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35816A -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816A
KR20160035816A KR1020140127613A KR20140127613A KR20160035816A KR 20160035816 A KR20160035816 A KR 20160035816A KR 1020140127613 A KR1020140127613 A KR 1020140127613A KR 20140127613 A KR20140127613 A KR 20140127613A KR 20160035816 A KR20160035816 A KR 2016003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pud
jack
guide
sea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우
박성건
오영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816A/ko
Publication of KR2016003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은,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의 하단에서 해저에 지지되도록 레그에 하단에 결합되는 스퍼드본체; 스퍼드본체의 저면부 아래로 출몰 가능하게 스퍼드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해저 지면에 박히도록 형성되는 쐐기부; 및 쐐기부를 이동시키도록 스퍼드본체에 마련되는 쐐기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SPUDCAN OF JACK UP RIG, AND VESSEL OR OCEAN CONSTRUC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자원으로는, 지상에서 생산되는 원유 및 원유 시추에 따른 부산물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에너지가 있다. 또한 태양 에너지에 의해 지구에 전달되는 태양광과 태양열, 이에 의해 지구에서 발생되는 풍력과 파력, 및 행성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되는 조력 등의 재생 에너지가 있다.
해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시설물을 해양에 설치하는 작업이 따른다. 풍력의 경우에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를 갖는 타워형 풍력 발전기를 세우게 된다.
해양은 지상의 지면과 달리 안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구조물 자체를 세우는 작업이 상당히 험난하므로, 작업자에 대해 지면과 같은 안정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해양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저에 지지되는 레그가 승강가능하게 탑재된 특수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이동 시와 같은 평상 시에 레그가 지면으로부터 유격되어 선체에 인입되어 있으며, 작업을 위한 선체의 위치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저로 하강하여 해저에 지지된다.
이때 레그의 하단에는 다양한 해저지형에 지지될 수 있도록 스퍼드캔(spudcan)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퍼드캔이 탑재된 특수선박을 일명 리그 선이라고도 하며, 레그와 스퍼드 캔을 통틀어 잭업리그(jack up rig)라고 한다.
이러한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은 사람의 발바닥과 같이 해저 지면에 맞닿아 레그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지지구조물로서, 선체 또는 해양구조물의 안정적인 지탱을 위해서 세 개 이상의 레그와 함께 선체에 탑재된다.
즉 기존의 잭업리그는 지반 면에 3~4개의LEG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며, 대구경의 스퍼드캔을 사용함으로써 지반 내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잭업리그는, 해저지반 위에 잭업리그의 기초 구조물이 설치되므로, 기초 구조물을 통해 잭업리그 하중이 해저 지반에 전달될 때, 해저지반의 갑작스런 지층 변화로 인해 하중을 받는 잭업리그 기초 구조물의 급속한 부등침하가 발생될 수 있었다.
미국특허 제7, 534, 072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잭업리그 설치 시 해저의 연약한 지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급속 부등침하 방지 및 기초 구조물의 지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의 하단에서 해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에 하단에 결합되는 스퍼드본체; 상기 스퍼드본체의 저면부 아래로 출몰 가능하게 상기 스퍼드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해저 지면에 박히도록 형성되는 쐐기부; 및 상기 쐐기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퍼드본체에 마련되는 쐐기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퍼드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쐐기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쐐기부에 연결되는 가이드웨지; 및 상기 가이드웨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웨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스퍼드본체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그리고 동일한 간격으로 세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가이드웨지의 배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퍼드본체에는, 상기 쐐기부가 내부로 관입 가능하도록 쐐기 관입부가 마련되되, 상기 쐐기 관입부에는, 상기 쐐기부의 출몰 시에 상기 쐐기 관입부를 개폐하도록 관입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 및 해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의 하단에 마련되는 상기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캔의 쐐기부는,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쐐기부는, 상기 스퍼드캔의 하부에 해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몸체; 및 상기 돌출몸체의 하단부에 해저를 향해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잭업리그 기초 구조물의 급속 부등침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잭업리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잭업리그 기초 하단 중앙부에 해저로 쐐기이동유닛에 의해 돌출되는 뾰족한 말뚝형상의 쐐기부를 마련하여 잭업리그 기초 구조물의 급속 부등침하 방지 및 기초 구조물의 지지력 증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쐐기부와 쐐기이동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쐐기부가 스퍼드본체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쐐기이동유닛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가 탑재된 선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잭업리그의 하부에 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잭업리그에 가해지는 지지력 방향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잭업리그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의 스퍼드캔(120)은,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110)의 하단에서 해저에 지지되도록 레그(110)에 하단에 결합되는 스퍼드본체(126)와, 스퍼드본체(126)의 저면부 아래로 출몰 가능하게 스퍼드본체(126)의 내부에 마련되며 해저 지면에 박히도록 형성되는 쐐기부(130)와, 쐐기부(130)를 이동시키도록 스퍼드본체(126)에 마련되는 쐐기이동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스퍼드본체(126)의 저면부로부터 쐐기이동유닛(150)에 의해 출몰되게 마련되는 쐐기부(130)가 스퍼드본체(126)의 해저 지지 시에 쐐기이도유닛의 후술되는 바와 같은 유압력에 의해 해저로 박히면서 삽입되므로 잭업리그(100)를 해저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부(130)가 해저에 충분한 깊이로 박혀 지지되므로 잭업리그 기초 구조물의 급속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데, 즉 안정적으로 잭업리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잭업리그 기초 하단 중앙부에 해저로 쐐기이동유닛(150)에 의해 돌출되는 뾰족한 말뚝형상의 쐐기부(130)를 마련하여 잭업리그 기초 구조물의 급속 부등침하 방지 및 기초 구조물의 지지력 증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본체(126)의 내부에는 쐐기부(1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롤러(129)가 배치된다. 즉 쐐기부(130)는 후술되는 가이드롤러(129)를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웨지(155)에 결합되어 스퍼드본체(126)의 중심라인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이동유닛(150)은, 가이드롤러(129)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쐐기부(130)에 연결되는 전술한 가이드웨지(155)와, 가이드웨지(155)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웨지(155)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웨지(155)는, 스퍼드본체(126)의 하부에서 스퍼드본체(126)의 중심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가이드롤러(129)는 가이드웨지(155)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롤러(129)는, 스퍼드본체(126)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그리고 동일한 간격으로 세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롤러(129)는, 내부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길지 않은 스퍼드본체(126)의 하부 내부공간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가이드웨지(155)도 동일한 양상으로 배치되는데, 쐐기부(130)는 가이드웨지(155)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웨지(155)의 이동력은, 쐐기부(130)에 대한 링크결합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즉 가이드웨지(155)와 쐐기부(130) 사이에는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링크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부재는 가이드웨지(155)와 쐐기부(1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웨지(155)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151)의 실린더로드(159)는, 가이드웨지(155)의 이동방향에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151)는, 가이드웨지(155)가 배치되어 있는 라인 상에 배치되어 유압력을 가이드웨지(155)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웨지(155)는 실린더로드(159)의 스트로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본체(126)에는, 쐐기부(130)가 내부로 관입 가능하도록 쐐기 관입부(127)가 마련되되, 쐐기 관입부(127)에는, 쐐기부(130)의 출몰 시에 쐐기 관입부(127)를 개폐하도록 관입도어(128)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퍼드본체(126)의 쐐기 관입부(127)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쐐기부(130)는, 전술한 유압실린더(151)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웨지(155)와 가이드웨지(155)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가이드롤러(129)에 의해 스퍼드본체(126)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관입도어(128)가 개방되며, 쐐기부(130)는 해저에 박혀 스퍼드본체(126)의 저면부가 해저로 더 이상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부(130)는 스퍼든본체로부터 상당한 길이로 돌출되어 뾰족한 양상으로 배치되므로, 스퍼드본체(126)가 연약지반과 같은 해저지반에 배치될 때 특히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전술한 스퍼드캔(120)을 포함하는 잭업리그(100)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 예에서는, 쐐기부(130)가 연약지반을 통과하여 견고한 지반에 박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후술되는 쐐기부(130)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동일하나,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5와 같은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펙으로 특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100)는, 선체(10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105)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110)와, 해저에 지지되도록 레그(110)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퍼드캔(120)을 포함하며, 스퍼드캔(120)에는, 스퍼드캔(120)의 하부에서 급작스럽게 변화되는 지층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쐐기부(130)가 마련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잭업리그(100)가 선체(105)에서 해저로 이동되어 스퍼드캔(120)이 해저지반에 지지될 때, 한쪽 스퍼드캔(120)이 지지되는 지층이 연약 지층인 경우, 스퍼드캔(120)이 지지되는 연약 지층이 변화될 수 있지만, 스퍼드캔(120)의 하부에서 쐐기이동유닛에 의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쐐기부(130)가 연약 지층을 통과하여, 연약 지층의 아래의 지반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100)가 안정적으로 견고한 지반에 지지되어 기초 구조물의 급속한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잭업리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잭업리그 기초 하단 중앙부에 말뚝형상의 쐐기부(130)가 마련됨으로써, 잭업리그(100)의 기초 구조물의 급속 부등침하 방지 및 기초 구조물의 지지력 증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쐐기부(13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 가능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캔(120)은, 레그(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1)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2)와,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22) 사이에 마련되는 테두리부(125)를 포함하며, 돌출몸체(131)는 테두리부(125)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22)와,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22) 사이에 마련되는 테두리부(125)는 전술한 스퍼드본체(126)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퍼드캔(120)은, 해저의 바닥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넓고 평평한 원반 형상으로서,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22)는 테두리부(125)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서 테두리 측으로 점차 상하 방향에 따른 단면이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25)는, 120도 간격을 가지면서, 세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된 테두리부(125)는, 거의 둥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둥근 형상의 테두리부(125) 사이에는 직선구간의 테두리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부(130)는, 스퍼드캔(120)의 하부에 해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몸체(131)와, 돌출몸체(131)의 하단부에 해저를 향해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쐐기부(130)는, 지면에 대한 투영 형상이 원형인 말뚝형상으로서, 스퍼드캔(120)이 지지된 연약지층을 통과하여 연약지층 아래에 있는 지반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쐐기부(130)의 길이는, 주로 해저에 있는 연약지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연약지층의 두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뾰족돌기(133)는, 스퍼드캔(120)에 의해 변형되는 연약지층을 통과할 수 있으며, 연약지층보다 견고한 지반에 박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부(130)는, 선체(105)로부터 스퍼드캔(120)이 해저에 지지될 때, 급격한 지층변화구간에 의한 스퍼드캔(120)의 갑작스런 침하를 방지하여, 스퍼드캔(120)에 의해 지지되는 선체(105)의 급격한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쐐기부(130)에 대해 지층으로부터 가해지는 지지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지지력은, 쐐기부(130)를 따라 스퍼드캔(120)을 향한 수직의 지지력과 쐐기부(130)의 외면부를 향한 수평의 지지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직 및 수평의 지지력은, 지반에 박힌 상태의 쐐기부(130)에 대한 지지력의 표시로서, 쐐기부(130)는 지반에 박힌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부(130)의 돌출몸체(131)의 길이 D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급격한 지층변화구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7 ~ 0.75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1m로 결정된다면, 돌출몸체(131)의 D1의 길이는 0.7m ~ 0.75m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몸체(131)의 반지름 D2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7 ~ 0.8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캔(120)의 하부몸체(122)의 길이 D3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60 ~ 0.65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1m로 결정된다면, 하부몸체(122)의 길이 D3는 0.60m ~ 0.65m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캔(120)의 테두리부(125)의 길이 D4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25 ~ 0.3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1m로 결정된다면, 하부몸체(122)의 길이 D4는 0.25m ~ 0.3m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부(125)의 최대 반지름 D5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2.5 ~ 3.0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쐐기부(130)의 뾰족돌기(133)에 대한, 돌출몸체(131), 하부몸체(122), 테두리부(125)의 비율은, 스퍼드캔(120)이 해저에 지지될 때 급격한 지층변화를 상정하여, 쐐기부(130)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지층구간을 수월하게 통과하면서, 스퍼드캔(120)이 해저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한 스펙이다.
전술한 스펙들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의 기초의 직경은 20 m 내외이며, 일반적으로 해저 지반의 급속한 부등침하가 발생되는 연약한 지층의 두께가, 2m ~ 3 m 내외인 사실에 근거한다.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2m로 결정된다면, 돌출몸체(131)의 길이 D1는 1.4m ~ 1.5m로 정해질 수 있으며, 돌출몸체(131)와 뽀족돌기(133)의 전체 길이가 3.4m ~ 3.5m로 결정될 수 있으므로, 쐐기부(130는 2m ~ 3 m 두께의 연약한 지층을 통과하여 해저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리그(100)와, 잭업리그(1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선체(105)에 마련되는 잭업유닛(140)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스퍼드캔(120)이 해저지반에 지지될 때, 한쪽 스퍼드캔(120)이 지지되는 지층이 연약 지층인 경우, 스퍼드캔(120)이 지지되는 연약 지층이 변화될 수 있지만, 스퍼드캔(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쐐기부(130)가 연약 지층을 통과하여, 연약 지층의 아래의 지반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선체(105)의 급속한 부등침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잭업리그 110: 레그
120: 스퍼드캔 121: 상부몸체
122: 하부몸체 125: 테두리부
126: 스퍼드본체 127: 쐐기 관입부
128: 관입도어 129: 가이드롤러
130: 쐐기부 131: 돌출몸체
133: 뾰족돌기 140: 잭업유닛
150: 쐐기이동유닛 151: 유압실린더
155: 가이드웨지 159: 실린더로드

Claims (7)

  1.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의 하단에서 해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에 하단에 결합되는 스퍼드본체;
    상기 스퍼드본체의 저면부 아래로 출몰 가능하게 상기 스퍼드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해저 지면에 박히도록 형성되는 쐐기부; 및
    상기 쐐기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퍼드본체에 마련되는 쐐기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쐐기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쐐기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쐐기부에 연결되는 가이드웨지; 및
    상기 가이드웨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웨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스퍼드본체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그리고 동일한 간격으로 세 개가 배치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가이드웨지의 배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본체에는, 상기 쐐기부가 내부로 관입 가능하도록 쐐기 관입부가 마련되되,
    상기 쐐기 관입부에는, 상기 쐐기부의 출몰 시에 상기 쐐기 관입부를 개폐하도록 관입도어가 마련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6.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 및
    해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의 하단에 마련되는 상기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캔의 쐐기부는,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상기 스퍼드캔의 하부에 해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몸체; 및
    상기 돌출몸체의 하단부에 해저를 향해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돌기를 포함하는 잭업리그의 스퍼드캔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0140127613A 2014-09-24 2014-09-24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60035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13A KR20160035816A (ko) 2014-09-24 2014-09-24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13A KR20160035816A (ko) 2014-09-24 2014-09-24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16A true KR20160035816A (ko) 2016-04-01

Family

ID=5579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13A KR20160035816A (ko) 2014-09-24 2014-09-24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81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551A (ko) * 2017-02-16 2018-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KR102051114B1 (ko) 2018-07-30 2019-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생산용 부유식 구조물
KR20200013437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퍼드캔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00022956A (ko) * 2018-08-24 2020-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평탄화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00030197A (ko) 2018-09-12 2020-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리그 레그용 스퍼드캔
KR20200081143A (ko) 2018-12-27 2020-07-07 현대건설주식회사 스퍼드캔 기초를 이용한 프리파일링 템플리트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KR20240016072A (ko) 2022-07-28 202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551A (ko) * 2017-02-16 2018-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KR102051114B1 (ko) 2018-07-30 2019-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생산용 부유식 구조물
KR20200013437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퍼드캔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00022956A (ko) * 2018-08-24 2020-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평탄화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00030197A (ko) 2018-09-12 2020-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리그 레그용 스퍼드캔
KR20200081143A (ko) 2018-12-27 2020-07-07 현대건설주식회사 스퍼드캔 기초를 이용한 프리파일링 템플리트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KR20240016072A (ko) 2022-07-28 202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5816A (ko)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US9371625B2 (en) Modified spudcan with optimal peripheral skirt for enhanced performance of jackup operations
KR101623741B1 (ko) 해상 풍력발전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264776B2 (ja) サクション構造体
US20130298815A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PH12014502301A1 (en) Partially floating marine platform for offshore wind-power, bridges and marine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459649B1 (ko) 해상 지지구조물 설치를 위한 이중 부유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 시공 방법
US11713098B2 (en) Multiline ring anchor and installation method
CN107933828B (zh) 一种锚头可张开的新型鱼雷锚及其安装方法
CN104627331A (zh) 一种风力发电浮式基础
WO2015071634A1 (en) Offshore foundation
KR101665979B1 (ko) 콘크리트 베이스를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72723B1 (ko) 가변형 블레이드와 스커트부를 구비한 그룹형 하이브리드 석션 기초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52805A (ko) 잭업리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384167B1 (ko) 단일복합하이브리드기초형 해상풍력타워
JP2016514779A (ja) 北極圏入れ子式移動海洋掘削ユニット
US20130243527A1 (en) Tidal Flow Generation Structures
KR101384168B1 (ko) 위치센서를 이용한 해상풍력 발전기의 기초슬래브 설치 방법
KR20130137264A (ko) 암반 설치용 중력식 해상풍력 기초 슬래브
KR101489269B1 (ko) 잭업리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557441B1 (ko)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184891B1 (ko) 비접촉 파일 하이브리드 앵커
CN212797217U (zh) 一种海洋工程展翼锚
RU2477351C1 (ru) Ледостойкая моноподная самоподъемная плавуч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2478057C2 (ru) Ледостойкий буровой комплекс для освоения мелководного континентального шельфа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ледостойкого бур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для освоения мелководного континентального шельф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