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31686A -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686A
KR20160031686A KR1020140121398A KR20140121398A KR20160031686A KR 20160031686 A KR20160031686 A KR 20160031686A KR 1020140121398 A KR1020140121398 A KR 1020140121398A KR 20140121398 A KR20140121398 A KR 20140121398A KR 20160031686 A KR20160031686 A KR 20160031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everage
link member
opening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862B1 (ko
Inventor
정희도
홍영훈
송민섭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862B1/ko
Priority to EP15840407.9A priority patent/EP3192408A4/en
Priority to US15/510,481 priority patent/US10973365B2/en
Priority to PCT/KR2015/009076 priority patent/WO2016039543A1/ko
Priority to CN201580048940.0A priority patent/CN106687013B/zh
Publication of KR2016003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개폐부; 상기 추출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을 천공하도록 왕복 운동하는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 추출 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음료 추출 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 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추출 장치에서는 온수공급원으로부터 소정 압력의 온수를 음료 캡슐에 공급하여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면 음료가 생성된다. 즉, 음료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추출 장치로부터 음료가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 추출 장치에는 별도의 펀치 부재등을 이용하여 음료 캡슐을 천공하게 되는데, 이때 펀치 부재가 음료 캡슐을 천공한 뒤에도 여전히 음료 캡슐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음료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가 천공된 구멍을 통해 빠져나오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음료 캡슐의 내부에서 음료분말이 고압축되어 음료 추출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음료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가 음료 캡슐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음료 추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개폐부; 상기 추출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을 천공하도록 왕복 운동하는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추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개폐부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천공부는 상기 장착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추출부는 상기 장착 공간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장착되는 토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홀더와 상기 바디의 바닥면에는 배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토출부재에는 상기 천공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음료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삽입홀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에는 상기 삽입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링크부에 의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력이 상기 덮개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부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이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천공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 왕복 운동하는 가이드 링크; 및 상기 가이드 링크의 회전 왕복 운동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1 펀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은 상기 추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은 상기 제1 펀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회전 링크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회전 링크부재는 자중에 의해 일부가 상기 가이드 링크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제1 펀치는 상기 장착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음료 추출 장치; 상기 음료 추출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음료 추출 장치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음료 추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냉수 또는 정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냉정수 추출구 및 온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온수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음료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가 음료 캡슐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추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삽입 고정된 음료 추출 장치(10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상기 음료 추출 장치(100)와 연결되는 음료 추출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수 및 정수가 토출되는 냉정수 추출구(30) 및 온수가 토출되는 온수 추출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형을 구성하며, 전면부에 상기 냉정수 추출구(30) 및 온수 추출구(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정수 추출구(30) 및 상기 온수 추출구(40)와는 별도로 상기 음료 추출구(20)가 구비되어 상기 음료 추출구(20)를 통해 상기 음료 추출 장치(100)에서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냉수, 정수 또는 온수를 음용하거나 상기 음료 추출 장치에서 추출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로 상기 음료 추출 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추출부(200), 개폐부(300), 링크부(400) 및 천공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추출부(200)에는 장착 공간(MS)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공간(MS)에는 음료 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공간(MS)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경우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수 있고, 상기 개폐부(300)를 열 경우 상기 장착 공간(M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MS)에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공간(C)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300)를 통해 고압의 온수가 상기 음료 캡슐(C)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경우 상기 천공부(500)에 의하여 상기 음료 캡슐(C)이 천공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천공부(500)는 제1 펀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는 상기 추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300)가 열리지 않고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링크부(4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200)는 바디(210), 홀더(220) 및 토출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홀더(2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11)이 제공되며, 상기 안착홈(211)에 상기 홀더(22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20)에는 상기 장착 공간(MS)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공간(MS)에는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장착 공간(MS)은 상기 음료 캡슐(C)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이 상기 장착 공간(MS)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장착 공간(MS)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1)의 바닥면과 상기 홀더(220)의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출홀(213, 221)이 관통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재(230)는 상기 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안착홈(211)의 바닥면과 상기 홀더(22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배출홀(213, 221)을 통해 상기 토출부재(230)에 제공되며, 상기 음료는 상기 토출구(2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재(230)에는 삽입홀(23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233)에는 상기 제1 펀치(5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233)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삽입홀(233)의 형상과 대응되는 스토퍼(511)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홀(233)은 상기 제1 펀치(510)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펀치(510)는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배출홀(213, 221)을 통해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한 뒤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퍼(511)가 상기 삽입홀(233)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부재(230)에 제공된 상기 음료는 상기 삽입홀(2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토출구(2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 제1 펀치(510)의 왕복 운동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공간(MS)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부(300)는 덮개(310) 및 레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310)는 상기 레버부재(3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상기 장착 공간(MS)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M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310)가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덮개(310)는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연결핀(P)에 의해서 상기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재(32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레버부재(320)와 함께 상기 덮개(3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320)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가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닫히도록 상기 레버부재(320)와 함께 상기 덮개(31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C)이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기 음료 캡슐(C)의 상부를 천공하도록 상기 덮개(310)에는 제2 펀치(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펀치(311)는 끝부분이 날카롭게 구성되어 상기 음료 캡슐(311)을 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310)와 상기 제2 펀치(311)에는 서로 연통되는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300)가 열리지 않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크부(400)는 제1 링크부재(410), 제2 링크부재(420) 및 제3 링크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은 상기 레버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은 상기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은 상기 덮개(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링크부재(410),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상기 개폐부(30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부재(3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타측이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이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타측이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300)가 상기 장착 공간(MS)을 밀폐시켰을 때,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중심가상선(L1)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3 중심가상선(L3) 사이에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중심가상선(L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320)를 올렸을 때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과,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여 상기 덮개(310)를 밀어올릴 때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중심가상선(L3)은 상기 제1 중심가상선(L1)보다 상기 추출부(200)의 상기 토출구(23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었을 때 상기 레버부재(320)를 들어올리면,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320)를 들어올리면, 상기 덮개(310)가 열릴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장착 공간(MS)을 밀폐하도록 상기 레버부재(320)를 내리면,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320)를 내리면 상기 덮개(310)가 닫힐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었을 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면, 상기 덮개(31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의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도 5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310)는 제3 링크부재(43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를 더 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링크부재(430)에는 톱니 형상의 홈(4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210)에도 톱니 형상의 홈(215)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면 상기 제3 링크부재(430)와 상기 바디(210)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MS)에 작용하는 고압에 의해 상기 덮개(31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상기 제2 링크부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3 링크부재(430)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상기 바디(210)에 더욱 밀착되게 되고, 결국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덮개(310)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링크부재(410),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각각 상기 추출부(200)와 상기 개폐부(300)의 양쪽에 대칭되게 두 개씩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에는 두 개의 상기 제2 링크부재(420)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RS)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기 개폐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천공부(500)가 왕복 운동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천공부(500)는 상기 개폐부(300)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천공부(500)는 상기 제1 펀치(510) 및 가이드 링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펀치(510)의 일측은 상기 배출부재(230)의 상기 삽입홀(233)을 통해 상기 배출부재(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233)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펀치(51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233)과 대응되는 형상의 상기 스토퍼(5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펀치(510)가 상기 삽입홀(233)에서 빠지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은 상기 추출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은 상기 제1 펀치(5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펀치(51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이 자중에 의해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 펀치(510)의 상기 스토퍼(511)에 의하여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삽입홀(233)에 밀착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링크(520)도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정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링크부재(420)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걸림턱(5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걸림턱(5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때 상기 제2 링크부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와 연결된 상기 회전축(RS)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제1 걸림턱(521)에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축(RS)이 상기 제1 걸림턱(521)을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이 회전하므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제1 펀치(510)가 상측으로 올려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음료 캡슐(C)이 천공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도록 상기 개폐부(300)를 닫으면,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2 걸림턱(523)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링크(5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천공부(500)에는 탄성 부재(5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30)의 일측은 상기 추출부(20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상기 회전축(RS)이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때,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펀치(51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삽입홀(233)과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링크(520)는 회전 왕복 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펀치(510)는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상기 제1 펀치(510)가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한 뒤에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상기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 캡슐(C) 내부에서 음료분말들이 고압축되어 상기 음료의 추출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상기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음료의 추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가이드 링크(520')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상기 가이드 링크(52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링크(520')에 회전 링크부재(5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삽입홈(5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는 상기 삽입홈(521')에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가이드 링크(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521')은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타측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타측 일부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때,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타측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링크(54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펀치(510)가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개폐부(300)가 닫혀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때까지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걸림턱(523')에 안착되게 된다.
닫혀있는 상기 개폐부(300)를 열 때는,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때의 상기 회전축(RS)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을 따라 상기 회전축(RS)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RS)이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를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타측은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홈(52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300)를 열 때, 상기 회전 링크부재(540)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RS)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개폐부(300)를 열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음료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가 음료 캡슐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추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음료 추출 장치 200: 추출부
210: 바디 220: 홀더
230: 배출부재 300: 개폐부
310: 덮개 320: 레버부재
400: 링크부 410: 제1 링크부재
420: 제2 링크부재 430: 제3 링크부재
500: 천공부 510: 제1 펀치
520: 가이드 링크 530: 탄성 부재

Claims (22)

  1.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개폐부;
    상기 추출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을 천공하도록 왕복 운동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추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개폐부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음료 추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장착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음료 추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장착 공간이 형성된 홀더,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장착되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바디의 바닥면에는 배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음료 추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에는 상기 천공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음료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음료 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에는 상기 삽입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음료 추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에 의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력이 상기 덮개에 전달되는 음료 추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부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이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 왕복 운동하는 가이드 링크; 및
    상기 가이드 링크의 회전 왕복 운동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1 펀치;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은 상기 추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은 상기 제1 펀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음료 추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회전 링크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크부재는 자중에 의해 일부가 상기 가이드 링크의 외부로 돌출되는 음료 추출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링크의 저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음료 추출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펀치는 상기 장착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음료 추출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
    상기 음료 추출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음료 추출 장치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음료 추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냉수 또는 정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냉정수 추출구 및 온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온수 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40121398A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29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98A KR102292862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EP15840407.9A EP3192408A4 (en) 2014-09-12 2015-08-28 Beverage extracting devic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US15/510,481 US10973365B2 (en) 2014-09-12 2015-08-28 Beverage extracting devic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PCT/KR2015/009076 WO2016039543A1 (ko) 2014-09-12 2015-08-28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201580048940.0A CN106687013B (zh) 2014-09-12 2015-08-28 饮料提取装置和包括该饮料提取装置的净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98A KR102292862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86A true KR20160031686A (ko) 2016-03-23
KR102292862B1 KR102292862B1 (ko) 2021-08-25

Family

ID=5545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398A KR102292862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73365B2 (ko)
EP (1) EP3192408A4 (ko)
KR (1) KR102292862B1 (ko)
CN (1) CN106687013B (ko)
WO (1) WO20160395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65A (ko)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26287A1 (it) * 2016-12-14 2018-06-14 Caffitaly System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tramite infusione di una sostanza alimentare con acqua
USD846934S1 (en) * 2017-06-14 2019-04-30 Barsys LLC Beverage mixer dispenser
US12059093B2 (en) 2018-03-14 2024-08-13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extraction unit for selectively providing orifices of different types in a capsule for extraction of the beverage
USD893236S1 (en) * 2018-11-21 2020-08-18 Pepsico, Inc. Dispenser
USD948904S1 (en) * 2018-12-24 2022-04-19 Cuckoo Homesys Co., Ltd. Water purifier
USD973835S1 (en) * 2019-08-30 2022-12-27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1047560S1 (en) * 2019-10-09 2024-10-22 Franke Kaffeemaschinen Ag Coffee machine
CN110713283A (zh) * 2019-10-12 2020-01-21 李海洋 一种医疗废水多级处理工艺
USD950293S1 (en) * 2020-03-11 2022-05-03 CASO Holding GmbH Hot water boiler
CA201163S (en) * 2020-07-09 2022-05-20 Smeg Spa Espresso coffee machine
USD960288S1 (en) * 2020-08-12 2022-08-09 Clover Co., Ltd. Water purification device
JP1709499S (ja) * 2021-02-10 2022-03-10 浄水器
USD1025287S1 (en) * 2021-09-08 2024-04-30 Ceragem Co., Ltd. Water purifier
USD1027532S1 (en) * 2021-09-29 2024-05-21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984190S1 (en) * 2021-11-18 2023-04-25 Tchibo Gmbh Coffee machine
USD1016214S1 (en) * 2022-01-17 2024-02-27 Kingworks (Shenzhen) Industrial Co., Ltd. Water purifier
USD1041224S1 (en) * 2022-12-28 2024-09-10 De'Longhi Appliances S.R.L. Con Unico Socio Coffee maker
USD1048334S1 (en) * 2023-05-05 2024-10-22 Brita Lp Water purification device
USD1040591S1 (en) * 2023-05-25 2024-09-03 A. S. Marketing Systems Ltd Water dispenser
USD1048791S1 (en) * 2023-11-01 2024-10-29 Strauss Water Ltd. Water purification filtration and heating dispen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0919A1 (en) * 2004-01-28 2005-07-28 Werner Balkau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KR20090079832A (ko) * 2008-01-18 2009-07-2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기계 및 음료 기계의 개방 장치용 천공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60194A1 (it) 2006-08-04 2008-02-05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PT2000063E (pt) * 2007-06-05 2010-11-09 Criali Invest Sa Método de preparação de uma bebida e aparelho e cápsula para implementação deste método
EP2238878A1 (en) * 2009-04-09 2010-10-13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having a closing mechanism with force demultiplying means
CN201743493U (zh) 2010-02-08 2011-02-16 广东亿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从胶囊萃取饮料的设备
EP2543291A1 (en)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wing unit with a water heater
EP2543290A1 (en)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wing unit with a water heater
ITVR20110179A1 (it) * 2011-09-19 2013-03-20 Caffita System Spa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mediante l'utilizzo di cartucce, quali cartucce o cialde
ITTO20120503A1 (it) * 2012-06-08 2013-12-09 Lavazza Luigi Spa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tramite capsule
KR101430495B1 (ko) 2012-09-1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64177B1 (ko) 2012-11-09 2020-01-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CN203609280U (zh) 2013-08-30 2014-05-28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胶囊咖啡机自动刺破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0919A1 (en) * 2004-01-28 2005-07-28 Werner Balkau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KR20090079832A (ko) * 2008-01-18 2009-07-2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기계 및 음료 기계의 개방 장치용 천공 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65A (ko)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2408A4 (en) 2017-09-13
CN106687013B (zh) 2019-05-10
CN106687013A (zh) 2017-05-17
WO2016039543A1 (ko) 2016-03-17
US20170280921A1 (en) 2017-10-05
KR102292862B1 (ko) 2021-08-25
EP3192408A1 (en) 2017-07-19
US10973365B2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1686A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10053368A (ko) 핸드 로딩 커피 기계의 커피 홀딩 아암
JP2017534348A (ja) 煎出ユニット
CN103648338B (zh) 用于囊体的冲泡组件
EP3032989B1 (en) Capsule multi-piercing
JP2011504781A (ja) 一回使い切りパッケージから飲料を用意するための抽出用ユニット及びそのユニットを含む装置
BRPI0512768B1 (pt) método de fabricação de bebida a partir de material em pó em cápsula vedada
KR101572956B1 (ko)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JP2010517661A (ja) カプセルセンタリング装置を備えた一回使用カプセルから飲料を作る浸出装置
JP2011513023A (ja) 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カプセル
KR102064177B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JP6307608B2 (ja) 粉末食品を収容するカプセルを用いて飲料を作るための水平ユニット
EP3111811B1 (en) Capsule delivery and rejection mechanism in a beverage extracting device
US20120012007A1 (en) Transportable compact machine for preparing a drink
KR20160039093A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6307609B2 (ja) 粉末食品を収容するカプセルを用いて飲料を作るための水平ユニット
KR20140126793A (ko) 음료캡슐의 음료배출구조
KR20160031687A (ko) 음료 추출 장치
JP2024527892A (ja) 飲料調製システム
KR102633794B1 (ko)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CN211407632U (zh) 一种水烟壶打孔装置
BR112020015674A2 (pt) Unidade de extração de bebidas com obstrutor de escoamento móvel
KR20160110108A (ko)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KR20170101682A (ko)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