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67573A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573A
KR20160067573A KR1020140173121A KR20140173121A KR20160067573A KR 20160067573 A KR20160067573 A KR 20160067573A KR 1020140173121 A KR1020140173121 A KR 1020140173121A KR 20140173121 A KR20140173121 A KR 20140173121A KR 20160067573 A KR20160067573 A KR 2016006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bar
icons
option
control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7573A/ko
Priority to PCT/KR2015/001213 priority patent/WO2016088938A1/ko
Priority to US15/531,851 priority patent/US10222948B2/en
Priority to EP15865187.7A priority patent/EP3229119A4/en
Publication of KR2016006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와,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메뉴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와,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메뉴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메뉴 바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고정틀로 고정하여, 고정 영역을 설정하고, 고정틀의 유무에 따라, 메뉴 바를 고정 영역과 가변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에 이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발전이 눈부시다. 고정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래 각자의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어 발전해 왔으나,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붐에 따라 그 영역이 모호해지고 있다.
한편, TV는 점차 방송 수신 기능을 넘어 컴퓨터 지원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됨으로써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각 사용자가 어떻게 하면 여러 기능들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것인지는 여전히 논의되어야 하는 문제로 남아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바를 제공하고, 아이콘의 배열 순서, 위치 및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기능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와,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메뉴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와,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메뉴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메뉴 바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고정틀로 고정하여, 고정 영역을 설정하고, 고정틀의 유무에 따라, 메뉴 바를 고정 영역과 가변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바를 제공하고, 아이콘의 배열 순서, 위치 및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뉴 바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고정틀로 고정하여, 고정 영역을 설정하고, 고정틀의 유무에 따라, 메뉴 바를 고정 영역과 가변 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기능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 내지 3의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뉴 바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4는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배열 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일부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뉴 바의 아이콘 위치 및 중첩 폭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라 함은 예를 들어, 데이터(data), 컨텐트(content), 서비스(servic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송신, 수신, 처리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wire/wireless network)를 통하여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외부 서버(external server) 등과 페어링 또는 연결(pairing or connecting)(이하 '페어링') 가능하며, 그를 통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는 그 송/수신 전에 적절히 변환(converting)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도 2에서는 디지털 TV(Digital TV)를 그리고, 도 3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패널(panel)만을 가진 구성일 수도 있고, 셋톱박스(STB: Set-Top Box) 등과 같은 구성, 디바이스, 시스템 등과 하나의 세트(SET)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유/무선 네트워크"라 함은, 디지털 디바이스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외부 서버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단지 디지털 디바이스로 명명하는 경우, 그 의미는 문맥에 따라 고정형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면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 컴퓨터 기능 내지 지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등을 지원하는 지능형 디바이스로서, 상술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게임(gam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수기 방식의 입력 디바이스, 터치-스크린(touch-screen), 공간 리모콘 등 적어도 하나의 입력 또는 제어 수단(이하 '입력 수단')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는,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특히, 본 명세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Web OS를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한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범용의 OS 커널(OS kernel) 또는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상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을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외부 입력은, 외부 입력 디바이스 즉,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모든 입력 수단 내지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입력으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이나 엑스-박스(X-Box) 등과 같은 게임 디바이스(game device), 스마트 폰, 태블릿 PC, 포켓 포토(pocket photo) 등과 같은 프린터기(printing device), 스마트 TV, 블루-레이(Blu-ray device)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서버"라 함은,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 즉, 클라이언트(client)로 데이터를 공급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혹은 시스템을 의미하며, 프로세서(processor)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서버로 예컨대, 웹 페이지(web page), 웹 컨텐트 또는 웹 서비스(web content or web service)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portal server), 광고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advertising server),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서버(content server),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제조업체(manufacture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VoD(Video on Demand)나 스트리밍(streaminng) 서비스 제공을 위한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 유료 서비스(pay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으로만 기술한 경우에도 그 문맥 등을 기초하여 그 의미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서비스까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30) 및 HNED(Home Network End User)(Customer)(40)를 포함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컨텐트 제공자(10)는, 각종 컨텐트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컨텐트 제공자(10)로 지상파 방송 송출자,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 (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O), 위성 방송 송출자,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 개인 컨텐트 제공자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제공자(10)는, 방송 컨텐트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트 제공자(10)에 의해 제작된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service packetizing)하여 HNED(40)로 제공한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제작된 컨텐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서비스를 위해 패키지화하고, 이를 HNED(40)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로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트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20)는, 동일한 개체(e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제공자(10)가 제작한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HNED(40)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2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컨텐트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100)는, HNED(40)에 속한 소비자로서, 네트워크 제공자(30)를 통해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VoD, 스트리밍 등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시스템 내 컨텐트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는 전송되는 컨텐트의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트 보호(content protection)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제한 수신이나 컨텐트 보호에 대응하여 케이블카드(CableCARD)(또는 POD: Point of Deployment), DCAS(Downloadable CAS) 등과 같은 처리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가 오히려 컨텐트 제공자의 역할 내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20)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다른 클라이언트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컨텐트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제공자(30)도 소유 내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또는 서비스 데이터는, 전술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내부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이러한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은 Web OS 기반의 클라이언트(100)를 위한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다른 예는, 방송 수신부(4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 저장부(4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 제어부(470), 디스플레이부(480), 오디오 출력부(485), 전원 공급부(4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4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410), 복조부(4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405)는 튜너(410)와 복조부(4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4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410)를 거쳐 복조부(4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4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4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4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4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4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4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4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4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420)는, 튜너(4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4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4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4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4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4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4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제어부(47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4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470) 또는 저장부(4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디지털 디바이스(4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제어부(4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4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4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저장부(4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440)가 제어부(4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440)는 제어부(4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4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4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4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4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튜너(410), 복조부(420)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4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47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70)는, 튜너(4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디바이스(4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디바이스(4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4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4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80) 또는 오디오 출력부(4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480) 또는 오디오 출력부(4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4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4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디바이스(4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3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4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4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480)는,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485)는, 제어부(4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제어부(34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4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디지털 디바이스(4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4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4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4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4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5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제어부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510), 영상 처리부(5520), OSD 생성부(540), 믹서(mixer)(5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555), 및 포맷터(formatter)(5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5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5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5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5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5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5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4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5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5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550)는, OSD 생성부(5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5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5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5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5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5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80)와 오디오 출력부(48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 내지 3의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된다.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610), 키보드(630), 포인팅 디바이스(6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610)은,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630)는, 디지털 디바이스(6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6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610), 포인팅 디바이스(620), 키보드(6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OS 및/또는 플랫폼(platform)으로 Web OS를 이용한다. 이하 Web OS 기반의 구성 내지 알고리즘 등 처리 과정은, 전술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도 2 내지 3에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내 Web OS 기반의 또는 그와 관련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의 처리를 위해 구성은 관련 소프트웨어(software), 펌웨어(firmware) 등을 포함한 하드웨어 내지 구성요소는 제어부(controller)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Web OS 기반 플랫폼은 예컨대, 루나-서비스 버스(Luna-service Bus)에 기반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합함으로써, 개발 독립성과 기능 확장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Web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Web OS 프로세스와 리소스 관리(resource management)를 통해 시스템 리소스(system resource)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멀티-태스킹(multi-tasking)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Web OS 플랫폼은 PC, TV, 셋톱박스(STB)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디지털 디바이스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종래 문제 해결과 시장에 의존적인 모놀리틱 구조(monolithic structure)로 멀티쓰레딩 기술(multi-threading)에 기반한 단일 프로세스(single process)와 클로우즈드 제품(closed product)으로 외부 응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그 이후 새로운 플랫폼 기반 개발을 지향하고 칩-셋(chip-set) 교체를 통한 비용 혁신과 UI 응용 및 외부 응용 개발 효율화를 추구하여 레이어링 및 콤포넌티제이션(layering & componentization)이 이루어져 3-레이어드 구조와 애드-온(add-on), 싱글 소스(single source) 제품, 오픈 애플리케이션(open application)을 위한 애드-온 구조를 가졌었다. 최근에는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 구조가 기능 단위의 모듈화 아키텍처(modulating architecture), 에코-시스템(echo-system)을 위한 Web 오픈 API(Web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공, 게임 엔진(game engine)을 위한 네이티브 오픈 API(Native Open API) 등을 위한 모듈화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구조 기반의 멀티-프로세스 구조(multi-process structure)로 생성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 및 이해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이 참고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네트워크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PMP, 스마트 폰, 스마트 와치, 스마트 글래스,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외부의 입력 장치(13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310), 제어부(1320), 디스플레이부(1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 모듈 및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그 밖의 구성 모듈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수신부(1310)는 방송국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CP)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부(131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310)는 상술한 외부 입력 장치(1340)로부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33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수신부(1310)는, 입력 장치(1340)로부터 메뉴 바 표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30)는 수신부(1310)에서 수신된 컨텐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3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어, 제어부(132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부(1310), 디스플레이부(133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한다. 제어부(1320)는 수신부(1310)에서 수신된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320)는, 수신된 메뉴 바 표시 신호에 따라,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뉴 바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수신된 메뉴 바 표시 신호에 따라, 메뉴 바(1420)를 화면(1410)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경우, 로그인된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메뉴 바(1420)와 특정 사용자의 이름(1450)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41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뉴 바(1420)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상단, 하단, 좌측단 또는 우측단 중 어느 한 곳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메뉴 바(1420)는, 소정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1410)의 하단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한다는 의미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에 맞춤화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특정 사용자에 맞춤화된 환경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설정/변경될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사용한 이력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의해 설정/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후, 자동으로, 메뉴 바(1420)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410)에 출력할 수도 있고,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후, 리모트 컨트롤러(1460)로부터 메뉴 바(1420)를 호출하는 소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뉴 바(1420)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141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뉴 바(1420)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로 지정된 채널, 특정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시청된 이력이 있는 채널, 특정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실행된 이력이 있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컨텐트,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채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메뉴 바(1420)는, 각 채널, 각 컨텐트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42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뉴 바(1420)에 포함되는 아이콘(1422)은, 카드, 타일, 썸네일, 조각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일 예로, 메뉴 바(1420)의 아이콘(1422)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앱 카드(App card)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메뉴 바(142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1422)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422)들은, 일부영역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메뉴 바(1420)에 포함되는 아이콘(1422)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422)들의 일부 영역을 중첩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422)들의 일부 영역이 중첩된 면적은, 메뉴 바(1420)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1422)들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메뉴 바(1420)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1422)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422)들의 중첩 면적은, 커지고, 메뉴 바(1420)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1422)들의 개수가 적어질수록,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422)들의 중첩 면적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메뉴 바(1420)는, 메뉴 바(1420)에 포함되는 아이콘(1422)들의 개수가 많아서 한 화면에 전부 표시될 수 없거나, 메뉴 바(1420)가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 화면에 표시되지 못한 아이콘(1422)들 및/또는 다른 페이지에 표시되는 아이콘(1422)들을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14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메뉴 바(1420)는, 메뉴 바(1420)의 양측 끝단에, 아이콘(1422)들을 좌우로 스크롤하기 위한 인디케이터(1424)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460)에 의해 인디케이터(1424)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아이콘(1422)들을 좌우로 스크롤하거나, 메뉴 바(1420)를 구성하는 또 다른 페이지에 속하는 아이콘(1422)들을 포함하는 메뉴 바(1420)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뉴 바(1420)의 주변에는, 메뉴 바(1420)의 아이콘(1422)들의 배열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메인 옵션들을 포함하는 메인 옵션 UI 버튼(1430)과, 설정된 메인 옵션을 상세 분류하는 서브 옵션을 포함하는 서브 옵션 UI 버튼(144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인 리모트 컨트롤러(1460)의 커서(1462)가, 메인 옵션 UI 버튼(1430)에 위치하면, 다수의 메인 옵션을 메인 옵션 UI 버튼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인 옵션에 상응하는 서브 옵션을 포함하는 서브 옵션 UI 버튼(144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리모트 컨트롤러(1460)의 커서(1462)가, 서브 옵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서브 옵션에 따라, 메뉴 바(1420)의 아이콘(14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는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메뉴 바(1520)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데, 메뉴 바(152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1522)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522)들은,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메뉴 바(1520)에 포함되는 아이콘(1522)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1522)들의 일부 영역을 일부 중첩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뉴 바(1520)의 주변에는,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메인 옵션(1540)들을 포함하는 메인 옵션 UI 버튼(1530)과, 설정된 메인 옵션(1540)을 상세 분류하는 서브 옵션(1552)을 포함하는 서브 옵션 UI 버튼(155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다수의 메인 옵션(1540)들은,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가나다 순서로 배열하는 제 1 메인 옵션(1542),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는 제 2 메인 옵션(1543),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빈도 순서로 배열하는 제 3 메인 옵션(1544),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최근 사용 순서로 배열하는 제 4 메인 옵션(154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서브 옵션(1552)은, 제 1 메인 옵션(1542)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한글 자음들로 상세 분류하는 제 1 서브 옵션, 제 2 메인 옵션(1543)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들로 상세 분류하는 제 2 서브 옵션, 제 3 메인 옵션(1544)을 사용빈도량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3 서브 옵션, 제 4 메인 옵션(1546)을 사용일로 상세 분류하는 제 4 서브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1560)가, 메인 옵션 UI 버튼(1530)에 위치하면, 다수의 메인 옵션(1540)을 메인 옵션 UI 버튼(1530)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다수의 메인 옵션(1540)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인 옵션(1540)에 상응하는 서브 옵션(1552)을 포함하는 서브 옵션 UI 버튼(15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1560)가, 서브 옵션(1552)을 선택하면, 선택된 서브 옵션(1552)에 따라,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1560)가, 다수의 메인 옵션(1540)들 중,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가나다 순서로 배열하는 제 1 메인 옵션(1542)을 선택하면, 제 1 메인 옵션(1542)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한글 자음들로 상세 분류하는 제 1 서브 옵션(15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1560)가, 제 1 메인 옵션(1542)을 다수의 한글 자음들로 상세 분류하는 제 1 서브 옵션(1552)으로부터 자음 'ㅂ'을 선택하면, 자음 'ㅂ'으로 시작하는 명칭을 갖는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1520)의 아이콘(15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과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1660)가,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메뉴 바(1620)의 아이콘(16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는 제 2 메인 옵션(1630)을 선택하면, 제 2 메인 옵션(1630)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의 대문자 또는 소문자들로 상세 분류하는 제 2 서브 옵션(16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1660)가, 제 2 메인 옵션(1630)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의 대문자들로 상세 분류하는 제 2 서브 옵션(1630)으로부터 대문자 'K'을 선택하면, 대문자 'K'으로 시작하는 명칭을 갖는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1620)의 아이콘(16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와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1760)가,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메뉴 바(1720)의 아이콘(1722)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빈도 순서로 배열하는 제 3 메인 옵션(1730)을 선택하면, 제 3 메인 옵션(1730)을 사용빈도량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3 서브 옵션(17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1760)가, 제 3 메인 옵션(1730)을 사용빈도량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3 서브 옵션(1752)으로부터 사용빈도량 '보통'을 선택하면, 사용빈도량이 '보통'인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1720)의 아이콘(17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과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1860)가,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메뉴 바(1820)의 아이콘(1822)들의 배열 순서를 최근 사용 순서로 배열하는 제 4 메인 옵션(1830)을 선택하면, 제 4 메인 옵션(1830)을 최근 사용 시간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4 서브 옵션(18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1860)가, 제 4 메인 옵션(1830)을 최근 사용 시간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4 서브 옵션(1852)으로부터 사용 시간 '10일전'을 선택하면, 사용 시간이 '10일전'인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1820)의 아이콘(18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11과 같이,다수의 메인 옵션(2540)들은, 메뉴 바(2520)의 아이콘(25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가나다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5 메인 옵션(2542), 메뉴 바(2520)의 아이콘(25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6 메인 옵션(2543), 메뉴 바(2520)의 아이콘(2522)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빈도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7 메인 옵션(2544), 메뉴 바(2520)의 아이콘(2522)들의 배열 순서를 최근 사용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8 메인 옵션(254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서브 옵션(2552)은, 제 5 메인 옵션(2542)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한글 자음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5 서브 옵션, 제 6 메인 옵션(2543)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 대문자의 역순 또는 소문자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6 서브 옵션, 제 7 메인 옵션(2544)을 사용빈도량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7 서브 옵션, 제 8 메인 옵션(2546)을 최근 사용 시간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8 서브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과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2560)가, 다수의 메인 옵션(2540)들 중, 메뉴 바(2520)의 아이콘(25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가나다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5 메인 옵션(2542)을 선택하면, 제 5 메인 옵션(2542)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한글 자음들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5 서브 옵션(25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2560)가, 제 5 메인 옵션(2542)을 다수의 한글 자음들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5 서브 옵션(2552)으로부터 자음 'ㅂ'을 선택하면, 자음 'ㅂ'으로 시작하는 명칭을 갖는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2520)의 아이콘(25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2와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2660)가,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메뉴 바(2620)의 아이콘(2622)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6 메인 옵션(2630)을 선택하면, 제 6 메인 옵션(2630)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의 대문자 역순 또는 소문자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6 서브 옵션(26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2660)가, 제 6 메인 옵션(2630)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알파벳의 대문자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6 서브 옵션(2630)으로부터 대문자 'K'을 선택하면, 대문자 'K'으로 시작하는 명칭을 갖는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2620)의 아이콘(26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3과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2760)가,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메뉴 바(2720)의 아이콘(2722)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빈도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7 메인 옵션(2730)을 선택하면, 제 7 메인 옵션(2730)을 사용빈도량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7 서브 옵션(27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2760)가, 제 7 메인 옵션(2730)을 사용빈도량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7 서브 옵션(2752)으로부터 사용빈도량 '보통'을 선택하면, 사용빈도량이 '보통'인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2720)의 아이콘(27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4와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2860)가,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메뉴 바(2820)의 아이콘(2822)들의 배열 순서를 최근 사용 시간의 역순으로 배열하는 제 8 메인 옵션(2830)을 선택하면, 제 8 메인 옵션(2830)을 최근 사용 시간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8 서브 옵션(285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커서(2860)가, 제 8 메인 옵션(2830)을 최근 사용 시간의 역순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8 서브 옵션(2852)으로부터 사용 시간 '10일전'을 선택하면, 사용 시간이 '10일전'인 아이콘을 우선 순위로 하여, 메뉴 바(2820)의 아이콘(2822)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바의 아이콘 배열 순서를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배열 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메뉴 바(3820)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데, 메뉴 바(382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3822)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3822)들의 일부 영역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메뉴 바(3820)에 포함되는 아이콘(3822)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3822)들의 일부 영역을 중첩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860)가 메뉴 바(38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제어에 따라, 아이콘(3822)들이 중첩되는 중첩 폭을 좌우로 증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860)가 메뉴 바(38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이 회전하면, 휠의 회전 방향(3870)에 따라,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을 좌우로 증감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860)가 메뉴 바(38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W1, W2, W3)이 좌우로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W1, W2, W3)이 좌우로 감소하는 만큼, 아이콘(3822)의 노출 영역이 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860)가 메뉴 바(38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을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W1, W2, W3)이 좌우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W1, W2, W3)이 좌우로 증가하는 만큼, 아이콘(3822)의 노출 영역이 더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W1, W2, W3)을 좌우로 증감할 때, 메뉴 바(3820)에 포함되는 전체 아이콘(3822)들의 중첩 폭(W1, W2, W3)을 동일하게 증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16과 같이,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960)가 메뉴 바(39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이 회전하면, 휠의 회전 방향(3970)에 따라,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을 좌우로 증감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960)가 메뉴 바(39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1, W12, W13)이 좌우로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1, W12, W13)이 좌우로 감소하는 만큼, 아이콘(3922)의 노출 영역이 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3960)가 메뉴 바(39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을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1, W12, W13)이 좌우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1, W12, W13)이 좌우로 증가하는 만큼, 아이콘(3922)의 노출 영역이 더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1, W12, W13)을 좌우로 증감할 때, 입력 장치의 커서(3960)가 위치하는 지점에 인접하는 일부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1, W12, W13)만을 증감하고, 입력 장치의 커서(396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먼 영역에 위치하는 일부 아이콘(3922)들의 중첩 폭(W14, W15, W16)을 증감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도 17과 같이,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메뉴 바(402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위치하는 지점에 인접하는 일부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을 증감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메뉴 바(4020)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위치하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는 일부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W21, W22, W23)을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W21, W22, W23)이 좌우로 감소하는 만큼, 아이콘(4022)의 노출 영역이 더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메뉴 바(4020)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위치하는 중앙 영역에 인접하는 일부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W31, W32, W33)을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W31, W32, W33)이 좌우로 감소하는 만큼, 아이콘(4022)의 노출 영역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이어,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메뉴 바(402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4060)가 위치하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인접하는 일부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W41, W42, W43)을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4022)들의 중첩 폭(W41, W42, W43)이 좌우로 감소하는 만큼, 아이콘(4022)의 노출 영역이 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바에 포함되는 다수의 아이콘들로부터, 일부 영역의 아이콘의 중첩 폭을 감소시켜, 일부 영역의 아이콘의 노출 영역을 더 많이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메뉴 바(4120)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데, 메뉴 바(412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4122)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4122)들의 일부 영역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메뉴 바(4120)에 포함되는 아이콘(4122)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4122)들의 일부 영역을 중첩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뉴 바(4120)의 주변에는, 메뉴 바(4120)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4122)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기 옵션들을 포함하는 보기 옵션 UI 버튼(4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보기 옵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보기 옵션에 따라, 메뉴 바(4120)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4122)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과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가, 보기 옵션 중, 15개씩 보기 옵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보기 옵션에 따라, 메뉴 바(4120)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4122)들의 개수를 15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9와 같이, 입력 장치의 커서가, 보기 옵션 중, 전체 보기 옵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전체 보기 옵션에 따라, 메뉴 바(4120)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4122)들의 개수를 전체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바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를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도 6의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일부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메뉴 바(4320)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데, 메뉴 바(432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4322)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4322)들의 일부 영역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메뉴 바(4320)에 포함되는 아이콘(4322)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4322)들의 일부 영역을 중첩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메뉴 바(4320)를 고정 영역(4330)과 가변 영역(4340)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고정 영역(43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4332)의 위치와 중첩 폭을 고정할 수 있고, 가변 영역(4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4342)의 위치와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뉴 바(4320)의 고정 영역(4330)을 확장 및 축소하여, 고정 영역(4330)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4332)의 개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메뉴 바(43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고정틀로 고정하여, 고정 영역(4330)을 설정하고, 고정틀의 유무에 따라, 메뉴 바(4320)를 고정 영역(4330)과 가변 영역(4340)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틀은, 고정 영역(43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뉴 바(4320)의 고정 영역(4330) 둘레에 고정틀을 표시하여, 입력 장치의 커서 등을 이용하여, 고정틀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메뉴 바(4320)의 고정 영역(4330)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틀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4332)의 개수도, 고정틀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정틀은,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도 21과 같이, 제어부는, 메뉴 바(4420)의 가변 영역(4440) 내에서, 고정 영역(4430)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4432)과 관련되는 아이콘(4442)이 존재하면, 관련되는 아이콘(4442)을 메뉴 바(4420)의 고정 영역(4430)에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메뉴 바(4420)의 고정 영역(4430)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4432)이, 게임 관련 아이콘(4432)일 경우, 제어부는, 메뉴 바(4420)의 가변 영역(4440) 내에서, 게임 관련 아이콘(4442)이 존재하면, 가변 영역(4440)의 게임 관련 아이콘(4442)을 고정 영역(4430)의 일측에 붙어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영역(4430)의 일측에 붙는 가변 영역(4440)의 게임 관련 아이콘(4442)들은,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뉴 바(4420)의 고정 영역(4430)을 다수 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정된 고정 영역(4430)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4444)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4440)을 배치할 수 있다.
즉, 메뉴 바(4420)의 고정 영역(4430)이, 다수 개일 때, 고정 영역(4430)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뉴 바(4320)가, 고정 영역(4330)과 가변 영역(4340)으로 분리될 경우, 메뉴 바(4320)의 아이콘(4332)에 대한 위치 및 중첩 폭을 변경할 때, 고정 영역(43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4332)의 위치와 중첩 폭은, 고정되어, 위치와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없고, 가변 영역(43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4342)의 위치와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변을 원치 않는 아이콘을 미리 쉽고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메뉴 바의 아이콘 위치 및 중첩 폭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메뉴 바 표시 신호를 수신하고(S11), 수신된 메뉴 바 표시 신호에 따라, 메뉴 바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S12)
여기서, 제어부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후, 자동으로, 메뉴 바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고,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후,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메뉴 바를 호출하는 소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뉴 바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메뉴 바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는,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지를 확인하고(S13), 확인 결과, 기준 개수 이상이면,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일부 영역을 중첩시켜 표시할 수 있다.(S14)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중첩 면적은, 메뉴 바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메뉴 바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중첩 면적은, 커지고, 메뉴 바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가 적어질수록,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중첩 면적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메뉴 바는,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가 많아서 한 화면에 전부 표시될 수 없거나, 메뉴 바가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 화면에 표시되지 못한 아이콘들 및/또는 다른 페이지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제어부는,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의 위치 및 중첩 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고(S15), 확인 결과, 변경 요청이 있으면, 변경 요청에 따라,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의 위치 및 중첩 폭을 변경할 수 있다.(S16)
일 예로, 제어부는,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에 상응하는 서브 옵션을 표시하고, 서브 옵션이 선택되면, 그에 따라, 메뉴 바의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메뉴 바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장치의 휠이 회전하면, 휠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아이콘들의 중첩 폭을 좌우로 증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가 메뉴 바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면,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가 위치하는 지점에 인접하는 일부 아이콘들의 중첩 폭을 증감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보기 옵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보기 옵션에 따라, 메뉴 바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메뉴 바를 고정 영역과 가변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고정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위치와 중첩 폭을 고정할 수 있고, 가변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위치와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메뉴 바의 표시를 종료하는지를 확인하고,(S17) 확인 결과, 메뉴 바의 표시 종료이면, 메뉴 바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바를 제공하고, 아이콘의 배열 순서, 위치 및 중첩 폭을 가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기능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310: 수신부
1320: 제어부
1330: 디스플레이부
1340: 입력 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아이콘들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바의 주변에는,
    상기 메뉴 바의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메인 옵션들을 포함하는 메인 옵션 UI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메인 옵션들은,
    상기 메뉴 바의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가나다 또는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는 제 1 메인 옵션, 상기 메뉴 바의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사용빈도 순서로 배열하는 제 2 메인 옵션, 상기 메뉴 바의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최근 사용 순서로 배열하는 제 3 메인 옵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바의 주변에는,
    상기 설정된 메인 옵션을 상세 분류하는 서브 옵션을 포함하는 서브 옵션 UI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서브 옵션은,
    상기 제 1 메인 옵션을 문자열의 첫 글자가 한글 자음 또는 알파벳 문자로 상세 분류하는 제 1 서브 옵션, 상기 제 2 메인 옵션을 사용빈도량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2 서브 옵션, 제 3 메인 옵션을 최근 사용 시간으로 상세 분류하는 제 3 서브 옵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상기 메인 옵션 UI 버튼에 위치하면, 상기 다수의 메인 옵션을 상기 메인 옵션 UI 버튼에 인접하여 표시하고,
    상기 다수의 메인 옵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인 옵션에 상응하는 서브 옵션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 옵션 UI 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상기 서브 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서브 옵션에 따라, 상기 메뉴 바의 아이콘들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바는,
    상기 메뉴 바의 양측 끝단에, 상기 아이콘들을 좌우로 스크롤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바의 아이콘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장(emblem)을 표시하는 앱 카드(App card)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상기 메뉴 바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의 중첩되는 폭을 좌우로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들의 중첩되는 폭을 좌우로 증감할 때, 상기 메뉴 바에 포함되는 전체 아이콘들의 중첩되는 폭을 동일하게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들의 중첩되는 폭을 좌우로 증감할 때, 상기 입력 장치의 커서가 위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일부 아이콘들의 중첩되는 폭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가 상기 메뉴 바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입력 장치의 확대 포인터가 위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일부 아이콘들의 중첩되는 폭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바의 주변에는,
    상기 메뉴 바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기 옵션들을 포함하는 보기 옵션 UI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 장치의 커서가, 상기 보기 옵션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보기 옵션에 따라, 상기 메뉴 바의 영역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를 고정 영역과 가변 영역으로 분리하며,
    상기 고정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위치와 아이콘들 간의 중첩 폭을 고정하고,
    상기 가변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위치와 아이콘들 간의 중첩 폭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의 고정 영역을 확장 및 축소하여, 상기 고정 영역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의 개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의 가변 영역 내에서, 상기 고정 영역 내에 포함되는 아이콘과 관련되는 아이콘이 존재하면, 상기 관련되는 아이콘을 상기 메뉴 바의 고정 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의 고정 영역을 다수 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고정 영역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8.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메뉴 바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 바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고정틀로 고정하여, 고정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고정틀의 유무에 따라, 상기 메뉴 바를 고정 영역과 가변 영역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고정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주변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바의 고정 영역을 다수 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고정 영역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1020140173121A 2014-12-04 2014-12-04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7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121A KR20160067573A (ko) 2014-12-04 2014-12-04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5/001213 WO2016088938A1 (ko) 2014-12-04 2015-02-06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5/531,851 US10222948B2 (en) 2014-12-04 2015-02-06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5865187.7A EP3229119A4 (en) 2014-12-04 2015-02-06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121A KR20160067573A (ko) 2014-12-04 2014-12-04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73A true KR20160067573A (ko) 2016-06-14

Family

ID=5609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121A KR20160067573A (ko) 2014-12-04 2014-12-04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22948B2 (ko)
EP (1) EP3229119A4 (ko)
KR (1) KR20160067573A (ko)
WO (1) WO20160889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038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 제공 방법 및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9338B2 (en) * 2019-10-23 2022-07-05 EMC IP Holding Company LLC Customizing option-selections in application based on usage pattern
JP7556253B2 (ja) * 2020-09-29 2024-09-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169973A (ja) * 2021-04-28 2022-1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504A (en) * 1994-04-28 1996-03-26 Prevue Networks, Inc. Video mix program guide
US6323911B1 (en) * 1995-10-02 2001-11-27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057831A (en) * 1996-08-14 2000-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cursor position indicator
KR100413691B1 (ko) * 2001-12-15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00153997A1 (en) * 2004-01-21 2010-06-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templates for managing vendor-specific video-on-demand content
US7694233B1 (en) * 2004-04-30 2010-04-06 Apple Inc. User interfac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in reconfigured or overlapping containers
JP4297223B2 (ja) * 2004-05-10 2009-07-15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MX2007013010A (es) * 2005-04-18 2007-12-07 Thomson Licensing Guia de medios interactiva de alta densidad.
US20070124675A1 (en) * 2005-11-29 2007-05-31 Ban Oliver K Methods and systems for changing language characters of graphical and application interfaces
JP2007179207A (ja) * 2005-12-27 2007-07-12 Hitachi Ltd コンテンツ探索方法
US8243017B2 (en) * 2006-09-11 2012-08-14 Apple Inc. Menu overlay including context dependent menu icon
GB2453789B (en) * 2007-10-19 2012-11-14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Television display
US8151215B2 (en) *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US8549561B2 (en) * 2009-08-19 2013-10-01 Sony Corporation TV user interface with recommended content entry in favorites menu
US8881201B2 (en) 2010-05-13 2014-11-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listings by content provider
KR20120021056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 결과의 임시 저장이 가능한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756502B2 (en) * 2010-09-08 2014-06-17 Sony Corporation Minimal and preferential option user interface
GB201015720D0 (en) * 2010-09-20 2010-10-27 Gammons Richard Findability of data elements
US9239832B2 (en) * 2012-08-03 2016-01-19 Red Hat, Inc. Modifying language of a user interface on a computing device
US8863198B2 (en) * 2012-08-17 2014-10-14 Flextronics Ap, Llc Television having silos that animate content source searching and selection
WO2014171682A1 (en) * 2013-04-16 2014-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nd controlling the same
KR101465434B1 (ko) * 2013-04-18 2014-12-11 (주)브라이니클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063802B2 (en) * 2013-08-2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US20150189383A1 (en) * 2013-12-26 2015-07-02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038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 제공 방법 및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시스템
KR20230080081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 제공 방법 및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9119A4 (en) 2018-07-04
US20170269801A1 (en) 2017-09-21
US10222948B2 (en) 2019-03-05
WO2016088938A1 (ko) 2016-06-09
EP3229119A1 (en)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556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8087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19411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34393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7946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50075010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37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08691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2017003137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9825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04176A (ko)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10234895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11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810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6075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48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067573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730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75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970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345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261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211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590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