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752A -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4752A KR20150054752A KR1020157001217A KR20157001217A KR20150054752A KR 20150054752 A KR20150054752 A KR 20150054752A KR 1020157001217 A KR1020157001217 A KR 1020157001217A KR 20157001217 A KR20157001217 A KR 20157001217A KR 20150054752 A KR20150054752 A KR 20150054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imension
- information
- scalability
- predi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영상의 디코딩 방법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식별하는 디멘전 타입 및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파싱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러빌러티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비트스트림 내 스케일러빌리티 레이어를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디오 압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이 고해상도를 가지고 고품질이 될수록 해당 영상에 관한 정보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정보량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성능의 장치와 다양한 환경의 네트워크가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성능의 장치와 다양한 환경의 네트워크가 등장함에 따라서,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품질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품질의 영상이 다양해지고,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이 다양해짐으로써, 어떤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품질의 영상을 이용하지만, 또 다른 환경에서는 더 높은 품질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구매한 소비자가 가정 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일한 비디오 콘텐츠를 더 큰 화면과 더 높은 해상도로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HD(High Definition) 해상도를 가지는 방송이 서비스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은 이미 고해상도, 고화질의 영상에 익숙해지고 있고,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들은 HDTV와 더불어 HDTV의 4배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UHD(Ultra High Definition)의 서비스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영상 서비스를 품질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해 고용량 비디오에 대한 고효율의 인코딩/디코딩 방법을 기반으로 영상의 품질, 예컨대 영상의 화질, 영상의 해상도, 영상의 크기,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 등에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스케일러빌러티에 수반되는 다양한 영상 처리 방법이 논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비트스트림 내 스케일러빌리티 정보를 기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한 방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비트스트림의 스케일러빌리티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트스트림 내 스케일러빌리티 레이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영상의 디코딩 방법은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식별하는 디멘전 타입 및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파싱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러빌러티의 정보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멘전 타입의 개수,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상기 디멘전 ID, 레이어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멘전 타입과 상기 디멘전 ID는 기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파악될 수 있다.
i번째 레이어의 대한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의 길이의 합은 상기 i번째 레이어에 대한 상기 레이어 ID의 비트수와 같을 수 있다.
i번째 레이어의 대한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의 합은 6이 될 수 있다.
상기 디멘전 타입은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 (multi view scalability), 깊이 스케일러빌러티 (depth scalability),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spatial scalability) 및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quality scalabil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가 2인 경우,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는 하나만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하여 상기 디멘전 ID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멘전 ID는 상기 플래그 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영상의 디코딩 장치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식별하는 디멘전 타입 및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대한 정보를 파싱하여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파악하는 정보 파악부와; 상기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의 영상을 복원하는 상위 레이어 디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스트림 내 스케일러빌리티 정보를 기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한 방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비트스트림의 스케일러빌리티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스트림 내 스케일러빌리티 레이어를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복수 계층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다시점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깊이 맵을 이용하여 3D 비디오의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인코딩 장치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장치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의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의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복수 계층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다시점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깊이 맵을 이용하여 3D 비디오의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인코딩 장치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장치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의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의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도면상의 각 구성들은 비디오 인코딩 장치/디코딩 장치에서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각 구성들이 서로 별개의 하드웨어나 별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각 구성 중 두 개 이상의 구성이 합쳐져 하나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복수의 구성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각 구성이 통합 및/또는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이하, ‘스케일러블 코딩’이라 함)에서는 입력 신호들을 레이어 별로 처리할 수 있다. 레이어에 따라서 입력 신호(입력 영상)들은 해상도(resolution),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비트 뎁스(bit-depth), 컬러 포맷(color format), 애스팩트 율(aspect rati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케일러블 코딩이라 함은 스케일러블 인코딩과 스케일러블 디코딩을 포함한다.
스케일러블 인코딩/디코딩에서는 레이어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즉 스케일러빌러티에 기반하여, 레이어 간의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정보의 중복 전송/처리를 줄이고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코딩 장치(100)는 레이어 1에 대한 인코딩부(105)와 레이어 0에 대한 인코딩부(135)를 포함한다.
레이어 0은 베이스 레이어, 참조 레이어 혹은 하위 레이어일 수 있으며, 레이어 1은 인핸스먼트 레이어, 현재 레이어 혹은 상위 레이어일 수 있다.
레이어 1의 인코딩부(105)는 예측부(110), 변환/양자화부(115), 필터링부(120), DPB(Decoded Picture Buffer, 125), 엔트로피 코딩부(130), 및 MUX(Multiplexer, 165)를 포함한다.
레이어 0의 인코딩부(135)는 예측부(140), 변환/양자화부(145), 필터링부(150), DPB(155) 및 엔트로피 코딩부(160)를 포함한다.
예측부(110, 14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부(110, 140)는 소정의 처리 단위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의 수행 단위는 코딩 유닛(Coding Unit: CU)일 수도 있고,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PU)일 수도 있으며, 변환 유닛(Transform Unit: TU)일 수도 있다.
예컨대, 예측부(110, 140)는 CU 단위로 인터 예측을 적용할 것인지 인트라 예측을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PU 단위로 예측의 모드를 결정하며, PU 단위 혹은 TU 단위로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행되는 예측은 예측 블록의 생성과 레지듀얼 블록(레지듀얼 신호)의 생성을 포함한다.
인터 예측을 통해서는 현재 픽처의 이전 픽처 및/또는 이후 픽처 중 적어도 하나의 픽처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을 통해서는 현재 픽처 내의 픽셀 정보를 기초로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모드 또는 방법으로서, 스킵(skip) 모드, 머지(merge) 모드, MVP(Motion Vector Predictor) 모드 방법 등이 있다. 인터 예측에서는 예측 대상인 현재 PU에 대하여 참조 픽처를 선택하고, 참조 픽처 내에서 현재 PU에 대응하는 참조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예측부(110, 140)는 참조 블록을 기반으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 블록은 정수 샘플 단위로 생성될 수도 있고, 정수 이하 픽셀 단위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움직임 벡터 역시 정수 픽셀 단위 혹은 정수 픽셀 이하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인터 예측에 있어서 움직임 정보 즉, 참조 픽처의 인덱스, 움직임 벡터, 레지듀얼 신호 등의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되어 디코딩 장치에 전달된다. 스킵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레지듀얼을 생성, 변환, 양자화,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는 33개의 방향성 예측 모드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방향성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비향성성 모드는 DC 예측 모드 및 플래이너 모드(Planar 모드)을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는 참조 샘플에 필터를 적용한 후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PU는 다양한 사이즈/형태의 블록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인터 예측의 경우에 PU는 2N×2N 블록, 2N×N 블록, N×2N 블록, 또는 N×N 블록 (N은 정수) 등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의 경우에 PU는 2N×2N 블록 또는 N×N 블록 (N은 정수) 등일 수 있다. 이때, N×N 블록 크기의 PU는 특정한 경우에만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최소 크기 CU에 대해서만 NxN 블록 크기의 PU를 이용하도록 정하거나 인트라 예측에 대해서만 이용하도록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크기의 PU 외에, N×mN 블록, mN×N 블록, 2N×mN 블록 또는 mN×2N 블록 (m<1) 등의 PU를 더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측부(110)는 레이어 0의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 1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레이어의 정보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터 레이어 예측이라고 한다.
다른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되는 (즉, 인터 레이어 예측에 의해 예측되는) 현재 레이어의 정보로는 텍스처, 움직임 정보, 유닛 정보, 소정의 파라미터(예컨대, 필터링 파라미터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현재 레이어에 대한 예측에 이용되는 (즉, 인터 레이어 예측에 이용되는) 다른 레이어의 정보로는 텍스처, 움직임 정보, 유닛 정보, 소정의 파라미터(예컨대, 필터링 파라미터 등)이 있을 수 있다.
인터 레이어 예측의 일 예로서, 인터 레이어 움직임 예측은 인터 레이어 인터 예측이라고도 한다. 인터 레이어 인터 예측에 의하면, 레이어 0 (참조 레이어 혹은 베이스 레이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 1 (현재 레이어 혹은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레이어 인터 예측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참조 레이어의 움직임 정보를 스케일링 할 수도 있다.
인터 레이어 예측의 또 다른 예로서 인터 레이어 텍스쳐 예측은 인터 레이어 인트라 예측 혹은 인트라 BL(Base Layer) 예측이라고도 명명될 수도 있다. 인터 레이어 텍스처 예측은 참조 레이어 내 참조 블록이 인트라 예측에 의해 복원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인터 레이어 인트라 예측에서는 참조 레이어 내 참조 블록의 텍스처를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참조 블록의 텍스처는 업샘플링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다.
인터 레이어 예측의 다른 예인 인터 레이어 유닛 파라미터 예측에서는 베이스 레이어의 유닛(CU, PU 및/또는 TU) 정보를 유도하여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유닛 정보로 사용하거나, 베이스 레이어의 유닛 정보를 기반으로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유닛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정보는 각 유닛 레벨에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U 정보의 경우, 파티션(CU, PU 및 또는 TU)에 관한 정보, 변환에 관한 정보, 예측에 대한 정보, 코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U 정보의 경우, PU 파티션에 관한 정보, 예측에 관한 정보(예컨대, 움직임 정보,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U에 관한 정보는 TU 파티션에 관한 정보, 변환에 관한 정보(변환 계수, 변환 방법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정보는 처리 단위(예컨대, CU, PU, TU 등)의 분할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 레이어 예측의 또 다른 예인 인터 레이어 파라미터 예측에서는 베이스 레이어에서 사용한 파라미터를 유도하여 인핸스먼트 레이어에서 재사용하도록 하거나 베이스 레이어에서 사용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인핸스먼트 레이어에 대한 파라미터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인터 레이어 예측의 예로서, 인터 레이어 텍스처 예측, 인터 레이어 움직임 예측, 인터 레이어 유닛 정보 예측, 인터 레이어 파라미터 예측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터 레이어 예측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예측부(110)는 인터 레이어 예측으로서 다른 레이어의 레지듀얼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레이어의 레지듀얼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레이어 내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레이어 레지듀얼 예측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측부(110)는 인터 레이어 예측으로서 현재 레이어의 복원 픽처와 다른 레이어의 복원 픽처를 업샘플링 혹은 다운샘플링한 영상 간의 차분 (차분 영상)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레이어 내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레이어 차분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예측부(110)는 인터 레이어 예측으로, 다른 레이어의 신택스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텍스처를 예측하거나 생성하는 인터 레이어 신택스 예측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현재 블록의 예측에 이용하는 참조 레이어의 신택스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 움직임 정보 등일 수 있다.
이 때, 참조 레이어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적용된 블록(intra)으로부터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참조하고, 인터 예측 모드가 적용된 블록(MV)으로부터는 움직임 정보를 참조하여 인터 레이어 신택스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레이어가 P 슬라이스나 B 슬라이스이지만, 슬라이스 내에 참조 블록은 인트라 예측 모드가 적용된 블록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인터 레이어 신택스 예측을 적용하면, 참조 레이어의 신택스 정보 중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텍스처를 생성/ 예측하는 인터 레이어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인터 레이어를 이용한 여러 예측 방법은 특정 블록에 대한 예측 시 복수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을 예측하기 위하여 레이어 0의 예측 정보를 이용하면서, 대응되는 레이어 0 또는 대응 블록의 유닛 정보 또는 필터링 파라미터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 레이어 예측 방법의 결합은 본 명세서 이하에서 설명될 예측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변환/양자화부(115, 145)는 변환 블록 단위로 레지듀얼 블록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하고, 변환 계수를 양자화 할 수 있다.
변환 블록은 샘플들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동일한 변환이 적용되는 블록이다. 변환 블록은 변환 유닛(TU)일 수 있으며, 쿼드 트리(quad tre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변환/양자화부(115, 145)는 레지듀얼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와 블록의 크기에 따라서 변환을 수행해서 변환 계수들의 2차원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레지듀얼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었고 블록이 4x4의 레지듀얼 배열이라면, 레지듀얼 블록을 DST(Discrete 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변환하고, 그 외의 경우라면 레지듀얼 블록을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변환할 수 있다.
변환/양자화부(115, 145)는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양자화부(115, 145)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엔트로피 코딩부(130, 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변환/양자화부(145)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의 2차원 어레이를 소정의 스캔 순서에 따라 1차원 어레이로 재정렬하여 엔트로피 코딩부(130, 18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변환/양자화부(115, 145)는 인터 예측을 위해, 레지듀얼과 예측 블록을 기반으로 생성된 복원 블록을 변환/양자화하지 않고, 필터링부(120, 1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변환/양자화부(115, 145)는 필요에 따라서, 변환을 생략(skip)하고 양자화만 수행하거나 변환과 양자화를 모두 생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변환/양자화부(115, 165)는 특정한 예측 방법이 적용되거나 특정 크기를 갖는 블록, 혹은 특정 예측 블록이 적용된 특정한 크기의 블록에 대하여 변환을 생략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코딩부(130, 16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한 엔트로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에는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등과 같은 인코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필터링부(120, 150)는 디블록킹 필터, ALF(Adaptive Loop Filter), SAO(Sample Adaptive Offset)를 복원된 픽처에 적용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는 복원된 픽처에서 블록 간의 경계에 생긴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ALF(Adaptive Loop Filter)는 디블록킹 필터를 통해 블록이 필터링된 후 복원된 영상과 원래의 영상을 비교한 값을 기초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SAO는 디블록킹 필터가 적용된 레지듀얼 블록에 대하여, 픽셀 단위로 원본 영상과의 오프셋 차이를 복원하며, 밴드 오프셋(Band Offset), 에지 오프셋(Edge Offset) 등의 형태로 적용된다.
필터링부(120, 150)는 디블록킹 필터, ALF, SAO를 모두 적용하지 않고 디블록킹 필터만 적용하거나 디블록킹 필터와 ALF만 적용하거나 디블록킹 필터와 SAO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DPB(125, 155)는 필터링부(120, 150)로부터 복원 블록 또는 복원 픽처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DPB(125, 155)는 복원 블록 또는 픽처를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부(110, 14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어 0의 엔트로피 코딩부(160)에서 출력되는 정보와 레이어 1의 엔트로피 코딩부(13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MUX(185)에서 멀티플렉싱되어 비트스트림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이어 1의 인코딩부(105)가 MUX(16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MUX는 레이어 1의 인코딩부(105) 및 레이어 0의 인코딩부(135)와는 별도의 장치 혹은 모듈일 수 있다.
도 1의 인코딩 장치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영상을 촬상하고 인코딩 할 수 있는 전자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시스템, 휴대용 전화기 또는 태블랫 PC와 같은 개인 단말기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 전자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스케일러블 코딩을 수행하는 인코딩 장치에서의 인터 레이어 예측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코딩 장치(200)는 레이어 1의 디코딩부(210)와 레이어 0의 디코딩부(250)를 포함한다.
레이어 0은 베이스 레이어, 참조 레이어 혹은 하위 레이어일 수 있으며, 레이어 1은 인핸스먼트 레이어, 현재 레이어 혹은 상위 레이어일 수 있다.
레이어 1의 디코딩부(21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재정렬부(220), 역양자화부(225), 역변환부(230), 예측부(235), 필터링부(240),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어 0의 디코딩부(25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55), 재정렬부(260), 역양자화부(265), 역변환부(270), 예측부(275), 필터링부(280), 메모리(28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전송되면, DEMUX(205)는 레이어별로 정보를 디멀티플렉싱하여 각 레이어별 디코딩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255)는 인코딩 장치에서 사용한 엔트로피 코딩 방식에 대응하여 엔트로피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인코딩 장치에서 CABAC이 사용된 경우에,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255)도 CABAC을 이용하여 엔트로피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255)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예측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는 예측부(235, 275)로 제공되고,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255)에서 엔트로피 디코딩이 수행된 레지듀얼 값, 즉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재정렬부(220, 260)로 입력될 수 있다.
재정렬부(220, 26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255)에서 엔트로피 디코딩된 비트스트림의 정보, 즉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인코딩 장치에서 재정렬한 방법을 기초로 재정렬할 수 있다.
예컨대, 재정렬부(220, 260)는 1차원 어레이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다시 2차원 어레이의 계수들로 재정렬할 수 있다. 재정렬부(220, 260)는 현재 블록(변환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 및/또는 변환 블록의 크기를 기반으로 스캐닝을 수행하여 계수(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의 2차원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5, 265)는 인코딩 장치에서 제공된 양자화 파라미터와 재정렬된 블록의 계수값을 기초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부(230, 270)는 변환 계수들에 대하여 인코딩 장치의 변환부가 수행한 변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부(230, 270)는 인코딩 장치에서 수행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및 DST(Discrete Sine Transform)에 대해 역DCT 및/또는 역DST를 수행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에서 DCT 및/또는 DST는 예측 방법,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예측 방향 등 복수의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디코딩 장치의 역변환부(230, 270)는 인코딩 장치에서 수행된 변환 정보를 기초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역변환부(230, 270)은 예측 모드/블록 크기에 따라서 역DCT와 역DST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역변환부(230, 270)은 인트라 예측이 적용된 4x4 루마 블록에 대해서 역DST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역변환부(230, 270)는 예측 모드/블록 크기에 상관 없이, 특정 역변환 방법을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역변환부(330, 370)는 모든 변환 블록에 역DST만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역변환부(330, 370)는 모든 변환 블록에 역DCT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역변환부(230, 270)는 변환 계수들 혹은 변환 계수의 블록을 역변환하여 레지듀얼 혹은 레지듀얼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부(230, 270)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혹은 인코딩 장치에서 인코딩된 방식에 따라서, 변환을 생략(skip)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역변환(230, 270)는 특정한 예측 방법이 적용되거나 특정 크기를 갖는 블록, 혹은 특정 예측 블록이 적용된 특정한 크기의 블록에 대하여 변환을 생략할 수도 있다.
예측부(235, 275)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5, 255)로부터 전달된 예측 블록 생성 관련 정보와 메모리(245, 285)에서 제공된 이전에 디코딩된 블록 및/또는 픽처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 모드인 경우에, 예측부(235, 275)는 현재 픽처 내의 픽셀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가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 모드인 경우에, 예측부(235, 275)는 현재 픽처의 이전 픽처 또는 이후 픽처 중 적어도 하나의 픽처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에 필요한 움직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인코딩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유도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모드로서 스킵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인코딩 장치로부터 레지듀얼이 전송되지 않으며 예측 블록을 복원 블록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레이어 1의 예측부(235)는 레이어 1 내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레이어(레이어 0)의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 레이어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레이어 1의 예측부(235)는 레이어 1의 움직임 정보, 레이어 1의 텍스처 정보, 레이어 1의 유닛 정보, 레이어 1의 파라미터 정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어 1의 예측부(235)는 레이어 0의 예측부(275)로부터 레이어 1의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레이어 움직임 예측을 인터 레이어 인터 예측이라고도 한다. 인터 레이어 움직임 예측에 의해, 참조 레이어(베이스 레이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레이어(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예측부(335)는 필요한 경우에, 참조 레이어의 움직임 정보를 스케일링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레이어 1의 예측부(235)는 레이어 0의 예측부(275)로부터 레이어 0의 텍스처 정보를 전달받아서 텍스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텍스처 예측은 인터 레이어 인트라 예측 혹은 인트라 BL(Base Layer) 예측이라고도 명명될수 있다. 텍스처 예측은 참조 레이어의 참조 블록이 인트라 예측에 의해 복원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텍스처 예측은 참조 레이어에 참조 인덱스를 할당하여 참조할 수도 있다.
인터 레이어 인트라 예측에서는 참조 레이어 내 참조 블록의 텍스처를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참조 블록의 텍스처는 업샘플링에 의해 스케일링될 수 있다.
레이어 1의 예측부(235)는 레이어 0의 예측부(275)로부터 레이어 0의 유닛 파라미터 정보를 전달받아서 유닛 파라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유닛 파라미터 예측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의 유닛(CU, PU 및/또는 TU) 정보가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유닛 정보로 사용되거나, 베이스 레이어의 유닛 정보를 기반으로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유닛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레이어 1의 예측부(235)는 레이어 0의 예측부(275)로부터 레이어 0의 필터링에 관한 파라미터 정보를 전달받아서 파라미터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예측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에서 사용한 파라미터를 유도하여 인핸스먼트 레이어에서 재사용하거나, 베이스 레이어에서 사용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인핸스먼트 레이어에 대한 파라미터를 예측할 수 있다.
상술된 인터 레이어를 이용한 여러 예측 방법은 특정 블록에 대한 예측 시 복수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을 예측하기 위하여 레이어 0의 예측 정보를 이용하면서, 대응되는 레이어 0 또는 대응 블록의 유닛 정보 또는 필터링 파라미터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 레이어 예측 방법의 결합은 본 명세서 이하에서 설명될 예측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가산기(290, 295)는 예측부(235, 275)에서 생성된 예측 블록과 역변환부(230, 270)에서 생성된 레지듀얼 블록을 이용해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산기(290, 295)를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별도의 유닛(복원 블록 생성부)로 볼 수 있다.
가산기(290, 295)에서 복원된 블록 및/또는 픽처는 필터링부(240, 28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예를 참조하면, 레이어 1의 필터링부(240)는 레이어 1의 예측부(235) 및/또는 레이어 0의 필터링부(280)으로부터 전달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된 픽처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레이어 1에서 필터링부(240)는 레이어 0에서 적용된 필터링의 파라미터로부터 예측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레이어 1에 대한 혹은 레이어 간의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245, 285)는 복원된 픽처 또는 블록을 저장하여 참조 픽처 또는 참조 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245, 285)는 저장된 복원 픽처를 소정의 출력부(미도시) 혹은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재정렬부, 역양자화부, 역변환부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도 1의 인코딩 장치에서와 같이, 역양자화/역변환부의 한 모듈에서 재정렬, 역양자화, 역변환을 순서대로 수행하도록 디코딩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예측부로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레이어 1의 예측부는 다른 레이어(레이어 0)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레이어 예측부와 다른 레이어(레이어 0)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인트라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2의 디코딩 장치는 영상을 재생하고, 또는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는 셋탑 박스, 텔레비전, 컴퓨터 시스템, 휴대용 전화기, 태블랫 PC와 같은 개인 단말기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 전자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비트스트림 내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 즉 스케일러블 코딩(scalable coding)의 경우, 복수의 레이어 간에는 강한 연관성(correlation)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연관성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하면 데이터의 중복 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영상의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의 대상이 되는 현재 레이어의 예측을 수행하는 것을 이하에서는 레이어 간 예측(inter-layer prediction)이라고 표현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이하 부호화 관점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복호화 관점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복호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복수의 계층들은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컬러 포맷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레이어 간 예측 시 해상도의 조절을 위하여 레이어의 업샘플링 또는 다운샘플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복수 계층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서 GOP(Group of Picture)는 픽처군 즉, 픽처의 그룹을 나타낸다.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 매체가 필요하며, 그 성능은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전송 매체별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송 매체 또는 네트워크 환경에의 적용을 위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은 계층(layer) 간의 텍스쳐 정보, 움직임 정보, 잔여 신호 등을 활용하여 계층 간 중복성을 제거하여 부호화/복호화 성능을 높이는 코딩 방법이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은, 전송 비트율, 전송 에러율, 시스템 자원 등의 주변 조건에 따라, 공간적, 시간적, 화질적 관점에서 다양한 스케일러빌리티를 제공할 수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에 적용 가능한 비트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 계층(multiple layers) 구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구조는, 일반적인 영상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처리하는 기본 계층을 포함할 수 있고, 기본 계층의 부호화 정보 및 일반적인 영상 부호화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는 향상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layer)은 공간(spatial, 예를 들어, 영상 크기), 시간(temporal, 예를 들어, 부호화 순서, 영상 출력 순서, 프레임 레이트), 화질, 복잡도 등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영상 및 비트스트림(bitstream)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기본 계층은 참조 계층 또는 Base layer, 향상 계층은 Enhancement laye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계층들은 서로 간에 종속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본 계층은 SD(standard definition), 15Hz의 프레임율, 1Mbps 비트율로 정의될 수 있고, 제1 향상 계층은 HD(high definition), 30Hz의 프레임율, 3.9Mbps 비트율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향상 계층은 4K-UHE(ultra high definition), 60Hz의 프레임율, 27.2Mbps 비트율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포맷(format), 프레임율, 비트율 등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계층의 수도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대역폭이 4Mbps라면 상기 제1향상계층 HD의 프레임 레이트를 줄여서 15Hz이하로 전송할 수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은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시간적, 공간적,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제공할 수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이하 부호화 관점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복호화 관점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복호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복수의 계층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은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packet-switching network)를 통하여 비디오의 적응적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NAL (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들로 구성된다. 복수의 계층과 유사하게 비트스트림 내 복수의 다시점 영상을 포함하는 멀티 뷰 비디오 코딩(multi-view video coding)에서 복수의 시점간의 관계는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비디오에서의 공간적 계층(spatial layer)간의 관계와 유사하다.
콘텐츠 전달경로(content delivery path)에서의 모든 노드에서 비트스트림을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비트스트림의 스케일러빌리티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단일 레이어에 대한 비디오 코딩에 대한 표준(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는 NAL 유닛 헤더(header)에 계층 정보와 관련된 필드가 2개 존재한다.
표 1은 NAL 유닛 헤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forbidden_zero_bit는 1을 값을 가진다.
nal_unit_type은 해당 nal 유닛의 종류를 나타낸다.
nuh_reserved_zero_6bits는 향후 다른 계층, 즉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영역으로, 해당 레이어를 식별하는 레이어 ID에 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3 bits의 길이를 갖는 temporal_id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의 시간적 레이어(temporal layer)를 나타낸다. 시간적 레이어는 비디오 코딩 레이어(video coding layer, VCL) NAL 유닛으로 구성된 시간적으로 스케일될 수 있는 비트스트림의 레이어를 의미하며, 시간적 레이어는 특정의 temporal_id 값을 갖는다.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예를 들어, 다시점, 3D 확장)를 지원하는 비트스트림의 코딩에도 표 1과 같은 NAL 유닛 헤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NAL 유닛 헤더에서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레이어 ID와 같은 정보는 표 1의 6비트의 nuh_reserved_zero_6bits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NAL 유닛 헤더에서 시그널링 되는 레이어 ID 정보와 해당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 타입, 즉 레이어에 어떠한 스케일러빌러티가 적용되는지를 매핑시키는 정보의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스케일러빌러티의 타입, 종류 및 이들을 레이어 ID와 매핑시키는 이러한 정보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에 포함될 수 있으며,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확장 (video parameter set extension)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비트스트림 내에서 영상의 계층적 정보(scalability information)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시그널링 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표 2는 현재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2를 참조하면 video_parameter_set_id은 다른 구문요소에 의하여 참조되는 해당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구문요소 이다.
vps_temporal_id_nesting_flag는 vps_max_sub_layers_minus1가 0보다 클 때,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참조하는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인터 예측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vps_max_sub_layers_minus1가 0일 경우 vps_temporal_id_nesting_flag는 1이 되어야 한다. vps_temporal_id_nesting_flag의 구문요소는 시간적 서브 레이어의 업샘플링 시 사용된다.
reserved_zero_2bits은 비트스트림 내에서 3이 될 수 있으며, 3이 아닌 다른 값은 추가적으로 다르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코딩부는 reserved_zero_2bits 값을 무시할 수 있다.
max_num_layers_minus1에 1을 더한 값은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참조하는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 내에 존재하는 레이어의 최대 수를 나타낸다.
vps_max_sub_layers_minus1에 1을 더한 값은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시간적 서브 레이어의 최대 수를 나타낸다. vps_max_sub_layers_minus1은 0 내지 6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next_essential_info_byte_offset는 NAL 유닛의 시작으로부터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 내의 고정 길이 코딩 정보의 다음 세트에 대한 바이트 오프셋을 나타낸다.
베이스 레이어 또는 베이스 시점이 아닌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정보는 고정된 길이의 코딩된 정보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의 할당된 바이트 위치에서 시작한다. next_essential_info_byte_offset에 의하여 특정되는 바이트 오프셋은 엔트로피 디코딩을 할 필요 없이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 내의 필수적인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next_essential_info_byte_offset에 대한 정보는 세선 협상 및/또는 용량 교환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이다.
vps_max_dec_pic_buffering[ i ]는 영상 저장 버퍼의 단위에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를 위하여 요구되는 디코딩된 픽처 버퍼의 최대 크기를 나타낸다.
vps_max_num_reorder_pics[ i ]는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임의의 픽처보다 디코딩 순서에서 선행할 수 있고 출력 순서에서 후행할 수 있는 픽처의 허용 가능한 최대 수를 나타낸다.
vps_max_latency_increase[ i ]는 0이 아닌 값을 가지며 최대 지연 픽처의 개수를 연산하는데 사용되는 값으로, 코딩된 비디오 시퀀스의 임의의 픽처보다 디코딩 순서에서 앞설 수 있고 출력 순서에서 후행할 수 있는 픽처의 최대 수를 나타낸다.
num_hrd_parameters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존재하는 hrd_parameters( ) 구문요소의 개수를 나타내며, 비트스트림에서 num_hrd_parameters은 1보다 같거나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이 값이 1보다 같거나 작은 값이 아닐 경우 디코딩부는 num_hrd_parameters 값으로 구문요소에서 지시하고 있는 1 내지 1024 범위의 다른 값을 허용할 수 있다.
bit_equal_to_one는 1의 값을 가진다.
vps_extension_flag이 0이면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구문요소에 vps_extension_data_flag 구문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vps_extension_flag이 1이면 레이어 확장 버전을 위하여 vps_extension_data_flag 구문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vps_extension_data_flag은 레이어 확장 버전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어떠한 값도 가질 수 있다.
만약, 비트스트림이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레이어 확장 버전인 경우, vps_extension_flag 및 vps_extension_data_flag은 1일 수 있고, 레이어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비트스트림 내 비디오 파라미터, 예를 들어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확장(video parameter sets extension)에 포함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확장에 포함될 수 있는 레이어의 정보는 레이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스케일러빌러티, 즉 디멘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디멘젼에 대한 정보는 표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그 외에 레이어에 대하여 시그널링되는 정보에는 레이어가 디멘전의 개수, 각 레이어의 각 디멘전의 능동적 범위, 레이어 식별에 대한 정보, 직접적인 참조 레이어에 대한 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레이어에 대한 디멘전을 나타내기 위한 전체 비트 수는 표 1의 NAL 유닛 헤더에서 시그널링되는 레이어 ID를 시그널링 하기 위하여 할당된 비트수에 매칭되어야 한다. 만약, NAL 유닛 헤더에서 시그널링 되는 레이어 ID가 6비트라면, 각 레이어에 적용될 수 있는 디멘전를 기술하는 전체 비트수는 6이 된다.
아래 표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의 확장을 도시하고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vps_extension_byte_alignment_reserved_one_bit은 1이 된다.
num_dimensions_minus1 [ i ]에 1을 더한 값은 각 레이어에서 시그널링 되는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개수를 나타낸다.
dimension_type[ i ] 은 하기의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 번째 레이어의 j 번째 스케일러빌러티 디멘전 타입을 나타낸다.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트스트림에서 디멘전 타입(dimension type)이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퀄러티적 스케일러빌러티와 같은 스케일러빌러티의 타입을 의미하고 디멘전 ID(dimension ID)는 특정한 디멘전 타입이 가질 수 있는 레이어에 대한 인덱스, 특정한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디멘전 타입(dimension_type)은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 ID에 해당하는 디멘전 ID(dimension_id)에 매핑될 수 있다.
표 4를 참조하면 스케일러빌러티 타입에는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 (multi view scalability), 깊이 스케일러빌러티 (depth scalability),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spatial scalability) 및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quality scalability)가 존재할 수 있다.
num_dimensions_minus1 [ i ]가 시그널링 되면, 0부터 1씩 증가하면서 디멘전 개수 만큼 i 번째 레이어에 대한 디멘전 타입(dimension_type)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 된다.
i번째 레이어에 대하여 시그널링 되는 dimension_type이 0이면 해당 레이어에는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가 적용되며, dimension_type이 1이면 해당 레이어에는 깊이 스케일러빌러티가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dimension_type이 2면 해당 레이어에는 공간적 스케일러빌러가 적용되고, dimension_type이 3이면 해당 레이어에는 화질 스케일러빌러티가 적용된다. 표 4에 따를 경우, 하나의 레이어는 최대 4 종류의 스케일러빌러티를 가질 수 있다.
표 4에 도시되어 있는 디멘전 ID는 비트스트림에서 지원될 수 있는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며, 디멘전 ID는 더 추가될 수도 있고, 비트스트림은 표 4에 기술되어 있는 4개의 디멘전 중 일부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dimension_type의 4 내지 15의 값은 추가적인 스케일러빌러티의 타입을 기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각 디멘전 타입 및 디멘전 ID에 대하여 살펴본다.
디멘전 ID가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 (multi view scalability)를 식별할 수 있는 view order idx이면, 이는 레이어가 다시점 코딩 구조로 코딩된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다시점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점 코딩을 위하여 모두 5개의 카메라에서 영상 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고 카메라 1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의 스트림은 베이스 시점이 된다. 나머지 카메라 2 내지 5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은 카메라 1을 포함한 다른 시점 영상을 참조하여 코딩될 수 있다.
카메라 3에서 생성되는 영상 스트림은 베이스 시점을 참조하여 예측이 수행되고, 코딩되는 다른 시점(예를 들어 시점 2)이 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2에서 생성되는 영상 스트림은 베이스 시점 및 시점 2를 참조하여 예측이 수행되고, 코딩되는 다른 시점(예를 들어 시점 3)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5에서 생성되는 영상 스트림은 베이스 시점을 참조하여 예측이 수행되고, 코딩되는 다른 시점(예를 들어 시점 4)이 될 수 있다.
카메라 4에서 생성되는 영상 스트림은 베이스 시점 및 시점 4를 참조하여 예측이 수행되고, 코딩되는 다른 시점(예를 들어 시점 5)이 될 수 있다.
view order idx는 비트스트림 내에서 다시점 레이어의 순서(the order of the view layer), 즉 복수의 다시점 레이어 중 어떤 레이어를 나타내는지를 식별하는 값이다. view order idx는 NAL 유닛과 관련된 레이어 I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디멘전 ID가 깊이 스케일러빌러티 (depth scalability)를 식별하는 depth order idx 이면, 이는 레이어가 3D 비디오 코딩 구조로 코딩된 것을 의미한다. 3D 비디오 코딩에는 3D 픽처를 표현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딩된 프레임에 깊이 맵(depth map)이 사용되는데, depth order idx는 코딩된 3D 비디오 비트스트림에서 깊이 맵의 레이어 또는 깊이 순서(the order of the depth layer / order)를 식별한다.
도 5는 깊이 맵을 이용하여 3D 비디오의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은 복수의 깊이 맵을 이용하여 코딩될 수 있으며, 베이스 레이어는 깊이 순서 1 및 깊이 순서 2로 표현될 수 있는 상위 레이어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깊이 순서 N으로 표시되어 있는 레이어는 N 보다 낮은 순서를 갖는 레이어에 대한 깊이 의존성을 가질 수 있다.
depth order idx는 깊이 맵의 레이어 또는 깊이 순서, 즉 복수의 깊이 맵 레이어 중 어떤 레이어를 나타내는지를 식별하는 값이다. depth order idx는 NAL 유닛과 관련된 레이어 I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디멘전 ID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spatial scalability)를 식별할 수 있는 dependency ID이면, 이는 상위 레이어가 하위 레이어의 코딩된 영상을 참조하여 예측 및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가 적용되는 영상에서는 각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레이어는 하위 레이어와, 해당 하위 레이어 보다 큰 공간적 해상도(예를 들어, 픽처 너비 또는 픽처 높이)를 갖는 상위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dependency ID가 N인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가 될 수 있고, dependency ID가 N+1인 레이어는 dependency ID가 N인 레이어 보다 큰 해상도를 갖는 상위 레이어로 베이스 레이어의 코딩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코딩될 수 있다.
dependency ID는 비트스트림 내의 공간적 레이어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NAL 유닛과 관련된 레이어 I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디멘전 ID가 화질 스케일러빌러티(quality scalability)를 식별할 수 있는 quality ID이면, 이는 상위 레이어가 하위 레이어의 코딩된 영상을 참조하여 예측 및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코딩에 대한 프레임 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질 스케일러빌러티가 적용되는 영상에서는 각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레이어는 하위 레이어와, 해당 하위 레이어와 동일한 공간적 해상도(예를 들어, 픽처 너비 또는 픽처 높이)를 갖지만 시각적으로 보다 화질이 우수한 상위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quality ID가 N인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가 될 수 있고, quality ID가 N+1인 레이어는 quality ID가 N인 레이어 보다 향상된 화질을 갖는 상위 레이어로 베이스 레이어를 이용하여 코딩될 수 있다.
quality ID는 비트스트림 내의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레이어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NAL 유닛과 관련된 레이어 ID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화질 스케일러빌러티는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와 동일한 코덱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질 스케일러빌러티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는 하나의 ID로 나타낼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비트스트림은 다양한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스케일러빌러티는 디멘전 타입에 대한 정보와 이에 매핑되는 해당 디멘전에 대한 레이어를 식별하기 위한 디멘전 ID에 대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멘전 타입은 인코딩 장치로부터 디코딩 장치로 시그널링 될 수 있고, 디멘전 타입과 디멘저 ID의 매핑 관계는 기설정된 표를 통하여 인코딩 장치와 디코딩 장치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dimension_len[ i ]는 i번째 디멘전 ID에 대한 길이, 즉 비트수를 나타내며, dimension_len[ i ]의 값은 1 내지 6 범위의 값이 될 수 있고 하고, i 번째 레이어에 대한 dimension_len[ i ]의 합은 6이 되어야 한다.
dimension_len[ i ]는 dimension_id_len 또는 dimension_id_len_minus1 등의 구문 요소로 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dimension_id_len 또는 dimension_id_len_minus1에 의하여 특정되는 값의 합은 6이 되어야 한다.
i 번째 레이어의 디멘전을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레이어를 식별하기 위하여 NAL 유닛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 ID와 매핑되어야 하고, 따라서, 디멘전을 나타내는 디멘전 ID의 길이, dimension_len[ i ]의 전체 합은 레이어 ID의 길이와 같거나 작아야 한다.
레이어를 식별하기 레이어 ID의 길이가 6비트인 경우, dimension_len[ i ]은 1 내지 6의 값을 가질 수 있고, dimension_len[ i ]의 전체 합은 6비트가 되어야 한다.
vps_layer_id [ i ]는 의존성 정보가 적용되는 i 번째 레이어의 레이어 ID를 나타내며, vps_layer_id [ i ]의 각 비트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imension_len [0] + dimension_len [1] + ... + dimension_len [num_dimension_minus1]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 ID 정보는 NAL 유닛 헤더에서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i] 는 i 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_layer_id[ i ][ j ] 는 i 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j 번째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표 3의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구문요소에 따라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파악하는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트스트림이 공간 및 화질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고, 화질 스케일러빌러티에 대응하여 베이스 레이어와 이를 참조하는 제1 인핸스먼트 레이어가 존재하고,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에 대응하여 베이스 레이어와 제1 인핸스먼트 레이어가, 제2 인핸스먼트 레이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런 경우, 아래와 같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vps_max_layers_minus1 = 6
num_dimension_minus1 = 1
vps_max_layers_minus1 = 6는 레이어의 최대 개수는 7개임을 나타내고, num_dimension_minus1 = 1는 현재 비트스트림에서 지원하는 디멘전 즉, 스케일러빌러티는 2개임을 의미한다.
dimension_type [0] = 2
dimension_length [0] = 3
첫 번째 dimension_type [0]가 2인 것은 표 4를 참조하면 디멘전 ID 가 dependency ID이므로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가 지원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dimension_length [0] = 3인 것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를 나타내는 디멘전 ID의 길이는 3비트 인 것을 나타낸다.
dimension_type [1] = 3
dimension_length [1] = 3
두 번째 dimension_type [1]가 3인 것은 표 4를 참조하면 디멘전 ID 가 quality ID 이므로 화질 스케일러빌러티가 지원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dimension_length [1] = 3인 것은 화질 스케일러빌러티를 나타내는 디멘전 ID의 길이는 3비트 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비트스트림으로 전송되는 레이어 ID는 dimension_length의 합인 6이 되고, vps_layer_id [i]의 비트수는 6이 된다.
최하위 레이어, 즉 베이스 레이어는 참조하는 레이어가 없기 때문에 vps_layer_id가 시그널링 되지 않을 수 있다.
vps_layer_id [1] = 1 (000001)
num_direct_ref_layers[1 ] = 1
ref_layer_id[ 1 ][ 0 ] = 0
vps_layer_id [1] = 1 은 1 번째 레이어의 vps_layer_id[1]가 1인 것을 나타내고, 이는 비트열 "000001"로 시그널링 된다. "000001" 중 앞의 세 비트(000)는 공간적 디멘전을 나타내는 dependency ID일 수 있고, 뒤의 세 비트(001)는 화질 디멘전을 나타내는 quality ID를 의미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 1 ] = 1는 1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가 1개임을 나타내고, ref_layer_id[ 1 ][ 0 ] = 0는 직접 참조하는 레이어의 ID가 0번째 레이어 임을 나타낸다.
vps_layer_id [2] = 16 (010000)
num_direct_ref_layers[2 ] = 1
ref_layer_id[ 2 ][ 0 ] = 0
vps_layer_id [2] = 16는 2번째 레이어의 vps_layer_id[2]가 16인 것을 나타내고, 이는 비트열 "001000"로 시그널링 된다. "001000" 중 앞의 세 비트(001)는 공간적 디멘전을 나타내는 dependency ID일 수 있고, 뒤의 세 비트(000)는 화질 디멘전을 나타내는 quality ID를 의미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2 ] = 1는 2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는 1인 것을 의미하고, ref_layer_id[ 2 ][ 0 ] = 0는 직접 참조하는 레이어의 ID가 0번째 레이어 임을 나타낸다.
즉, 2 번째 레이어와 1번째 레이어는 동일한 0번째 레이어를 직접적으로 참조한다.
vps_layer_id [3] = 17 (010001)
num_direct_ref_layers[3 ] = 1
ref_layer_id[ 3 ][ 0 ] = 2
vps_layer_id [3] = 17는 3번째 레이어의 vps_layer_id[3]가 17 인 것을 나타내고, 이는 비트열 "001001"로 시그널링 된다. "001001" 중 앞의 세 비트(001)는 공간적 디멘전을 나타내는 dependency ID일 수 있고, 뒤의 세 비트(001)는 화질 디멘전을 나타내는 quality ID를 의미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3 ] = 1는 3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가 1개임을 나타내고, ref_layer_id[ 3 ][ 0 ] = 2는 직접 참조하는 레이어의 ID가 2번째 레이어임을 나타낸다.
vps_layer_id [4] = 32 (100000)
num_direct_ref_layers[4 ] = 1
ref_layer_id[ 4 ][ 0 ] = 2
vps_layer_id [4] = 32 는 4번째 레이어의 vps_layer_id[4]가 32 인 것을 나타내고, 이는 비트열 "010000"로 시그널링 된다. "010000" 중 앞의 세 비트(010)는 공간적 디멘전을 나타내는 dependency ID일 수 있고, 뒤의 세 비트(000)는 화질 디멘전을 나타내는 quality ID를 의미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4 ] = 1는 4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가 1개인 것을 나타내고, ref_layer_id[ 4 ][ 0 ] = 2는 직접 참조하는 레이어의 ID가 2번째 레이어임을 나타낸다.
vps_layer_id [5] = 33 (100001)
num_direct_ref_layers[5 ] = 1
ref_layer_id[ 5 ][ 0 ] = 4
vps_layer_id [5] = 33는 5번째 레이어의 vps_layer_id[5]는 33 인 것을 나타내고, 이는 비트열 "010001"로 시그널링 된다. "010001" 중 앞의 세 비트(010)는 공간적 디멘전을 나타내는 dependency ID일 수 있고, 뒤의 세 비트(000)는 화질 디멘전을 나타내는 quality ID를 의미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5 ] = 1는 5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는 1개 임을 나타내고, ref_layer_id[ 5 ][ 0 ] = 4는 직접 참조하는 레이어의 ID가 4번째 레이어임을 나타낸다.
표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의 확장을 도시하고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vps_extension_byte_alignment_reserved_one_bit은 1이 된다.
num_dimensions_minus1 [ i ]에 1을 더한 값은 각 레이어에서 시그널링 되는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개수를 나타낸다.
dimension_type[ i ] 은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 번째 레이어의 j 번째 스케일러빌러티 디멘전 타입을 나타낸다.
dimension_len[ i ]는 i번째 레이어의 디멘전 ID에 대한 길이, 즉 비트수를 나타내며, dimension_len[ i ]의 값은 1 내지 8의 범위의 값이 될 수 있다.
dimension_len[ i ]는 dimension_id_len 또는 dimension_id_len_minus1 등의 구문 요소로 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vps_layer_id [ i ]는 의존성 정보가 적용되는 i 번째 레이어의 레이어 ID를 나타내며, vps_layer_id [ i ]의 각 비트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imension_len [0] + dimension_len [1] + ... + dimension_len [num_dimension_minus1]
즉, vps_layer_id [ i ]의 비트수는 dimension_len[ i ] 또는 dimension_id_len_minus1에 1을 더한 값, 즉 dimension_len[ i ] 또는 dimension_id_len_minus1에 의하여 특정되는 값의 합의 비트수를 가질 수 있다.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 ID 정보는 NAL 유닛 헤더에서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i] 는 i 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_layer_id[ i ][ j ] 는 i 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j 번째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vps_layer_id [ i ]를 나타내는 비트수가 표 3에서 6비트로 한정되어 있는 것과 달리, 표 5의 vps_layer_id [ i ]는 그 길이가 고정된 비트가 아니다. vps_layer_id [ i ]에 대한 디스크립터는 u(n)으로, 이는 정보 전달을 위하여 정수의 n비트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n은 다른 신택스 값에 의존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레이어를 식별하기 레이어 ID, vps_layer_id [i]의 비트수는 dimension_len[ i ]의 전체 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dimension_len의 합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각 dimension_len [i]은 3비트의 값, 즉 최대 8까지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표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의 확장을 도시하고 있다.
표 6을 참조하면, vps_extension_byte_alignment_reserved_one_bit은 1이 된다.
num_dimensions_minus1 [ i ]에 1을 더한 값은 각 레이어에서 시그널링 되는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개수를 나타낸다.
dimension_type[ i ] 은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 번째 레이어의 j 번째 스케일러빌러티 디멘전 타입을 나타낸다.
dimension_len[ i ]는 i번째 레이어의 디멘전 ID에 대한 길이, 즉 비트수를 나타내며, dimension_len[ i ]의 값은 1 내지 8의 범위의 값이 될 수 있다.
vps_layer_id [ i ]는 의존성 정보가 적용되는 i 번째 레이어의 레이어 ID를 나타내며, vps_layer_id [ i ]의 각 비트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imension_len [0] + dimension_len [1] + ... + dimension_len [num_dimension_minus1]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 ID 정보는 NAL 유닛 헤더에서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num_direct_ref_layers[i] 는 i 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_layer_id[ i ][ j ] 는 i 번째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j 번째 레이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dimension_len [i]에 대한 디스크립터로서 ue(v)가 할당될 수 있다. ue(v)는 지수 골룸 방식을 기반으로 부호화되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정보가 고정 길이 부호화가 아닌 적응적으로 비트 길이를 결정하는 부호화 방식에 따라 코딩되는 것을 나타낸다. 지수 골룸 부호화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지수 골룸 코드에 따라 가변적으로 비트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dimension_len [i]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의 개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dimension_len [i]의 비트수에 따라 vps_layer_id [ i ] 역시 가변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인코딩 장치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는 제1 인코딩부(810), 제2 인코딩부(820) 및 정보 생성부(830)를 포함한다.
제1 인코딩부(810)는 도 1의 비디오 인코딩 장치에서 레이어 0의 인코딩을 위한 인코딩부(135)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인코딩부(820)는 도 1의 비디오 인코딩 장치에서 레이어 1의 인코딩을 위한 인코딩부(105)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인코딩부(810) 및 제2 인코딩부(820)에서는 각 레이어에 대한 영상에 대한 예측, 변환 및 엔트로피 코딩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내용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인코딩 장치의 설명과 대동 소이하므로 생략한다.
인코딩 장치는 두 개의 레이어가 아닌 세 개 이상의 레이어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인코딩부, 제4 인코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생성부(830)는 각 인코딩부(810, 820)에서 레이어가 인코딩될 때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부(830)는 제1 인코딩부(810)에 포함되어 있는 부분적인 구성일 수도 있고, 제2 인코딩부(820)에 포함될 수 있는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또는 정보 생성부(830)는 각 인코딩부(810, 8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생성부(830)는 도 8에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정보 생성부(830)의 물리적인 구조 및 위치는 도 8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 생성부(830)는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 스케일러빌러티 타입을 나타내는 디멘전 타입, 디멘전 ID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디멘전 ID, 레이어 ID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매핑 관계는 소정의 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레이어 ID의 비트수는 디멘전 ID의 길이, 즉 디멘전 ID의 비트수를 합한 값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이어 ID가 6비트 이면, 해당 레이어의 디멘전 ID의 전체 비트수는 6비트가 된다.
또한, 정보 생성부(830)는 해당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 및 참조 레이어를 식별하는 참조 레이어 ID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생성부(830)에서 생성된 정보는 다른 정보와 유사하게 인코딩 과정을 거쳐 비트스트림 형태로 비디오 디코딩 장치로 전송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장치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는 정보 파악부(910), 제1 디코딩부(920) 및 제2 디코딩부(9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파악부(910)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각 디코딩부(920, 930)에서 레이어가 인코딩될 때 레이어 간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파악한다. 정보 파악부(930)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하는 파싱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는 엔트로피 디코딩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파악부(910)는 제1 디코딩부(920)에 포함되어 있는 부분적인 구성일 수도 있고, 제2 디코딩부(930)에 포함될 수 있는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또는 정보 파악부(910)는 각 디코딩부(920, 930)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성 요소로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파악부(910)는 도 9에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정보 파악부(910)의 물리적인 구조 및 위치는 도 9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코딩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정보 파악부(910)에서 파악되는 정보는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 스케일러빌러티 타입을 나타내는 디멘전 타입, 디멘전 ID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디멘전 ID, 레이어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매핑 관계는 소정의 표에 기초하여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정보 파악부(910)는 해당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 및 참조 레이어를 식별하는 참조 레이어 ID에 대한 정보 역시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정보 파악부(910)에서 파악된 레이어 간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는 디코딩부(920, 930)에 전달되고, 디코딩부(920, 930)는 스케일러빌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어 간 예측 및 복원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디코딩부(920)는 도 2의 비디오 디코딩 장치에서 레이어 0의 디코딩을 위한 디코딩부(135)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디코딩부(930)는 도 2의 비디오 디코딩 장치에서 레이어 1의 디코딩을 위한 디코딩부(105)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디코딩부(920) 및 제2 디코딩부(930)에서는 각 레이어의 영상에 대한 엔트로피 디코딩, 역변환 및 예측, 복원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내용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코딩 장치의 설명과 대동 소이하므로 생략한다.
디코딩 장치는 두 개의 레이어가 아닌 세 개 이상의 레이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디코딩부, 제4 디코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의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장치는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 한다(S81001).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는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 스케일러빌러티 타입을 나타내는 디멘전 타입, 디멘전 ID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디멘전 ID, 레이어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멘전 ID는 특정 디멘전 타입이 가질 수 있는 레이어에 대한 인덱스를 의미한다.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매핑 관계는 룩업테이블과 같은 표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레이어 ID의 비트수는 디멘전 ID의 길이, 즉 디멘전 ID의 비트수를 합한 값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이어 ID가 6비트 이면, 해당 레이어의 디멘전 ID의 전체 비트수는 6비트가 된다.
또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는 해당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 및 참조 레이어를 식별하는 참조 레이어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인코딩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 전송한다(S100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정보의 디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코딩 장치는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확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101).
그런 후, 디코딩 장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파싱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러빌러티의 정보를 파악, 즉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유도한다(S1102). 영상 정보에 대한 파싱은 엔트로피 복호화부 또는 별도의 파싱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에 대한 정보는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 스케일러빌러티 타입을 나타내는 디멘전 타입, 디멘전 ID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디멘전 ID, 레이어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멘전 ID는 특정 디멘전 타입이 가질 수 있는 레이어에 대한 인덱스를 의미한다.
디멘전 타입과 디멘전 ID의 매핑 관계는 표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디코딩 장치는 이러한 표를 이용하여 스케일러빌러티를 파악할 수 있다.
레이어 ID의 비트수는 디멘전 ID의 길이, 즉 디멘전 ID의 비트수를 합한 값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이어 ID가 6비트 이면, 해당 레이어의 디멘전 ID의 전체 비트수는 6비트가 된다.
복수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비트스트림에서 레이어 ID와 스케일러빌러티 디멘전 ID(scalability dimension ID)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레이어 ID와 스케일러빌러티 디멘전 ID(scalability dimension ID) 간의 매핑 방법을 알려주는 제1 방법과 레이어 ID의 비트를 분할(partitioning 또는 splicing)하여 할당된 비트에 어떠한 차원 타입이 존재하는지를 알려주는 제2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레이어 ID와 디멘전 ID 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레이어 ID와 디멘전 ID 간의 매핑 방법을 알려주는 제1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디코딩 장치는 디멘전 ID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딩 장치는 디멘전 ID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하여 해당 디멘전에 대한 정보가 전체 레이어 ID 중 몇 비트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고, 해당 비트수에 대응하는 디멘전 ID를 파악하여 레이어 ID와 디멘전 ID를 매핑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view ID의 길이가 3비트이고, dependency ID의 2비트인 경우,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를 나타내는 디멘전 ID는 3비트의 정보로 시그널링 되고,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를 나타내는 디멘전 ID는 2비트의 정보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한편,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splicing)하여 할당된 비트에 어떠한 디멘전 타입이 존재하는 알려주는 제2 방법으로 레이어 ID와 디멘전 ID 을 매핑하는 경우, 디코딩 장치는 레이어 ID를 분할하여 직접적으로 디멘전 ID를 시그널링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멘전 ID는 디코딩 장치로 시그널링 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 ID가 6비트이고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가 지원된다고 가정하자.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와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가 각각 3비트씩 분할하여 레이어 ID를 구성할 수 있다. 레이어 ID가 "001010"인 경우, view ID는 "001"일 수 있고, dependency ID는 "010"으로 파악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방법은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하여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통하여 구분될 수 있다. 제1 방법이 적용될 경우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하여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는 0이고, 제2 방법의 경우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하여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는 1이 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에는 해당 레이어가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레이어의 개수 및 참조 레이어를 식별하는 참조 레이어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트스트림 내 스케일러빌리티 정보를 기술하고, 특히 디멘전 정보와 레이어 정보를 서로 매칭함으로써 레이어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각 실시예의 조합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영상의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식별하는 디멘전 타입 및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파싱하여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러빌러티의 정보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상기 디멘전 타입의 개수,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 레이어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멘전 타입과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는 기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i번째 레이어의 대한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의 합은 상기 i번째 레이어에 대한 상기 레이어 ID의 비트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i번째 레이어의 대한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의 합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멘전 타입은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 (multi view scalability), 깊이 스케일러빌러티 (depth scalability),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spatial scalability) 및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quality scalabilit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상기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가 2인 경우,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는 하나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하여 상기 디멘전 ID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멘전 ID는 상기 플래그 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영상의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레이어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식별하는 디멘전 타입 및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파싱하여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유도하는 정보 파악부와;
상기 스케일러빌러티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의 영상을 복원하는 상위 레이어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파악부는 디멘전 타입의 개수,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 레이어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하여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멘전 타입과 상기 디멘전 타입이 적용되는 레이어를 식별하는 디멘전 ID는 기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i번째 레이어의 대한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의 합은 상기 i번째 레이어에 대한 상기 레이어 ID의 비트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i번째 레이어의 대한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의 합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멘전 타입은 다시점 스케일러빌러티 (multi view scalability), 깊이 스케일러빌러티 (depth scalability), 공간적 스케일러빌러티 (spatial scalability) 및 화질 스케일러빌러티 (quality scalabil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멘전의 타입의 개수가 2인 경우, 상기 디멘전 ID의 길이에 대한 정보는 하나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파악부는 상기 레이어 ID의 비트수를 분할하여 상기 디멘전 ID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디멘전 ID는 상기 플래그 정보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98711P | 2012-09-09 | 2012-09-09 | |
US61/698,711 | 2012-09-09 | ||
US201261700322P | 2012-09-12 | 2012-09-12 | |
US61/700,322 | 2012-09-12 | ||
PCT/KR2013/008120 WO2014038906A1 (ko) | 2012-09-09 | 2013-09-09 |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4752A true KR20150054752A (ko) | 2015-05-20 |
Family
ID=5023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1217A KR20150054752A (ko) | 2012-09-09 | 2013-09-09 |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88976A1 (ko) |
EP (1) | EP2876882A4 (ko) |
JP (1) | JP5993092B2 (ko) |
KR (1) | KR20150054752A (ko) |
CN (1) | CN104620585A (ko) |
WO (1) | WO20140389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05605B2 (en) * | 2012-12-21 | 2020-10-1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ulti-layer video stream encoding and decoding |
KR20140087971A (ko) | 2012-12-26 | 2014-07-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에서 다중참조계층을 적용한 화면간 부/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US9942545B2 (en) * | 2013-01-03 | 2018-04-10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icture buffer size for coded scalable video |
US20160065980A1 (en) * | 2013-04-05 | 2016-03-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stream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a layer identifier expansion and an apparatus thereof, and a video stream decoding method according to a layer identifier expansion and an apparatus thereof |
US10075729B2 (en) * | 2013-07-15 | 2018-09-11 | Qualcomm Incorporated | Signaling of view ID bit depth in parameter sets |
KR102143707B1 (ko) * | 2013-10-11 | 2020-08-11 | 브이아이디 스케일, 인크. | Hevc 확장을 위한 하이 레벨 구문 |
KR20150075041A (ko) | 2013-12-24 | 2015-07-02 | 주식회사 케이티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WO2015125489A1 (en) * | 2014-02-24 | 2015-08-27 | Sharp Kabushiki Kaisha | Restrictions on signaling |
US10708606B2 (en) * | 2014-03-24 | 2020-07-07 | Kt Corporation | Multilayer video signal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
WO2015163267A1 (ja) * | 2014-04-25 | 2015-10-29 | ソニー株式会社 |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
ES2885548T3 (es) * | 2014-08-07 | 2021-12-14 | Sony Group Corp | Dispositivo de transmisión, método de transmisión y dispositivo de recepción |
KR101741212B1 (ko) * | 2015-08-25 | 2017-05-2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3차원 오브젝트의 단면 이미지 송신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송신 장치 |
KR20220154792A (ko) * | 2020-03-17 | 2022-11-22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인코더, 디코더 및 대응하는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443B1 (ko) * | 2005-04-06 | 2009-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레이어간 예측방식를 사용해 엔코딩된 영상신호를디코딩하는 방법 |
US9049449B2 (en) * | 2005-04-13 | 2015-06-02 | Nokia Corporation | Coding of frame number in scalable video coding |
KR20070074451A (ko) * | 2006-01-09 | 2007-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베이스 레이어의 영상신호를 레이어간 예측에 사용하는방법 |
CN101449585A (zh) * | 2006-03-30 | 2009-06-03 | Lg电子株式会社 | 用于解码/编码视频信号的方法和装置 |
JP5011378B2 (ja) * | 2006-05-05 | 2012-08-29 |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 スケーラブルビデオ符号化向け簡略化されたレイヤ間動き予測 |
WO2008129516A2 (en) * | 2007-04-24 | 2008-10-30 | Nokia Corporation | Signaling of multiple decoding times in media files |
KR20080114388A (ko) * | 2007-06-27 | 2008-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케일러블 영상 부호화장치 및 방법과 그 영상 복호화장치및 방법 |
KR100939915B1 (ko) * | 2007-12-18 | 2010-02-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svc 비디오의 일반화된 fgs데이터 추출 장치 및 방법 |
JP5738434B2 (ja) * | 2011-01-14 | 2015-06-24 | ヴィディオ・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改善されたnalユニットヘッダ |
US9591318B2 (en) * | 2011-09-16 | 2017-03-0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ulti-layer encoding and decoding |
KR20130116782A (ko) * | 2012-04-16 | 2013-10-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에서의 계층정보 표현방식 |
-
2013
- 2013-09-09 KR KR1020157001217A patent/KR201500547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9-09 CN CN201380046836.9A patent/CN104620585A/zh active Pending
- 2013-09-09 US US14/421,736 patent/US201502889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9-09 JP JP2015531013A patent/JP599309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9-09 EP EP13835268.7A patent/EP2876882A4/en not_active Ceased
- 2013-09-09 WO PCT/KR2013/008120 patent/WO201403890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38906A1 (ko) | 2014-03-13 |
JP2015531556A (ja) | 2015-11-02 |
US20150288976A1 (en) | 2015-10-08 |
CN104620585A (zh) | 2015-05-13 |
EP2876882A4 (en) | 2016-03-09 |
EP2876882A1 (en) | 2015-05-27 |
JP5993092B2 (ja) | 2016-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099035A1 (en) | Imag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 |
JP5993092B2 (ja) | 映像復号化方法及びそれを利用する装置 | |
JP6527889B2 (ja) | ビットストリーム区分のための適合性パラメータ | |
KR101701119B1 (ko) | 영상의 디코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JP6333942B2 (ja) | ビデオ情報のスケーラブルコード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EP2866440A1 (en) | Imag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 |
WO2014092515A1 (ko) | 비디오 인코딩 방법 및 비디오 디코딩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US10491904B2 (en) | Channel line buffer data packing scheme for video codecs | |
KR20150091043A (ko) |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US9654786B2 (en) | Imag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me | |
WO2014129873A1 (ko) | 스케일러빌러티를 지원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비디오 인코딩 방법 및 비디오 디코딩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WO2013147497A1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 샘플 적응적 오프셋 적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