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42A - Cup carrier transfer apparatus - Google Patents
Cup carrier transfe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9942A KR20160009942A KR1020140090508A KR20140090508A KR20160009942A KR 20160009942 A KR20160009942 A KR 20160009942A KR 1020140090508 A KR1020140090508 A KR 1020140090508A KR 20140090508 A KR20140090508 A KR 20140090508A KR 20160009942 A KR20160009942 A KR 201600099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roller
- cup container
- cup
- cylin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50 conventional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39 cover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공이 형성되어 컵 용기가 수납되는 캐리어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어유닛; 상기 컨베어유닛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며, 상기 캐리어에 다수의 컵 용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구동롤러 및 구동롤러에 연결된 동력수단이 구비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결합되며 유체압에 의해 하방을 향해 승강작동되는 로드로 구성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로드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되게 장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는 협지구 연결대; 상기 협지구 연결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협지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다량의 컵 용기를 집어올리거나 내려놓는 공급장치가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transport apparatus in which a cup container is ho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unit comprising: a convey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formed therein to move a carrier accommodating a cup container to one side; A guide rail horizontal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unit; And a feeding device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horizontally moved to feed a plurality of cup containers to the carrier, wherein the feeding device is provided with power means coupled to the guide rails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ing roller, A base that can be; A cylinder body vertic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a rod coupled to the cylinder body and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fluid pressure; A plate coupled to the rod of the elevating member; A bracket vertic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A bridge connecting rod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bracket; And a plurality of narrow corner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arrow-gap connection block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is, a feeding device for picking up or dropping a large amount of cup containers can be operated using a cylinder so that accurate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형상이며 다수의 홀더를 갖는 캐리어에 다수개의 컵 용기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transport apparatus in which a cup container is hou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port apparatus that is box-shaped and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a plurality of cup containers to a carrier having a plurality of holders.
일반적으로 각종 인스턴트 식품 뿐 아니라 다양한 음식물 또는 각종 식품은 소정의 양으로 계량되어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담겨져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Generally, various kinds of foods or various foods as well as various kinds of instant foods are meter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y are contained in various types of containers, so that they are conveniently used by users.
이와 같은 각종 식품들을 포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컵 용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컵 용기는 내부의 내용물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강성을 갖는 원형,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등의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가열접착방식으로 부착되어 용기 본체를 밀폐시키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커버로 이루어진다. As a means for packaging such various foods,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up container. Among them, the cup container may be a container made of a plastic such as a circular, rectangular or square having a relatively rigid shape so as to normally maintain the contents therein. And a cover such as a synthetic resin film which is attached to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by a heat and adhesive method to seal the container body.
컵 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사용시 용이한 제거를 위해 연질 또는 박막형의 커버를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 컵 실링머신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동 컵 실링머신에서는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이 담겨진 채로 컨베이어 또는 트레이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중에 그 상부의 개구부에 필름형의 커버가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히터에 의해 가열 압착됨으로써, 커버에 의해 컵 용기의 실링이 이루어지는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Various types of automatic cup sealing machines are disclosed in which a soft or thin film type cover is attached to a container body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up container and easy removal during use. In such an automatic cup sealing machine, The film-like cover is fed to the opening of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or the tray while being m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sealing the cup container by the cov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heating and pressing by a heater.
국내 등록특허 10-1122706호에는 『자동 컵 실링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1122706 discloses an " automatic cup sealing machine ".
상기 선행기술은 컵 용기의 개구부를 보호필름으로 1차 실링하여 내용물을 보호하고, 보호필름의 상부를 탈산제가 부착되어 있는 커버필름으로 1차 실링하여 탈산제가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실링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탈산제가 컵 용기의 내용물에 낙하하거나, 또는 운반시 컵 용기의 내용물이 탈산제에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등 탈산제로 인해 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컵 실링머신에 관한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 opening of the cup container is firstly sealed with a protective film to protect the contents, and the upper part of the protective film is firstly sealed with a cover film having a deoxidizer to prevent the deoxidizer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contents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sealing syst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oxidizing agent from dropping on the contents of the cup container or preventing the content of the cup container from being damaged by the deoxidizer during transportation, Sealing machine.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는 컵 용기를 일정 수량씩 다량으로 집어서 캐리어로 이송하는 공급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공급장치는 컵 용기에 대응되는 다수의 집게가 장착된 본체가 상부의 레일에 힌지 결합되어 스윙 동작을 하면서 컵을 집어올리고 내려놓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carrier transporting apparatus having a cup container, there is provided a feeding device for picking up a large number of cup containers by a certain amount and transferring them to a carrier, which is equipped with a main body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lamps corresponding to the cup container And the hinge is hinged to the upper rail so that the cup is lifted and lowered while swinging.
이러한 종래 기술은 컵 용기를 집거나 내려놓는 작동이 부정확해지고, 이로 인해 실수가 발생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of picking up or dropping the cup container becomes inaccurate, thereby causing a mistake,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량의 컵 용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의 집어올리거나 내려놓는 작동과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container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 feeding device for feeding a large amount of cup container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수용공이 형성되어 컵 용기가 수납되는 캐리어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어유닛; 상기 컨베어유닛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며, 상기 캐리어에 다수의 컵 용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구동롤러 및 구동롤러에 연결된 동력수단이 구비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결합되며 유체압에 의해 하방을 향해 승강작동되는 로드로 구성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로드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되게 장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는 협지구 연결대; 상기 협지구 연결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협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yor unit for conveying a carrier in which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are formed to receive a cup container, A guide rail horizontal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unit; And a feeding device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horizontally moved to feed a plurality of cup containers to the carrier, wherein the feeding device is provided with power means coupled to the guide rails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ing roller, A base that can be; A cylinder body vertic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a rod coupled to the cylinder body and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fluid pressure; A plate coupled to the rod of the elevating member; A bracket vertic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A bridge connecting rod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bracket; And a plurality of narrowing portion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arrow-gap connecting rod and holding an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상기 브라켓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에 결합되어 출몰작동되는 보조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로드에 연결되는 협지기대; 상기 협지기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2협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ylinder mounted horizontally on the bracket; and an auxiliary rod coupled to the auxiliary cylinder and running up and down, a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rod; And a plurality of second narrowing zone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nipping hopper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이송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방향이송장치에 결합되며 컵 용기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3협지구를 갖는 서브 협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ub-nip device having a horizontal direction transfer device at a lower side of the plate and a plurality of third apertures coupl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ransfer device and holding the cup container.
상기 수평방향이송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되며 상기 서브 협지장치가 결합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rizontal direction transfer device includes a cylinder horizontal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ate, and a cylinder rod coupled to the cylinder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sub-nip device.
상기 서브 협지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장착된 제3브라켓; 상기 제3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3협지구 연결대; 상기 제3협지구 연결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3협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b-nip device includes a third bracket vertic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ate downwardly; A third bridge connecting rod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third bracket; And a plurality of third narrowing zone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ird narrowing leg connecting rod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상기 제3브라켓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제2보조실린더와 상기 제2보조실린더에 결합되어 출몰작동되는 제2보조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로드에 연결되는 제4협지기대; 상기 제4협지기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4협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sub cylinder mounted horizontally on the third bracket, and a second sub rod coupled to the second sub cylinder to be projected and operat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b rod; And a plurality of fourth narrowing zones mounted below the fourth nipping hopper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상기 컨베어유닛은 기대에 장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3롤러; 상기 제1롤러 내지 제3롤러를 권취하도록 결합되는 체인; 상기 제3롤러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veyor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mounted on a base, a second roller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roller, and a third roller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roller; A chain coupled to wind the first to third rollers; And tension holding means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roller and maintaining tension of the chain.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일측이 힌지축이 형성된 상기 기대에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3롤러의 축에 타측이 힌지 결합되는 무두볼트;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3롤러의 축에 지지되는 제1너트와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제2너트 및 제3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tension holding means is a tundra bolt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base having the hinge shaft and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axis of the third roller; And a second nut and a third nut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ndish bolt and supported by the shaft of the third roller and a second nut and a third nut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ndish bolt and close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컵 용기를 집어올리거나 내려놓는 공급장치의 정확한 작동과 위치 설정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operate and position the feeding device for picking up or dropping a large amount of cup containers,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공급장치'를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 '공급장치'를 확대한 측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arrier transporting apparatus in which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feeding devic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arrier transporting apparatus in which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feeding device'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does not mean anything.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공급장치'를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 '공급장치'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arrier transporting apparatus in which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feeding device in FIG. 1;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feeding device'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는, 다수의 수용공이 형성되어 컵 용기(c)가 수납되는 캐리어(10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어유닛(1); 상기 컨베어유닛(1)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 상기 가이드레일(2)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며, 상기 캐리어(100)에 다수의 컵 용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3)를 포함한다. 1 to 4, a carrier transfer apparatus in which a c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cludes a conveyor unit (not shown) for transferring a
상기 컨베어유닛(7)은 기대(79)에 장착되는 제1롤러(71)와 상기 제1롤러(71)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제2롤러(72)와 상기 제1롤러(71)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3롤러(73); 상기 제1롤러(71) 내지 제3롤러(73)를 권취하도록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제1롤러(71) 내지 제3롤러(73) 중 어느 하나에는 기동스프로켓(미도시)이 장착되고, 이 기동스프로켓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A starting sprocket (not shown)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상기 캐리어는 다수의 수용공이 형성되어 컵 용기(c)가 수납되는 박스이며, 양측면에는 접히면서 컵 용기(c)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가 구비된다. The carrier is a box in which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are formed to accommodate the cup container (c), and both sides thereof are covered with a cover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cup container (c) while being folded.
상기 공급장치(3)는 상기 가이드레일(2)에 결합되며 구동롤러 및 구동롤러에 연결된 동력수단이 구비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베이스(31); 상기 베이스(31)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실린더본체(321)와 상기 실린더본체(321)에 결합되며 유체압에 의해 하방을 향해 승강작동되는 로드(322)로 구성되는 승강부재(32); 상기 승강부재(32)의 로드(322)에 결합되는 플레이트(33); 상기 플레이트(33)의 하부에 수직되게 장착된 브라켓(34); 상기 브라켓(34)의 하단에 장착되는 협지구 연결대(35); 상기 협지구 연결대(35)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c)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협지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승강부재(32)의 로드(322)와 평행되게 수직으로 복수의 가이드봉(39)이 베이스(31)와 플레이트(33)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A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협지구(3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 공급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동되어 컵 용기(c)에 대한 협지 및 해제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narrowing
상기 브라켓(34)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보조실린더(342)와 상기 보조실린더(342)에 결합되어 출몰작동되는 보조로드(344)가 구비된다. An
상기 보조로드(344)에는 협지기대(345)가 결합되어 보조로드(344)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작동된다. The
상기 협지기대(345)의 하부에 장착되며 컵 용기(c)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2협지구(346)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제2협지구(34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 공급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동되어 컵 용기에 대한 협지 및 해제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플레이트(33)의 하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이송장치(5)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방향이송장치(5)의 실린더로드(54)에 결합되며 컵 용기(c)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3협지구(64)를 갖는 서브 협지장치(6)가 더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a horizontal
상기 수평방향이송장치(5)는 상기 플레이트(33)의 타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실린더(52)와 상기 실린더(52)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되며 상기 서브 협지장치(6)가 결합되는 실린더로드(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horizontal
상기 서브 협지장치(6)는, 상기 플레이트(33)의 일측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장착된 제3브라켓(62); 상기 제3브라켓(62)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3협지구 연결대(63); 상기 제3협지구 연결대(63)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c)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3협지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ub nip device (6) includes a third bracket (62) vertic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ate (33) downwardly; A
또한 상기 제3브라켓(62)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제2보조실린더(65)와 상기 제2보조실린더(65)에 결합되어 출몰작동되는 제2보조로드(6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로드(652)에 연결되는 제4협지기대(654); 상기 제4협지기대(654)의 하부에 장착되며 컵 용기(c)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4협지구(6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second
상기 복수의 제3협지구(64), 제4협지구(65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 공급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작동되어 컵 용기에 대한 협지 및 해제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and
상기 협지구(36), 제2협지구(346), 제3협지구(64), 제4협지구(655)는 2열로 배열되고 대략 10개가 한세트를 구성하도록 한다. The
한편 상기 컨베어유닛(7)에는 상기 체인(74)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수단(8)이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yor unit (7) includes tension holding means (8) for holding the tension of the chain (74).
상기 장력유지수단(8)은 제3롤러(73)에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The
즉, 체인(74)은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피로하중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어 느슨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력유지수단(8)이 구비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장력유지수단(8)은 일측이 힌지축(811)이 형성된 상기 기대(79)에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3롤러(73)의 축에 타측이 힌지 결합되는 무두볼트(81); 상기 무두볼트(81)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3롤러(73)의 축에 지지되는 제1너트(82)와 상기 무두볼트(81)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81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제2너트(83) 및 제3너트(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따라서 컨베어유닛(7)의 체인(74)가 느슨해지면 무두볼트(81)를 조이거나 풀어주어 제3롤러(73)를 밀거나 당겨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f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 컨베어유닛 2 : 가이드레일
3 : 공급장치 7 : 컨베어유닛
8 : 장력유지수단
31 : 베이스 32 : 승강부재
33 : 플레이트 34 : 브라켓
35 : 협지구 연결대 36 : 협지구
52 : 실린더 54 : 실린더로드
62 : 제3브라켓 63 : 제3브라켓
64 : 제3협지구 65 : 제2보조실린더
71 : 제1롤러 72 : 제2롤러
73 : 제3롤러 74 : 체인
81 : 무두볼트 1: Conveyor unit 2: Guide rail
3: Feeder 7: Conveyor unit
8: Tension maintenance means
31: base 32: elevating member
33: plate 34: bracket
35: Zonta District 36: Zontia District
52: cylinder 54: cylinder rod
62: third bracket 63: third bracket
64: the third bifurcation 65: the second auxiliary cylinder
71: first roller 72: second roller
73: third roller 74: chain
81: Tongue bolts
Claims (8)
상기 컨베어유닛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며, 상기 캐리어에 다수의 컵 용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구동롤러 및 구동롤러에 연결된 동력수단이 구비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결합되며 유체압에 의해 하방을 향해 승강작동되는 로드로 구성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로드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되게 장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는 협지구 연결대;
상기 협지구 연결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협지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A convey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formed therein to move a carrier accommodating the cup container to one side;
A guide rail horizontal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unit;
And a feeding device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horizontally moved to supply a plurality of cup containers to the carrier,
The feeding device
A base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movable with a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ing roller;
A cylinder body vertic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a rod coupled to the cylinder body and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fluid pressure;
A plate coupled to the rod of the elevating member;
A bracket vertic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A bridge connecting rod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bracket;
A plurality of narrow corner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arrow-gap connection block and holding an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Wherein the cup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holder.
상기 브라켓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에 결합되어 출몰작동되는 보조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로드에 연결되는 협지기대;
상기 협지기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2협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ylinder mounted horizontally on the bracket; and an auxiliary rod coupled to the auxiliary cylinder,
A nip expected to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rod;
And a plurality of second narrowing portion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nipping expectation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이송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방향이송장치에 결합되며 컵 용기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3협지구를 갖는 서브 협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b-nip device hav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at a lower side of the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ird apertures coupled to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for holding the cup container, Carrier transport device.
상기 수평방향이송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되며 서브 협지장치가 결합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horizontal direction transfer device
A cylinder mounted horizont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plate, and a cylinder rod coupled to the cylinder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sub-nip device.
상기 서브 협지장치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장착된 제3브라켓;
상기 제3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3협지구 연결대;
상기 제3협지구 연결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3협지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ub-
A third bracket vertically downward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ate;
A third bridge connecting rod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third bracket;
A plurality of third narrowing zone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ird narrow-gap connection block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Wherein the cup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holder.
상기 제3브라켓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제2보조실린더와 상기 제2보조실린더에 결합되어 출몰작동되는 제2보조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로드에 연결되는 제4협지기대;
상기 제4협지기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컵 용기의 상단 외주를 협지하는 복수의 제4협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b cylinder mounted horizontally on the third bracket and a second sub rod coupled to the second sub cylinder and being projected and operated,
A fourth clamping expectation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load;
And a plurality of fourth narrowing portion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nipping hopper and holding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er.
상기 컨베어유닛은
기대에 장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3롤러;
상기 제1롤러 내지 제3롤러를 권취하도록 결합되는 체인;
상기 제3롤러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or unit
A second roller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roller and a third roller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roller;
A chain coupled to wind the first to third rollers;
Tension holding means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roller and holding tension of the chain;
Wherein the cup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holder.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일측이 힌지축이 형성된 상기 기대에 결합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3롤러의 축에 타측이 힌지 결합되는 무두볼트;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3롤러의 축에 지지되는 제1너트와 상기 무두볼트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제2너트 및 제3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컵 용기가 수용된 캐리어 이송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nsion maintaining means
A tundra bolt,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se on which the hinge shaft is formed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shaft of the third roller;
And a second nut and a third nut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ndish bolt and supported by the shaft of the third roller and a second nut and a third nut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ndish bolt and clos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hinge ax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carrier is accommod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508A KR20160009942A (en) | 2014-07-17 | 2014-07-17 | Cup carrier transfe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508A KR20160009942A (en) | 2014-07-17 | 2014-07-17 | Cup carrier transfer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942A true KR20160009942A (en) | 2016-01-27 |
Family
ID=5530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0508A Ceased KR20160009942A (en) | 2014-07-17 | 2014-07-17 | Cup carrier transfe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9942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07912A (en) * | 2018-09-19 | 2019-01-01 | 深圳市祁科作物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edical stainless steel cup cup body quality testing and labeling automatic setup system |
KR102189672B1 (en) * | 2020-06-03 | 2020-12-11 | 노용석 | Mask continuous packaging device |
TWI738609B (en) * | 2020-06-03 | 2021-09-01 | 盧勇錫 | Mask continuous packing apparatus |
KR20210151658A (en) * | 2020-06-03 | 2021-12-14 | 노용석 | Mask continuous packing apparatus |
KR20230016318A (en) * | 2021-07-26 | 2023-02-02 | 정진석 | Beverage container transfer device for box packaging |
-
2014
- 2014-07-17 KR KR1020140090508A patent/KR2016000994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07912A (en) * | 2018-09-19 | 2019-01-01 | 深圳市祁科作物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edical stainless steel cup cup body quality testing and labeling automatic setup system |
CN109107912B (en) * | 2018-09-19 | 2023-12-15 | 浙江福川家居用品有限公司 | Medical stainless steel cup body quality detection and labeling automatic assembly system |
KR102189672B1 (en) * | 2020-06-03 | 2020-12-11 | 노용석 | Mask continuous packaging device |
TWI738609B (en) * | 2020-06-03 | 2021-09-01 | 盧勇錫 | Mask continuous packing apparatus |
KR20210151658A (en) * | 2020-06-03 | 2021-12-14 | 노용석 | Mask continuous packing apparatus |
KR20210151659A (en) * | 2020-06-03 | 2021-12-14 | 노용석 | Mask continuous packing apparatus |
KR20230016318A (en) * | 2021-07-26 | 2023-02-02 | 정진석 | Beverage container transfer device for box packag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09942A (en) | Cup carrier transfer apparatus | |
KR101230429B1 (en) | Pack product packaging machine | |
US9248929B2 (en) | Work station for a packaging machine and tool changing method | |
KR102015539B1 (en) | Prefield Syringe Filling Device | |
KR101159245B1 (en) | Tube inserting machine | |
CN104354891B (en) | The film packing device of bucket | |
KR101347098B1 (en) | Automatic packing machine | |
KR101350721B1 (en) | Auger powder packaging machine with automatic packaging assembly | |
CN109941515B (en) | Automatic packaging machine for thin film glove | |
CN110386305A (en) | A kind of scattered face pack automatic packaging machine | |
KR20200139570A (en) | Mask folding feeder for mask packing machine | |
CN207360688U (en) | a bagging device | |
CN107651254B (en) | Packaging noodle packaging bag assembling system | |
CN107628323A (en) | A kind of automatic packaging and storage production line of carton | |
JP6481836B2 (en) |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 and filling and packaging method | |
KR101444239B1 (en) | Automatic packing machine | |
CN205661732U (en) | Automatic case sealer of cigarette that prevent paper case warp | |
CN103258775B (en) | Stationary fixture | |
JP2018203279A (en) |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 and filling and packaging method | |
KR102474193B1 (en) | Pp bag feeding machine | |
KR101469948B1 (en) | Film wrapping machine having bilateral symmetry support for packaging refrigerator using heat shrink film | |
CN203359451U (en) | A combined flowing water welding machine | |
KR101485065B1 (en) |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food packaging feeder | |
CN211519959U (en) | Get bagging apparatus | |
CN103523248A (en) | Cotton product pac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