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749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8749A KR20160028749A KR1020140117671A KR20140117671A KR20160028749A KR 20160028749 A KR20160028749 A KR 20160028749A KR 1020140117671 A KR1020140117671 A KR 1020140117671A KR 20140117671 A KR20140117671 A KR 20140117671A KR 20160028749 A KR20160028749 A KR 201600287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cell
- adhesive
- frame
- frame portion
- adher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0746 body regi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외곽에 위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배터리셀에 접착되는 접착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라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접착부에 의해 소음 현상이 감소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이차전지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충방전하여 복수회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도 효과적이므로 그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차전지는 사용중 비틀림과 같은 충격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외곽에 위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배터리셀에 접착되는 접착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라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프레임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배터리셀 사이 또는 제1 기재층과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층은 폴리이미드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실리콘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양면 중 제1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부의 제1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반대되는 제2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부를 거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에 미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부는 본체영역과 상기 본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반대되는 제2면에 접착되고, 상기 연장영역은 상기 프레임부를 감싸면서 상기 접착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영역은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영역 중 일부는 상기 접착부에 접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부는 제2 기재층 및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에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영역은 상기 제2 기재층과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 따르면, 프레임부와 배터리셀에 중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바, 이차전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와 비교하기 위한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와 비교하기 위한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100a)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는 배터리셀(110), 배터리셀(110)의 외곽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20),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접착부(130a), 및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를 감싸는 라벨부(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셀(110)은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형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 배터리셀(110)은 일면이 개구된 전지케이스와 전지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110)의 일면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단자부(111), 즉 예를 들어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배터리셀(110)은 각형 또는 파우치형 등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배터리셀(110)은 일예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배터리셀(110)의 가장 넓은 면인 제1면(112)과 제2면(113)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단자부(111)는 제1면(112)과 제2면(113)을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측면(114)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배터리셀(110)을 보호하는 부재로서 배터리셀(11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20)는 예를 들어 배터리셀(110)의 4개의 측면(11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114)을 감싸거나, 또는 측면(114)과 제1면(112) 및 제2면(113)의 외곽까지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20)는 양면이 개구된 형상을 갖고 상기 개구된 형상 내에 배터리셀(110)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100a)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로부터 배터리셀(110)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20)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 및 제2면(113)과 각각 인접한 제1면(121)과 제2면(122), 및 제1면(121)과 제2면(122)을 연결하는 측면(1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과 제2면(122)은 각각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제2면(11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20)는 배터리셀(110)의 외곽에 꽉 들어맞거나 또는 그 사이에 이격공간(124; 도 3 참조)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124)은 의도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공차로 인해 발생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이차전지(100a)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130a)와 라벨부(14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접착부(130a)는 프레임부(120) 및 배터리셀(110)에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배터리셀(110)에 접착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접착부(130a)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에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에 접착되거나, 또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 모두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130a)는 제1 기재층(131)과 제1 접착층(132)을 포함하고, 제1 접착층(132)이 제1 기재층(131)과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 및/또는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접착부(130a)가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 및/또는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재층(131)으로서는 폴리이미드계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접착층(132)으로서는 실리콘계 접착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130a)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 전체, 또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 또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은 접착부(130a)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 사이에는 이격공간(124)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접착부(130a)는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는바 이러한 이격공간(124)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을 더욱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라벨부(140a)는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적어도 일부가 접착부(130a)에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라벨부(140a)는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를 감싸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배터리셀(110)과 프레임부(12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면에 상표 등의 정보를 기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라벨부(140a)는 배터리셀(110), 프레임부(120), 및 접착부(130a)에 접착되어, 상기 3개의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서로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라벨부(140a)는 제2 기재층(141a)과 제2 접착층(14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42a)은 제2 기재층(141a)과 배터리셀(110), 프레임부(120), 또는 접착부(130a)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3개의 구성요소에 라벨부(140a)를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라벨부(140a)는 배터리셀(110)의 제2면(113)으로부터 시작하여 프레임부(120)를 거쳐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을 향하여 연장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벨부(140a)는 배터리셀(110)의 제2면(113)에 접착되는 본체영역(143a), 및 본체영역(143a)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영역(144a)을 포함할 수 있고, 연장영역(144a)이 본체영역(143a)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례대로 프레임부(120)의 제2면(122)과 측면(123)을 감싸면서 접착부(130a)에 도달될 수 있다. 이때, 본체영역(143a)이 배터리셀(110)의 제2면(113) 뿐만 아니라 프레임부(120)의 제2면(122)에까지 위치될 수도 있으며, 연장영역(144a)은 본체영역(143a)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프레임부(120)의 측면(123)을 감싸면서 접착부(130a)에 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체영역(143a)은 배터리셀(110)의 제2면(113) 또는 배터리셀(110)의 제2면(113)과 프레임부(120)의 제2면(122)에 접착되고, 연장영역(144a)은 프레임부(120)의 제2면(122), 측면(123), 및 접착부(130a), 또는 프레임부(120)의 측면(123)과 접착부(130a)에 접착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장영역(144a)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본체영역(143a)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와 비교하기 위한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의 접착부(130a) 및 라벨부(140a)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만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에 접착부(130a)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라벨부(40)의 연장영역(44)이 직접 배터리셀(10)의 제1면(11)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차전지에 비틀림 응력이 가해졌을 때 라벨부(40)가 배터리셀(10) 및 프레임부(20)에 대하여 떨어졌다가 붙었다를 반복하면서,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소음은 라벨부(40)가 프레임부(20)의 제1면(21)과 떨어졌다가 붙음을 반복할 때 가장 크고 많이 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사용 중 소음이 발생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부(140a)는 접착부(130a)에 의하여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과 직접 접촉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a)는 라벨부(140a)가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으로부터 떨어졌다가 다시 붙었다를 반복하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없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라벨부(140a)는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이 아닌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 상의 접착부(130a)에 접착되는데, 이때 라벨부(140a)의 제2 접착층(142a)과 접착되는 부분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제1 기재층(131)인바,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에 접착될 때에 비하여 라벨부(140a)와 제1 기재층(131)의 접착력이 강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부(140a)가 접착부(130a)의 제1 기재층(131)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바 라벨부(140a)와 제1 기재층(131)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가능성은 다소 낮을 수 있다. 또한, 접착부(130a)가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과 분리되면서 소음이 발생될 염려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접착부(130a)의 제1 접착층(132)은 예를 들어 실리콘계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바 아크릴계인 경우에 비하여 접착부(130a)가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착부(130a)를 포함하는 경우 소음 발생의 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b)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b)는 배터리셀(110), 프레임부(120), 접착부(130b), 및 라벨부(140b)를 포함하되, 라벨부(140b)의 연장영역(144b) 중 일부는 접착부(130b)에 접착되고 나머지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에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벨부(140b)의 연장영역(144b)은 제1 연장영역(145b)과 제2 연장영역(146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장영역(145b)은 이전 실시예와 같이 본체영역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접착부(130b)에 접착될 수 있고 제2 연장영역(146b)은 본체영역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되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130b)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 전체를 커버하는 형상이 아니고 일부만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착부(130b)에 접착되는 제1 연장영역(145b)과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에 접착되는 제2 연장영역(146b)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130b)는 배터리셀(110)의 제1면(112)과 프레임부(120)의 제1면(121)의 일부만 커버하므로 이차전지(100b)를 생산함에 있어서 비용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소음 현상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곳은 단자부(111)의 위치에 반대되는 부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접착부(130b)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음 현상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곳에 위치시킴으로써, 접착부(130b)의 사이즈 축소로 인한 소음 현상 증대를 상대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c)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c)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c)은 배터리셀(110), 프레임부(120), 접착부(130c), 및 제2 기재층(141c) 및 제2 접착층(142c)을 포함하는 라벨부(140c)를 포함하되 라벨부(140c)의 제2 접착층(142c)이 개구영역(147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c)는 라벨부(140c)가 접착부(130c), 또는 접착부(130c)와 배터리셀(110)에 접착되고 프레임부(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라벨부(140c)의 제2 접착층(142c)에는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개구영역(147c)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영역(147c)은 프레임부(120)의 적어도 일부와 라벨부(140c)의 제2 기재층(141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영역(147c)은 프레임부(120)의 측면(123) 및 제2면(122)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라벨부(140c)가 프레임부(120)와 전혀 접착되지 않게 하거나, 또는 프레임부(120)의 측면(123)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라벨부(140c)가 프레임부(120)의 제2면(122)과만 접착되고 나머지와는 접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라벨부(140c)와 프레임부(120)의 접착을 최소화하려는 본 실시예의 시도는 앞서 설명한 소음 현상과 관계가 있는데, 소음 현상은 이차전지(100c)에 비틀림 응력이 발생되어 라벨부(140c)가 프레임부(120)로부터 떨어졌다가 붙는 반복된 동작을 일으켜 발생되기 때문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배터리셀
111 : 단자부
120 : 프레임부 130a, 130b, 130c : 접착부
131 : 제1 기재층 132 : 제1 접착층
140a, 140b, 140c : 라벨부 141a, 141c : 제2 기재층
142a, 142c : 제2 접착층 143a, 143b : 본체영역
144a, 144b : 연장영역 147c : 개구영역
120 : 프레임부 130a, 130b, 130c : 접착부
131 : 제1 기재층 132 : 제1 접착층
140a, 140b, 140c : 라벨부 141a, 141c : 제2 기재층
142a, 142c : 제2 접착층 143a, 143b : 본체영역
144a, 144b : 연장영역 147c : 개구영역
Claims (14)
-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외곽에 위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배터리셀에 접착되는 접착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부에 중첩되도록 위치되되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라벨부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프레임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배터리셀 사이 또는 제1 기재층과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은 폴리이미드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실리콘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양면 중 제1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부의 제1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반대되는 제2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부를 거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에 미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는 본체영역과 상기 본체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반대되는 제2면에 접착되고, 상기 연장영역은 상기 프레임부를 감싸면서 상기 접착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영역은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영역 중 일부는 상기 접착부에 접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는 제2 기재층 및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에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영역은 상기 제2 기재층과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671A KR102234704B1 (ko) | 2014-09-04 | 2014-09-04 | 이차전지 |
US14/825,250 US10199619B2 (en) | 2014-09-04 | 2015-08-13 | Secondary battery with frame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671A KR102234704B1 (ko) | 2014-09-04 | 2014-09-04 | 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749A true KR20160028749A (ko) | 2016-03-14 |
KR102234704B1 KR102234704B1 (ko) | 2021-04-01 |
Family
ID=5543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7671A KR102234704B1 (ko) | 2014-09-04 | 2014-09-04 |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199619B2 (ko) |
KR (1) | KR10223470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88773A1 (ko) * | 2016-11-11 | 2018-05-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19017547A1 (ko) * | 2017-07-21 | 2019-01-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
KR20190132140A (ko) * | 2018-05-18 | 2019-11-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CN111916591A (zh) * | 2019-05-08 | 2020-11-10 | 三星Sdi株式会社 | 电池组 |
US11973203B2 (en) | 2018-08-14 | 2024-04-30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fr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5008510U (zh) * | 2021-05-14 | 2021-12-03 | 中航锂电科技有限公司 | 电池、电池模组以及电池包 |
EP4309228A2 (en) | 2021-09-27 | 2024-01-24 | QuantumScape Battery, Inc. | Electrochemical stack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3174A (ja) * | 2003-03-05 | 2004-09-30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JP2004327176A (ja) * | 2003-04-23 | 2004-11-18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JP2006164558A (ja) * | 2004-12-02 | 2006-06-22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KR20060105208A (ko) * | 2005-04-01 | 2006-10-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매우 얇은 두께의 전지팩 |
KR20110007895A (ko) * | 2009-07-17 | 2011-01-25 | 율촌화학 주식회사 | 표면 보호 필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58452A (ja) * | 2003-11-25 | 2005-06-16 | Sony Corp | 電池パック、この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及び電池包装体 |
US20070148480A1 (en) * | 2003-12-24 | 2007-06-28 | Toyoaki Ishiwata | Laminate |
KR100878285B1 (ko) | 2007-06-05 | 2009-01-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US20120219847A1 (en) | 2011-02-24 | 2012-08-30 | Samsung Sdi Co., Ltd. | Pouch type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14
- 2014-09-04 KR KR1020140117671A patent/KR1022347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8-13 US US14/825,250 patent/US1019961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3174A (ja) * | 2003-03-05 | 2004-09-30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JP2004327176A (ja) * | 2003-04-23 | 2004-11-18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JP2006164558A (ja) * | 2004-12-02 | 2006-06-22 | Sanyo Electric Co Ltd | 電池パック |
KR20060105208A (ko) * | 2005-04-01 | 2006-10-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매우 얇은 두께의 전지팩 |
KR20110007895A (ko) * | 2009-07-17 | 2011-01-25 | 율촌화학 주식회사 | 표면 보호 필름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88773A1 (ko) * | 2016-11-11 | 2018-05-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19017547A1 (ko) * | 2017-07-21 | 2019-01-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
KR20190010228A (ko) * | 2017-07-21 | 2019-0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
CN110476295A (zh) * | 2017-07-21 | 2019-11-19 | 株式会社Lg化学 | 电池组 |
US11349168B2 (en) | 2017-07-21 | 2022-05-31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
CN110476295B (zh) * | 2017-07-21 | 2023-10-27 | 株式会社Lg新能源 | 电池组 |
KR20190132140A (ko) * | 2018-05-18 | 2019-11-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US11973203B2 (en) | 2018-08-14 | 2024-04-30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frame |
CN111916591A (zh) * | 2019-05-08 | 2020-11-10 | 三星Sdi株式会社 | 电池组 |
KR20200129462A (ko) * | 2019-05-08 | 2020-11-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72160A1 (en) | 2016-03-10 |
US10199619B2 (en) | 2019-02-05 |
KR102234704B1 (ko) | 2021-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28749A (ko) | 이차전지 | |
JP5413746B2 (ja) | バッテリーパック | |
JP5697275B2 (ja) | 電池ユニット及び電気機器 | |
JP6376529B2 (ja) | バッテリーパック | |
EP3467701A1 (en) | Fingerprin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030112B1 (ko) | 배터리 팩 | |
US9871274B2 (en) |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on circuit module with label and release sheet | |
KR20140100085A (ko) | 배터리팩 | |
KR100813812B1 (ko) | 프레임 부재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 |
JP2009187785A (ja) | パック電池 | |
JP2014116239A (ja) | バッテリモジュール | |
US9257689B2 (en) | Battery pack | |
CN109906521B (zh) | 电池组 | |
KR101279130B1 (ko) |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 |
JP2005085543A (ja) | 薄型バッテリーパック | |
JP5132990B2 (ja) | 電池パック | |
JP5509934B2 (ja) | 電池パック | |
JP5258398B2 (ja) | 電池パック | |
JP2009134875A (ja) | 電池パック | |
JP2007227319A (ja) | 電池パック | |
JP4729868B2 (ja) | 電池によって駆動される装置 | |
JP6823411B2 (ja) | 電池パック | |
JP2005276571A (ja) | 電池パック | |
JP2017068632A (ja) | 電子機器 | |
CN107125858A (zh) | 智能手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