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826A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Google Patents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0826A KR20160020826A KR1020140106061A KR20140106061A KR20160020826A KR 20160020826 A KR20160020826 A KR 20160020826A KR 1020140106061 A KR1020140106061 A KR 1020140106061A KR 20140106061 A KR20140106061 A KR 20140106061A KR 20160020826 A KR20160020826 A KR 201600208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power
- sub
- water pressure
- prope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프로펠러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메인 축, 메인 축을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개방구를 통해 장치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 하우징, 내측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내측 하우징과 연결되며 개방구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 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축, 메인 축의 동력을 서브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서브 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 서브 축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전자브레이크, 장치 본체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센서, 수압센서에서 측정된 수압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전자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가 게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수압을 감압하면서 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배수 관로 내의 물은, 가압장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가압되어 급배수관을 통해 수압이 부족한 목적지로 이송된다. 상기 가압장에서 물에 가해지는 압력은, 가압장과 수요자 간의 거리나, 급수관의 직경이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급수 대상지역이 가압장으로부터 상당히 멀고 또한 고지대를 포함할 경우에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한편, 상기한 급배수관에는, 이를테면, 필요 이상의 높은 수압 발생시 급배수관 및 수요자측 급배수시설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물의 수압을 낮추기 위한 감압밸브가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감압밸브는 물의 수압이 필요 이상 높을 경우 작동하여, 감압밸브 하류측 물의 수압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급수관의 터짐이나 누수 등을 방지한다.
상기한 감압밸브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급수관을 통과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타입의 것도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전(發電)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감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감압장치는, 급수관(11)의 내부에 샤프트(2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17)와, 상기 로터(17)의 상 하류 측에 고정되는 가이드언덕(13,15)과, 상기 로터(17)로부터 회전 토크를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17)에는 물의 수압을 전달받아 샤프트(21)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19)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19)는 급수관(11)을 통과하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로터(17)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샤프트(21)는 그 단부가 급수관(11)의 외부로 연장되어, 급수관(11)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여 발전기로 하여금 전기를 발생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언덕(13,15)은, 로터(17)의 내벽면에 고정된 돌출부로서, 물의 스트림라인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유도하여, 물이 로터(17)의 도면상 하측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감압장치가, 물의 수압을 감압시키는 이유는, 감압장치 자체가, 급수관(11) 내부의 유동 단면적을 줄여 물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유속을 저하시키는 방해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감압장치는, 감압(減壓)의 정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로터(17) 하류의 수압을 원하는 데로 강하시킬 수 없는 것이다. 상기 로터(17)가 물의 운동에너지를 받아 단순히 회전하며 전기를 생산할 뿐, 일단 돌기 시작하면 더 이상, 유동장내의 저항체로 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언덕(13,15)의 작용으로 인해 물이 로터(17)를 돌리며 쉽게 빠져나가는 구조를 가지므로, 저항체로서의 기능이 더욱 떨어진다.
아울러, 상기한 감압장치는 발전효율도 그다지 좋지 않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언덕(13,15)이 물의 스트림라인을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이드 하기는 하지만, 100%의 물이 로터(17)의 하부를 통과하는 것이 아닌 이상, 물의 일부가 로터(17)의 회전방향에 역행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빠져나가며 로터의 회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450호를 통해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고 발전효율이 향상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의 경우에도 실제 현장에 적용시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는 부분들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에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력을 발전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과, 샤프트의 제동을 위한 구성 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체가 흐르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다 보니 유체의 유동을 방해함은 물론, 내구성이 약하고, 고장 및 수리를 위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수리 및 교환작업을 포함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메인 축; 상기 메인 축을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측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축; 상기 메인 축의 동력을 상기 서브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서브 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 상기 서브 축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전자브레이크;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센서; 상기 수압센서에서 측정된 수압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전자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메인 축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 상기 서브 축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주행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메인 축의 회전력을 상기 서브 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벨트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자브레이크는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서브 축을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본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전자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하이드로트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에 따르면, 급배수관에 설치되어 급배수관을 흐르는 유체의 수압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펠러에 결합되는 메인 축의 회전력을 발전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 및 서브 축을 유체에 잠기지 않고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유체에 의한 부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에 개방구를 설치하고, 그 개방구를 통해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을 연통되게 연결함으로써 장치 본체 내부에 부품들을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측 하우징을 분리하여 내부의 부품들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브레이크를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외측에 설치하여 제어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전자브레이크를 습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고장 및 오동작을 방지하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체의 감압상태를 리니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압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100)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의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프로펠러(120)와, 프로펠러(120)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메인축(130)과, 상기 메인축(130)을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 하우징(141)과, 내측 하우징(141)에 연통되도록 장치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측 하우징(143), 상기 외측 하우징(1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축(150), 메인축(130)의 동력을 서브축(15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60), 서브축(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부(170), 발전부(17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180), 서브축(15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전자브레이크(190), 장치 본체(110)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센서(210),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하이드로트리터(220) 및 제어부(230)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10)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서, 양단에 플렌지부(111)가 형성된다. 플렌지부(111)를 급배수관(30)의 플렌지부(31)와 밀착시킨 상태로 결합함으로써 장치 본체(110)를 급배수관(30)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급배수관(30)은 급수관과 배수관을 모두 아우르는 용어이다. 장치 본체(110)의 내경은 급배수관(30)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다.
또한, 장치 본체(110)의 하부에는 베이스(50)에 대해 안정된 자세로 장치 본체(11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60)이 결합된다.
또한, 장치 본체(110)의 외측(상부측)에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구(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구(113)의 상단에는 외측 하우징(143)가 결합될 플렌지(113a)가 형성된다.
상기 프로펠러(120)는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의 운동에너지(유동에너지)에 의해 회전된다. 프로펠러(120)의 회전중심에는 메인 축(130)의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메인 축(130)은 내측 하우징(1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내측 하우징(141)은 일단부가 개방구(113)를 통과하여 장치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그 상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내측 하우징(141)의 타단부(하단측)는 장치 본체(110) 내부에 진입된 상태로 장치 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막힌 구조(실링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메인 축(130)은 내측 하우징(141)의 양측벽 각각에서 리테이너(134)에 지지되는 베어링(13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며, 그 베어링(133)이 설치된 내측 하우징(141)의 양측벽은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리테이너(134)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유지된다.
내측 하우징(141)의 개방된 외측단 즉, 상단에는 결합플렌지(141a)가 형성되고, 이 결합플렌지(141a)는 외측 하우징(143)의 하단에 설치되는 결합플렌지(143a)에 결합된다. 외측 하우징(143)은 내측 하우징(141)을 지지한 채 그 내측 하우징(141)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방구(113)를 덮도록 결합된다. 즉, 외측 하우징(143)의 결합플렌지(143a)는 개방구(113)의 결합플렌지(113a)에 결합되어 개방구(113)를 폐쇄시키면서, 외측 하우징(143)은 내측 하우징(141)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외측 하우징(143)의 내부에 서브 축(1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서브 축(150)은 메인 축(13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서브축(150)의 양단은 외측 하우징(143)의 양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서브축(150)의 일측은 외측 하우징(143)에 대해 리테이너(145)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14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60)는 메인 축(130)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61)와, 서브 축(150)에 설치되는 종동풀리(163) 및 구동풀리(161)와 종동풀리(16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벨트(165)를 구비한다. 동력전달벨트(165)는 타이밍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풀리(161)와 종동풀리(163) 사이에서 무한궤도를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축(130)의 회전력을 종동 축(15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동력전달벨트(165)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션조절부(166)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벨트 텐션 조절부(166)는 외측 하우징(14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전달벨트(165)의 외측에 접촉되어 주행을 가이드 하는 텐션롤러(166a)와, 텐션롤러(166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라켓(166b)과, 롤러 브라켓(166b)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166c)를 구비한다. 롤러 브라켓(166b)은 텐션롤러(166a)의 축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측 하우징(143)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위치 조절부(166c)는 외측 하우징(143)을 내외로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부(166c)는 일단에 상기 롤러 브라켓(166b)이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 하우징(143)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167a)와, 조절나사(167a)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6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67b)를 잡고 회전시키면 조절나사(167a)가 회전하면서 회전방향에 따라서 외측 하우징(143)의 외부로 나오거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롤러 브라켓(166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결국 텐션롤러(166a)의 동력전달벨트(165)에 대한 접촉 가압력을 조절하여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메인 축(130)의 회전력이 서브 축(15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전부(170)는 커플러(171)에 의해 서브 축(15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축(173)을 가지는 제너레이터(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발전부(170)는 커플러(171)를 통해 서브 축(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발전부(170)의 제너레이터(173)는 장치 본체(11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76)에 고정 설치된다.
발전부(17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발전부(170)에 연결되는 축전부(180)로 공급되어 축전된다. 축전부(180)는 장치 본체(11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축전부(18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는 외부의 전력부하(240)로 공급되어 사용되거나 상기 하이드로트리터(22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력부하(240)는 급수배관(30) 주변의 지상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장치나 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가로등이나 소화전의 승강장치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브레이크(190)는 서브축(150)의 선단 즉, 외측 하우징(143)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에 설치되며, 제어부(230)에 의해 구동제어되어 서브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브레이크(190)는 소위 전자식 클러치 브레이크로서 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서브 축(150)에 부하를 제공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서브 축(1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결국 프로펠러(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장치 본체(11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펠러(120)의 하류 측 수압을 선형적(소위, lenear 하게)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압센서(210)는 장치 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 즉,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압정보는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하이드로트리터(220)는 축전부(18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물에 인가하여 물분자의 전자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극(221,222)과 전극(221,222)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부(2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트리터(220)를 통해 장치 본체(110)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전류를 인가하면, 물분자의 전자에너지가 활성화되어, 스케일과 적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적수라 함은 녹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5 볼트 내지 3볼트의 직류전류를 장치 본체(110)통과하는 물에 인가하면, 물 분자는 물론 물속의 각종 광물질의 이온구조가 음이온으로 변하여 스케일의 생성이 억제되고 수질이 부드러워짐은 물론 박테리아의 생성이 억제된다.
상기 제어부(230)는 수압센서(210)에서 전달된 수압측정정보를 근거로 하여 전자브레이크(19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프로펠러(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장치 본체(11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수압을 일정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축전지(180)를 제어하여 전력부하(240)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고, 하이드로트리터(220)로의 전류인가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100)는, 장치 본체(110) 내부를 흐르는 물속에서 프로펠러(120)의 회전에 의해 프로펠러(120)의 하류에서 감압을 할 수 있다. 감압에 의한 에너지는 메인 축(130), 서브 축(150)을 통해 발전부(170)로 전달되어 전기에너지로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지(180)에 축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프로펠러(120)의 회전속도는 제어부(230)에 의해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프로펠러(120)의 상류에서 측정된 수압에 따라서 프로펠러(120)에 의해 감압되는 감압정도를 조절하여 하류에서의 감압된 상태를 리니어하게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자브레이크(190)를 제어하여 물이 흐르는 유동장 내에서 프로펠러(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거나, 서서히 회전되도록 하거나, 수압에 저항하지 않고 물에 밀려서 회전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감압상태를 리니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메인 축(130)의 회전력을 서브 축(150)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장치 본체(110) 내부에서 물에 잠기지 않는 동력전달벨트(165)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160)를 이용함으로써 물의 저항에 의한 동력전달시의 회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프로펠러(120)의 회전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부(160)를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장 수리 및 교체작업시에도 물의 흐름을 중지하지 않고 외측 하우징(143)만을 분리하여 내부를 쉽게 확인하고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프로펠러(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브레이크(190)를 장치 본체(110) 외부로 설치함으로써 물에 잠기거나 물이 닿아서 오동작 되거나 고장 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펠러(120)를 보다 정밀하게 속도제어 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전자브레이크가 물속에 잠김 상태에서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 후에도 신뢰성이 낮아 정밀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장치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서브 축(150)에 연결되도록 전자브레이크(190)를 설치하여 종래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110..장치 본체
120..프로펠러 130..메인 축
141..내측 하우징 143..외측 하우징
150..서브 축 160..동력전달부
170..발전부 180..축전부
190..전자브레이크 210..수압센서
220..하이드로트리터 230..제어부
120..프로펠러 130..메인 축
141..내측 하우징 143..외측 하우징
150..서브 축 160..동력전달부
170..발전부 180..축전부
190..전자브레이크 210..수압센서
220..하이드로트리터 230..제어부
Claims (5)
-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메인 축;
상기 메인 축을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측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축;
상기 메인 축의 동력을 상기 서브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서브 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부;
상기 서브 축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전자브레이크;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센서;
상기 수압센서에서 측정된 수압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전자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메인 축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
상기 서브 축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주행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메인 축의 회전력을 상기 서브 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벨트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브레이크는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서브 축을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본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전자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하이드로트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061A KR20160020826A (ko) | 2014-08-14 | 2014-08-14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061A KR20160020826A (ko) | 2014-08-14 | 2014-08-14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826A true KR20160020826A (ko) | 2016-02-24 |
Family
ID=5544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6061A KR20160020826A (ko) | 2014-08-14 | 2014-08-14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2082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5450B1 (ko) | 2012-05-14 | 2013-03-19 | 박종흠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
2014
- 2014-08-14 KR KR1020140106061A patent/KR201600208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5450B1 (ko) | 2012-05-14 | 2013-03-19 | 박종흠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5450B1 (ko)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
TW200724810A (en) | Valve without water hammer | |
KR101555433B1 (ko) | 건물배관의 유체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 | |
KR20160020826A (ko)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
KR101919334B1 (ko) | 공기변실 긴급차단 시스템 | |
KR101585341B1 (ko) | 유량자동조절밸브 | |
KR20120110714A (ko) | 저수조 수력발전 시스템 | |
CN104314799A (zh) | 一种油泵检测装置 | |
KR101195082B1 (ko) | 소수력 발전장치 | |
CN111278538A (zh) | 无需压力箱或电泵的反渗透大气储罐 | |
CN201110382Y (zh) | 速闭浮球阀 | |
CN104500812A (zh) | 低功耗电动阀门 | |
KR20160020827A (ko) | 급배수관용 발전형 감압장치 | |
KR102202962B1 (ko) | 염소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 염소투입 제어 감시/관제 시스템 | |
US20170016225A1 (en) | Airflow monitor for use wth a vacuum powered sewer system | |
CN204573259U (zh) | 一种自来水管防漏水装置 | |
KR20140087948A (ko) | 폐수를 이용한 수력발전 | |
CN218913927U (zh) | 假桨式虹吸破坏阀和假桨式流向检测机构 | |
KR20200088004A (ko) | 펌핑 시스템 | |
WO2004020894A1 (en) | Lubricating device for a high- pressure environment | |
KR101638521B1 (ko) | 히팅 수단을 구비한 극한지용 볼 밸브 장치 | |
CN114542735B (zh) | 一种直流电式虹吸破坏阀 | |
CN114738536B (zh) | 基于水压的自调节节水阀门 | |
KR20150001016U (ko) | 직접온도측정형 유량조절밸브 | |
CN216767783U (zh) | 一种具有自主断流功能的磁力驱动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