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826A -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1826A KR20160071826A KR1020140179479A KR20140179479A KR20160071826A KR 20160071826 A KR20160071826 A KR 20160071826A KR 1020140179479 A KR1020140179479 A KR 1020140179479A KR 20140179479 A KR20140179479 A KR 20140179479A KR 20160071826 A KR20160071826 A KR 201600718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communication
- service
- information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인터넷 서비스(예: 테더링)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다른 전자 장치와 공유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통신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없는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의 인터넷 연결을 활용하는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의 미러링 서비스는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한 인터넷 통신 연결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와 미러링 서비스와 테더링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없는 태블릿(또는 PC(personal computer))는 인터넷 망에 접속 가능한 스마트 폰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태블릿은 미러링 서비스를 위해 통신이 연결된 스마트 폰을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없다.
본 문서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의 하나의 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해 통신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하나의 통신 연결(예: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화면 공유 서비스(예: 미러링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화면 공유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제 2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제 2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라는 표현은, 그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전자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전자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 (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set-top box), 홈 자동 제어 패널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 (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 (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전자 장치, GPS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전자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전자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전자 장치 (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전자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전자 장치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 (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인터넷 서비스(예: 테더링(tethering))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테더링은 인터넷 망에 접속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서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로 모바일 핫스팟(mobile hotspot)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무선 랜 통신 방식(예: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예: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70) 등)을 서로 연결하고, 상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전자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예: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위한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제 2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AP는 전자 장치(100)가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제 2 통신은, 테더링을 위한 통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연결 정보는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예: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 암호 등)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예: MAC 주소 또는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로 테더링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 정보에 포함된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와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로 테더링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 정보에 포함된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제 2 통신을 연결한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제 2 통신을 연결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통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102)로부터 제공받은 테더링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102)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상태 정보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 가능 정보 및 모바일 데이터 사용 메뉴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예: 수신 제어 목록)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140)은 커널(141), 미들웨어(143),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45) 또는 응용프로그램(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라 불릴 수 있다.
커널(141)은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응용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응용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API(145) 또는 응용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응용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웨어(143)는 응용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전자 장치(500)의 시스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응용프로그램(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I(145)는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 (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0)는 다른 전자 장치(102)의 테더링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다른 전자 장치(102)에 대한 테더링 지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는 다른 전자 장치(102)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한 위젯에 다른 전자 장치(102)에 대한 테더링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Bro,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통신은,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 (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 (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이용하여 단일 무선 환경에서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210), 통신 모듈(2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전자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이미지 센서 모듈(291), 전력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또는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AP(21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AP(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AP(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예: 통신 인터페이스(170))은 전자 장치(200)(예: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20)은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BT) 모듈(225), BLE 모듈(226), GPS 모듈(227), NFC 모듈(228) 또는 RF(radio frequency) 모듈(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또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AP(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셀룰러 모듈(2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230) 또는 전력관리 모듈(295) 등의 구성요소들이 AP(2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2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210) 또는 셀룰러 모듈(2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다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예: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위한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제 2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P(210) 또는 셀룰러 모듈(2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210) 또는 셀룰러 모듈(2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AP(210) 또는 셀룰러 모듈(2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WiFi 모듈(223), BT 모듈(225), BLE 모듈(226), GP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BLE 모듈(226), GP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BLE 모듈(226), GP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BLE 모듈(226), GP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2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229)은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PS 모듈(227) 및 NFC 모듈(228)이 하나의 RF 모듈(2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BT 모듈(225), GP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RF 모듈(229)은 전자 장치(2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메인 안테와 서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메인 안테나와 서브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등과 같은 다중 안테나 서비스(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지원할 수 있다.
SIM 카드(2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SIM 카드(2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내장 메모리(2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전자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자 장치(250)는 터치 패널(touch panel)(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254), 키(key)(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전자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2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ultrasonic) 입력 전자 장치(2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200)에서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전자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전자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전자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272), USB(universal serial bus)(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2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전자 장치(2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0) 혹은 그 일부(예: AP(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2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전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0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 또는 200))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00)은 커널(320), 미들웨어(33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3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커널(320)(예: 커널(1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3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3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3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랜 라이브러리(33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무선랜(예: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3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가 화면 공유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33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를 위한 화면 공유 제어 매니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예: API(1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373), IM(instant message)(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또는 시계(3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화면 공유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다수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네트워크 지원 여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데이터 송수신 설정 메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다수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입력 정보를 검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에 대한 입력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전자 장치는 통신 연결 요청 여부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 또는 제 2 전자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통신에 대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에 대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BLE, 와이파이 다이렉트 및 와이파이 A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연결은, 테더링을 이용한 통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연결 정보는 암호화된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예: 제 2 전자 장치의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 및 접속 암호 등)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예: MAC 주소 또는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예: 무선랜)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AP(access point)로 동작하는 제 2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하고,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다른 전자 장치(102))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통신에 대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에 대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에 대한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를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예: 무선랜)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AP로 동작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의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2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는 화면 공유 정보, 키보드/마우스 입력 정보, 호 수신 정보(예: 제 2 전자 장치에 수신된 전화 정보), 클립 보드 정보 및 알림 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공유 정보는 터치 입력 정보(예: 터치, 드래그(drag), 핀치(pinch) 등) 또는 디스플레이(160)에 표시된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보드 정보는, 클립 보드 서비스를 위한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발생 정보는 제 2 전자 장치에 발생한 부재 중 전화, 메시지 수신, 알람 등의 알림 이벤트 발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제 2 통신을 연결한 경우,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제 2 통신을 연결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통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7a 내지 도 7e와 같은 제 1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과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은 제 2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이용하여 테더링 연결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테더링 연결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600)와 제 2 전자 장치(602)는 블루투스 또는 BLE를 통해 제 1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611).
제 2 전자 장치(602)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600)로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613).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602)는 제 2 전자 장치(602)의 테더링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602)는 제 2 전자 장치(602)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변수를 제 1 전자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변수는,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 가능 정보 및 모바일 데이터 사용 메뉴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수신한 테더링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602)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제 2 전자 장치(602)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600)(예: 타블렛)(예: 프로세서(120))는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700)(예: 디스플레이(1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화면 공유 서비스(예: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7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제 2 전자 장치(602)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위젯(710)에 제 2 전자 장치(602)의 테더링 상태 정보(712)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615),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602)로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617).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600)(예: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7b와 같이 테더링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720)를 디스플레이(700)(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확인" 버튼 영역(722)의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602)로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전자 장치(600)는 테더링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7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내 문구(720)의 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메뉴(724)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제한 메뉴(724)가 설정된 경우, 테더링을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720)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2)는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619). 제 2 전자 장치(602)는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연결 및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621).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602)(예: 프로세서(120))는 도 8a와 같이 디스플레이(800)(예: 디스플레이(1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상태 표시 영역)에 테더링 기능의 활성 정보 및 서비스 연결 정보의 전송 상태 정보(8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전자 장치(6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예: AP)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와 제 2 전자 장치(6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예: 와이파이)을 연결할 수 있다(623).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600)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무선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AP를 검색하여 도 7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730). 제 1 전자 장치(600)는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AP 중 제 2 전자 장치(602)의 AP(732)(핫스팟)에 접속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602)는 도 8b와 같이 디스플레이(8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상태 표시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600)의 핫스팟 접속 정보(820)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와 제 2 전자 장치(602)는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연결을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625).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600)와 제 2 전자 장치(6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예: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의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600)는 도 7d와 같이 디스플레이(7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 2 전자 장치(602)의 제어를 위한 화면 공유 윈도우(740)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화면 공유 윈도우(740)에 제 2 전자 장치(602)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 상태 정보(예: 디바이스 연결 중)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제 2 전자 장치(602)와 화면 공유 서비스가 연결된 경우, 도 7e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602)의 제어 화면(750)을 화면 공유 윈도우(7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600)는 화면 공유 윈도우(7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테더링의 연결을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가 연결됨을 표시할 수 있다(752).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602)는 도 8c와 같이 디스플레이(800)에 제 1 전자 장치(600)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 상태 정보(예: 디바이스 연결 중)(8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602)는 제 1 전자 장치(600)와 화면 공유 서비스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8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602)는 제 1 전자 장치(600)와 화면 공유 서비스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800)에 이전 서비스 제공 정보(예: 대기 화면, 제공 중이던 서비스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자 장치(602)는 디스플레이(8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상태 표시 영역)에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6의 제 1 전자 장치(600)에서 제 2 전자 장치(602)와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9을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변수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가 셀룰러 모듈(예: 셀룰러 모듈(221)을 통해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며, 모바일 데이터 사용 메뉴가 활성으로 설정된 경우, 제 2 전자 장치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 2 전자 장치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도 7a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예: 도 7a의 테더링 상태 정보(712))의 선택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에 대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7b와 같이 테더링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720)를 디스플레이(700)(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11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에 대한 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연결 정보는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예: 제 2 전자 장치의 식별자(SSID) 및 접속 암호 등)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예: MAC 주소 또는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1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에 대응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91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예; 논리적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도 7e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6의 제 2 전자 장치(602)에서 제 1 전자 장치(600)와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시켜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예: AP)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1009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 연결 및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11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에 대응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01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예: 논리적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7c 및 도 12a 내지 도 12d와 같은 제 1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을 이용하여 테더링 연결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와이파이 AP를 통해 제 1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1111).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1102)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1100)로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113).
제 1 전자 장치(1100)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수신한 테더링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1102)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예: 프로세서(120))는 제 2 전자 장치(1102)의 테더링 지원 여부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예: 타블렛)는 도 12a와 같이 디스플레이(1200)(예: 디스플레이(16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화면 공유 서비스(예: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위젯(12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는 제 2 전자 장치(1102)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위젯(1220)에 제 2 전자 장치(1102)의 테더링 상태 정보(1222)를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는 제 2 전자 장치(1102)와 제 1 통신을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가 연결된 경우, 도 12a와 같이 디스플레이(1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 2 전자 장치(1102)의 제어를 위한 화면 공유 윈도우(1210)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는 제 2 전자 장치(1102)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화면 공유 윈도우(1210)의 적어도 일부에 제 2 전자 장치(1102)의 테더링 상태 정보(1212)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1115),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1102)로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1117).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2b와 같이 테더링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1230)를 디스플레이(1200)(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확인" 버튼 영역(1232)의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1102)로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전자 장치(1100)는 테더링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12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내 문구(1230)의 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메뉴(1234)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는 제한 메뉴(1234)가 설정된 경우, 테더링을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1230)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1102)는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테더링 연결 및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1119).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1121).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예: ACK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1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한 후, 제 2 전자 장치(1102)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11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1100)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는 도 12c와 같이 테더링 연결을 위해 제 2 전자 장치(1102)와의 제 1 통신 연결이 해제됨을 디스플레이(1200)(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1240).
제 2 전자 장치(1102)는 제 1 전자 장치(1100)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한 후, 제 1 전자 장치(1100)와의 제 2 통신 연결을 위해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1123). 예컨대, 제 2 전자 장치(11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예: AP)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예: 와이파이)을 연결할 수 있다(1125).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무선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AP를 검색하여 도 12d와 같이 디스플레이(1200)(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1250). 제 1 전자 장치(1100)는 도 7c와 같이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1102)의 AP(732)(핫스팟)이 검색된 경우, 제 2 전자 장치(1102)의 AP에 접속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테더링의 연결을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1127).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예: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의 논리적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 각각은 하나의 무선랜 모듈(예: WiFi 모듈(223))을 이용하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 연결 또는 테디링을 위한 무선 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1100)와 제 2 전자 장치(1102)는 도 11과 같이 테더링을 위한 무선 랜 연결을 위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 연결을 해제한 후,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랜을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1의 제 1 전자 장치(1100)에서 제 2 전자 장치(1102)와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와이파이 AP)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30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 2 전자 장치가 테더링을 지원하는 경우, 도 12a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예: 도 12a의 테더링 상태 정보(1212 또는 1222))의 선택을 검출한 경우,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에 대한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2b와 같이 테더링 실행에 따른 안내 문구(1230)를 디스플레이(1200)(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311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에 대한 연결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31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무선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31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31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예: 제 2 통신의 논리적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1의 제 2 전자 장치(1102)에서 제 1 전자 장치(1100)와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와이파이 AP)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0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0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 연결 및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09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무선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411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41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예: 제 2 통신의 논리적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전자 장치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했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목록에 포함된 제 2 전자 장치로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중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검출한 입력 정보에 의해 선택된 제 2 전자 장치로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50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5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509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1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도 7a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51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1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1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에 대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51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에 대한 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9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에 대응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521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블루투스/BLE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동작 16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60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부하, 신호 세기 등을 고려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160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0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블루투스 또는 BLE)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609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11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61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시켜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테더링(예: AP)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161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활성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 연결 및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1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619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동작 17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전자 장치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했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목록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70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목록에 포함된 제 2 전자 장치로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70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70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와이파이 AP)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709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11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도 12a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71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1715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에 대한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717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에 대한 연결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19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무선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721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723에서,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무선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연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동작 1801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80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180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80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예: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와이파이 AP)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809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 제 2 전자 장치의 테더링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811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813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 테더링 연결 및 화면 공유 서비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815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테더링 연결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무선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817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연결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테더링(제 2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1819에서, 제 2 전자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는 서비스 연결 정보에 포함된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테더링 연결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이 블루투스/BLE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은 도 11과 같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블루투스/BLE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한 후, 테더링을 위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들이 블루투스/BLE를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연결하는 경우, 전자 장치들은 도 6과 같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의 제 1 통신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테더링을 위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지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네트워크 지원 여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데이터 송수신 설정 메뉴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채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에 대한 입력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수립된 연결을 통해 화면 공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 모듈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제 2 통신 방식을 활성화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활성화 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와 다른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전자 장치 (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세서 (예: 프로세서 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 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전자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전자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 (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8)
-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및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지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네트워크 지원 여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데이터 송수신 설정 메뉴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및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채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에 대한 입력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네트워크 지원 여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모바일 데이터 송수신 설정 메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결정하는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와이파이 AP(access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은, 테더링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장치.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을 위한 통신 방식은, 무선랜을 포함하는 방법.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와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이 무선랜인 경우,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 2 통신의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35항에 있어서,
입력 정보를 검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 2 통신 방식의 지원 정보에 대한 입력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부터 제 2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 제 1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수립된 연결을 통해 화면 공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 모듈에 의하여 제공 가능한 제 2 통신 방식을 활성화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활성화 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와 다른 연결을 수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상대 전자 장치와의 제 1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비스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 상기 상대 전자 장치의 인터넷 서비스 및 화면 공유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479A KR20160071826A (ko) | 2014-12-12 | 2014-12-12 |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
US14/959,249 US20160174277A1 (en) | 2014-12-12 | 2015-12-04 |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479A KR20160071826A (ko) | 2014-12-12 | 2014-12-12 |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826A true KR20160071826A (ko) | 2016-06-22 |
Family
ID=5611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9479A KR20160071826A (ko) | 2014-12-12 | 2014-12-12 |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174277A1 (ko) |
KR (1) | KR20160071826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2261A1 (ko) * | 2017-03-28 | 2018-10-04 | 주식회사 신흥정밀 |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
KR20200032812A (ko) * | 2018-09-19 | 2020-03-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바일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차량 |
WO2024123040A1 (ko) * | 2022-12-05 | 2024-06-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미러링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9038B1 (ko) * | 2015-09-02 | 2022-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US10638417B1 (en) * | 2015-12-23 | 2020-04-28 | Amazon Technologies, Inc. | Cloud-based provisioning using peer devices |
JPWO2017154521A1 (ja) * | 2016-03-07 | 2018-12-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ゲートウェイ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 |
CN106211142B (zh) * | 2016-07-12 | 2020-08-14 | 福建歌航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WiFi AP终端广域网接入方法 |
CN106454975A (zh) * | 2016-09-14 | 2017-02-22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热点网络切换方法及终端设备 |
CN107645719B (zh) * | 2017-09-07 | 2020-02-21 |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蓝牙绑定方法及装置 |
EP4240088A3 (en) * | 2017-10-30 | 2023-11-01 | DexCom, Inc. | Diabetes management partner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nalyte data |
TWI638264B (zh) * | 2017-11-03 | 2018-10-11 | 隆宸星股份有限公司 | 應用於智慧型機器人的開機系統及其開機方法 |
CN112020049B (zh) * | 2019-05-30 | 2023-06-09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网络连接方法及电子装置 |
CN113676902B (zh) * | 2020-04-30 | 2024-04-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提供无线上网的系统、方法及电子设备 |
CN113573314A (zh) * | 2021-08-17 | 2021-10-29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共享方法、电子设备及共享系统 |
CN115022849B (zh) * | 2021-10-29 | 2023-04-14 | 荣耀终端有限公司 | 基于Wi-Fi P2P的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4184B2 (en) * | 2012-02-15 | 2016-08-09 | Maxlinear Inc. | Method and system for broadband near-field communication (BNC) utilizing full spectrum capture (FSC) supporting bridging across wall |
US9250983B2 (en) * | 2012-06-01 | 2016-02-02 | Blackberry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tems between electronic devices |
US9241357B2 (en) * | 2013-06-27 | 2016-01-19 | Kabushiki Kaisha Toshiba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2014
- 2014-12-12 KR KR1020140179479A patent/KR201600718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12-04 US US14/959,249 patent/US20160174277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2261A1 (ko) * | 2017-03-28 | 2018-10-04 | 주식회사 신흥정밀 |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
US10841783B2 (en) | 2017-03-28 | 2020-11-17 | Shin Heung Precision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
KR20200032812A (ko) * | 2018-09-19 | 2020-03-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바일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차량 |
WO2024123040A1 (ko) * | 2022-12-05 | 2024-06-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미러링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74277A1 (en) | 201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2366B1 (ko) |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US10509616B2 (en) |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293660B1 (ko) | 전자 장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
KR102394202B1 (ko) | 장치 간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 |
KR102493721B1 (ko) |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160071826A (ko) |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102264806B1 (ko) |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
CN106055300B (zh) | 用于控制声音输出的方法及其电子设备 | |
US20160150063A1 (en) | Method of shar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102277460B1 (ko) |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70097835A (ko) |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스마트 홈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70061473A (ko) |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60094032A (ko) | 통합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 |
KR102257474B1 (ko) |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 |
KR20160036927A (ko) | 고스트 터치 저감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CN106105279B (zh) | 设备之间呼叫转移的方法 | |
KR20160046401A (ko) |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60100153A (ko) |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20180107997A (ko) |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EP3293655B1 (en) | Below the lock user interface with mixed authentication settings | |
KR20180052429A (ko)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20170017590A (ko) | 전자 장치들 사이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180076863A (ko) |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256683B1 (ko) |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2220766B1 (ko) |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