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946A - Compact bevarage extract device - Google Patents
Compact bevarage extrac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1946A KR20150031946A KR20130111817A KR20130111817A KR20150031946A KR 20150031946 A KR20150031946 A KR 20150031946A KR 20130111817 A KR20130111817 A KR 20130111817A KR 20130111817 A KR20130111817 A KR 20130111817A KR 20150031946 A KR20150031946 A KR 201500319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beverage
- water tank
- water
- recepta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슐을 이용한 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내장된 펌프와, 펌프로 추출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하되, 끓인 물을 직접 물탱크로 투입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고 하우징의 크기도 소형화함에 따라 캠핑장이나, 야외 여행시에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쉽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a caps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a capsule, which comprises a pump built in a housing and a water tank for supplying extracted water by a pum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in a camping field or an outdoor trip as the size of a housing is reduced, and can be easily extracted by a user.
음료 추출 장치, 특히 분쇄된 커피가 담긴 카트리지에 고온 및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Prior art related to a coffee maker for extracting coffee by spray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onto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particularly a cartridge containing ground coffee,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Patent Registration No. 10-0236856 (filed on October 5, 1999 [Cartridge Extraction Apparatus and Cartridge Holder]) is proposed to provide a cartridge extracting apparatus configured to be compatible with any espresso machine.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There is als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disposable capsule having a capsule centering mechanism,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0-0113447 (published on October 21, 2010)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atent is directe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or other food from a disposable capsule an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coffee or other hot beverage by extracting or dilut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osable capsule.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Fur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1067540 (date of registration September 19, 20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verage]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atent discloses that the beverage precursor liquid may be supplied based on the onset of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beverage cartridge. The lid control mechanism can lock the reservoir lid in place to prevent access to the reservoir and release the lid to allow access to the reservoir in response to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reservoir lid can pneumatically seal the reservoir, for example, causing the reservoir to be hydraulically pressed into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can, for example, block power to the heater In response to detection that the water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based on the opening of the thermal shut-off switch.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Patent Disclosure No. 10-2011-0122702 (November 10, 2011) disclo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hich compri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of the type using a prepackaged container of beverage ingredient .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휴대하기가 어렵고, 특히 캠핑장이나 실외에서 커피나 음료등을 추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difficult to carry,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coffee or beverage can not be extracted from a campsite or outdoo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에 있어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펌프 및 하우징에 결합되는 물탱크,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셉터클를 이용하되 하우징 내부에서 물을 끓이지 않고 끓는 물을 직접 물탱크에 투입함으로서, 하우징을 소형화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하며,A water tank coupled to the pump and the housing incorporated in the housing, and a receptacle coupled to the housing. By injecting boil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without boiling water in the housing, the housing can be miniaturized and easily carried However,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물탱크를 제1 장착부를 통하여 하우징 상부에 노출시켜 끓는 물을 투입하기 용이하게 하고,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boiling water,
하우징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물탱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장착부를 더 구비하고,When the housing is stored, furth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housing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the water tank and to downsize the size of the housing,
하우징에 저수위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음료 추출을 위한 물의 양을 확인하도록 하며, 하우징을 소형화하기 위하여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를 분리형 또는 출몰형으로 구비한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for beverage extraction and having a leg for separating or supporting the housing in order to miniaturize the hous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하우징과,A housing,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펌프와,A pump built into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펌프로 추출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추출체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와 펌프에서 공급되는 추출수의 통과로 발생되는 음료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 water tank coupled 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housing for supplying extracted water to the pump, and a discharge spac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generated through passage of the extracte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And a receptacle,
상기 물탱크는 제1 장착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상부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탈착형 물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water tank is a detachable water tank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mounting portion in an exposed for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펌프 및 하우징과 결합되는 물탱크와 음료를 추출하는 립세터클을 구비하되, 상기 물탱크에 직접 끓은 물을 투입함으로서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휴대하기 용이하게 하여 캠핑장등의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a pump incorporated in the housing, a water tank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lip setter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injecting boiling water directly into the water tank, The size is made small and it is easy to carry,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even outdoors such as a camping ground,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물탱크가 하우징 상부에 노출되도록 제1 장착부를 이용하여 하우징과 물탱크를 결합함으로서 끓는 물을 하우징 내부에 투입하기 용이하게 하며,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housing and the water tank are combined using the first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boiling wate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housing,
하우징을 보관 또는 휴대할 경우에는 그 크기를 소형화 하기 위하여 제2 장착부를 이용하여 물탱크를 하우징에 결합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When the housing is to be stored or carried, the water tank is coupled to the housing by us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n order to miniaturize the housing,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하우징 내부의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저수위 감지센서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의 물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The amount of water inside the housing can be easily grasped through the low-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housing,
하우징을 지지하는 다리를 분리형 또는 출몰형으로 구비하여 하우징을 휴대하거나 이동시키기에 용이하다.
The legs supporting the housing are provided in a detachable or protruding shape to facilitate carrying or moving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리셉터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receptacle on which a cartridge is mounte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된 펌프(20)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고 상기 펌프(20)로 추출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40) 및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고, 추출체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와 펌프(20)에서 공급되는 추출수의 통과로 발생되는 음료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 리셉터클로 이루어져 있다.
1 and 2, a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음료추출을 위한 추출수가 투입되는 투입부(11)와, 상기 투입부(11)에 구비되어 물탱크(40)가 결합하는 제1 결합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7)는 하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에는 상기 투입부(11)를 통하여 투입되는 추출수를 고압으로 배출하는 펌프(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펌프(20)는 펌프(20)로 투입되는 고온의 물을 상기 리셉터클로 배출시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리셉터클이 투입되는 음료 추출부(16)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음료 추출부(16)에 구비되는 리셉터클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urther, the
근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그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제조사가 많은 종류의 카트리지를 출시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제조사별로 카트리지의 크기 또는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 가능한 복수개의 리셉터클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수많은 카트리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Recently, many kinds of cartridges have been introduced by many manufacturers due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various kinds of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ccordingly, the size or shape of the cartridges is formed by various manufacturers,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that can use a large number of cartridges even if a plurality of receptacles are availab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에 다양한 크기의 카트리지 즉,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110)을 도입하여 상술한 리셉터클들의 교체를 통해 이종(異種)의 다양한 카트리지에서 음료 추출을 행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리셉터클을 이용하여 이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한계를 극복하여 모든 종류의 카트리지를 하나의 음료 추출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110 capable of fixing both cartridges of various sizes, that is,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is introduced into the receptacle, so that,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receptacles described above, And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by using one receptacle can overcome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so that all types of cartridges can be used as on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정수단(110)은 카트리지(C)를 가압하여 본체(30')의 끼움부(30A)에 고정시키는 가압부(111)와, 상기 가압부(111)가 상기 카트리지(C)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가압부(111)는 상기 본체(30')의 끼움부(30A)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1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끼움부(30A) 중앙 방향을 향하여 카트리지(C)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고정수단(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만이 아니라, 본체(30') 내부에 가압부(111)가 구비되고, 본체(30') 내벽과 상기 가압부(111) 사이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가압부(111)가 본체(30') 내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직경이 다른 이종의 카트리지를 본체(30')의 끼움부(30A)에 각각 삽입하여 장착할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카트리지(C)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3 to 5 but also includes a
다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11)는 본체(30')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C)가 끼움부(30A)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111)가 본체(30')의 내벽과 소정 간격 내측방향으로 이격하여 구비되고,3 to 5, since the
이후 카트리지(C)가 끼움부(30A)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111)는 카트리지(C)의 직경에 맞춰 본체(30')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카트리지(C)가 삽입되고,Thereafter, when the cartridge C is inserted into the
삽입이 완료되면 가압부(111)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카트리지(C)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이때 카트리지(C)의 크기, 즉 직경이 본체(30')의 끼움부(30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본체(30') 끼움부(30A)의 직경보다 다소 작을 때에는 끼움부(30A)에 내장되는 고정수단(110)을 통해 카트리지(C)의 고정이 용이하나,
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cartridge C, that is, the diameter thereof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10)의 가압부(111)를 상기 카트리지(C) 또는 상기 수용체(31)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112)으로 구성되도록 하고,3 to 5, the
상기 고정수단(110)의 탄성부(114)를 상기 가압편(112)과 각각 연결되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탄성편(115) 및 상기 탄성편(115)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편(115) 각각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The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를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위치에 본체(30')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So that the cartridge C or the
한 쌍의 가압편(112)과 탄성편(115)으로 구성되는 고정수단(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15)의 힌지 결합부(115A)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스윙되고(즉, 흡사 가위와 같이)3 to 5, the fixing means 110 constituted by the pair of
따라서 탄성편(115)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116)가 탄성편(115)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므로,Accordingly, the
가압편(112)은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가 본체(30')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가압편(112)이 본체(30') 내측 방향으로 스윙된 상태가 되고(즉, 가압편(112)의 말단부가 서로 근접하여 이동한 상태)The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를 본체(30')에 장착하게 되면 가압편(112)이 벌어지면서 탄성체(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를 가압하여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artridge C or th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C)의 직경과 본체(30')의 끼움부(30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비슷할 경우(즉, 별도의 수용체(31)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종래 커피 메이커를 사용할 때와 같이, 카트리지(C)만을 본체(30')의 끼움부(30A)에 삽입하여 음료 추출을 행하고,(이때 수용체(31)들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diameter of the cartridge C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카트리지(C)를 사용할 경우 각 카트리지(C)에 맞는 수용체(31)를 선택하여 카트리지(C)를 수용체(31)의 끼움부(30A)에 끼운 후 수용체(31)를 리셉터클(30)에 장착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cartridge C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used as compared with the main body 30 ',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상기 탄성체(116)는 공지의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등으로 활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유사 'ㄷ'자 형상의 핀스프링을 활용하여 고정수단(110)을 통한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rtridge (C) or a receptor (31) through a fixing means (110) by utilizing a pin spring of a similar '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
상기 핀스프링 형태의 탄성체(116)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연결부(116a)와, 상기 탄성연결부 양측 말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절곡된 탄성절곡부(116b) 및 이 탄성절곡부의 말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압편(112)에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결합부(116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5, the pin-spring-shaped
상기 탄성편(115) 및 상기 가압편(112)은 상기 탄성체(116)의 탄성절곡부와 탄성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2a)이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탄성체(116)는 탄성절곡부가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탄성편(115)들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힌지결합부(115A)를 축으로 가압편(112)이 내측방향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elastic bending portion exerts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the elastic b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0')는 상기 탄성편(115)들이 내장되는 수용공간(39C)을 갖는 손잡이(39)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분리수단으로써의 가압부(111)재와 함께 탄성편(115)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30 'of the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110)의 가압편(112) 말단부에 고정돌기(113)를 도입하여 수용체(31)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였다.4 and 5, the fixing
즉 도 3과 같이,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 본체(30')에 직접 끼워 사용할 경우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하므로 가압편(112)의 가압만으로 전후좌우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나,3, when the cartridge C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0 'of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1)의 직경이 본체(30')의 직경이 다를 경우(특히 도 5와 같이, 수용체의 직경이 많이 작을 경우)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diameter of the
상기 수용체(31)와 상기 본체(30')의 내벽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될 수밖에 없고,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가압편(112)이 수용체(31)의 양쪽 외측면을 가압하면, 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였을 때, 수용체(31)가 본체(30')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나, 가압편(112)의 가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수용체(31)가 전후 유동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air of
따라서 본 발명은 가압편(112)의 말단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13)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31)들 각각에 상기 고정돌기(113)가 삽입될 수 있은 대응삽입홈(31B)을 구비하여 고정돌기(113)에 의하여 수용체(31)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상기 고정돌기(113)는 후술하는 카트리지(C) 분리수단으로 활용되며, 이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fixing
이어서 본 발명의 리셉터클(30)은 본체(3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받침부재(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상기 받침부재(131)는 상기 음료 추출이 행해진 후 카트리지(C)로부터 배출되는 음료를 리셉터클(30) 저면에 구비된 배출공?(미도시)으로 안내하여 음료가 음료 추출부(16)의 배출노즐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기능을 갖는다.The
상기 받침부재(131)는 접시형상으로 중앙에 음료 안내공(13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벽에서 안내공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The receiv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30)은 상기 본체(30') 또는 상기 수용체(31)의 끼움부(30A)에서 상기 카트리지(C)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탄성편(115)과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3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111)재(121)로 구성된다.The separating means comprises a
상기 가압부(111)재(121)는 회동결합부(123)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30')의 손잡이(39)에 힌지축(123a)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스윙 회동을 하도록 형성된다.The pressing
상기 가압부(111)재(121)는 도 3의 일점쇄선 원내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115)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15A)에 구비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연동돌기(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압부(111)재에 의하여 탄성편(115) 및 가압편(112)이 연동하여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As shown i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n the one-dot chain line of Fig. 3, the
따라서 상기 가압부(111)재(121)를 가압할 경우 상기 가압부(111)재(121)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탄성편(115) 역시 하강 스윙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탄성편(115)의 스윙에 의하여 상기 가압편(112)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되어 승강 스윙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13)가 상기 본체(30')의 측벽상부 또는 상기 수용체(31)의 플렌지에 얹어진 카트리지(C)의 플렌지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카트리지(C)를 본체(30') 또는 수용체(3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When the
상기 가압부(111)재(121)는 리셉터클 본체의 측벽상부 일부를 형성하는 측벽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저면에는 가압 후 복귀를 위한 코일스프링(124)이 결합되는 결합부(1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39)에는 코일스프링 안치부(38b)가 형성되어 있다.And an engaging
또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압부(111)재(121)가 하강 스윙되었을 때 하측으로 돌출된 연동돌기(126)에 의하여 스윙 운동이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돌기홈(39c)가 구비된다.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또 상기 수용체(31)의 플렌지(31a)는 상기 가압부(111)재(121)에 의한 가압편(112)의 승강을 위하여 대응삽입홈(31B)을 기준으로 전, 후의 두께가 달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는 캠핑장이나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료추출장치로서, 하우징(10) 내에서 직접 물을 끓여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끓이고, 그 끓는 물을 상기 투입부(11)를 통해 펌프(20)로 주입하는 방식으로서, 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물탱크(40)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40)는 제1 장착부(41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 상부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탈착형 물탱크(40)로 이루어져 있다.The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a camping field or outdoors. Th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does not directly extract water from the
보다 상세하게는 도1,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입부(11)에는 제1 결합부(17)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40)에는 상기 제1 결합부(17)와 대응결합하는 제1 장착부(411)가 구비되게 된다.1, 2 and 7, a charging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탱크(40)는 끓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451)가 구비되고, 수용되는 물이 상기 투입부(11)로 배출되는 배출부(4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투입부(11)와 상기 배출부(415)가 결합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배출부(41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1 장착부(411)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장착부(411)와 대응결합하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17)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장착부(411)와 제1 결합부(17)의 결합으로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어, 끓는 물을 보다 손쉽게 투입부(11)로 넣을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나아가 상기 물탱크(40)는 제2 장착부(413)를 통하여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투입부(11) 외측면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18)가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4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결합부(18)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2 장착부(413)가 구비되어 있다.6, the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투입부(11) 내부에 삽입되도록 투입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제1 다단부(41)와 상기 투입부(11)를 내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다단부(41)부터 직경이 커지는 제2 다단부(43) 및 상기 하우징(10)을 내삽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다단부(43)보다 직경이 커지는 제3 다단부(45)로 이루어져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40)를 뒤집어 하우징(10)을 덮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다단부(43)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장착부(413)가 상기 투입부(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결합부(18)와 결합함으로서 보관, 또는 이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소형화를 이루었기에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나아가 도 7은 제2 장착부(453)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장착부(453)는 상기 제2 다단부(43)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3 다단부(45)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결합부(18′)는 상기 제2 장착부(453)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0)와 하우징(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2 결합부(18′) 및 제2 장착부(453)의 위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를 모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mounting
다시 상기 하우징(10)에는 저수위 감지센서(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리셉터클의 배출구를 지지면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사용 시 장착되는 분리형 또는 출몰형 다리(15)를 더 구비하고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는 저수위 감지센서(1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하우징(10)내의 펌프(20)에 끓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끓는 물이 일정량이 투입되어야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장치에 있어서, 물이 부족할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끓는물을 다시 물탱크(40)를 통하여 물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저수위 감지센서(13)는 음성, 신호, 화면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the
나아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하여 음료를 담는 컵, 용기등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을 지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다리(15)가 구비되게 된다.In order to extract a beverage, the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는 캠핑장, 혹은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15)는 사용시에 장착되는 분리형 다리(15)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시에 하우징(10)을 지지하고, 이동시에는 하우징(10)에 숨어있는 출몰형 다리(1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출몰형이라 함은 도면에 도시한 절첩형 다리(15)를 포함하여 슬라이딩방식처럼 이동시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나 사용시에만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다리(15)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도 6은 이 중 절첩형 다리(15)를 도시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리(15)는 제1 다리부(15A)와 제2 다리부(15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다리부(15A)의 일측은 하우징(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다리부(15A)의 타측은 제2 다리부(15B)와 힌지결합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pact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move and carry for camping field or outdoor use. Th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다리부(15A)와 하우징(10) 역시 힌지 결합을 하여 이동시 상기 다리(15)가 하우징(10)에 밀착됨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이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리(15)는 종래의 다양한 분리형 또는 출몰형 다리(15)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하우징 11 : 투입부 13 : 저수위 감지센서
15 : 다리 15A : 제1 다리부 15B : 제2 다리부
16 : 음료 추출부 17 : 제1 결합부 18,18′: 제2 결합부
20 : 펌프 30 : 리셉터클 30' : 본체
31 : 수용체 31A : 끼움부 33: 제1분리부재
33A : 제1작동부 33B : 제1연동부 33C : 승강축
33D : 제1분리부 34 : 분리홀 35 : 축설부
37 : 제2분리부재 37A : 제2분리부 37B : 제2작동부
38 : 제3분리부재 38A : 제3분리부 38B : 제3분리부
40 : 물탱크 41 : 제1 다단부 411 : 제1 장착부
413,453 : 제2 장착부 415 : 배출부
43 : 제2 다단부 45 : 제3 다단부 451 : 수용부
110 : 고정수단 111 : 가압부 112 : 가압편
113 : 고정돌기 114 : 탄성부 115 : 탄성편
116 : 탄성체 120 : 분리수단 121 : 가압부재
122 : 측벽부 124 : 코일스프링 126 : 연동돌기
131 : 받침판10: housing 11: input part 13: low water level sensor
15:
16: Beverage extracting part 17:
20: Pump 30: Receptacle 30 ': Body
31:
33A: first operating portion 33B: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C: elevating shaft
33D: first separator 34: separation hole 35:
37: second separating member 37A: second separating portion 37B: second operating portion
38: third separation member 38A: third separation unit 38B: third separation unit
40: water tank 41: first multi-end portion 411: first mounting portion
413, 453: second mounting portion 415:
43: second multi-end portion 45: third multi-end portion 451:
110: fixing means 111: pressing portion 112: pressing piece
113: fixing protrusion 114: elastic portion 115: elastic piece
116: elastic body 120: separating means 121: pressing member
122: side wall portion 124: coil spring 126: cooperating projection
131:
Claims (4)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펌프;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펌프로 추출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추출체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와 펌프에서 공급되는 추출수의 통과로 발생되는 음료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 리셉터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housing:
A pump built into the housing;
A water tank coupled to the housing for supplying extracted water to the pump; And
A receptacle coupled to the housing, the receptacle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extractor is house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generated by passage of the extracte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Wherein the compact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es:
상기 물탱크는 제1장착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상부에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탈착형 물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is a detachable water tank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mounting portion in an exposed form.
상기 물탱크는 제2장착부를 통하여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water tank is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throug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상기 하우징에는 저수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리셉터클의 배출구를 지지면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사용지 장착되는 분리형 또는 출몰형 다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음료 추출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low water level sensor,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or protruding leg that is mounted on a support for separating the outlet of the receptacle from the support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817A KR20150031946A (en) | 2013-09-17 | 2013-09-17 | Compact bevarage extrac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1817A KR20150031946A (en) | 2013-09-17 | 2013-09-17 | Compact bevarage extract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946A true KR20150031946A (en) | 2015-03-25 |
Family
ID=5302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1817A KR20150031946A (en) | 2013-09-17 | 2013-09-17 | Compact bevarage extrac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194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8336B1 (en) * | 2021-06-16 | 2022-02-08 | 최성구 | Portable coffee extraction assembly |
-
2013
- 2013-09-17 KR KR20130111817A patent/KR20150031946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8336B1 (en) * | 2021-06-16 | 2022-02-08 | 최성구 | Portable coffee extraction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37117B1 (en) | Espresso coffee machine | |
RU2471398C2 (en) | Brewing unit for preparing beverages | |
KR102637466B1 (en) | Dispensing group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with filter holder inserted from the front | |
RU2488333C2 (en) | Cooking chamber and cooking machine with one such cooking chamber | |
KR101572956B1 (en) |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 |
JP2017140415A (en) | Beverage machine with cover for ingredient inlet | |
US20150040772A1 (en) | Beverage brewing apparatus with a filter carrier receiver | |
US10455975B2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WO2011111287A1 (en) | Coffee maker | |
US9585510B1 (en) | Hot water dispenser adapter device | |
KR20150031946A (en) | Compact bevarage extract device | |
RU2642332C2 (en) | Device for producing beverage with two-position water container | |
KR20090051216A (en) | Beverage maker comprising a pad holde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brew chamber top portion through a bayonet connection | |
US10455971B2 (en) |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coffee | |
JP6544014B2 (en) | Beverage extractor | |
CN209644689U (en) | A kind of air pump booster-type capsule coffee machine | |
KR101600563B1 (en)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ed with receptacle storage | |
WO2007132318A2 (en) | Coffee machine | |
KR101419889B1 (en) |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 |
KR20120124210A (en) |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 |
JP2004141236A (en) | Dripper for coffee or tea | |
JP2014042664A (en) | Beverage extractor | |
JP2014042667A (en) | Beverage extr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