크롤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모양을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가로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태로 변형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 스크롤링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들로 구성된 스크롤링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스크롤링 아이템을 표시하는 스크롤링 영역 및 제어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를 스크린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스크롤링 리스트의 끝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스크롤링 거리에 따라서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변형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이 변형된 스크롤링 아이템의 투명도, 색상값,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거리가 임계치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크롤링 아이템의 모양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가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의 검출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이 세로로 배열된 스크롤링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세로 방향 스크롤링에 따라 세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롤링 아이템중 하나의 스크롤링 아이템상에서 상기 제어 장치의 가로 방향 스크롤링의 검출에 따라 가로 방향 스크롤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594A KR20160071869A (ko) | 2014-12-12 | 2014-12-1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AU2015362278A AU2015362278A1 (en) | 2014-12-12 | 2015-11-23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PCT/KR2015/012577 WO2016093510A1 (en) | 2014-12-12 | 2015-11-23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US14/959,042 US20160170597A1 (en) | 2014-12-12 | 2015-12-04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EP15199272.4A EP3032393B1 (en) | 2014-12-12 | 2015-12-10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EP15199263.3A EP3032392B1 (en) | 2014-12-12 | 2015-12-10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CN201510922782.9A CN105704525B (zh) | 2014-12-12 | 2015-12-14 | 显示设备和显示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594A KR20160071869A (ko) | 2014-12-12 | 2014-12-1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869A true KR20160071869A (ko) | 2016-06-22 |
Family
ID=5610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9594A KR20160071869A (ko) | 2014-12-12 | 2014-12-1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170597A1 (ko) |
KR (1) | KR20160071869A (ko) |
CN (1) | CN105704525B (ko) |
AU (1) | AU2015362278A1 (ko) |
WO (1) | WO201609351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1525112S (ko) * | 2014-11-14 | 2015-06-01 | ||
TWD180105S (zh) * | 2014-11-14 | 2016-12-11 | 愛斯佩克股份有限公司 | 顯示面板之操作介面之部分 |
KR102252321B1 (ko) * | 2014-12-24 | 2021-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CN107402691A (zh) * | 2017-07-13 | 2017-11-28 |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 终端光标的显示方法、显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07831920B (zh) * | 2017-10-20 | 2022-01-28 |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 光标移动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
USD872109S1 (en) | 2018-08-07 | 2020-01-07 | Caterpillar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11757154A (zh) * | 2020-06-01 | 2020-10-09 |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遥控器控制网页光标的方法及显示设备 |
CN113467624B (zh) * | 2021-06-22 | 2023-07-25 |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空鼠翻滚页面的系统及方法 |
CN113515202B (zh) * | 2021-07-27 | 2023-12-12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光标移动方法、装置和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8260A (en) * | 1994-12-22 | 1996-06-18 | Autodesk,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ortional auto-scrolling |
US7681149B2 (en) * | 2003-05-21 | 2010-03-16 | Nokia Corporation | User interface display for set-top box device |
JP2005107780A (ja) * | 2003-09-30 | 2005-04-21 | Sony Corp | 画像混合方法および混合画像データ生成装置 |
JP2007060555A (ja) * | 2005-08-26 | 2007-03-08 | Canon Inc | テレビジョン番組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
KR100913962B1 (ko) * | 2007-05-14 | 2009-08-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US8010900B2 (en) * | 2007-06-08 | 2011-08-30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backup |
KR101075728B1 (ko) * | 2008-09-25 | 2011-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채널정보 표시방법 |
US9477368B1 (en) * | 2009-03-31 | 2016-10-25 | Google Inc. |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distance or the surface of an image of a geographical object |
JP2010282408A (ja) * | 2009-06-04 | 2010-12-16 | Sony Corp |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
US8624925B2 (en) * | 2009-10-16 | 2014-01-07 | Qualcomm Incorporated | Content boundary signaling techniques |
KR101740439B1 (ko) * | 2010-12-23 | 2017-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20130125066A1 (en) * | 2011-11-14 | 2013-05-16 | Microsoft Corporation | Adaptive Area Cursor |
KR20130130453A (ko) * | 2012-05-22 | 2013-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140020568A (ko) * | 2012-08-09 | 2014-0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JP6185707B2 (ja) * | 2012-11-16 | 2017-08-23 | 任天堂株式会社 |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
US9329764B2 (en) * | 2013-03-15 | 2016-05-03 | Google Inc. | Overscroll visual effects |
-
2014
- 2014-12-12 KR KR1020140179594A patent/KR201600718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11-23 AU AU2015362278A patent/AU201536227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11-23 WO PCT/KR2015/012577 patent/WO201609351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04 US US14/959,042 patent/US2016017059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12-14 CN CN201510922782.9A patent/CN105704525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5362278A1 (en) | 2017-05-18 |
WO2016093510A1 (en) | 2016-06-16 |
CN105704525B (zh) | 2018-10-02 |
US20160170597A1 (en) | 2016-06-16 |
CN105704525A (zh) | 2016-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232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16007186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2414806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EP3041225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
KR20160097867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US11500509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 |
KR20170124811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CN105763920B (zh) | 显示装置和显示方法 | |
KR20170059242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6009884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US11169662B2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US20160231917A1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EP3032392B1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US20170285767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