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1775A -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75A
KR20150081775A KR1020140001591A KR20140001591A KR20150081775A KR 20150081775 A KR20150081775 A KR 20150081775A KR 1020140001591 A KR1020140001591 A KR 1020140001591A KR 20140001591 A KR20140001591 A KR 20140001591A KR 20150081775 A KR20150081775 A KR 2015008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hydraulic pressure
main power
control unit
det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547B1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102014000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메인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지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와, 상기 메인전원을 저장하여 메인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콘덴서 및 상기 비상사태 발생 시 주변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외부의 유압발생장치 관리시스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비상사태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EMERGENCY STATUS OF HYDRAULIC PRESSURE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중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그 상황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외부의 관리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유압발생장치에서 수행하던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기기에서는 비상시(예 : 전원 정전)를 대비하여 내연기관을 장착한 비상발전기를 보유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장치작동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비상시에 필수불가결하게 상기 유압발생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유압발생장치가 장착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 수동 유압발생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수동 조작을 위한 팔 힘의 한계 때문에 수동 유압발생장치의 배출량에 한계가 있으며 큰 힘의 유압을 발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가 유압발생장치에 발생한 비상사태를 즉시 알지 못하여 그 대응(비상조치)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상사태 발생 시 관리자가 비상사태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통지하고, 상기 유압발생장치에서 수행하던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1422호(2011.08.26.등록, 수동 유압발생장치의 동력전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중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그 상황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외부의 관리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유압발생장치에서 수행하던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지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 상기 메인전원을 저장하여 메인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콘덴서; 및 상기 비상사태 발생 시 주변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외부의 유압발생장치 관리시스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비상사태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사태 발생 시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는, 비상사태 발생 시간, 비상사태 발생 시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비상사태 발생 시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신호는 사운드 신호 또는 라이트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용량을 얻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검출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메인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메인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부가 비상사태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가 주변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가 비상사태 발생정보를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신호 출력과 상기 비상사태 발생정보의 송신을 수행한 후, 유압발생장치의 모터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비상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서 메인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중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그 상황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외부의 관리서버에 통지함으로써 관리자가 비상상태의 발생을 인지하여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중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유압발생장치에서 수행하던 동작을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콘덴서(120), 전원 검출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경고 출력부(160) 및 모터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100)의 구동(또는 동작)에 필요한 메인전원(예 :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메인전원은 상기 콘덴서(120)를 통해 저장되어 정전 시 비상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콘덴서(120)는 충전과 방전이 아주 빠르게 이루어진다.
상기 콘덴서(120)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은 물론 아주 강한 전류를 필요할 때 모아서 한꺼번에 방전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전류 소모가 큰 모터의 구동에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 구동 콘덴서(Motor Run Capacitor) 또는 슈퍼 콘덴서를 이용해 모터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덴서(120)는 두 도체 사이의 전압 차에 의해 전하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배터리는 전하는 저장시키는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배터리들은 전하를 그 자체로 저장시키고 있다기보다는 초기에는 자유 전하가 없는 상태에서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하를 생성시키는 화학적 배터리가 대부분이다.
상기 배터리와 비교할 때 상기 콘덴서(120)는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배터리 대비 적어도 500배의 수명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주변 환경에 더 민감하다. 가령 뜨거운 햇볕(또는 추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배터리는 폭발하거나 작동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에 비하여 콘덴서는 주변 환경에 더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콘덴서(120)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용량(또는 방전 시간)을 얻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검출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에서 인가되는 메인전원이 차단될 경우, 즉, 상기 메인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을 경우 이를 검출한다. 상기 전원 검출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에서 출력되는 메인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메인전원의 차단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 검출부(130)를 통해 메인전원의 차단이 검출될 경우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비상사태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의 이상 또는 정전에 의해 메인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상기 경고 출력부(160)를 제어하여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주변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주변에 있는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유압발생장치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신호는, 예컨대 사운드에 의한 신호 또는 라이트(빛)에 의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또는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정전발생 시간, 및 정전 시 유압발생장치의 동작(예 : 동작 중이었는지 아닌지 여부, 만약 동작 중이었다면 그때 수행 중이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외부의 관리시스템(10)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관리시스템(10)에 송신하는 데이터에는 상기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통신부(150)는 유/무선 방식으로 상기 관리시스템(10)과 통신한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방식(예 : 블루투스, Wi-Fi, NFC, 적외선 등) 또는 원거리 무선방식(예 : RF, 3G, 4G, LTE 등)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시스템(1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유선을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1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시스템(10)은 외부에서 유압발생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미도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유/무선 통신수단(미도시), 모바일 수단(미도시) 및 컴퓨터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시스템(10)은 상기 전송받은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를 누적 보관하며 해당 유압발생장치별로 비상사태 발생 이력 및 그에 따른 처리 이력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출력부(16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주변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경고신호는, 예컨대 사운드에 의한 신호 또는 라이트(빛)에 의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17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유압발생장치의 구동을 위한 모터(20)를 제어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17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이용해 상기 모터(20)를 구동하거나,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콘덴서(120)에서 공급되는 비상전원을 이용해 상기 모터(20)를 구동한다.
이하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비상사태 발생을 검출한다(S101).
상기 비상사태는 전원 공급부(110)의 이상 또는 정전에 의해 메인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상기 비상사태의 발생이 검출되면(S101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경고 출력부(160)를 제어하여 비상경보(또는 비상경고)를 출력한다(S102).
예컨대 상기 경고신호는 사운드에 의한 신호 또는 라이트(빛)에 의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40)는 정전발생 시간을 검출하고, 또한 비상사태 발생 시의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상태를 검출한다. 즉,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또는 수집)한다(S103).
예컨대 상기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상기 유압발생장치가 동작 중이었는지 혹은 동작중이 아니었는지 검출한다. 만약 상기 유압발생장치가 동작 중이었다면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는지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검출(또는 수집)된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비상사태 발생정보를 외부의 관리시스템(10)에 송신한다(S104).
상기 비상사태 발생정보를 상기 관리시스템(10)에 송신함으로써 관리자가 유압발생장치에 발생한 비상사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40)는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비상경보 출력 동작과 상기 비상사태 발생정보를 외부의 관리시스템(10)에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고도 남는 비상전원이 있을 경우, 상기 남은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유압발생장치의 모터(20)를 제어한다(S105).
예컨대 상기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유압발생장치가 동작 중이었다면 그때 수행 중이던 동작을 연속해서 수행하게 하거나, 비상상태 발생 시 동작하도록 설정된 비상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터(2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콘덴서(120)의 용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비상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관리시스템 20 : 모터
110 : 전원 공급부 120 : 콘덴서
130 : 전원 검출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경고 출력부
170 : 모터 구동부

Claims (6)

  1.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메인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지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
    상기 메인전원을 저장하여 메인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사태 발생 시 상기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콘덴서; 및
    상기 비상사태 발생 시 주변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외부의 유압발생장치 관리시스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비상사태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사태 발생 시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비상사태에 관련된 정보는, 비상사태 발생 시간, 비상사태 발생 시 유압발생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비상사태 발생 시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신호는 사운드 신호 또는 라이트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용량을 얻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검출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메인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메인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5.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부가 비상사태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가 주변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가 비상사태 발생정보를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신호 출력과 상기 비상사태 발생정보의 송신을 수행한 후, 유압발생장치의 모터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비상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에서 메인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01591A 2014-01-07 2014-01-07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0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91A KR101602547B1 (ko) 2014-01-07 2014-01-07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91A KR101602547B1 (ko) 2014-01-07 2014-01-07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75A true KR20150081775A (ko) 2015-07-15
KR101602547B1 KR101602547B1 (ko) 2016-03-10

Family

ID=5379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91A KR101602547B1 (ko) 2014-01-07 2014-01-07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81B1 (ko) * 2007-04-25 2008-08-01 박길용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KR101036302B1 (ko) * 2011-02-24 2011-05-23 (주) 대진유압기계 유압펌프 무선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81B1 (ko) * 2007-04-25 2008-08-01 박길용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유압발생장치
KR101036302B1 (ko) * 2011-02-24 2011-05-23 (주) 대진유압기계 유압펌프 무선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547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390B2 (en) Universal remote machinery controller and monitor
US9260067B2 (en) Onboard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880762B1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20160124050A1 (en) Storage battery type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and charge management method
US20140106687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field device with a radio module
CN104867264A (zh) 一种火灾预警方法和系统
KR101880694B1 (ko) Ibs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6092678B2 (ja)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6174641B2 (ja) 車両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US11050269B2 (en) Charge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0541875B2 (en) Work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EP3466742B1 (en) System for managing, identifying and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propulsion batteries of an electric vehicle
KR101602547B1 (ko)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93891B1 (ko) 실시간 열차고장 관리시스템
KR20170077707A (ko) 무선통신을 활용한 불량 배터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5020497A (ja) 車載用通信端末
CN111555441A (zh) 一种自动转换开关电器及自动转换开关电器系统
JP6715543B2 (ja) エアーコンプレッサの制御方法
KR101140177B1 (ko) 순간정전보상장치의 순간정전관리시스템
TW201427215A (zh) 斷電保護系統及方法
KR101733685B1 (ko) 해상용 충방전조절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59342B1 (ko) 변전설비의 트러블 예방 시스템
KR20170080991A (ko) 회전기기의 운전 감시 장치
KR101317917B1 (ko) 건설기계의 전원공급조절시스템 및 전원공급조절방법
KR20180077531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제어장치 및 이의 통신모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