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32712A - Electric Charger Cradle With USB Interfac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ic Charger Cradle With USB Interfac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712A
KR20160032712A KR1020157006513A KR20157006513A KR20160032712A KR 20160032712 A KR20160032712 A KR 20160032712A KR 1020157006513 A KR1020157006513 A KR 1020157006513A KR 20157006513 A KR20157006513 A KR 20157006513A KR 20160032712 A KR20160032712 A KR 20160032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module
cradle
usb
electrode plat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9018B1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Publication of KR2016003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 상기 웨어러블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밴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충전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포함한다.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n outpu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a device module to be charged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a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the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expo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o fix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 device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wearable band; And a USB charging cradle inserted into the USB port while the device module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and is mounted to charge the device module.

Description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Electric Charger Cradle With USB Interfac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harging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USB charging cradle,

본 발명은 유에스비(USB)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분리형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USB 충전 크래들과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harging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USB charging crad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a detachable module of a wearable device using a USB (Universal Serial B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cradle.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휴대용 전화의 용도 외에도 일정이나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적인 정보의 관리에서부터 음향이나 영상 미디어의 저장 및 재생,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의 조회 등 그 활용의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 GPS 모듈,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스마트 폰의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어 스마트 폰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As the use of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is increasing, besides the use of portable telephones, from the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schedule and contacts, to the storage and reproduction of sound and image media, The range of applications is also expanding. In recent years, various applications that utilize the hardware of a smartphone such as a camera module, a GPS module, a gravity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have been provid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smartphone is increasing day by day.

한편 최근에는 손목이나 팔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하고, 스마트 폰 등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브 디스플레이, 컨트롤 패널, 및 센서로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른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도 스마트 기어(gear), 스마트 워치(watch), 또는 스마트 밴드(band) 등의 이름으로 시장에 출시되어 스마트 폰 사용자 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In recent years, so-called wearable devices, which can be worn on parts of the body such as wrists and arms and are wirelessly connected with smart phones and provide various functions as sub-displays, control panels, and sensors, ), Smart watches, or smart bands, which ar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smartphone users.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몇 가지 특징을 갖는데, 하나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장치이므로 필요한 전력을 충전을 통해 얻을 수밖에 없다. 통상 한 번 충전으로 며칠을 사용할 수 있으나, 날마다 전력 소모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 곧바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휴대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하나는 디자인적 요소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장치이므로 액세서리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 모듈의 크기 및 모양이 다양화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하나는 방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흔히 손목이나 팔에 착용하고 운동 등 외부 활동 시에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방수 필요성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 단자 등의 설계에 제약이 따른다.These wearable devices have several features, one of which is charging. It is a device to carry around the body, so you have to get the necessary power through charging. You can usually spend a few days on a single charge, but you may need to carry the charger so that you can charge it immediately when you need it, as power consumption can vary from day to day. The other is that the design factor is important. Since it is a device to carry around the body, it also serves as an accessory. As a result, the size and shape of the device module can not but be varied. Another is that waterproofing is needed. Wearable devices are often worn on the wrist or arm and are highly utilized in external activities such as exercise. Due to the necessity of waterproofing,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design of the charging terminals exposed to the outside.

위와 같은 이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모듈에 적용 가능하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부 방수에 적합한 구조의 충전 장치가 요구된다.For the above reasons, wearable devices are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that is portable and easy to use, applicable to modul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suitable for waterproofing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s of the device module.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화에 적합한 구조로 휴대가 용이하고, USB 포트에 연결하여 쉽게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단자로서 방수에 유리한 평판형 전극 패드를 갖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디바이스 모듈에 호환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evice modul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easy to carry, easily connected to a USB port, and having a flat electrode pad,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B charging cradle hav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 bar-shaped electrode plate having an output terminal portion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battery; And a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the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expo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o fix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다.The cradle housing may receive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when the cradle housing is in use.

또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결합하는 슬라이드 방향과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cradle housing may include an opening for expos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when the cradle housing is in at least a used state; And a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fix the device module to be engaged and fixed. Here,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has a slide-coupled structure in which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engages with the portion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slid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module is coupled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Like electrode plates can b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과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radle housing and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so as to maintain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drawn out from the cradle housing when in use,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되어,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The output terminal may be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constituted by the plate type electrode pad.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 상기 웨어러블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밴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충전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포함하고,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 device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wearable band; And a USB charging cradle inserted into the USB port while the device module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and is mounted to charge the device module,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한다.The USB charging cradle has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 bar typ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n output terminal portion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a device module to be charged An electrode plate; And a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the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expo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o fix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radle housing accommodates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when the cradle housing is in use, ; And a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fix the device module to be engaged and fixed.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의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밴드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device module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of the cradle housing, and the wearable band may include a portion formed to engage with a portion of the device module having a charging terminal.

한편,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은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형 전극과 접촉하는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충전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USB charging cradle includes an output terminal formed of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the device module is mounted on the USB charging cradle, And a charging terminal formed of a planar electrode pad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lectrode.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소형화에 적합한 구조로 휴대가 용이하고, USB 포트에 연결하여 쉽게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단자로서 방수에 유리한 평판형 전극 패드를 갖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디바이스 모듈에 호환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module of various shapes and sizes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easy to carry, easily connected to a USB port and capable of being easily charged, A USB charging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USB charging cradle, which can be applied with compatibilit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휴대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휴대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 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모듈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X-X' 단면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showing a portable state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portable state of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usage state of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side.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vice module is mounted on the USB charging cradle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ice modul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of a wrist watch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XX 'section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나 언급된 변형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clearly conve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고, 도 3은 휴대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USB charging cradle, and FIG. 3 is a top view showing the portable charging cradl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크게 나누어 바(bar) 형 전극 플레이트(10)와 크래들 하우징(20)을 갖는다. 상기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10)는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11G)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12G)를 갖는다.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12G)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출력 단자(12)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USB 접속 단자부(11G)는 USB 포트의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USB 접속 단자(11)를 포함하는 부분을 지칭하고, 출력 단자부(12G) 역시 복수의 출력 단자(12)를 포함하는 부분을 지칭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B charging cradle 100 roughly includes a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and a cradle housing 20.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has a USB connection terminal part 11G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 charging terminal 11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art 11G on the other side, And an output terminal portion 12G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The cradle housing 20 accommodates at least a part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so tha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exposed and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s engaged with the output terminal 12 Respectively.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refers to a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USB connection terminals 11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parate electrodes of the USB port and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12, . ≪ / RTI >

상기 크래들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수용한다. 또한,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출력 단자부(12G)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3)와 상기 개구부(23)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23)가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출력 단자부(12G)를 노출시킨다는 것은, 사용 상태일 때는 필수적으로 상기 출력 단자부(12G)가 상기 개구부(23)을 통해 노출되고, 휴대 상태일 때는 상기 개구부(23)의 크기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부(12G)가 노출될 수도 있고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사용 상태일 때나 도 3의 휴대 상태일 때 모두 상기 출력 단자부(12G)가 상기 개구부(23)를 통해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 쪽으로 노출된다.1 and 2, the cradle housing 100 includes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20 in a sliding manner. Accept. In addition, at least in the use state, an opening 23 for exposing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and a device module (not shown) formed adjacent to the opening 23,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1. Exposure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when the opening portion 23 is at least in the use state means tha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necessarily expos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23 when in u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may be exposed or may not be expo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pening 23.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exposed toward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through the opening portion 23 both in the use state of FIG. 2 and in the portable state of FIG.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결합구조(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구조(22)는 일 예로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는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 측에 가이드 돌기가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구조(22)는 가이드 홈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may have a slide fitting structure 22 that engages with a portion of the device module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The slide coupling structure 22 may be, for example, a guide projection for guiding the slide coupling. In this case, a corresponding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device module.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lide coupling structure 22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guide groove.

한편,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결합하는 슬라이드 방향(도 2의 좌에서 우측 방향)과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인출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전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디바이스 모듈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크래들 하우징(20) 내부로 다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 and a slide (not shown) for pulling out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such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is exposed, So that the direc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from being retracted back into the cradle housing 20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evice module in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for charging.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20)과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스토퍼(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의 개구부(23) 후단(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측에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 쪽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완전히 인출되면 그 후단이 상기 스토퍼(25)에 걸려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때까지 후퇴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상면(13)에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구간에서 상기 스토퍼(2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홈(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USB charging cra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radle housing 20 and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so that when the USB connection terminal unit 11G is in use, And a stopper (25) for supporting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so as to maintain the drawn state from the cradle housing (20). 1 to 3, the stopper 25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opening 23 of the cradle housing 20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is drawn out) Type electrode plate 10 as shown in FIG. When the bar electrode plate 10 is completely drawn out, the rear end of the bar electrode plate 10 is supported by the stopper 25 so as not to retreat until a force exceeding a predetermined level is applied. A groove 14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13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opper 25 in a section where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slides relative to the cradle housing 20 .

상기 출력 단자부(12G)를 구성하는 상기 출력 단자(12)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표면(13)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되어,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12)는 일 예로 포고 핀(pogo pin)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굴곡이 형성된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output terminal 12 constituting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constituted by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13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dule. The output terminal 12 may be a pogo pin electrode, or may be formed of a metal electrode having a curved shape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한편,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되지 않았을 때,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상태일 때 디바이스 모듈 대신 커버를 덮어 상기 출력 단자부(12G) 등이 먼지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USB charging cradl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 covering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when the device module is not mounted. It is possible to cover the cover instead of the device module and to preven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nd the like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dust when in a portable state.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에서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와 상기 출력 단자부(12G)는 동일한 면, 즉 상면(13)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의 USB 접속 단자(11)와 상기 출력 단자부(12G)의 출력 단자(12)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 내부에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고 함은 도전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과 컨트롤러 등 전기 회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In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and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re preferably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13.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and the output terminal 12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As shown in FIG. The term " electrically connected to " as used herein includes a direct connection through a conductor and an electrical circuit such as a controller.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휴대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고, 도 5는 그 사용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다.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portable state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USB charging cradle.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의 저면에는 저면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후면 일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손잡이(15)를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큰 마찰력을 받도록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15)를 이용하여 손쉽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다.A bottom opening 24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radle housing 20 to expose a rear portion of the bar electrode plate 10 and more specifically a slide knob 15 . The user can easily pull out and insert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by using the slide knob 15 formed to receive a large frictional force in the slide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 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다.FIG. 6 is a rear view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vice module is mounted in the USB charging cradle of FIG.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에서 USB 접속 단자부가 인출되는 쪽을 정면이라하고, 그 반대쪽을 배면이라 할 때, 본 도면들은 배면을 바라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를 향해 복수의 출력 단자(12)가 노출된다.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12)는 예컨대 전술한 복수의 USB 접속 단자를 통해 USB 포트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의 양측에는 디바이스 모듈(30)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조의 일 예로, 가이드 돌기 형태의 슬라이드 결합구조(2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30)에는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32)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31)이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The side from which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USB charging cradle 100 is referred to as a front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a rear side.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12 are exposed toward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12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USB port through a plurality of USB connection terminals, for example. The device module 30 may be provided with slide coupling structures 22 in the form of guid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as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for temporarily fixing the device module 30, And a corresponding guide groove 32 may be provided. Through such a coupling structure, a portion 31 having a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30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한편,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의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디바이스 모듈(30)을 고정하는 방식은 슬라이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크(hook)와 랫치(latch)를 이용한 고정 방식이나, 푸시 락(push lock) 방식 등 다양한 고정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fixing the device module 30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of the cradle housing 20 is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Various fixing methods such as a locking method using a hook and a latch or a push lock method may be adop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크래들 하우징(20)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에 USB 접속 단자(11) 및 그와 연결된 출력 단자(12)가 배치되고,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래들 하우징(20)이 상기 출력 단자(12)에 디바이스 모듈(30)의 충전 단자가 접촉되도록 안내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The USB charging cra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is inserted and withdrawn in a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cradle housing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USB connection terminal (11) and an output terminal (12) connected thereto are disposed on a bar type electrode plate (10), and a cradle housing (20)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10) So long as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12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therewith.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모듈을 보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ice modul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바이스 모듈(30)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충전 단자(34)를 가지는 부분(31)은 전술한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의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가지 디자인의 디바이스 모듈(30)에 대하여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을 호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vice module 3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31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34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of the USB charging cradle 100 described above. In this way, one USB charging cradle 100 can be compatible with the device module 30 of various designs.

또한, 상기 충전 단자(34)는 디바이스 모듈(30)의 저면(33)에 평면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단자(34)는 상기 저면(3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평판형 전극 패드를 노출시키되, 상기 개구부 둘레에 씰링 부재를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방수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유리하다.The charging terminal 34 may be a flat electrode pad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device module 30 in a plan view. The charging terminal 34 is advantageous for realizing a waterproof function by exposing the planar electrode pa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3 and providing a sealing member around the opening.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X-X' 단면을 보이는 단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ristwatch-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술한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과 함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40)와, 상기 웨어러블 밴드(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손목 시계 형태로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로 든 것이다. 상기 웨어러블 밴드(40)는 디바이스 모듈(30)을 수용하는 공간인 디바이스 모듈 수용부(43)가 형성된 몸체부(41)와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 등에 착용되는 스트랩 형태의 착용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용부(42)는 스트랩 형태 외에도 착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wearable band 40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nd a device module 30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wearable band 40, together with the aforementioned USB charging cradle . The present embodiment exemplifies a wearable device worn in the form of a wristwatch. The wearable band 40 comprises a body portion 41 having a device module receiving portion 43 accommodating the device module 30 and a wearing portion 42 in the form of a strap which is worn on the user's wrist or arm . In addition to the strap shape, the wearing portion 42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body part to be worn.

상기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상기 충전 단자(34)를 갖는 부분(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 하우징의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웨어러블 밴드(40)는 일부분이,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 모듈 수용부(43)를 갖는 몸체부(41)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31)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부분(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위한 구조가 웨어러블 밴드(40)의 몸체부(4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구조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The portion 31 of the device module 30 with the charging terminal 34 is configured to mate with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of the cradle housing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body portion 41 having the devic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43, and a portion 44 formed to engage with the portion 31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30.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device to the USB charging cradle in the device module 30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body 41 of the wearable band 40.

Claims (10)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A bar type electrode plate hav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n outpu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a device module to be charged; And
And a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expo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o fix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USB charging cra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adle housing accommodates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when the cradle housing is in use,
USB charging crad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adle housing includes:
An opening for expos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when at least in a used state; And
And a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fix the device module to be engaged and fixed.
USB charging crad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결합하는 슬라이드 방향과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has a slide coupling structure that engages with a portion of the device module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And a slide direction for coupling the device module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and a slide direction for drawing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exposed,
USB charging crad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과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which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radle housing and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supports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pulled out from the cradle housing when in use,
USB charging cra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되어,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와 접촉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terminal is composed of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is in contact with a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constituted by a flat electrode pad,
USB charging cradle.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
상기 웨어러블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밴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충전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 device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wearable band; And
And a USB charging cradle inserted into the USB port while the device module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and is mounted to charge the device module,
The USB charging cradle includes:
A bar type electrode plate hav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n outpu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a device module to be charged; And
And a cradle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and expo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o fix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Wearable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radle housing includes:
Wherein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is accommodated such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An opening for expos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bar type electrode plate when at least in a used state; And
And a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fix the device module to be engaged and fixed.
Wearable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의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밴드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portion of the device module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of the cradle housing,
Wherein the wearable band comprises a portion formed to engage a portion having a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Wearable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은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형 전극과 접촉하는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B charging cradle has an output terminal composed of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j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bar electrode plate,
Wherein the device module has a charging terminal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USB charging cradle and is composed of a flat electrode pad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lectrode,
Wearable device.
KR1020157006513A 2014-08-21 2014-08-21 Electric Charger Cradle With USB Interfac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6690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790 WO2016027915A1 (en) 2014-08-21 2014-08-21 Usb charging cradle and wearable device includ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712A true KR20160032712A (en) 2016-03-24
KR101669018B1 KR101669018B1 (en) 2016-10-25

Family

ID=5535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513A KR101669018B1 (en) 2014-08-21 2014-08-21 Electric Charger Cradle With USB Interfac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9018B1 (en)
WO (1) WO201602791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39A1 (en)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리베스트 Wearable accessory and circuit protection module provided therein
KR20200020621A (en)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리베스트 Wearable accessory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provided there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6847A (en) * 2021-12-29 2022-04-12 歌尔科技有限公司 Charging base and wrist-worn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494A (en) * 2003-12-11 2005-06-30 Ricoh Elemex Corp Charging battery unit, electronic equipment, and charging device
KR20080000445U (en) * 2006-10-10 2008-04-15 박승 Double Action Vacuum Pump with Vacuum First Method
KR101255810B1 (en) * 2011-02-23 2013-04-17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Wristband type smartcard for having usb interface
US8249547B1 (en) * 2011-06-16 2012-08-21 Albert Fellner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WO2013025191A1 (en) * 2011-08-12 2013-02-21 Advanced Bionics Ag Procedure us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having a usb connector to recharge a battery for a hearing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a battery charger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39A1 (en)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리베스트 Wearable accessory and circuit protection module provided therein
KR20200020621A (en)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리베스트 Wearable accessory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provided therein
CN112204802A (en) * 2018-08-17 2021-01-08 理百思特有限公司 Wearable accessory and circuit protection module arranged therein
US11699822B2 (en) 2018-08-17 2023-07-11 Libest Inc. Wearable accessory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provided therein
CN112204802B (en) * 2018-08-17 2024-03-29 理百思特有限公司 Wearable accessory and circuit protection module arrang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15A1 (en) 2016-02-25
KR101669018B1 (en)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8201B2 (en) Wristwatch with electrical connector
KR101548465B1 (en) Battery Device For Smart Watch
KR100642310B1 (en) Wrist watch type bluetooth headset assembly
KR101391547B1 (en)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EP3300386A1 (en) Bluetooth headset and watch including same
US8610398B2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132229A (en) Contact type portable power
CN107863800B (en)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TW201528647A (en) Mobile power capable of carrying charging adapter and supporting recognition of two-dimensional barcode
CN104378465A (en) Mobile terminal
KR101393388B1 (en) Smart watch and connecting gender thereof
TW201316651A (en) Charger
KR101669018B1 (en) Electric Charger Cradle With USB Interface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5764280B (en) Protective sleev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ing same
CN204376964U (en) Mobile terminal
CN104363316A (en) Mobile terminal
KR101508601B1 (en) Multifunctional belt
KR101945842B1 (en)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KR20160109190A (en) Rechargable dock of mobile terminal
TWM481432U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upled with mobile power supply
CN106155187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ve cover thereof
WO2019014986A1 (en) Protective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2008288151A (en) Waterproofing terminal structure
CN204316551U (en) Mobile terminal
TWM541650U (en) Charg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