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724A - 착용형 안경장치 - Google Patents
착용형 안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1724A KR20150091724A KR1020140012300A KR20140012300A KR20150091724A KR 20150091724 A KR20150091724 A KR 20150091724A KR 1020140012300 A KR1020140012300 A KR 1020140012300A KR 20140012300 A KR20140012300 A KR 20140012300A KR 20150091724 A KR20150091724 A KR 201500917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optical signal
- communication module
- light
- optical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Eyeglass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는, 제1 광신호를 수신하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통신모듈; 상기 제1, 2 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1 광신호 수신시, 상기 제1 광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제2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광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광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 예는 착용형 안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광통신장치와 광신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용이한 착용형 안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응용 서비스들이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 이외에서 빠른 컴퓨팅을 이용해서 다양한 전용 앱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손에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에 넣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머니에서 꺼내거나 손에 들고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들어, 증강현실, 가상현실 서비스에 안경형 장치는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HMD와 최근 구글에서 상용화를 시도하고 있는 구글 글래스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안경은 사람의 눈에 정보를 표현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응용 서비스들을 안경에 접속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외부의 광통신장치와 광신호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용이한 착용형 안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는, 제1 광신호를 수신하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통신모듈; 상기 제1, 2 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1 광신호 수신시, 상기 제1 광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제2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광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광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빔프로젝트일 수 있다.
상기 광통신모듈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인 안경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광통신모듈과, 상기 안경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광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광통신모듈 및 상기 측면광통신모듈은 각각, 상기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및 상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광통신모듈은, 상기 안경의 정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제1 광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포토 다이오드(PD : Photo Diode) 및 아발란체 포토 다이오드(APD : Avalanche Photo Di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송신부는, 상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 Laser Diode) 및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통신모듈은, 주변광 또는 상기 제1 광신호가 입사될 때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패턴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터치입력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시간적인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안경장치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는, 광 통신(조명)을 이용하여 외부의 조명통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며, 조명통신장치로 광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조명통신장치와 직접적인 테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안경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광통신모듈을 사용자의 시선 방향인 안경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광통신모듈과 안경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광통신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 또는 머리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의 광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시선 방향의 조명통신장치와 지향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에서 광통신모듈(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에서 광통신모듈(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개념적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착용형 안경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렌즈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0), 외부의 조명통신장치로부터 들어오는 제1 광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광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조명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광통신모듈(120), 외부의 서버 등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통신모듈(13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광통신모듈(120), 데이터통신모듈(13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에서 광통신모듈(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착용형 안경장치의 안경 렌즈(미도시)에 응용프로그램 및 카메라모듈(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기 렌즈의 임의의 영역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및 사용자가 실행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빔프로젝트(미도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광통신모듈(120)은, 사용자의 시선방향인, 착용형 안경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전면광통신모듈(121)과, 착용형 안경장치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광통신모듈(124)를 포함한다. 전면광통신모듈(121)은 외부로부터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122)와 외부로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123)를 포함한다. 측면광통신모듈(124) 역시 외부로부터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125)와 외부로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전면광통신모듈(121)은, 사용자의 정면, 즉 착용형 안경장치의 정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만 수신할 수 있도록, 주변광 등 정면 이외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기 위한 편광소자(128)와 같은 광학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통신모듈(120)은 외부의 조명통신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제1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모듈(140)로부터 입력되는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광신호를 조명통신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광통신모듈(120)의 전면광통신모듈(121)과 측면광통신모듈(124)은 각각, 제1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광수신부(122, 125),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123, 126)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광통신모듈(120)은 주변광 및 상기 제1 광신호가 입사될 때 광수신부(122 또는 125)에 구성되는 복수의 수광소자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광소자가 가려지게 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터치입력판단부(12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입력판단부(127)는 복수의 수광소자에 의해서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터치인지 드래그인지 판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수신부(122, 125)는 제1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수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들은 포토 다이오드(PD : Photo Diode) 및 아발란체 포토 다이오드(APD : Avalanche Photo Diod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광을 수신하여 다른 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전면광통신모듈(121)의 광수신부(122)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은 착용형 안경장치의 안경테의 전면부, 즉 사용자의 얼굴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측면광통신모듈(124)의 광수신부(125)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은 착용형 안경장치의 안경테의 측면부, 즉 사용자의 얼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수신부(122, 125)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가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광신호의 신호세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신호 또는 하나의 제1 신호를 제어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는, 상기된 전면광통신모듈(121)을 통하여 안경의 전면 방향, 즉 사용자의 시선 또는 머리가 향하는 방향만의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시선 방향의 조명통신장치와 직접적이 지향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송신부(123, 126)는 제어모듈(140)에 의해 공급되는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은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 Laser Diode) 및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2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다른 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광수신부(122)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와 서로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의 상기 안경테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광수신부(122, 125)는 광송신부(123, 12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조명통신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제1 광신호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광송신부(123, 126)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광을 포함하는 제2 광신호를 조명통신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터치입력판단부(127)는 주변광 또는 제1 광신호의 수신 중 제1 광신호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져 광수신부(122)로 입력되지 않을 때, 사용자 터치 입력으로 판단한다. 이때 터치입력판단부(127)는 복수의 수광소자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광소자가 가려지게 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입력판단부(127)는 복수의 수광소자에 의해서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터치인지 드래그인지 판단한다.
나아가, 터치입력판단부(127)는 가속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있으며,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값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시 흔들림 또는 터치 입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터치는 광수신부(122, 125)의 일부 수광소자로 들어오는 주변광 또는 제1 광신호가 상기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일순간 가려져 상기 제1 신호가 순간 끊김이 발생되는 극히 짧은 시간인 경우에 인식되고, 사용자 드래그는 광수신부(122, 125)의 일련의 수광소자들에서 주변광 또는 제1 광신호가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가려지는 경우에 인식된다.
제어모듈(140)은 설정에 따라 전면광통신모듈(121)과 측면광통신모듈(124)을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터치입력판단부(127)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광수신부(122, 125)로부터 제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신호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모듈(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광송신부(123, 126)를 통하여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2 광신호를 조명통신장치(200)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조명통신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는 외부의 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통신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통신모듈(150)은 사용자가 임의의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에 접속하는 접속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및 사용자 캐릭터에 대한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안경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시스템은 착용형 안경장치(100), 조명통신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통신장치(200)와 착용형 안경장치(100)는 조명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인 장치의 ID, 사용자의 ID, 위치정보, 개인 선호 정보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 등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착용형 안경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에 출력을 하거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서 서버(300) 등과 직접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용형 안경장치(100)와 인터랙션하여 착용형 안경장치(100)의 출력정보,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통신장치(200)와 서버(30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조명통신장치(200)는 조명통신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사이니지, TV, LED 가로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로 대체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통신시스템의 구체적인 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명통신장치(200)가 홈쇼핑에서 임의의 물품에 대한 광고 발송시, 상기 임의의 물품에 대한 물품 ID, 물품 가격 및 물품 판매원 등과 같은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착용형 안경장치(100)는 조명통신장치(200)에서 송신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물품 정보를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착용형 안경장치(100)는 사용자가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물품 정보에 포함된 상기 물품 판매원에 대응하는 서버(300)로 상기 임의의 물품에 대한 물품 ID를 터치 입력하면, 서버(300)로 착용형 안경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ID, 결제 카드 정보 및 사용자 위치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300)는 착용형 안경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물품에 대한 구매 진행을 수행하며, 상기 임의의 물품에 대한 구매완료정보를 착용형 안경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모듈
120: 광통신모듈
130: 데이터통신모듈 140: 제어모듈
130: 데이터통신모듈 140: 제어모듈
Claims (15)
- 제1 광신호를 수신하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통신모듈;
상기 제1, 2 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제1 광신호 수신시, 상기 제1 광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제2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광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광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렌즈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빔프로젝트인 착용형 안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모듈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인 안경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광통신모듈과, 상기 안경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광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광통신모듈 및 상기 측면광통신모듈은 각각,
상기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및
상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광통신모듈은,
상기 안경의 정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광학소자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는,
상기 제1 광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제1 광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포토 다이오드(PD : Photo Diode) 및 아발란체 포토 다이오드(APD : Avalanche Photo Diode) 중 적어도 하나인 착용형 안경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는,
상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달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광신호를 송신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 Laser Diode) 및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인 착용형 안경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모듈은,
주변광 또는 상기 제1 광신호가 입사될 때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패턴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판단하는 터치입력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시간적인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판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착용형 안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2300A KR20150091724A (ko) | 2014-02-03 | 2014-02-03 | 착용형 안경장치 |
US14/610,050 US9835878B2 (en) | 2014-02-03 | 2015-01-30 | Wearable eyeglass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2300A KR20150091724A (ko) | 2014-02-03 | 2014-02-03 | 착용형 안경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1724A true KR20150091724A (ko) | 2015-08-12 |
Family
ID=5375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2300A KR20150091724A (ko) | 2014-02-03 | 2014-02-03 | 착용형 안경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835878B2 (ko) |
KR (1) | KR2015009172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441A (ko) * | 2016-04-26 | 2016-05-16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상 현실용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
WO2023058833A1 (ko) * | 2021-10-06 | 2023-04-13 |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69368B2 (en) * | 2018-12-18 | 2021-07-20 | Colquitt Partners, Ltd. | Glasses with closed captioning, voice recognition, volume of speech detection, and translation capabilities |
CN113176669B (zh) * | 2021-04-22 | 2022-07-22 | 歌尔股份有限公司 | 显示系统、显示眼镜和显示系统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61626A (en) * | 1989-02-21 | 1990-10-09 | United Techologies Corporation | Direct incorporation of night vision in a helmet mounted display |
KR101036849B1 (ko) | 2008-12-12 | 2011-05-25 | 한국광기술원 | 가시광 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
US9529191B2 (en) * | 2010-11-03 | 2016-12-27 | Trex Enterprises Corporation | Dynamic foveal vision display |
JP5649169B2 (ja) * | 2010-11-22 | 2015-01-07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ドラッグ操作でオブジェクトを移動させ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9285592B2 (en) | 2011-08-18 | 2016-03-15 | Google Inc. |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
US20130227409A1 (en) * | 2011-12-07 | 2013-08-29 | Qualcomm Incorporated | Integrating sensation functionalities into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applications |
JP6008086B2 (ja) * | 2012-03-26 | 2016-10-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頭部装着型表示装置 |
JP2016509292A (ja) * | 2013-01-03 | 2016-03-24 | メタ カンパニー | エクストラミッシブ空間撮像デジタル眼鏡装置または拡張介在ビジョン |
JP6209906B2 (ja) * | 2013-09-05 | 2017-10-1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を制御する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 |
-
2014
- 2014-02-03 KR KR1020140012300A patent/KR201500917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01-30 US US14/610,050 patent/US983587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441A (ko) * | 2016-04-26 | 2016-05-16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상 현실용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
WO2023058833A1 (ko) * | 2021-10-06 | 2023-04-13 |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19933A1 (en) | 2015-08-06 |
US9835878B2 (en) | 2017-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4196B2 (en) | Portable eye tracking device | |
US9360935B2 (en) | Integrated bi-sensing optical structure for head mounted display | |
US10310597B2 (en) | Portable eye tracking device | |
KR102219245B1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눈 추적 시스템 | |
US8866702B1 (en) | Use of optical display system as a visual indicator for a wearable computing device | |
JPWO2015012280A1 (ja) | 視線検出装置 | |
KR20170094255A (ko) | 가상 포커스 피드백 | |
WO2018208735A1 (en) | System for eye tracking | |
KR20150091724A (ko) | 착용형 안경장치 | |
JP2016218899A (ja) | 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および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のジェスチャー検知方法 | |
JP2015026286A (ja) |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
US20230199328A1 (en) | Method of removing interferen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 |
JP6607254B2 (ja) | 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のジェスチャー検知方法および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のジェスチャー検知プログラム | |
US20230251362A1 (en) | Method of removing interferenc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 |
US11860371B1 (en) | Eyewear with eye-tracking reflective element | |
KR20240097656A (ko) |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 |
KR20230041490A (ko) | 전기 변색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094948A (ko) |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240132828A (ko) | 가상 객체들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
WO2016190057A1 (ja) | 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およびウェアラブル電子機器のジェスチャー検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