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4714A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714A
KR20150004714A KR1020130078094A KR20130078094A KR20150004714A KR 20150004714 A KR20150004714 A KR 20150004714A KR 1020130078094 A KR1020130078094 A KR 1020130078094A KR 20130078094 A KR20130078094 A KR 20130078094A KR 20150004714 A KR20150004714 A KR 2015000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panel
input device
tacti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치현
허창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714A/ko
Priority to US14/324,007 priority patent/US9471187B2/en
Publication of KR2015000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입력키들의 위치에서 가변되는 텍타일 부재; 및 상기 텍타일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접촉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로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출력부 및 상기 입력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접촉되는 입력키의 위치로 가변되는 텍타일 부재; 및 상기 텍타일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접촉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본 개시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 특히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또는 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과 같은 금융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었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통상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휴대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아울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의 출력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는 자판을 대체하면서 입력도 함께 구현 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되면서도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게 되었다.
한편,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의 기능을 확장함에 있어, 다양한 부가 장치들이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배터리 팩을 충전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 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거치대 등과 같은 간단한 구조의 부가 장치에서부터, 휴대 단말기를 장착하여 외부의 오디오 기기나 영상 기기로 연결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과 같은 기기들이 제공된다. 휴대 단말기와 도킹되는 오디오의 경우, CD(compact disk)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오디오 기기용 저장 매체와 비교할 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자유롭게 원하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향 기기의 기능이 탑재된 도킹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형태의 부가 장치로는 휴대 단말기에 별도로 제공되는 입력 장치, 구체적으로 자판을 확장, 추가하는 입력 장치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의 경우, 가정용 또는 사무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간단한 업무나 웹서핑 등이 가능하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 등과 비교할 때, 이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의 경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동 중에도 사용자가 필요로 한다면, 어디에서건 입력장치를 통해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실질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와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별도의 입력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결합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입력장치에 소정 각도로 거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에,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이므로, 스타일러스 펜이나 전자 펜과 같은 입력부재를 통한 터치스크린으로 입력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터치스크린과 전자 펜을 쥐고 있는 손과의 입력 각도가 맞지 않게됨으로써, 전자 펜을 통한 입력을 구현하려면 입력장치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를 분리하여 바닥에 놓은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해서 입력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중량과 무게 균형을 맞추어 주어야 한다. 이에, 입력장치에는 금속부재나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재질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입력을 구현하기 위한 재질 이외의 불필요한 재질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재료비가 증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입력장치 특히 휴대 단말기에 입력을 구현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서, 입력키들을 통한 입력 구현뿐만 아니라 전자 펜과 같은 입력부재를 이용하여 입력을 구현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장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입력키들의 위치에서 가변되는 텍타일 부재; 및 상기 텍타일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접촉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로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출력부 및 상기 입력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접촉되는 입력키의 위치로 가변되는 텍타일 부재; 및 상기 텍타일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접촉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입력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에 입력키들을 통한 입력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나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전자 펜과 같은 입력부재를 통한 입력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 입력장치가 키보드 자판과 같은 입력모드와, 입력부재를 통한 입력모드로 전환될 수 있어 입력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와의 무게 균형을 위해 불필요하게 제공되는 금속 물질을 제거하여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입력장치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개시된 휴대 단말기에서 입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입력장치에서 텍타일 플레이트가 평평한 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개시된 입력장치에서 텍타일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텍타일 플레이트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에 개시된 입력장치에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감지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가 입력장치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와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구성에 따라 장치가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입력장치의 입력 모드에 따른 텍타일 부재, 접촉감지층 및 전자 종이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입력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길이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개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입력장치(200)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개시된 휴대 단말기에서 입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하고, 본체(110)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이나 구조 등에 따라 통신모듈, 멀티미디어 모듈, 카메라 모듈, 음향 모듈, 센서모듈 등등 다양한 모듈들이 구비된다. 본 개시의 휴대 단말기(100)는 테블릿 PC나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10)를 일컫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으로 대형화된 입출력부(120)와, 입출력부(120)로 접촉에 따른 입력을 실행하는 입력부재(140)(140, 후술하나 입력장치(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음.), 센서모듈(미도시)이나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70) 등을 포함함은 물론 본체(110)의 전, 후로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 전원, 음량, 특수 기능을 가지는 버튼 모듈, 외부 기기와 연결할 있는 커넥터 모듈 등이 제공되고, 송,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이다(상기에서 나열된 구성들은 도시되지 않았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체(110)에는 입출력부(120)와, 입력부재(140)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위한 모듈이나 센서모듈 등과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20)는 본체(110)의 전면에 제공되어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른 입력 구현에 따라 화면으로 출력을 구현하는 모듈이다. 즉, 입출력부(120)는 입력과 입력에 따른 출력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10)를 일컬으며, 입출력부(120)는 표시패널(121) 및 터치스크린(122)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21)은 LCD(Li'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odes)등과 패널이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 구현되는 각종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터치스크린(122)은 손이나 후술하는 전자 펜과 같은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40)은 정전용량방식과 전자기공명 방식, 저항막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122)이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는 구성이다.
본체(1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입력장치(200)와 연결되는 연결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본체(110)의 일측에는 포고핀이나 접속단자와 같은 연결장치(130) 구비하여 입력장치(200)에 거치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0)와 입력장치(200)의 연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본체(110)와 입력장치(200)가 무선으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 장치(미도시) 등을 통해 거치 가능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구비되는 등 휴대 단말기(100)를 입력장치(200)에 거치 가능하게 하면서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구성은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말기(100)의 일측이 후술하는 입력장치(200)에 연결되어 거치되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통해 단말기(100)로의 입력을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즉, 구체적인 입력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나, 입력장치(200)가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는 경우는 입력키(201) 들이 돌출된 입력장치(200)에 의해 다양한 입력키(201) 들을 접촉하여 단말기(100)로 입력을 구현하게 되며,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는 경우, 평평한 입력장치(200)에 입력부재(140)를 통한 접촉이나 근접에 따라 단말기(100)로 다양한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터치스크린(122)에 입력부재(140)를 접촉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는 입력장치(200)에 입력부재(140)를 통해서 터치스크린(122)에 접촉이 발생되는 것과 같이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게 제공되며, 키보드와 같은 입력키(201)들을 통한 휴대 단말기(100)로의 입력 및 전자 펜과 같은 입력부재(140)를 통한 휴대 단말기(100)로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입력장치(200)는 텍타일 부재(210), 접촉감지층(220) 및 표시층(230)을 포함한다. 텍타일 부재(210)는 입력키(201)들의 위치에서 가변되게 제공되는 구성이며, 접촉감지층(220)은 텍타일 부재(210)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구성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입력장치에서 텍타일 플레이트가 평평한 상태에서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개시된 입력장치에서 텍타일 플레이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서 텍타일 플레이트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텍타일 부재(210)는 텍타일 플레이트(212)와 구동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입력장치(200)의 상측, 구체적으로 접촉감지층(220)의 상측에 제공되고, 후술하는 구동부(250)의 구동 여부에 따라 평면 상태를 유지하거나 입력키(201)들에 상응하는 부분이 돌출되는 구성이다.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평면한 상태에서 입력키(201)들의 위치로 돌출되도록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텍타일 플레이트(212)에는 입력키(201)들의 위치로 미세한 구멍(212a)이 나 있는 판이 제공되어, 판의 구멍(212a)에서 올라오는 유체(213) 또는 기체에 의해 입력키(201)들이 제공되는 부분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후술하는 표시층(23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250)는 접촉감지층(220)의 하측에 제공되고, 하우징(211)과, 유체(213)(또는 기체)와 구동부재(214)를 포함한다. 하우징(211)에는 유체(213), 구체적으로 미세 유체 소자(microfluid) 및 구동부재(214),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모터(micro motor)가 제공된다. 구동부재(214),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미세 유체(213) 소자가 텍타일 플레이트(212)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입력키(201)들의 위치가 미세 유체 소자의 유압에 따라 돌출되게 가변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211)에는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단자 등을 구비한 거치 홈(270, 도9 참조)이 구비된다. 본 개시에서 하우징(211)에 거치 홈(270, 도 9 참조)을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 및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서도 언급하였으나, 입력장치(200)와 단말기(100)를 거치 및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나 구성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4에 개시된 입력장치에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감지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촉감지층(220)은 적어도 두 개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손과 같은 접촉에 따른 전하의 발생을 감지하는 터치패널(후술하는 제1터치패널(221)에 해당됨)과, 전자 펜과 같이 별도의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후술하는 제2터치패널(222)에 해당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접촉감지층(220)은 정전용량 방식의 제1터치패널(221)과, EMR 방식의 제2터치패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터치패널(221)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서, 표시패널(121)의 하면으로 적층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터치패널(221)은 ITO 패널과 같이,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산화 인듐 주석)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이다. 이러한 제1터치패널(221)은 물체의 접촉이 발생되면, 제1터치패널(221)의 접촉되는 위치로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접촉위치로 이동한다. 제1터치패널(221)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터치패널(221)은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손에 의한 접촉을 감지하거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부재(140)를 통한 접촉을 모두 감지한다. 또한, 상기의 제1터치패널(221)은 후술하는 키보드 모드(M1) 시에 활성화되는 구성이다. 이에 입력장치(200)에서 키보드 모드(M1)로 설정되는 경우, 제1터치패널(221)이 활성화되게 구비된다.
제2터치패널(222)은 제1터치패널(221)의 하면으로 적층되며 후술하는 입력부재(140)와 연동되어,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이다. 제2터치패널(222)은 전자기 공명(Electro Magnetic Resonance: EMR) 방식 터치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터치패널(222)에는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별도의 입력부재(140)가 제공된다. 즉, 제2터치패널(222)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입력부재(140)가 위치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입력부재(140)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입력부재(140)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터치패널(222)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입력부재(140)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되는 것이다. 상기의 제2터치패널(222)은 후술하는 입력부재 모드(M2) 시에 활성화되는 구성이다. 즉, 입력부재(140)를 통해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활성화되는 구성이므로, 입력장치(200)에서 입력부재 모드(M2)로 설정되는 경우, 제2터치패널(222)이 활성화되게 구비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재(140, 도 1 및 2 참조)는 편의상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재(140)는 전자 펜 등과 같은 모듈로서, 휴대 단말기(100)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입력부재(140)는 본체(110)가 아니라 입력장치(200)에 탈, 부착되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입력부재(140)는 입력장치(200)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입력장치(200) 이외에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재(140)가 휴대 단말기(100)나 입력장치(200) 이외에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 입력부재(140)의 사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모듈을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시하진 않았으나,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부재(140)의 사용 설정을 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모듈에 의해 입력부재(140)의 사용 유무를 감지하여, 입력장치(200)는 입력 모드, 구체적으로 키보드 모드(M1),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전환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부재(140)는 휴대 단말기(100) 본체(110)에 구비되는 장착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실장된다. 또한, 장착부(111)에는 입력부재(140)의 탈, 부착을 감지하는 감지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센서나 또는 온/오프 스위치와 같이, 입력부재(140)의 착, 탈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감지부(150)는 온/오프의 스위치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삽입되면, 스위치가 눌려 온됨으로써,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구비된 상태로 설정되며,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서 이탈되면, 스위치가 오프됨으로써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이탈된 상태로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나,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입력부재(140)의 착, 탈 여부에 따라 제어부(170)가 입력장치(200)의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이다.
표시층(230)은 접촉감지층(220)의 하부에 제공되고, 텍타일 부재(210)의 구동에 따라 입력키(201)들이 돌출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입력키(201)들에 해당되는 키 값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즉,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되는 경우, 표시층(230)도 활성화되어 입력키(201)들에 할당되는 키 값들이 표시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표시층(230)은 전자 종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표시층(230)은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엘씨디 디스플레이등과 같이 입력키(201)들의 위치에 키 값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그 재질이나 구성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층(230)은 후술하는 키보드 모드(M1) 시에만 표시될 수 있으면 되므로, 키보드 모드(M1) 시에만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가 입력장치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입력장치(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하게 구비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정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도 9의 (a)참조),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통해 입력을 구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키보드 모드(M1)나 입력부재 모드(M2)로 실행되는 입력장치(200)로 입력에 따라 본체(110)의 표시패널로 입력장치(200)에 제공되는 입력에 따른 출력이 제공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에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연결되는 경우(도 9의 (b)참조), 거치나, 동영상 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의 이용, 또는 상대방에게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 중에서 거치나 멀티미디어 기능의 이용을 위해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입력장치(200)의 구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때는 입력장치(200)를 비활성화되게 제어하고, 입출력부(120)를 활성화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얼마든지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예 중에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용도로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역방향으로 거치되는 경우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을 통해 입력장치(200)를 활성화되게 제어하고, 입출력부(120),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122)을 비 활성화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와 입력장치에 제공되는 구성에 따라 장치가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의 착탈 유무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구동 여부, 입출력부(120)의 구동여부 등을 제어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연결되면,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입력장치(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입력의 구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70)는 본체(110)의 입출력부(120)를 통한 입출력 구현을 할 수 있게 제어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연결되면, 상술한 표시패널(121)만 온(on)되게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22)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입출력부(120),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122)을 통한 입력은 구현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입력장치(200)의 접촉감지층(220)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접촉감지층(2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에 따라 제어되는 구성들이 달라지게 된다.
즉, 입력장치(200)에 구비되는 설정에 따라, 예를 들어 후술하나 입력부재(140)의 착, 탈 유무, 또는 스위치부(250)의 온/오프, 또는 근접센서(260)와 감지부(150)의 감지에 따라 접촉감지층(220)의 구성들을 제어하여 키보드 모드(M1)(접촉감지층(220)에 제공된 텍타일 부재(21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제1터치패널(221)을 활성화시킴; 키보드 모드(M1)의 설명 시 구체적으로 설명함.)와 입력부재 모드(M2)(제2터치패널(222)을 활성화시킴; 입력부재 모드(M2) 설명 시 구체적으로 설명함.)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입력장치의 입력 모드에 따른 텍타일 부재, 접촉감지층 및 전자 종이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입력장치(200)는 두 가지 입력모드, 구체적으로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입력장치(200)가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되면 키보드 모드(M1) 또는 입력부재 모드(M2)를 통해 두 가지 방식으로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키보드 모드(M1)의 경우,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되어 입력키(201)들의 위치로 텍타일 부재(210)가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의 제1터치패널(221)이 활성화되는 상태이다. 또한, 입력부재(140)에 의한 입력은 구현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는 상태이다. 이에, 키보드 모드(M1)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키(201)들에 상응되는 입력키(201)를 누르면,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키 눌림의 촉감을 제공함은 물론 접촉되는 입력키(201) 부분의 제1터치패널(221)의 입력 신호에 의해 입력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입력부재 모드(M2)의 경우, 제2터치패널(222)이 활성화되고, 상기의 텍타일 부재(210)나 제1터치패널(221)은 비 활성화된다. 즉, 전자 펜과 같은 입력부재(140)를 통한 입력을 구현하도록 입력부재(140)의 접촉이나 근접을 감지하는 제2터치패널(222)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상기의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를 전환할 수 있게 본 개시에서는 세 가지 실시예들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도 1 참조). 첫 번째 실시예로 입력부재(140)의 착, 탈 여부에 따라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를 전환할 수 있다(도 1의 Ⅰ). 두 번째 실시예로 입력장치(200)에 제1터치패널(221) 또는 제2터치패널(222)의 활성 여부를 설정하는 스위치부(250)가 제공되고, 스위치부(250)의 온/오프에 따라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를 전환할 수 있다(도1의 Ⅱ). 세 번째 실시예로 입력장치(200)로의 손과 같은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260)와, 입력부재(140)의 착탈을 감지하는 감지부(150)를 구비하여, 근접센서(260)와 감지부(15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를 전환할 수 있다(도 1의 Ⅲ).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 모드 전환을 살펴본다.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 구체적으로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은 입력부재(140)의 착탈을 통해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입력부재(140), 장착부(111), 감지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즉, 상기의 구성들에 의해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키보드 모드(M1) 또는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장착부(111)에 입력부재(140)가 장착된 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키보드 모드(M1)로 전환하고,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입력장치(200)가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 삽입되면, 스위치가 눌려 온된다. 스위치가 온 된 상태의 신호는 제어부(170)로 인가되고, 상기의 감지 값에 의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게 실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텍타일 부재(210)를 구동되게 제어하고 제1터치패널(221)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반면 입력부재(140)와 반응하는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됨에 따라 평면 상태의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입력키(201)들에 상응하는 부분이 돌출된다. 이에 사용자는 돌출된 텍타일 플레이트(212)를 접촉하게 되면, 접촉된 입력키(201)의 제1터치패널(221)이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에 대한 출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키보드 모드(M1) 시에 입력장치(200)의 상태를 살펴보면, 텍타일 부재(210)는 돌출되고, 제1터치패널(221)은 활성화되며,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며, 전자종이는 활성화되는 상태로 구현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200)가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입력부재(140)가 장착부(111)에서 인출되면, 눌려 있던 스위치가 오프되면서 오프된 신호가 제어부(170)로 인가된다. 제어부(170)로 인가된 입력부재(140)의 감지 값에 따라 입력장치(200)를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게 실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터치패널(222)을 활성화시키고, 텍타일 부재(210)는 비 구동되게 제어하고, 제1터치패널(221) 및 표시층(230)은 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이에,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터치패널(221)이 비 활성화됨으로써, 손과 같은 전하를 띠는 물체의 접촉은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층(230)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는 평평한 입력장치(200) 상에 입력부재(140)를 통한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장치(200)의 상측으로 입력부재(140)를 접촉하여 도형을 그린다거나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활성화된 제2터치패널(222)은 이를 감지하여 입력에 따른 출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 모드 전환을 살펴본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 구체적으로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은 입력장치(200)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50)에 의해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 스위치부(250)와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즉, 입력장치(200)에 제공되는 스위치부(250)를 전환시킴으로써,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키보드 모드(M1) 또는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250)는 입력장치(200)에 제공되는 구성이다. 스위치부(250)는 입력장치(200), 구체적으로 입력키(201)들이 배치되는 부분의 둘레부분이나, 하우징(211)의 측면 둘레 상에 제공되어 온/오프 가능한 버튼방식으로 구비된다. 본 개시에서 스위치부(250)는 입력장치(200)의 우측 상부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스위치부(2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1)의 측면을 따라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211)의 주변 둘레의 어느 위치도 가능한 것과 같이 편의성 및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설정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부(250)를 온/오프 함에 제1터치패널(221)과 제2터치패널(222)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어부(170)는 스위치부(250)의 온/오프에 따라 텍타일 부재(210)의 구동과, 제1터치패널(221) 및 제2터치패널(222)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입력장치(200)가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입력장치(200)에 제공되는 스위치부(250)를 눌러 온(on)시키면, 스위치부(250)에 온된 신호가 제어부(170)로 인가된다. 제어부(170)로 인가된 감지 값에 의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게 실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텍타일 부재(210)를 구동되게 제어하고 제1터치패널(221)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반면 입력부재(140)와 반응하는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됨에 따라 평면 상태의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입력키(201)들에 상응하는 부분이 돌출된다. 이에 사용자는 돌출된 텍타일 플레이트(212)를 접촉하게 되면, 접촉된 입력키(201)의 제1터치패널(221)이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에 대한 출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키보드 모드(M1) 시에 입력장치(200)의 상태를 살펴보면, 텍타일 부재(210)는 돌출되고, 제1터치패널(221)은 활성화되며,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며, 전자종이는 활성화되는 상태로 구현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200)가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스위치부(250)를 오프(off)시키게 되면, 오프된 신호는 제어부(170)로 인가된다. 제어부(170)로 인가된 스위치부(250)의 오프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게 실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터치패널(222)을 활성화시키고, 텍타일 부재(210)는 비 구동되게 제어하고, 제1터치패널(221) 및 표시층(230)은 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이에,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터치패널(221)이 비 활성화됨으로써, 손과 같은 전하를 띠는 물체의 접촉은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층(230)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는 평평한 입력장치(200) 상에 입력부재(140)를 통한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장치(200)의 상측으로 입력부재(140)를 접촉하여 도형을 그린다거나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활성화된 제2터치패널(222)은 이를 감지하여 입력에 따른 출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 모드 전환을 살펴본다.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 구체적으로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로 전환은 근접센서(260) 및 입력부재(140)의 착, 탈 유무를 통해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입력장치(200)에는 근접센서(260)와, 감지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근접센서(260)는 입력장치(200)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입력장치(200)로 손이 근접되었음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감지부(150)는 상술한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에서 설명한 감지부(150)와 같은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의 설명된 내용을 준용한다. 제어부(170)의 구성 또한 앞서 설명된 내용과 같이, 입력장치(200)의 구동 유무나, 텍타일 부재(210)의 구동 유무 및 제1터치패널(221)과 제2터치패널(222)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의 전환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입력장치(200)가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입력장치(200)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근접센서(260)에 물체의 접촉,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의 근접을 감지하면, 근접센서(260)에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로 인가된다. 또한, 감지부(150)에는 입력부재(140)가 장착된 상태의 신호가 감지되는 것이다. 이에, 제어부(170)로 인가된 감지 값들, 즉, 근접센서(260)의 검출 값과 감지부(150)의 검출 값에 의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게 실행한다. 제어부(170)는 텍타일 부재(210)를 구동되게 제어하고 제1터치패널(221)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반면 입력부재(140)와 반응하는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됨에 따라 평면 상태의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입력키(201)들에 상응하는 부분이 돌출된다. 이에 사용자는 돌출된 텍타일 플레이트(212)를 접촉하게 되면, 접촉된 입력키(201)의 제1터치패널(221)이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에 대한 출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키보드 모드(M1) 시에 입력장치(200)의 상태를 살펴보면, 텍타일 부재(210)는 돌출되고, 제1터치패널(221)은 활성화되며, 제2터치패널(222)은 비 활성화되며, 전자종이는 활성화되는 상태로 구현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200)가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입력장치(200)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근접센서(260)에 물체의 접촉이 감지되어도, 감지부(150)에 입력부재(140)의 분리된 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를 입력모드로 구현되게 실행한다. 즉, 제어부(170)는 입력부재(14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터치패널(222)을 활성화시키고, 텍타일 부재(210)는 비 구동되게 제어하고, 제1터치패널(221) 및 표시층(230)은 비 활성화되게 제어한다. 이에, 텍타일 부재(21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텍타일 플레이트(212)는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터치패널(221)이 비 활성화됨으로써, 손과 같은 전하를 띠는 물체의 접촉은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층(230)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는 평평한 입력장치(200) 상에 입력부재(140)를 통한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장치(200)의 상측으로 입력부재(140)를 접촉하여 도형을 그린다거나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활성화된 제2터치패널(222)은 이를 감지하여 입력에 따른 출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100) 및 입력장치(200)에서, 입력장치(2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본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개시된 장치에서 입력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110)가 입력장치(200)에 연결되는 유무에 따른 신호 값이 제어부(170)로 인가됨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구동 유무와, 본체(110)의 입출력부(120)를 통한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할지 제어된다(S100). 본체(110)에 입력장치(20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100) 본래대로 입출력부(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표시패널(121)을 통한 출력과, 터치스크린(122)을 통한 입력을 구현하도록 제어부(170)는 단말기(100)를 제어한다(S150).
그러나, 입력장치(200)가 본체(110)에 결합되어, 본체(110)가 입력장치(200)에 거치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이에 대한 신호값에 의해 제어부(170)는 입력장치(200)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로 입력을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정방향 또는 역방으로 제공되는 지 여부에 따라 그 설정 모드를 달리 할 수 있다(S200).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입력장치(200)를 활성화시키고, 입출력부(120), 구체적으로 표시패널(121)은 온된 상태로 터치스크린(122)은 비활성화된다.
그러나, 입력장치(200)가 역방향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입력장치(200)는 비 활성화시키고, 입출력부(120)를 활성화시켜 역방향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모드를 구현하도록 구비한다(S150).
입력장치(200)가 정방향으로 결합된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를 활성화키고, 표시패널을 온되게하며, 터치스크린(122)은 비활성화 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 가지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 설정에 따라 입력장치(200)가 키보드 모드(M1)인지 입력부재 모드(M2)인지 검출한다(S400).
입력장치(200)가 키보드 모드(M1)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장치(200)의 텍타일 부재(210)는 구동되고, 제1터치패널(221)은 활성화되며, 표시층(230) 구체적으로 전자종이가 구동된다. 또한, 본체(110)는 표시패널(121)만 온되도록 구현되고, 터치스크린(122)은 오프되게 구동된다. 이에 따라 쿼티키 등의 패턴을 가지는 입력키(201) 들이 돌출되고, 사용자는 돌출된 입력키(201)들을 접촉함으로써 본체(110)로 입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500).
또한, 입력장치(200)가 입력부재 모드(M2)로 구현되는 경우(S450), 제2터치패널(222)이 활성화되고, 본체(110)는 표시패널이 온되게 구동된다. 이에, 평평한 입력장치(200)의 상측면으로 입력부재(140)를 접촉함에 따라 제2터치패널(222)이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 값이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로 변환하는 구성을 세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력장치(200)를 키보드 모드(M1)와 입력부재 모드(M2)로 변환하는 구성은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에 제공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설정모드를 이용하여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 전환은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입력장치(200)에 거치되는 방향에 따라 그 설정모드를 달리 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설정모드는 얼마든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스위치부(250)의 위치나 근접센서(260)의 위치 등은 입력장치(200)의 형태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 장치 100: 단말기
110: 본체 111: 장착부
120: 입출력부 121: 표시패널
122: 터치스크린 130: 연결장치
140: 입력부재 150: 감지부
170: 제어부 200: 입력장치
210: 텍타일 부재 220: 접촉감지층
221: 제1터치패널 222: 제2터치패널
230: 표시층 250: 스위치부
260: 근접센서

Claims (26)

  1. 입력장치에 있어서,
    입력키들의 위치에서 가변되는 텍타일 부재; 및
    상기 텍타일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접촉감지층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층의 하부에는 각각의 상기 입력키에 할당된 신호 값을 표시하는 표시층이 더 포함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전자종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층은,
    전하를 띠는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터치패널; 및
    별도의 입력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입력부재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패널은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은 전자기 공명(Electro Magnetic Resonance: EMR)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텍타일 부재가 평면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제2터치패널이 활성화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가 구동하여 상기 입력 키들에 상응하는 부분이 돌출될 때 상기 제1터치패널이 활성화되는 입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키보드 모드와 입력부재 모드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모드에서 상기 텍타일 부재가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터치패널이 활성화 되며,
    상기 입력부재 모드에서 상기 제2터치패널이 활성화되는 입력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를 탈,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장착부;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장착부에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텍타일 부재, 상기 제1터치패널, 상기 제2터치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상기 입력부재가 장착된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타일 부재와 상기 제1터치패널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을 비 활성화하여, 상기 입력장치를 키보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입력부재가 분리된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타일 부재와 상기 제1터치패널을 비 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을 활성화하여, 상기 입력장치를 입력부재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패널 및 상기 제2터치패널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텍타일 부재, 상기 제1터치패널 및 상기 제2터치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타일 부재와 상기 제1터치패널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을 비 활성화하여, 상기 입력장치를 키보드 모드로 전환시키며,
    상기 스위치부가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타일 부재와 상기 제1터치패널을 비 활성화하며, 상기 제2터치패널을 활성화하여, 상기 입력장치를 입력부재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근접센서;
    상기 입력부재의 착탈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근접센서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텍타일 부재와 상기 제1,2터치패널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텍타일 부재와 상기 제1터치패널을 활성화하고,
    상기 입력부재가 분리됨을 상기 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제2터치패널을 활성화하는 입력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타일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입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구비되는 유체; 및
    상기 유체를 상기 텍타일 부재로 유입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입력 키들에 상응하는 부분이 돌출되는 입력장치.
  17.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로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출력부 및 상기 입력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접촉되는 입력키의 위치로 가변되는 텍타일 부재; 및
    상기 텍타일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텍타일 부재를 통한 입력 동작을 검출하는 접촉감지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키보드 모드와 입력부재 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텍타일 부재는,
    상기 입력장치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입력키들의 위치에서 가변되게 형성되는 텍타일 플레이트; 및
    상기 텍타일 플레이트를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층은,
    전하를 띠는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터치패널; 및
    별도의 입력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입력부재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을 구현하게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모드에서 상기 텍타일 부재가 구동되고, 상기 제1터치패널이 활성화되며,
    상기 입력부재 모드에서 상기 제2터치패널이 활성화되는 휴대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입출력부 또는 상기 입력장치로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부재 모드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근접센서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키보드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부재 모드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키보드 모드와 상기 입력부재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부가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

KR1020130078094A 2013-07-03 2013-07-03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50004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094A KR20150004714A (ko) 2013-07-03 2013-07-03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4/324,007 US9471187B2 (en) 2013-07-03 2014-07-03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094A KR20150004714A (ko) 2013-07-03 2013-07-03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14A true KR20150004714A (ko) 2015-01-13

Family

ID=5213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094A KR20150004714A (ko) 2013-07-03 2013-07-03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71187B2 (ko)
KR (1) KR201500047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7383B2 (en) 2008-01-04 2015-02-03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720501B2 (en) 2008-01-04 2017-08-01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588683B2 (en) 2008-01-04 2017-03-07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612659B2 (en) 2008-01-04 2017-04-04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9760172B2 (en) 2008-01-04 2017-09-12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430074B2 (en) * 2008-01-04 2016-08-30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274612B2 (en) 2008-01-04 2016-03-01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9423875B2 (en) 2008-01-04 2016-08-23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with exhibiting optical dispersion characteristics
US9552065B2 (en) 2008-01-04 2017-01-24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063627B2 (en) 2008-01-04 2015-06-23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s
US9367132B2 (en) 2008-01-04 2016-06-14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9557915B2 (en) 2008-01-04 2017-01-31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588684B2 (en) 2009-01-05 2017-03-07 Tactus Technology, Inc. Tactile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KR20130136905A (ko) 2010-04-19 2013-12-13 택투스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30141344A (ko) 2010-04-19 2013-12-26 택투스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촉각 인터페이스층의 구동 방법
KR20140043697A (ko) 2010-10-20 2014-04-10 택투스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9405417B2 (en) 2012-09-24 2016-08-02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and methods
CN104662497A (zh) 2012-09-24 2015-05-27 泰克图斯科技公司 动态触觉界面和方法
US9557813B2 (en) 2013-06-28 2017-01-31 Tactus Technology, Inc. Method for reducing perceived optical distortion
JP6411210B2 (ja) * 2014-12-26 2018-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TWI778347B (zh) * 2020-01-06 2022-09-21 美商矽成積體電路股份有限公司 臨近偵測方法及臨近偵測鍵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3782B2 (en) * 2005-01-07 2009-09-22 Apple Inc. Highly portable media device
US9063627B2 (en) * 2008-01-04 2015-06-23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s
US8243038B2 (en) 2009-07-03 2012-08-14 Tactus Technologies Method for adjusting the user interface of a device
US8633916B2 (en) *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US20120327006A1 (en) * 2010-05-21 2012-12-27 Disney Enterprises, Inc. Using tactile feedback to provide spatial awareness
US9122361B2 (en) * 2011-05-19 2015-09-01 Qualcomm Technologies, Inc. Touch panel testing using mutual capacitor measurements
US20130016042A1 (en) * 2011-07-12 2013-01-17 Ville Makinen Haptic device with touch gesture interface
US20130050130A1 (en) * 2011-08-22 2013-02-28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differential data input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TWI467526B (zh) * 2012-01-20 2015-01-0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觸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8988387B2 (en) * 2012-08-02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Touch sensor panel with in-plane backup bypass connections
CN104662497A (zh) * 2012-09-24 2015-05-27 泰克图斯科技公司 动态触觉界面和方法
TWI474243B (zh) * 2012-10-05 2015-02-21 Touchplus Information Corp 電容性觸控鍵盤
KR102056464B1 (ko) * 2013-03-05 2019-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9150A1 (en) 2015-01-08
US9471187B2 (en)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714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U2022201036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20220187870A1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EP3301540B1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KR102108118B1 (ko)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10074886A (ko) 전계발광 구동의 햅틱 키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20130024615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4552A (ko) 입력부를 구비하는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AU2012202122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AU2019261790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KR20140112139A (ko) 자기장을 이용한 휴대용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35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