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40472A -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472A
KR20150140472A KR1020140068382A KR20140068382A KR20150140472A KR 20150140472 A KR20150140472 A KR 20150140472A KR 1020140068382 A KR1020140068382 A KR 1020140068382A KR 20140068382 A KR20140068382 A KR 20140068382A KR 20150140472 A KR20150140472 A KR 2015014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filter
extractor
wat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569B1 (ko
Inventor
노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티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티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티빈스
Priority to KR102014006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5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를 분쇄한 커피가루를 불려서 씻어내는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도록 한 것으로, 커피가루와 물을 담기 위한 내공간이 형성되고 내공간의 하측으로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추출기 본체에 필터가 내장되어 커피가루와 물이 혼합되어 유효 커피성분만을 추출하여 커피를 드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필터의 장착구조를 커피가루의 상,하측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와 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스며들어 뜸 들이기를 한 후 뜸들이기가 완료되면 밸브를 개방하여 커피를 드립함으로써 커피의 추출방법을 매우 간소화함은 물론, 커피의 수율을 좋게 하고 노하우에 따른 맛의 편차가 거의 없이 깊은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DIRP METHOD}
본 발명은 원두를 분쇄한 커피가루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드립용 커피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피의 수율을 좋게 하여 커피 맛이 좋으면서도 일정한 맛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드립 커피는 잘게 빻은 원두(커피가루)에 물을 부어서 커피가루를 걸러낸 후 커피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본래의 맛과 향을 최대한으로 뽑아내기 위하여 추출자의 의도에 따라 간단한 도구와 필터를 사용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며, 커피 생산지나 로스팅 정도에 따른 맛을 가장 잘 표현해낼 수 있기 때문에 커피전문점은 물론, 가정에서도 애용된다.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드립기구는 드립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드핍퍼에 종이필터를 끼우고 드립퍼를 서버(추출되는 커피를 담기 위한 기구)에 올려둔 상태에서 커피가루를 드립퍼에 담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내리는 방식으로 물이 드립퍼에 담겨진 원두와 필터를 통과하면서 드립퍼 하단에 위치한 서버에 커피가 내려진다.
즉, 뜨거운 물을 커피가루에 부으면 원두에 수압이 작용하면서 원두의 커피성분이 물에 녹아들면서 커피가 내려진다.
그런데 이렇게 뜨거운 물을 부으면서 드립하는 방식의 문제가, 커피의 뜨거운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내려지는 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므로 커피를 추출하기가 매우 조심스럽고, 커피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노하우가 많이 필요하다.
즉, 뜨거운 물을 부을 때 어느 한 지점만 부을 경우 커피가루에 물길이 생기면서 골고루 커피가 추출되지 않으므로 고르게 부어주어야 하며, 뜨거운 물을 부을 때도 드립퍼에서 물이 빠지는 양을 확인하면서 반복하여 3~4회 정도 나누어 부어서 커피를 드립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
또한, 드립기구가 서브, 드리퍼, 종이필터를 구비하고 각각을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특히 물 흘림이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커피가루가 전부 여과되지 않으므로 커피효율이 떨어지고 맛이 떨어지며, 커피에 종이필터 등의 잡맛이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연습을 충실히 하여야만 커피가 가진 본연의 맛을 그대로 뽑아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커피 추출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좀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침탕식(대표적으로는 클레버 타입)이 제안되었다.
침탕식은 물 흘림이 능숙하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드립퍼에 커피가루를 채운 후 커피를 먹고자 하는 양만큼 물을 채워서 저어준 후 일정시간(3~4분 내외)동안 뜸들이기를 한 후, 뜸들이기가 완료되면 드립퍼를 서버에 올려두고 드립퍼의 밸브를 열어서 드립퍼에 담겨있는 커피를 일시에 추출하는 방식으로 물에 담궜다가 빼는 방식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침탕식은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커피가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커피가루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커피가루에 포함되어 있는 커피성분이 쉽게 추출되지 않고 따라서 커피맛이 떨어지며 커피의 진한 맛을 위해서는 커피가루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해야한다.
즉, 침탕식은 사용은 편리하지만, 기존에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 방식보다 커피의 맛과 커피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드립 커피를 내리기 위한 두 가지 방식 모두 드립퍼에 종이필터를 넣고 사용하는 방식인데, 종이필터는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커피의 오일성분이 종이에 흡착되므로 맛의 표현이 풍부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유통 과정에서 노출 등의 외부 영향을 받은 종이 필터는 공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서 잡 냄새가 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하여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롭다.
그리고 종이필터의 원료가 펄프이므로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소모되는 필터를 사용하므로 비용적인 부담이 있으며,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KR 200280326 Y1 KR 200251377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가루를 불려서 씻어내는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도록 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수율을 좋게 하면서도 커피 추출방법을 간소화하고, 맛의 편차가 없이 누구나 쉽게 맛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일회용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추출장치의 구조 및 사용방법을 간소화하여 초심자의 경우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커피가루와 물을 담기 위한 내공간이 형성되고 내공간의 하측으로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추출기 본체와, 상기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삽입되되 커피가루의 상부에 위치되어 커피가루와 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커피가루에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상부필터와, 상기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삽입되되 커피가루의 하부에 위치되어 커피가루를 걸러서 커피만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하부필터와, 상기 추출기 본체의 배출구에 장착되어 추출된 커피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와, 상기 추출기 본체를 커피 드립을 위한 서버에 올려 두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추출장치에 의하면, 커피가루를 일정한 시간 동안 불리기를 한 후에 물 흐름에 의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커피효율을 극대화하고 수율을 좋게 하여 강한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커피가루를 넣은 후 사용자가 마시고자 하는 양만큼의 뜨거운 물을 부어서 간편하게 커피를 드립할 수 있으므로 사용방법이 매우 간편하고, 노하우에 관한 편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초심자를 포함하여 누구나 일정한 맛의 커피를 추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드 드립 커피의 보급을 더 확대하고 대중화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종이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기구관리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인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기호식품을 애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를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고, 커피가루를 눌러서 추출하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커피를 추출한 이후에는 필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커피가루를 쉽게 인출하여 기구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추출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추출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추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추출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한 커피추출 단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를 개방하여 서버에 커피를 추출하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밸브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추출기 본체에 잔류하는 커피찌꺼기를 폐기하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드립 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한 커피 추출 단계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추출기 본체(10)와, 추출기 본체(10)에 장착되는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 그리고 추출기 본체(10)에 담겨진 커피를 인출하기 위한 밸브(40) 및 추출기 본체(10)를 서버(100)에 올려두기 위한 거치부(50)로 구성된다.
추출기 본체(10)는 커피가루와 뜨거운 물을 담아서 커피가루의 커피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내공간(12)이 형성되어 커피가루와 뜨거운 물이 담겨 지며, 추출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추출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추출기 본체(10)는 유리 등의 투명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추출기 본체(10)의 일단에는 손잡이(16)를 형성하고, 추출기 본체(10)의 상부로는 내공간(12)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뚜껑(18)을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12)에 삽입되는 필터는 추출기 본체(1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장착되는 하부필터(30)와 그 하부필터(30)의 상측에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는 상부필터(20)로 구성된다.
상부필터(20)는 추출기 본체(10)에 담겨지는 커피가루와 물이 분리되도록 하면서 그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커피가루에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가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된다.
하부필터(30)는 커피를 드립할 때 커피가루가 뒤섞여 나오지 않고 추출된 커피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추출기 본체(1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장착된다.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는 다공성 망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녹방지가 되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를 상,하로 이격되게 끼워 장착할 수 있는 끼움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끼움구(60)와 상부필터(20) 및 하부필터(30)의 장착구조는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의 중앙부에 타공부(22,32)를 형성하여 끼움구(60)를 봉의 형태로 형성하여 타공부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의 외주면은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12)의 내벽과 밀착되게 장착되도록 하고, 타공부(22,32)의 내주면은 끼움구(60)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실링요소(24,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링요소(24,34)는 추출기 본체(10)에 커피가루와 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커피가루가 새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 등을 이용하여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의 마감된 부분을 감싸도록 장착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추출기 본체(10)에 내장되는 이중으로 구성된 필터에 의하여 커피가루를 불리기 위한 최소량의 물만 스며들도록 하고, 뜸 들이기를 완료한 이후에 커피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물의 수압이 작용하면서 커피가루의 커피성분이 추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구(60)는 하단부에 하부필터(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62)를 형성하면 하부필터(30)가 끼움구(60)에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때 하부필터(30)가 안착되는 스토퍼(62)의 안착면(62a) 높이를 변경하면 하부필터(30)와 추출기 본체(10)의 바닥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부필터(30)가 바닥면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하부필터(30)를 통하여 걸러진 커피의 배출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러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구(60)는 상부필터(20)가 장착되는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커피 추출이 완료된 이후에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40)는 추출기 본체(10)에 커피가루와 뜨거운 물을 담아 뜸들이기를 완료한 이후에 배출구(14)를 통하여 커피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40)에는 배출구(14)의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밸브체(44)가 내장된다.
추출기 본체(10)에 형성되는 배출구(14)는 상,하 수직으로 형성되게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44)는 수직으로 관통된 배출구(14)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장착하여 밸브체(40)의 차단벽(44a)이 회전에 의하여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차단벽(44a)는 외부로 인출된 레버(44b)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사용자가 추출기 본체(10)의 외부에서 간단하게 개폐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드립 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은, 내공간이 형성된 추출기 본체에 하부필터를 삽입하는 단계(S100)와, 하부필터가 삽입된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커피가루를 충진하는 단계(S200)와, 추출기 본체에 상부필터를 삽입하여 커피가루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필터와 하부필터가 위치하도록 필터를 세팅하는 단계(S300)와,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뜨거운 물을 담아 상부필터의 상부에 물을 충진하는 단계(S400)와,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담겨진 물이 상부필터를 투과하여 커피가루에 스며들게 일정시간 기다려 뜸을 들이는 단계(S500)와, 뜸들이기가 완료된 후 추출기 본체의 배출구에 형성된 밸브를 개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피 추출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추출기 본체(10)를 준비하고, 준비된 추출기 본체(10)에 커피가루와 뜨거운 물을 담기 전에 추출기 본체(1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하부필터(30)를 삽입한다. 이때, 하부필터(30)는 끼움구(60)를 함께 삽입하여 하부필터(30)의 상측으로 상부필터(20)를 끼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필터(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추출기 본체(10)에 원두를 분쇄한 커피가루를 채워 넣고, 커피가루가 채워진 상부에 상부필터(20)를 끼움으로써 커피가루가 상,하측에 각각 장착된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에 의하여 격리된다.
그리고 추출기 본체(10)에 뜨거운 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피의 맛을 가장 좋게 할 수 있는 90℃ 전,후의 적정온도로 가열된 물을 넣는다.
그리고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12)에 담겨진 물이 상부필터(20)를 투과하여 커피가루에 스며들어 불려지게 일정시간 기다려서 뜸을 들인다. 이때, 뜸을 들이는 시간은 커피 맛의 기호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3~4분 내외가 적당하다.
이렇게 뜨거운 물이 커피가루에 흡수되어 뜸 들여진 이후, 추출기 본체(10)를 서버(100)의 상부에 올려둔 상태에서 밸브(40)를 개방하여 커피를 추출하여 드립한다.
따라서 커피가루가 뜨거운 물에 의하여 불려진 상태에서 물의 수압에 의하여 유효 커피성분이 물에 녹아 추출되며 커피의 수율을 좋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기 본체(10)에 커피가루와 뜨거운 물을 담은 상태에서 뜨거운 물이 커피가루에 잘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서는 밸브(40)의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배출구(14)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44)가 밸브(40)를 차단한 상태에서도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12)과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물이 커피가루에 흡수되는 유동성을 더 좋게 할 수 있다.
즉,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12)과 배출구(14) 외측의 외기가 서로 통기되면서 압력이 내부에서 차오르지 않고 물의 유동성을 더 좋게하여 커피가루에 잘 스며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추출기 본체(10)의 상부에 뚜껑(18)을 닫으면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에 뜨거운 물이 담긴 상태에서 팽창압력이 발생함에 따라 배출구(14) 측으로 배기되면서 물의 흐름을 더 유도하도록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피가루 전체에 뜨거운 물이 고르게 흡수되면서 뜸 들이기 효과를 더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커피를 드립한 후 사용을 완료한 이후에,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의 사이에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잔여물, 즉 커피찌꺼기가 남게 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60)를 잡고 빼면 하부필터(30)가 안착된 스토퍼(62)에 하부필터(30)가 딸려 올려지면서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의 사이에 커피찌꺼기가 온전히 보관된 상태로 함께 인출되므로 쉽게 분리하여 버릴 수 있음은 물론, 커피가루를 눌러서 추출하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에 커피찌꺼기가 남지 않으므로 쉽게 세척할 수 있다.
10: 추출기 본체 12: 내공간
14: 배출구 16: 손잡이
18: 뚜껑
20: 상부필터 22: 타공부
24: 실링요소
30: 하부필터 32: 타공부
34: 실링요소
40: 밸브 44: 밸브체
44a: 차단벽 44b: 레버
50: 거치부
60: 끼움구 62: 스토퍼
100: 서버

Claims (7)

  1. 커피가루와 물을 담기 위한 내공간(12)이 형성되고 내공간(12)의 하측으로는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가 형성된 추출기 본체(10);
    상기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에 삽입되되 커피가루의 상부에 위치되어 커피가루와 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물이 커피가루에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상부필터(20);
    상기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에 삽입되되 커피가루의 하부에 위치되어 커피가루를 걸러서 커피만 배출구(14)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하부필터(30);
    상기 추출기 본체(10)의 배출구(14)에 장착되어 추출된 커피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40);
    상기 추출기 본체(10)를 커피 드립을 위한 서버에 올려 두기 위한 거치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20)와 하부필터(30)를 상,하로 이격되게 끼워 장착할 수 있는 끼움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는 하단부에 하부필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장착되어 상부필터와 하부필터의 인출이 용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터와 하부필터는 실링요소에 의하여 추출기본체(10)의 내벽과 끼움구와의 실링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0)는 배출구(14)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44)가 밸브(40)를 차단한 상태에서도 추출기 본체(10)의 내공간(12)과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물이 커피가루에 흡수되는 유동성을 향상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 본체(10)는 배출구(14)가 상,하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40)는 밸브체(44)가 배출구(14)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장착되어 밸브체(44)의 차단벽(44a)이 회전하면서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체(44)는 외부로 인출된 레버(44b)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추출장치.
  7. 추출기 본체를 서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추출기 본체에는 커피가루와 물을 채워 필터에 의하여 커피가루가 걸러진 상태로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 커피 추출방법에 있어서,
    내공간이 형성된 추출기 본체에 하부필터를 삽입하는 단계(S100);
    하부필터가 삽입된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커피가루를 충진하는 단계(S200);
    추출기 본체에 상부필터를 삽입하여 커피가루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필터와 하부필터가 위치하도록 필터를 세팅하는 단계(S300);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뜨거운 물을 담아 상부필터의 상부에 물을 충진하는 단계(S400)
    추출기 본체의 내공간에 담겨진 물이 상부필터를 투과하여 커피가루에 스며들게 일정시간 기다려 뜸을 들이는 단계(S500)
    뜸들이기가 완료된 후 추출기 본체의 배출구에 형성된 밸브를 개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 커피 추출방법.
KR1020140068382A 2014-06-05 2014-06-05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KR10165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82A KR101651569B1 (ko) 2014-06-05 2014-06-05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82A KR101651569B1 (ko) 2014-06-05 2014-06-05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472A true KR20150140472A (ko) 2015-12-16
KR101651569B1 KR101651569B1 (ko) 2016-09-06

Family

ID=5508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82A KR101651569B1 (ko) 2014-06-05 2014-06-05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949A (ko) 2018-12-07 2020-06-17 박영희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538U (ko) * 1986-05-27 1988-04-08
KR200251377Y1 (ko) 2001-07-04 2001-11-17 황성철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KR200280326Y1 (ko)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JP2005296598A (ja) * 2004-04-15 2005-10-27 Noriko Kubo ハンドドリップ用抽出器
JP2011240025A (ja) * 2010-05-20 2011-12-01 Yoshio Yurugi コーヒードリッパー
KR20140059530A (ko) * 2012-11-08 2014-05-16 최준식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538U (ko) * 1986-05-27 1988-04-08
KR200251377Y1 (ko) 2001-07-04 2001-11-17 황성철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KR200280326Y1 (ko)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JP2005296598A (ja) * 2004-04-15 2005-10-27 Noriko Kubo ハンドドリップ用抽出器
JP2011240025A (ja) * 2010-05-20 2011-12-01 Yoshio Yurugi コーヒードリッパー
KR20140059530A (ko) * 2012-11-08 2014-05-16 최준식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949A (ko) 2018-12-07 2020-06-17 박영희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569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64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напитка
US9629379B2 (en) Method of preparing iced tea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KR101865831B1 (ko) 커피 추출 기구
US216879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oasting and brewing coffee
KR20110031893A (ko) 일회용 원두 커피 필터
KR101651569B1 (ko)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US2422944A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infusions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US2626560A (en) Pressure cooker
US1601671A (en) Percolator
US10750896B2 (en) Immersion beverage maker with plunger assembly
JP2005199007A (ja) コーヒー液抽出方法とそのコーヒー液抽出器
US3750559A (en) Coffee making bott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545564B1 (ko) 커피 메이커
JPH0297355A (ja) コーヒー淹れ器
CN204889647U (zh) 饮料过滤装置
US2637463A (en) Cooking utensil
JP6616799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CN209750771U (zh) 热饮料制备机器
KR20230138110A (ko) 드립 커피 메이커
US2073265A (en) Coffee making apparatus
JP2023060884A (ja) 電気コーヒ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