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35104A -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104A
KR20150035104A KR20130115303A KR20130115303A KR20150035104A KR 20150035104 A KR20150035104 A KR 20150035104A KR 20130115303 A KR20130115303 A KR 20130115303A KR 20130115303 A KR20130115303 A KR 20130115303A KR 20150035104 A KR20150035104 A KR 20150035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image data
eye image
paramet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944B1 (ko
Inventor
신홍섭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입체감 조절 방법은 입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입력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포지티브 뎁쓰와 네가티브 뎁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고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METHOD OF ADJUSTING THREE-DIMENSIONAL EFFECT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이나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에 입체 영상 재현 기술이 적용되어 가정에서도 3D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안경 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꿔서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좌우 시차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기 위한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등의 광학 부품을 표시 화면의 앞에 또는 뒤에 설치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체 영상의 뎁쓰(depth)와 포커스(focus)를 조절할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 값을 뎁쓰에 가산하거나 곱하여 입체감을 조절한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3D 이미지로부터 느낄 수 있는 입체감은 디스패리티(Disparity)로 조절될 수 있다. 디스패리티를 조절하면 뎁쓰(Depth)가 조절된다. 뎁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화면 앞 방향에서 객체의 허상이 맺히는 네가티브 뎁쓰(Negative depth)와, 화면의 뒤로 객체의 화상이 맺히는 포지티브 뎁쓰(Positive depth)으로 나뉘어진다.
도 1에서, 'S'는 화면에 표시되는 동일 객체에 대한 좌안 영상의 픽셀 데이터(이하, "좌안 픽셀(L)"이라 함)와, 우안 영상의 픽셀 데이터(이하, "우안 픽셀(R)"이라 함) 간의 거리로 표현되는 디스패리티(disparity)이다. 시청자는 좌안으로 좌안 픽셀을 보고 우안으로 우안 픽셀을 볼 때 양안 시차로 인하여 입체감을 느낀다. 'D'는 화면과 사용자간 거리, 'l'은 사용자의 양안간 거리(6~7cm)이다. 'd'는 화면과 컨버젼스 포인트(Convergence point) 사이의 뎁쓰 즉, 심도이다. 컨버젼스 포인트(Convergence point)는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의 초점 거리에 위치한다. 시청자는 객체의 허상 위치를 컨버젼스 포인트에 위치로 인지한다. 화면은 시차가 없는 면(zero parallax)이다.
네가티브 뎁쓰는 시청자와 화면 사이에 객체의 허상이 맺히게 한다. 시청자의 좌안과 좌안 픽셀 사이의 광경로(이하, "L 광경로"라 함)와, 시청자의 우안과 우안 픽셀 사이의 광경로(이하, "R 광경로"라 함)가 화면의 앞에서 교차될 때 네가티브 뎁쓰가 구현된다. 따라서, 네가티브 뎁쓰에서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의 위치는 도 3의 좌측 원형 객체와 같다. 도 1과 같은 기하학적 해석에서 볼 때, 네가티브 뎁쓰는 d = (S×D)/(I+S)로 나타낼 수 있다.
포지티브 뎁쓰는 화면 뒤로 객체의 허상이 맺히게 한다. L 광경로와 R 광경로가 화면의 뒤에 위치하는 컨버젼스 포인터에서 만난다. 따라서, 포지티브 뎁쓰에서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의 위치는 도 3의 삼각형 객체와 같다. 도 1과 같은 기하학적 해석에서, 포지티브 뎁쓰는 d = (S×D)/(I-S)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 사각형 객체는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 사이의 디스패리티가 없는 제로 뎁쓰(zero depth) 객체이다. 사각형 객체의 컨버젼스 포인트는 화면 상에 위치한다.
종래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의 거리와 교차 정도 즉, 디스패리티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가 느끼는 입체감을 변화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뎁쓰 유형이나 사용자 입체감 인지 특성과 무관하게 같은 파라미터 값을 가산하거나 곱하기 때문에 입체감을 왜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입체가 조절 방법은 네가티브 뎁쓰(Negative depth), 제로 뎁쓰(zero depth), 및 포지티브 뎁쓰(Positive depth)를 포함하는 3D 이미지의 모든 뎁쓰에 같은 파라미터 값을 가산하거나 곱한다. 제로 뎁쓰는 디스패리티가 제로(zero)이므로 화면 상에 컨버젼스 포인트가 위치하므로 입체감이 없다. 이 방법은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입체감을 다르게 하고 또한, 제로 뎁쓰에 입체감을 부여하여 입체감을 왜곡시킨다.
본 발명은 입체감을 조절할 때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입체감 왜곡을 줄이도록 한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 생성 방법은 입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입력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포지티브 뎁쓰와 네가티브 뎁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고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파라미터와 다르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회로; 및 입력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포지티브 뎁쓰와 네가티브 뎁쓰를 판단하고, 제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고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패널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이미지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와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설정하여 입체감을 조절할 때 입체감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입체감을 구현하기 위한 네가티브 뎁쓰과 포지티브 뎁쓰를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네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에 따라 변하는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뎁쓰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포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에 따라 변하는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뎁쓰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조절 방법의 제어 수순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입체 영상 데이터 포맷의 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포지티브 뎁쓰와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설명에 앞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일부 용어들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패리티(disparity)는 양안 시차를 구현하는 픽셀 데이터들 간의 거리로서, 화면에 표시되는 동일 객체에 대한 좌안 픽셀과 우안 픽셀 간의 거리이다.
본 발명은 좌안에서 보이는 픽셀 데이터와 우안에서 보이는 픽셀 데이터의 시프트(shift) 양으로 디스패리티를 구현한다.
도 4는 네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x축)에 따라 변하는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뎁쓰(y축)이다. 도 5는 포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x축)에 따라 변하는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뎁쓰(y축)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청자가 느끼는 입체감은 디스패리티를 조절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에서 같은 디스패리티 변화에서도 전혀 다르다. 이는 Journal of the SID, 2/2, 1994에 개시된 "Depth perception in stereoscopic displays (저자 Robert Patterson, Steve Becker, G. Scott Boucek, and Ray Phinney) 등에서 소개된 바 있다.
네가티브 뎁쓰는 디스패리티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어느 뎁쓰 값에 수렴하지만, 포지티브 뎁쓰는 디스패리티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 그 결과,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를 같은 양만큼 변화시키면, 포지티브 뎁쓰의 변화양이 네가티브 뎁쓰의 그 것에 비하여 현저히 커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종래의 입체감 조절 방법과 같이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에서 같은 파라미터를 더하거나 곱하면 원본 3D 이미지의 입체감과 대비할 때 입체감이 심하게 왜곡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종래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에 적용되는 파라미터를 입체감이 없는 Disparity = 0(zero)인 화면 상의 객체에도 더하거나 곱하기 때문에 입체감의 왜곡이 더 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도 4 및 도 5와 같은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에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뎁쓰를 조절하는 반면, Disparity = 0(zero)인 화면 상의 객체에 대하여 뎁쓰를 조절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조절 방법의 제어 수순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입체 영상 데이터 포맷의 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3D 이미지를 포함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분리한다(S1 및 S2). 1 프레임 분량의 입체 영상 데이터는 도 7과 같이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7 (a)와 같은 데이터 포맷은 1 프레임 데이터를 좌우로 2 분할하여 좌반부에 좌안 영상 데이터(LEFT)를 할당하고 우반부에 우안 영상 데이터(RIGHT)를 할당한다. 도 7 (b)와 같은 데이터 포맷은 1 프레임 데이터를 상하로 2 분할하여 상반부에 좌안 영상 데이터(LEFT)를 할당하고 하반부에 우안 영상 데이터(RIGHT)를 할당한다. 도 7 (c)와 같은 데이터 포맷은 1 프레임 데이터를 체크 패턴 형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이웃하는 블록들에 좌안 영상 데이터(LEFT)와 우안 영상 데이터(RIGHT)를 할당한다.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S2 단계에서 1 프레임 데이터에서 각각 1/2 프레임 분량의 좌안 영상 데이터(LEFT)와 우안 영상 데이터(RIGHT)를 분리한 후에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보간(interpolation)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계산하여 디스패리티 맵(Disparity map) 이미지를 생성한다.(S3) 디스패리티 맵 이미지에서, 뎁쓰(depth)는 계조로 표현된다. 화면으로부터 시청자 쪽으로 돌출되는 네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가 큰 뎁쓰일수록 높은 계조(또는 화이트 계조)로 표현된다. 반면에, 화면 뒤로 멀어지는 포지티브 뎁쓰에서 디스패리티가 큰 뎁쓰일수록 낮은 계조(또는 블랙 계조)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표시패널 특성에 따라 또는 시청자가 원할 때 입체감을 조절한다. 입체감 조절이 필요할 때,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디스패리티 맵을 분석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의 뎁쓰를 판단하고, 포지티브 뎁쓰에 적용될 제1 파라미터(도 8, a)를 선택하고, 네가티브 뎁쓰에 제2 파라미터(도 8, b)를 선택한다(S4, S5a, S5b). 이어서,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제1 파라미터(a)를 이용하여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고, 제2 파라미터(b)를 이용하여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제로 뎁쓰(zero depth)를 조절하지 않는다.(S6)
이어서,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뎁쓰가 조절된 디스패리티 맵 이미지를 바탕으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하여 표시패널에 표시한다(S7 및 S8)
도 8과 같이, 네가티브 뎁쓰에 비하여 포지티브 뎁쓰에서 작은 디스패리티 변화에도 시청자가 느끼는 입체감이 더 크게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감 조절 방법은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네가티브 뎁쓰에 적용될 제2 파라미터(b)를 포지티브 뎁쓰에 적용될 제1 파라미터(a) 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다.
제1 및 제2 파라미터(a,b)는 시청자의 입체감 인지 특성 실험을 통해 측정된 표시패널 특성에 따라 미리 최적화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파라미터(a,b)는 표시패널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파라미터(a,b)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청자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또는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2D 모드에서 2D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3D 모드에서 3D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상에는 3D 광학 소자가 접합될 수 있다.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편광 안경 방식이나 셔터 안경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3D 광학 소자는 무안경 방식에서 시청자의 좌안을 통해 보이는 서브 픽셀들과 우안을 통해 보이는 서브 픽셀들을 분리하는 광학 소자로서, 패럴랙스 베리어나 렌티큘러 렌즈와 같은 광학 부품일 수 있다. 또한, 3D 광학 소자는 안경 방식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편광 특성을 다르게 변환하는 패턴 리타더나 액티브 리타더일 수 있다. 패럴랙스 베리어와 렌티큘러 렌즈는 액정패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쳐블 베리어(switchable barrier)나 스위쳐블 렌즈(switchable lens)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 출원인은 미국출원 13/077565, 미국출원 13/325272 등을 통해 스위쳐블 베리어와 스위쳐블 렌즈를 제안한 바 있다. 안경 방식은 편광 안경이나 셔터 안경과 같은 3D 안경이 필요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3D 광학 소자와 3D 안경이 생략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 구동부, 입체감 조절 장치(110)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에는 데이터라인들과 스캔라인들(또는 게이트라인들)이 직교되고,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는 2D 모드에서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들에 2D/3D 영상의 데이터전압들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102), 표시패널(100)의 스캔라인들에 스캔펄스(또는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캔 구동회로(104), 및 구동회로들(102, 104)을 제어하는 타이밍 콘트롤러(120)를 포함한다. 이 표시패널 구동부는 입체감 조절 장치(110)에 의해 디스패리티가 가변되는 좌안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시간적으로 또는 공간적으로 분산하여 기입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들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전압을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액정표시소자의 경우에, 데이터 구동회로(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20)의 제어 하에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다. 스캔 구동회로(104)는 타이밍 콘트롤러(120)의 제어 하에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과 동기되는 스캔펄스를 스캔라인들에 공급하고, 그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킨다.
타이밍 콘트롤러(120)는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되는 2D/3D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02)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콘트롤러(120)는 2D/3D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되어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된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메인 클럭 등의 타이밍신호를 수신하고, 그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패널 구동부(102, 10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20)는 입력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높여 표시패널 구동부(102, 103)의 동작 주파수를 N 배 체배된 프레임 레이트로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에서 60Hz이며, PAL(Phase-Alternating Line) 방식에서 50Hz이다.
입체감 조절 장치(110)는 호스트 시스템(200)으로부터 도 7과 같은 포맷의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입체감 조절 장치(110)는 도 6과 같은 제어 수순을 따라 제1 및 제2 파라미터(a, b)를 이용하여 제로 뎁쓰를 제외한 네가티브 뎁쓰와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한다. 입체감 조절 장치(110)에 의해 재구성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는 타이밍 콘트롤러(120)를 통해 데이터 구동회로(102)로 전송한다.
호스트 시스템(200)은 TV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200)은 스케일러(scaler)를 이용하여 2D/3D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는 호스트 시스템(110)은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응답하여 타이밍 콘트롤러에 모드 신호를 전송하여 2D 모드 동작과 3D 모드 동작을 전환할 수 있다.
시청자는 유저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은 유저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되는 입체감 조절량에 맞추어 제1 및 제2 파라미터(a, b)를 조절하여 이미지 조절 장치(110)로 전송한다. 유저 인터페이스(210)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터치 UI(User Interface), 음성 인식 UI, 3D UI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표시패널 110 : 이미지 조절 장치
102 : 데이터 구동회로 104 : 스캔 구동회로
120 : 타이밍 콘트롤러 200 : 호스트 시스템

Claims (6)

  1. 입체 영상 데이터로부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
    입력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포지티브 뎁쓰와 네가티브 뎁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고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파라미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파라미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절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뎁쓰와 상기 네가티브 뎁쓰가 조절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에서 제로 뎁쓰는 조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절 방법.
  4.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회로; 및
    입력 입체 영상 데이터의 포지티브 뎁쓰와 네가티브 뎁쓰를 판단하고, 제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포지티브 뎁쓰를 조절하고 제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네가티브 뎁쓰를 조절하여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와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의 디스패리티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패널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이미지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파라미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1 파라미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뎁쓰와 상기 네가티브 뎁쓰가 조절된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에서 제로 뎁쓰는 조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0130115303A 2013-09-27 2013-09-27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14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303A KR102143944B1 (ko) 2013-09-27 2013-09-27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303A KR102143944B1 (ko) 2013-09-27 2013-09-27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104A true KR20150035104A (ko) 2015-04-06
KR102143944B1 KR102143944B1 (ko) 2020-08-12

Family

ID=5303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303A KR102143944B1 (ko) 2013-09-27 2013-09-27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632A (ko) * 2005-09-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40645A (ko) * 2005-10-12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59380A (ko) * 2007-12-06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영상의 인식 깊이감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10073702A (ko) * 2009-12-24 2011-06-3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3d 입체영상 변환장치 및 변환방법
KR20120133951A (ko) * 2011-06-01 2012-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변환장치 그 깊이정보 조정방법 및 그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632A (ko) * 2005-09-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40645A (ko) * 2005-10-12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59380A (ko) * 2007-12-06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영상의 인식 깊이감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10073702A (ko) * 2009-12-24 2011-06-3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3d 입체영상 변환장치 및 변환방법
KR20120133951A (ko) * 2011-06-01 2012-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변환장치 그 깊이정보 조정방법 및 그 저장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병진 외 2명,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고품질 3D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최대 스크린 시차 제안", 333-336(4 pages), (2011.11.30. 공개)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44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251B1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KR101380517B1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KR10177787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입체 영상 조절 방법
US20110007136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KR102197382B1 (ko) 곡률 가변형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69872B1 (ko) 멀티뷰 영상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1125368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駆動方法、駆動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TW201405483A (zh) 影像資料處理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立體影像顯示裝置
TWI502958B (zh) 立體影像顯示裝置及其方法
US91672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imensional image
WO2011096280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TWI432013B (zh) 立體影像顯示方法及影像時序控制器
KR2013005613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79816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334031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10187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KR102143944B1 (ko) 입체감 조절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798236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휘도 조절 방법
KR102232462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50038954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35914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080611B1 (ko)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75491B1 (ko) 멀티뷰 영상의 크로스토크 저감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6007955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40025782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극성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