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930A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7930A KR20140127930A KR20130033317A KR20130033317A KR20140127930A KR 20140127930 A KR20140127930 A KR 20140127930A KR 20130033317 A KR20130033317 A KR 20130033317A KR 20130033317 A KR20130033317 A KR 20130033317A KR 20140127930 A KR20140127930 A KR 20140127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 module
- solar module
- array
- valu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한 태양광 모듈 감시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한 태양광 모듈 감시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모듈 각각에 대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부-상기 진단부는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 및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of a photovoltaic modul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 sola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a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having a solar photovoltaic module monitoring function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herein the diagnostic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ncluded in the solar array is less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and if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otal solar array array and if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otal solar array array, Judg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tical module; And a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한 태양광 모듈 감시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solar cell module monitoring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태양광 발전은 태양으로부터의 빛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꾸어주는 발전 방식이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에너지원이 청정하고 무제한인 점,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양만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무인화가 가능하다는 점, 20년 이상의 장수명이 가능하다는 점, 건설기간이 짧아 수요 증가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점에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전체 발전량에서 그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a way to convert light energy from the sun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Th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has a clean and unlimited energy source, it can generate only the necessary amount in necessary places, it is easy to maintain and unmanned, it can be longevity more than 20 years,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total power generation.
이러한 태양광 발전의 핵심은 일반적으로 pn 접합 구조를 가진 태양 전지(solar cell)로서 외부로부터 광자(photon)가 태양전지의 내부로 흡수되면 광자가 지닌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의 쌍이 생성된다. 생성된 전자-정공 쌍은 pn 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 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정공은 p 형 반도체로 이동해서 각각의 표면에 있는 전극에서 수집된다. 각각의 전극에서 수집된 전하는 외부 회로에 부하가 연결된 경우, 부하에 흐르는 전류로서 부하를 동작시키는 에너지의 원천이 된다.At the core of this solar power generation is a solar cell with a pn junction structure. When a photon is absorb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a solar cell, the energy of the photon causes a pair of electrons and holes . The generated electron-hole pairs are transferr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at the pn junction, and the holes are transferred to the p-type semiconductor and collected at the electrodes on the respective surfaces. The charge collected at each electrode is a source of energy that operates the load a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ad when a loa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태양전지의 최소 단위를 셀이라고 한다. 실제로 태양전지 셀을 그대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 이유는 2 가지로, 하나는 셀 1 개로부터 나오는 전압은 약 0.5V로서 매우 작고 실제로 사용할 전압은 수 V에서 수십 혹은 수백 V 이상이 되고, 따라서, 셀을 몇 개나 몇십개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하나의 이유는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혹독한 환경에 처해지기 때문에 접속된 다수의 셀을 혹독한 환경에서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복수의 셀을 패키지로 한 것을 태양광 모듈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이 모듈을 복수개로 이어서 용도에 맞게 한 것을 태양광 어레이라 칭하고 있다.The smallest unit of solar cell is called cell. Actually, the solar cell is rarely used as it is. The reason for this is two, one is that the voltage from one cell is very small, about 0.5V, and the voltage actually used is several tens or hundreds of volts or more from several volts, so that several cells or dozens of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You must do it. Another reason is that when used outdoors, it is subjected to various harsh environments, 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onnected cells in a harsh environment. For this reason, a plurality of cells are referred to as solar modul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se modules are suitably used for the purpose of use, which is called a solar array.
대규모 태양광 발전의 경우, 적게는 수십개 많게는 수백개 이상의 태양광 어레이가 설치된다. 이러한 대규모 태양광 발전을 운용하다 보면, 특정 태양광 어레이의 전압이 저하되거나(달리 표현하면, 특정 어레이의 효율이 저하되거나), 특정 태양광 모듈의 전압이 저하(달리 표현하면, 특정 모듈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large-scal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everal hundreds or more solar arrays are installed. When operating such large-scale solar power generation, the voltage of a specific solar array is lowered (in other words, the efficiency of a specific array is lowered), the voltage of a specific solar module is lowered Can be reduced).
이와 같은 효율 저하는 그늘, 오염, 고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이 충분하고, 공간이 충분한 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효율 저하의 원인 중 그늘은 구름에 의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고, 오염은 장시간 태양광 어레이 전면에 누적되는 먼지에 의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고, 고장은 셀의 열화에 의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Such efficiency degradation can be caused by shade, contamination, or failure. In general, th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re is sufficient sunlight and space is sufficie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hade of the cause of the decrease in efficiency is caused by the cloud, and the contamination is caused by the accumulated dus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olar array for a long time, and the failure is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cell.
태양광 어레이의 효율 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계통에 불량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를 계통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When the efficiency deterioration of the solar array exceeds the threshold valu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olar array from the system in order to prevent the defective power source from being supplied to the system.
또한, 효율 저하의 원인을 운영자가 즉각 인지하여 효율 저하가 발생한 특정 모듈에 대하여 수리, 교체, 청소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immediately recognizes the cause of the efficiency deterio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take measures such as repair, replacement, and cleaning for the specific module in which the efficiency deteriorates.
다만, 종래에는 그 효율 저하의 원인을 그늘, 오염, 고장으로 나누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없었다.However, in the past, there was no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cause of the efficiency reduction by dividing it into shade, pollution, and failure.
그리고, 효율 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태양광 어레이를 계통에서 분리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없었다.Further, there was no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separating the solar array whose efficiency deterioration exceeded the threshold value from the system.
또한, 기존의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태양광 어레이에 배치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복수의 태양광 모듈 별로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지그비 모듈이 설치되었다. 이때, 지그비 모듈은 태양광 모듈의 수 만큼 설치되므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가격을 증가시키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복잡하게 하며 설치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solar power generation monitoring system, a ZigBee module for sensing a volt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is installed in order to individually monitor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disposed in the solar array. At this time, since the ZigBee module is installed as many as the number of solar modul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nitoring system is expensive, the monitoring system is complicated, and a lot of manpower is consume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또한, 기존의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 환경 인자 예를 들어, 일조량, 태양광 모듈의 온도를 고려하여 태양광 모듈을 진단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태양광 모듈의 진단이 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olar power generation monitoring system does not diagnose the solar modul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for example, the amount of sunligh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module, and thus the solar module can not be accurately diagnosed.
이에,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의 효율 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계통에 불량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를 계통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separating a solar array from a system in order to prevent a bad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system when the efficiency deterioration of the solar array exceeds a threshold value.
그리고,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효율 저하의 원인을 운영자가 즉각 인지하여 효율 저하가 발생한 특정 모듈에 대하여 수리, 교체, 청소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taking measures such as repair, replacement, and cleaning for a specific module in which the operator immediately recognizes the cause of the efficiency degradation of the photovoltaic module.
또한, 본 발명은 그 효율 저하의 원인을 그늘, 오염, 고장으로 나누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cause of the decrease in efficiency as shade, contamination, and failure.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 별로 설치된 하나의 지그비 모듈을 사용하여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individually using one ZigBee module installed for each solar array.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별로 누설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 leakage current for each photovoltaic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일조량 및 태양광 모듈의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태양광 모듈을 진단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diagnosing a photovoltaic modul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sunshine and the temperature of the 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한 태양광 모듈 감시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모듈 각각에 대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부-상기 진단부는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 및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of a photovoltaic module in consideration of 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th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And the diagnostic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ncluded in the solar array is less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if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otal solar array, Determin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verage value is less than the average value; And a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여기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is norm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exceeds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그리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진단 대상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의 전체 평균값 이하이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 모두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iagnos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diagnostic module and the voltage value of all the solar modules adjacent to the solar module If i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is defective.
또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제 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voltag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solar modules adjacent to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voltage reduction rat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 target solar module is contaminated.
또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상기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그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at a shadow has occurred in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when the voltage reduction rate of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의 감소율이 제 3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exceeds a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and the rate of decrease of the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ird reference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 contamination occurs in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solar array.
또한, 상기 진단부는,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의 감소율이 상기 제 3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그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at a shadow has occurred in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when the rate of decrease of the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exceeds the third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기준값 설정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서의 온도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특성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may set the first reference value us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the illuminance in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and the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of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의 효율 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계통에 불량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를 계통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fficiency deterioration of the solar array exceeds a threshold value, the solar array can be separated from the system in order to prevent a faulty power source from being supplied to the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효율 저하의 원인을 고장, 그늘, 오염으로 구분하여 운영자에게 알리는 것에 의해 운영자가 즉각 효율 저하가 발생한 특정 모듈에 대하여 수리, 교체, 청소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ause of the efficiency reduction of the photovoltaic module into faults, shadows, and dirts and inform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or immediately takes measures such as repair, replacement, and cleaning .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와 지그비 모듈을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지그비 모듈 별도 설치에 의한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태양광 어레이와 지그비 모듈을 일체로 형성하면 태양광 어레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지그비 모듈의 식별 번호는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어레이의 설치 후 지그비 모듈의 식별 번호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와 지그비 모듈을 일체로 생산하더라도 무선으로 지그비 모듈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태양광 어레이 배면에 위치한 지그비 모듈의 설정에 따른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ar array and the ZigBee module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installing the ZigBee module separately. If the solar array and the ZigBee module are integrally forme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ZigBee modu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lar arr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ZigBee module after installation of the solar arra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ZigBee module to be set wirelessly even if the solar array and the ZigBee module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ereby avoiding the troublesomeness associated with the setting of the ZigBee module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array.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을 하나의 패킷으로 취합하여 중앙 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패킷 송수신에 따른 지그비 모듈과 중앙 관리부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values of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are collected into one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ereby minimizing the load on the ZigBee module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 별로 설치된 하나의 지그비 모듈을 사용하여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can be individually monitored using one ZigBee module installed for each solar array.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별로 누설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leakage current for each sola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일조량 및 태양광 모듈의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태양광 모듈을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agnose a solar modul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sunshin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태양광 어레이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지그비 모듈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지그비 모듈이 중앙 관리부로 전송하는 패킷을 나타낸다.
도 5는 중앙 관리부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어레이 관리부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의 진단부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rear view of the solar array of Fig. 1. Fig.
FIG. 3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ZigBee module of FIG. 2. FIG.
4 shows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ZigBee module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 shows a data structure stored in the database of Fig.
FIG. 7 show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array management unit of FIG. 5;
Fig. 8 shows an operation flow chart of the diagnosis unit of Fig. 5;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어레이(1000a, 1000b, 1000c), DC 접속반(2000), 인버터(3000), 중앙 관리부(4000), 통신망(5000), 스위칭부(6000a, 6000b, 6000c)를 포함할 수 있다. 1,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es
태양광 어레이(1000a, 1000b, 1000c, 이하 “1000”이라 통칭함)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모듈(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태양광 어레이(1000)는 각각 총 12 개(3 by 4)의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태양광 어레이(1000)에 포함되는 태양광 모듈의 수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태양광 모듈(1100)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셀로 구성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태양광 어레이(100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1100) 각각의 전압의 합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정상상태(그늘, 오염,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의 태양광 어레이(1000)의 출력 전압은 정상상태 출력 전압이라고 칭한다. The
태양광 어레이(1000)의 출력 전압(DC 전압)은 DC 접속반(2000)으로 공급되며, DC 접속반(2000)에 공급된 DC 전압은 인버터(3000)에서 3 상 AC로 변환되어 전력망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output voltage (DC voltage) of the
태양광 어레이(1000)의 출력 전압을 DC 접속반(2000)에 공급하는 라인(L) 상에는 스위칭부(6000a, 6000b, 6000c, 이하, “6000”이라 통칭함)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칭부(6000)는 중앙 관리부(400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의해, 태양광 어레이(1000)로부터 DC 접속반(2000)으로의 전압의 공급을 허용/차단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어레이(1000)의 출력 전압을 DC 접속반(2000)에 공급하는 라인(L) 상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가 구비될 수 있다.
중앙 관리부(4000)는 통신망(5000)을 통해, 태양광 어레이(1000) 상의 모듈(1100)을 진단할 수 있다. 중앙 관리부(4000)는 태양광 모듈(1100)의 출력 전압 저하의 원인을 그늘, 오염, 고장으로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부(4000)는 태양광 어레이(1000)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출력 전압이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출력 전압이 기 설정치 이하인 태양광 어레이(1000)의 전압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중앙 관리부(40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The
여기서, 통신망(5000)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은 제한이 없을 수 있고, 이종의 통신망이 융합되어 통신망(50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통신망(5000)은 유선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Here, the protocol constituting the
도 2는 도 1의 태양광 어레이의 배면도를 나타낸다.Fig. 2 shows a rear view of the solar array of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어레이(1000) 배면에는 하나의 지그비 모듈(1200)이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 어레이(100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태양광 어레이(1000)에 지그비 모듈(120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므로, 지그비 모듈(1200)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지그비 모듈(1200)을 태양광 어레이(100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일체형으로 설치하게 되면, 태양광 어레이(1000)를 특정 장소에 설치한 후, 지그비 모듈(1200)을 설정하는 작업이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그비 모듈(1200)을 무선으로 간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의 가격 저감, 시스템의 단순화, 지그비 모듈의 설치시 최소한의 인력 동원 등을 위해, 태양광 어레이 당 하나의 지그비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에 불과하며, 지그비 모듈(1200)의 설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지그비 모듈(1200)은 태양광 어레이(1000)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one
도 3은 도 2의 지그비 모듈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FIG. 3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ZigBee module of FIG. 2. FIG.
도 3을 참조하면, 지그비 모듈(1200)은 통신부(1210), 전압 측정부(1220), 전압값 제공부(1230), 설정부(1240), 저장부(1250), 누설전류 제공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통신부(1210)는 Zigbee(IEEE 802.15.4)가 탑재되고 Zigbee 방식으로 중앙 관리부(4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210)와 중앙 관리부(4000) 사이에 중계기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방식으로 Zigbee 만을 사용하는 경우, 중계기는 코디네이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Zigbee 방식과 이종의 통신프로토콜 예를 들어, TCP/IP를 혼용하는 경우, 중계기는 지그비 모듈과 Zigbe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중앙 관리부(4000)와는 그 이종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전압 측정부(1220)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복수의 태양광 모듈(1100) 각각의 출력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각각의 전압 측정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1100) 각각의 + 출력 단자(P), - 출력 단자(N)는 전압 측정부(12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태양광 모듈(1100)의 + 출력 단자(P) 및 - 출력 단자(N)가 지그비 모듈(12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태양광 어레이(1000)에 탑재된 모든 태양광 모듈(1100)의 + 출력 단자(P) 및 - 출력 단자(N)는 전압 측정부(1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220)는 이를 위해, 기 설정된 태양광 모듈 수 만큼 + 출력 단자(P) 및 - 출력 단자(N)와 연결될 수 있도록 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220)는 복수의 채널로부터 인가되는 태양광 모듈 각각의 전압을 동시 또는 이시에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전압은 태양광 모듈 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220)는 태양광 모듈 번호 순으로 태양광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압값을 태양광 모듈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전압값 제공부(1230)는 전압 측정부(1220)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을 통신부(1210)를 통해, 중앙 관리부(40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압값 제공부(1230)가 중앙 관리부(4000)로 전압값을 제공하기 위해 중앙 관리부(4000)로 전송하는 패킷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The voltage
설정부(1240)는 운영자가 휴대하는 무선 단말(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지그비 모듈(1200)을 설정할 수 있다. 운영자는 지그비 모듈(1200)을 설정하기 위해, 각각의 지그비 모듈(1200)의 고유번호(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설정부(1240)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 번호를 수신한 설정부(1240)는 지그비 모듈(1200)의 식별 정보로써 그 식별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식별 번호는 태양광 어레이(100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태양광 어레이가 3행 4열로 배치되는 경우, 1행 1열의 태양광 어레이에 대응하는 지그비 모듈은 그 식별 번호로서 “1 또는 “11”이 설정될 수 있고, 2행 3열의 태양광 어레이에 대응하는 지그비 모듈은 그 식별 번호로서 “7” 또는 “23”이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행 번호와 열 번호가 병기된 번호를 사용할 수 있고, 1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열번호가 추가됨에 따라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 어레이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그비 모듈의 식별 번호가 넘버링되는 것에 의해 지그비 모듈, 태양광 모듈, 태양광 어레이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지그비 모듈의 식별 번호는 태양광 어레이 식별 번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e
저장부(1250)는 지그비 모듈(12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 앞서 본 설정정보로서의 식별 번호를 저장하고, 태양광 모듈(1100) 각각의 전압값을 태양광 모듈 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누설전류 제공부(1260)는 태양광 모듈 각각에서의 누설전류 값을 태양광 모듈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중앙 관리부(4000)에 제공할 수 있다. 누설전류 제공부(1260)는 도 4의 패킷에 각각의 태양광 모듈 번호에 매칭된 누설전류 값을 포함시켜 중앙 관리부(40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패킷에 도 4와 같이, 어레이 번호, 태양광 모듈 번호, 각각의 태양광 모듈 번호에 매칭된 각각의 태양광 모듈의 누설전류 값을 작성하여 중앙 관리부(4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설전류 제공부(1260)는 태양광 모듈 각각의 출력단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CT(1200)와 연결될 수 있다. CT(1200)는 태양광 모듈 각각의 출력단에 위치하여, 태양광 모듈의 누설전류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누설전류 제공부(126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CT(1200)는 ZCT(Zero Current Transformer)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CT(1200)는 태양광 모듈의 수 만큼 구비되어, 태양광 모듈 각각의 출력단에 위치하여, 태양광 모듈 각각의 누설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각각의 출력 전압과 누설 전류값은 동시 또는 이시에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모듈 각각의 출력 전압과 누설 전류값은 동일 패킷 또는 다른 패킷으로 중앙 관리부(40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leakage
도 4는 지그비 모듈이 중앙 관리부로 전송하는 패킷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지그비 모듈(1200)이 중앙 관리부(4000)로 전송하는 패킷은 Send ID field, Receive ID field 및 Array Number field와 적어도 하나의 Module Number field 및 Voltage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end ID field는 지그비 모듈의 식별 정보이고, Receive ID field는 중앙 관리부(4000)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Array Number field는 앞서 본 태양광 어레이 식별 번호(또는 지그비 모듈 식별 번호)일 수 있다. Module Number field는 태양광 모듈 각각의 식별 번호일 수 있고, Voltage field는 Module Number 각각에 대응하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일 수 있다. 지그비 모듈(1200)이 복수의 태양광 모듈(1100)의 전압값을 태양광 모듈 마다 각각 다른 패킷으로 중앙 관리부(4000)로 전송하는 경우, 지그비 모듈(1200)과 중앙 관리부(4000) 간에 수신되는 패킷이 매우 방대하여 지그비 모듈(1200)과 중앙 관리부(4000)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그비 모듈(1200)은 하나의 패킷에 복수의 Module Number 및 그 Module Number 각각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작성하여 중앙 관리부(40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어레이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의 수가 많아 하나의 패킷으로 하나의 어레이에 포함된 전체 모듈의 전압값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분할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Module Number field가 생략되고, 태양광 모듈 식별 번호 순으로 전?값을 배열하고, 전?값 사이에 이웃하는 전압값을 구분하여 주는 비트값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패킷에는 전압값을 지그비 모듈(1200)이 센싱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그비 모듈(1200)에는 중앙 관리부(4000)와 동기화된 타이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도 4의 패킷에는 각각의 태양광 모듈 번호와 매칭된 누설전류값이 포함될 수 있다.4 shows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ZigBee module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Referring to FIG. 4,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도 5는 중앙 관리부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중앙 관리부(4000)는 통신부(410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200), 어레이 관리부(4300), 진단부(4400), 인터페이스부(4500), 데이터베이스부(4600), 기준값 설정부(4700)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e
통신부(4100)는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지그비 모듈(1200) 또는 스위칭부(5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데이터베이스관리부(4200)는 데이터베이스부(4600)를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도 6과 같이 데이터베이스관리부(4200)는 지그비 모듈(1200)로부터 수신한 패킷 중 태양광 어레이 번호, 그 태양광 어레이 번호에 매칭된 태양광 모듈 번호, 그 태양광 모듈 번호에 매칭된 전압값을 도 6과 같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정보가 어레이 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지그비 모듈(1200)이 전압값을 센싱한 시간 또는, 중앙 관리부(4000)가 지그비 모듈(1200)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시간일 수 있다.The
어레이 관리부(4300)는 태양광 어레이(1000)로부터 DC 접속반(2000)으로의 전압 공급의 허용/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어레이 관리부(4300)는 태양광 어레이(1000)의 출력 전압이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출력 전압이 기 설정치 이하인 태양광 어레이와 DC 접속반(2000) 사이에 위치한 스위칭부(5000)를 오프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1000)의 전압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Th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어레이 관리부(43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어레이 관리부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 specific operation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어레이 관리부(4300)는 태양광 어레이 출력 전압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1). 태양광 어레이 출력 전압은 하나의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전체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을 합하는 것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으로서, 앞서 본 도 4의 패킷 상에 작성된 전압값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태양광 어레이 출력단에 별도의 전압 측정 요소를 추가하고, 그 전압 측정 요소로부터 수신되는 전압값을 사용하여 태양광 어레이의 전압값을 취득할 수도 있다. 다만, 설치 비용의 절감 및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패킷의 최소화를 위해 전자의 방법으로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01에서의 판단 결과, 제 1 기준값 이하이면, 어레이 관리부(4300)는 스위칭부(500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의 전압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S102). S102에서 태양광 어레이를 DC 접속반(2000)에서 분리시킨 후 다음 번의 진단시 태양광 어레이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값 이하이면 어레이 관리부(4300)는 태양광 어레이의 분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와 달리, 태양광 어레이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값 초과이면 태양광 어레이를 다시 DC 접속반(2000)과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가 다시 DC 접속반(2000)으로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S103, S104). 물론, S101에서의 판단 결과, 태양광 어레이 출력 전압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어레이 관리부(4300)는 태양광 어레이가 계속하여 DC 접속반(20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기준값 이하인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이 전력망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레이 관리부(4300)는 제 1 기준값 이하인 태양광 어레이를 인터페이스부(4500)를 통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계속하여 도 5을 참조하면, 진단부(4400)는 지그비 모듈(1200)로부터 수신한 태양광 모듈 별 전압을 사용하여, 태양광 어레이 및/또는 태양광 모듈 각각을 진단할 수 있다. 진단부(4400)는 기 설정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태양광 어레이 및/또는 태양광 모듈 각각을 진단할 수 있다. 진단부(4400)는 진단시 데이터베이스부(4600)에 저장된 도 6과 같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정보에는 각각의 태양광 모듈 번호와 매칭된 각각의 태양광 모듈의 누설 전류값이 포함될 수 있다. 진단부(4400)는 태양광 모듈 각각의 누설 전류값을 진단하고, 누설 전류값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진단부(4400)는 알람 제공시 누설 전류값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태양광 모듈 번호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5, the
기준값 설정부(4700)는 태양광 모듈의 진단에 사용되는 기준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기준값 설정부(4700)는 진단 시점의 태양광 모듈의 온도 및 일조량과 같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기준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값 설정부(4700)는 각각의 태양광 모듈 상의 온도 및 각각의 태양광 어레이 상의 조도 정보를 태양광 어레이 측으로부터 지그비 모듈(1200)과 통신망(5000)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태양광 모듈 상의 온도 정보는 도 4의 패킷에 각각의 태양광 모듈 별로 작성되어 수신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패킷으로 도 4의 패킷이 수신되는 시간대와 동일 시간대에 수신될 수 있다. 각각의 태양광 어레이 상의 조도 정보는 도 4의 패킷에 작성되어 수신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패킷으로 도 4의 패킷이 수신되는 시간대와 동일 시간대에 수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광 모듈 별로 전면(前面)에 온도 센서(미도시)가 부착되고, 그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태양광 모듈 상의 온도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어레이 전면(前面)에 조도센서(미도시)가 부착되고, 그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태양광 어레이 상의 조도가 검출될 수 있다. 조도는 태양광 어레이의 위치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는 태양광 어레이 중 특정 모서리 영역에만 그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광 어레이의 4 개의 모서리 각각에 조도 센서를 부착하고, 그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 중 최대 조도값을 사용하여 기준 전압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낮은 조도값을 사용하게 되면, 효율이 저하된 태양광 모듈을 감지하는데 분해능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이다. The reference
기준값 설정부(4700)는 기 설정된 기초 기준 전압값을 수신한 태양광 모듈 별 온도값 및 태양광 어레이별 조도값을 사용하여 수정하는 것에 의해, 기준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전압값은 태양광 모듈 진단시 마다 진행될 수 있다. 기초 기준 전압값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기준 상태 즉,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25 ℃, 조도가 1000 W/m2일 때,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일 수 있다. 태양광 모듈 제조사별로 태양광 모듈의 온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과 조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값 설정부(4700)는 기 저장된 해당 태양광 모듈의 태양광 모듈의 온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과 조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을 다음의 수학식 1에 적용하여 기준 전?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reference
[수학식 1][Equation 1]
기준 전압값 = 기초 기준 전압값 * (1+온도의 증감에 따른 전압 증가율) * (1+조도의 증감에 따른 전압 증가율)
Reference voltage value = basic reference voltage value * (1+ voltage increase rate with increasing or decreasing temperature) * (1+ voltage increasing rate with increasing or decreasing luminance)
예를 들어, 기초 기준 전압값이 40 V이고,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60 ℃, 태양광 모듈 상의 조도가 1200 W/m2이고, 태양광 모듈의 온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은 온도가 60 ℃일 때 기초 기준 전압값 대비 20 %가 감소하고, 조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이 5 % 증가한다고 가정한다면,For example, when the base voltage is 40 V,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module is 60 캜, the illuminance of the solar module is 1200 W /
기준 전압값은 40*(1-0.2)*(1+0.05)=33.6V일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value may be 40 * (1-0.2) * (1 + 0.05) = 33.6V.
위와 달리, 해당 태양광 모듈이 위치한 지역의 날짜 및 시간대별 조도에 따른 기준 전압값이 기 저장되고, 진단시 진단 시점에 매칭되는 기준 전압값이 진단에 사용될 수도 있다. 기준 전압값 설정에는 조도 및 온도 중 어느 하나만이 고려될 수도 있다.In contrast to the above,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is stored for the date and time in the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photovoltaic module is located, and the reference voltage value matched at the diagnosis time at diagnosis can be used for diagnosis. Only one of the illuminance and the temperature may be considered for setting the reference voltage value.
온도 만을 고려하는 경우, 기준값 설정부(4700)는 기 저장된 해당 태양광 모듈의 태양광 모듈의 온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을 참고하여 기준 전압값을 산출할 수 있다. 기준값 설정부(4700)의 사용을 위해, 온도 구간별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When only the temperature is considered, the reference
이와 달리, 조도 만을 고려하는 경우, 기 저장된 해당 태양광 모듈의 조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변화 특성을 참고하여 기준 전압값을 산출할 수 있다. 기준값 설정부(4700)의 사용을 위해, 조도 구간별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only the illuminance is considered, the reference voltage value can be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output voltag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the previously stored solar module. For use of the referenc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진단부(44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5의 진단부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Hereinafter, a specific operation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1). 여기서, 제 1 기준값으로서 앞서 본 기준값 설정부(4700)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전압값은 진단부(4400)의 진단시마다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전압값 설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앞서 본 바와 같다. S1101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의 진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6). S1106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 진단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을 변경하고(S1009), 변경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대하여 S1101을 수행할 수 있다. S1106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 진단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모든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7). S1107에서의 판단 결과, 모든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다음 진단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S1108). 이와 달리, S1107에서의 판단 결과, 모든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어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변경된 진단 대상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태양광 모듈에 대하여, 진단부(4400)는 S110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1101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그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예를 들어, 그 태양광 어레이에 12 개의 태양광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 12개 태양광 모듈 전압값의 평균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2). S1101에서의 판단 결과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라도,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고장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이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의 감소가 그늘 또는 오염에 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 전압 저하의 원인이, 고장, 그늘, 오염 중 어느 것인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S1102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그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전체 평균값의 감소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값 이하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11). 감소율은 현재 진단시 사용되는 도 6 상의 정보와 그 정보 수집 직전에 수집된 도 6과 같은 구조의 정보를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감소율 산정에 기준이 되는 단위 시간은 설계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S1111에서의 판단 결과, 제 3 기준값 초과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그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13). 이때, 진단부(4400)는 그 태양광 어레이에 그늘이 발생하였음을 인터페이스부(4500)를 통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와 달리, S1111에서의 판단 결과, 제 3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 대상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12). 이때, 진단부(4400)는 그 태양광 어레이에 오염이 발생하였음을 인터페이스부(4500)를 통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청소가 필요함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그늘이 발생하는 것은 태양광이 구름에 가려지는 경우로, 그에 의한 태양광의 단위 시간 당 감소율은 매우 크다. 이와 달리, 오염이 발생하는 것은 태양광 어레이가 외부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에 의해 태양광 어레이 표면에 누적되는 먼지 등과 같은 입자에 의한 것으로 그에 의한 태양광의 단위 시간 당 감소율은 매우 적다. 그리고, 태양광의 감소는 태양광 모듈 또는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고 단위 시간당 출력 전압의 감소율은 오염 또는 그늘 여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어레이 평균값의 감소율을 사용하여 태양광 어레이에 오염 또는 그늘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S1102, S1111, S1112, S1113을 통하여 태양광 어레이 단위의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S1112 및 S1113에서 오염 또는 그늘로 판단되는 것에 의해, S1101에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진단부(4400)는 그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다른 태양광 모듈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지 않고, 진단 대상 태양광 어레이를 변경하여 진단을 진행할 수 있다(S1107, S1110). 이때, 진단부(4400)는 모든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된 경우라면, 다음 진단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그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의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은 그 태양광 어레이의 전체 평균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일정 주기로 진단이 수행될 때,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의 전체 평균값이 제 1 기준값 이하라는 것은, 그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태양광 모듈 자체의 문제보다는 그 태양광 어레이 전반에 걸친 그늘 및 오염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그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의 전체 평균값을 초과할 때, 다른 태양광 모듈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지 않고, 태양광 어레이 단위로 진단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다른 태양광 모듈에 대한 불필요한 진단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1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S1102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이 그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3). 여기서, 제 1 기준값으로서 앞서 본 기준값 설정부(4700)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전압값은 진단부(4400)의 진단시마다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전압값 설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앞서 본 바와 같다. 여기서, 이웃한다는 의미는, 행과 열로 태양광 모듈의 위치를 표현할 때,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위치를 표현하는 행과 열을 기준으로 행과 열의 차가 모두 “1” 이내인 위치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S1103에서의 판단 결과,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이 모두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14). 이는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은 모두 정상 범위인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값은 정상 범위 밖(제 1 기준값 이하)이므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고장으로 확정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110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module, the
S1103에서의 판단 결과,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모듈이 제 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기 설정된 제 2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4). 이웃하는 2 개의 태양광 모듈이 동시에 고장이 날 확률은 매우 저조하다. 따라서, 이웃하는 2 개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그늘 또는 오염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면 족하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그늘이 발생한 경우 전압 감소율은 크고, 오염이 발생한 경우는 전압 감소율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S1104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제 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오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S1105), 이와 달리, S1104에서의 판단 결과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제 2 기준값 초과인 경우라면,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그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15). 그리고, S1105, S1114, S1115에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진단부(4400)는 그 진단 결과를 인터페이스부(4500)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4500)를 통해 진단부(4400)는, 진단 결과가 고장인 경우 수리를 요청할 수 있고, 진단 결과가 오염인 경우 청소를 요청할 수 있다. S1105, S1114, S1115에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고 모든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진단 대상 태양광 어레이를 변경하고, 그 변경된 태양광 어레이 상의 태양광 모듈에 대하여 S1101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진단부(4400)는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을 변경하여 S1101을 진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1103, 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solar module of the neighboring solar modul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voltage reduction rat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S1104). The probability of two neighboring solar modules failing at the same time is very low. Accordingly, when two or more neighboring solar modules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t is sufficient to judge whether the solar modules to be diagnosed are shaded or contaminated. As mentioned earlier, when the shade is generated, the voltage reduction rate is large, and when the pollution occurs, the voltage reduction rate may be small.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4 that the voltage reduction rat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 별 및/또는 태양광 모듈 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태양광 어레이 및/또는 태양광 모듈 별 진단 결과는 데이터베이스부(45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의 프로세스는 그 전체 또는 그 일부로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11, S1112, S1113이 생략된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S111, S1112, S1113이 생략되더라도 태양광 모듈 단위의 진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태양광 어레이 전체에 대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S1102 단계에서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103, S1104, S1105, S1114, S1115가 생략된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S1102에서의 판단 결과, 전체 평균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으로 고장, 그늘, 오염 여부가 진단되는 것은 아니며, 운영자가 직접 해당 태양광 모듈을 검침하는 것에 의해 진단 대상 모듈의 출력값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diagnosis for each solar array and / or for each solar module. The diagnostic result for each solar array and / or photovoltaic module may be stored in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의 효율 저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계통에 불량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태양광 어레이를 계통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fficiency deterioration of the solar array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solar array can be separated from the system in order to prevent the faulty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효율 저하의 원인을 고장, 그늘, 오염으로 구분하여 운영자에게 알리는 것에 의해 운영자가 즉각 효율 저하가 발생한 특정 모듈에 대하여 수리, 교체, 청소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ause of the efficiency reduction of the photovoltaic module into faults, shadows, and dirts and informs the operator that the operator immediately takes measures such as repair, replacement, and cleaning .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와 지그비 모듈을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지그비 모듈의 별도 설치에 의한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태양광 어레이와 지그비 모듈을 일체로 형성하면 태양광 어레이의 설치 위치에 따라 태양광 어레이에 대응하는 지그비 모듈의 식별 번호(또는, 태양광 어레이 식별 번호)는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어레이의 설치 후 지그비 모듈의 식별 번호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어레이와 지그비 모듈을 일체로 생산하더라도 무선으로 지그비 모듈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태양광 어레이 배면에 위치한 지그비 모듈의 설정에 따른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ar array and the ZigBee module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installing the ZigBee module separately. When the solar array and the ZigBee module are integrally formed,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solar array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ZigBe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olar array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lar arr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ZigBee module after installation of the solar arra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ZigBee module to be set wirelessly even if the solar array and the ZigBee module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ereby avoiding the troublesomeness associated with the setting of the ZigBee module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array.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에 대한 전?값을 하나의 패킷으로 취합하여 중앙 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패킷 송수신에 따른 지그비 모듈과 중앙 관리부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oad on the ZigBee module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by collecting the values of the plurality of solar modules as one packet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본 발명은 일조량 및 태양광 모듈의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태양광 모듈을 진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diagnose a solar modul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sunshin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ar modul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appended claim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0a, 1000b, 1000c: 태양광 어레이
1100: 태양광 모듈
1200: 지그비 모듈
1210: 통신부
1220: 전압 측정부
1230: 전압값 제공부
1240: 설정부
1250: 저장부
1260: 누설전류 제공부
2000: DC 접속반
3000: 인버터
4000: 중앙 관리부
4100: 통신부
420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4300: 어레이 관리부
4400: 진단부
4500: 인터페이스부
4600: 데이터베이스부
4700: 기준값 설정부
5000: 통신망
6000a, 6000b, 6000c: 스위칭부1000a, 1000b, 1000c: solar array
1100: Photovoltaic module
1200: ZigBee module
1210:
1220: voltage measuring unit
1230:
1240: Setting unit
1250:
1260: Leakage current supply
2000: DC connection board
3000: Inverter
4000: Central Management Department
4100:
4200:
4300:
4400:
4500: Interface part
4600:
4700: Reference value setting section
5000: Network
6000a, 6000b, 6000c:
Claims (8)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 모듈 각각에 대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부-상기 진단부는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포함된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 및
외부 환경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In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solar module monitoring function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 diagnostic unit for performing diagnosis for each of at least one solar module included in the solar array;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whether a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ncluded in the solar array is below a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a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ing that the diagnostic target solar module is abnormal if the voltage value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total solar array array; And
And a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And determines that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is norm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exceeds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진단 대상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의 전체 평균값 이하이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 모두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Wherein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less than a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diagnostic module,
When the voltage value of all the solar modules adjacent to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is malfunctioning.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제 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Wherein a voltag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solar modules adjacent to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en the voltage reduction rat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contamination has occurred in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 감소율이 상기 제 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 그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When the voltage reduction rat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a shadow has occurred in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이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의 감소율이 제 3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exceeds the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When the reduction rate of the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contamination has occurred in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solar module to be diagnosed.
상기 진단부는,
상기 태양광 어레이 전체 평균값의 감소율이 상기 제 3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이 포함된 태양광 어레이에 그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When the reduction rate of the total average value of the solar array exceeds the thir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a shadow has occurred in the solar array including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상기 기준값 설정부는,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에서의 온도 및 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진단 대상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전압 특성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set us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the illuminance in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and the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 of the diagnosis target solar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3317A KR20140127930A (en) | 2013-03-28 | 2013-03-28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3317A KR20140127930A (en) | 2013-03-28 | 2013-03-28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7930A true KR20140127930A (en) | 2014-11-05 |
Family
ID=5245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33317A KR20140127930A (en) | 2013-03-28 | 2013-03-28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7930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11879A (en) * | 2015-01-19 | 2016-07-27 | Ls产电株式会社 | Photovoltaic device |
KR101647345B1 (en) * | 2016-03-15 | 2016-08-10 | ㈜코리아에너텍 |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unlight with monitoring function |
WO2019163414A1 (en) * | 2018-02-20 | 2019-08-29 | 太陽誘電株式会社 | Solar power generation failure determination device, solar power generation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
KR20200038210A (en) * | 2020-03-25 | 2020-04-10 |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 Solar module panel cleaning apparatus |
KR20200102619A (en) * | 2019-02-21 | 2020-09-01 | 주식회사 알티엠테크 | Monitoring system for solar module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ame |
KR102497676B1 (en) * | 2022-07-19 | 2023-02-08 | (주) 탐진씨앤에스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lar monitoring syst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01807A (en) * | 1997-10-23 | 2009-01-08 | Sumitomo Chemical Co Ltd | Conjugated polymer |
KR20090002295A (en) * | 2007-06-26 | 2009-01-09 | 대한전선 주식회사 | Integrated operation and po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olar power plant |
JP2010238265A (en) * | 2010-07-29 | 2010-10-21 | Daihen Corp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ontroller |
KR20110133696A (en) * | 2010-06-07 | 2011-12-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ault diagnosis device and fault diagnosis method of solar power system |
KR20120065830A (en) * | 2010-12-13 | 2012-06-21 | (주)청파이엠티 | Smart solar generation system |
KR101245827B1 (en) * | 2012-03-05 | 2013-03-20 | 이길송 | Diagnostic apparatus for shadow and defect of pv module using mic |
-
2013
- 2013-03-28 KR KR20130033317A patent/KR2014012793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01807A (en) * | 1997-10-23 | 2009-01-08 | Sumitomo Chemical Co Ltd | Conjugated polymer |
KR20090002295A (en) * | 2007-06-26 | 2009-01-09 | 대한전선 주식회사 | Integrated operation and po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olar power plant |
KR20110133696A (en) * | 2010-06-07 | 2011-12-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Fault diagnosis device and fault diagnosis method of solar power system |
JP2010238265A (en) * | 2010-07-29 | 2010-10-21 | Daihen Corp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ontroller |
KR20120065830A (en) * | 2010-12-13 | 2012-06-21 | (주)청파이엠티 | Smart solar generation system |
KR101245827B1 (en) * | 2012-03-05 | 2013-03-20 | 이길송 | Diagnostic apparatus for shadow and defect of pv module using mic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11879A (en) * | 2015-01-19 | 2016-07-27 | Ls产电株式会社 | Photovoltaic device |
US9882388B2 (en) | 2015-01-19 | 2018-01-30 | Lsis Co., Ltd. | Photovoltaic device |
CN105811879B (en) * | 2015-01-19 | 2018-09-04 | Ls产电株式会社 | Photovoltaic devices |
KR101647345B1 (en) * | 2016-03-15 | 2016-08-10 | ㈜코리아에너텍 |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unlight with monitoring function |
WO2019163414A1 (en) * | 2018-02-20 | 2019-08-29 | 太陽誘電株式会社 | Solar power generation failure determination device, solar power generation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
JPWO2019163414A1 (en) * | 2018-02-20 | 2021-02-04 | 太陽誘電株式会社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ilure judgment devi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ilure judgment method, program |
KR20200102619A (en) * | 2019-02-21 | 2020-09-01 | 주식회사 알티엠테크 | Monitoring system for solar module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ame |
KR20200038210A (en) * | 2020-03-25 | 2020-04-10 |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 Solar module panel cleaning apparatus |
KR102497676B1 (en) * | 2022-07-19 | 2023-02-08 | (주) 탐진씨앤에스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lar monitor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98652B2 (en) |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 |
EP3736866B1 (en) |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 |
US10389300B2 (en) | Photovoltaic system having fault diagnosis apparatus, and fault diagnosis method for photovoltaic system | |
KR20140127930A (en)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1051496B1 (en) | Solar cell modu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ensor network | |
KR101234616B1 (en) | Photo voltaic arra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sensor network | |
KR101245827B1 (en) | Diagnostic apparatus for shadow and defect of pv module using mic | |
KR101257669B1 (en)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 |
KR101257665B1 (en)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 |
KR101297078B1 (en) | Photovoltaic monitoring device that can be default diagnosis each module and method of diagno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 |
KR101516603B1 (en) | A monitoring system of solar photovoltatic based to context-awareness for plug-in type using low power sensor network | |
KR20190066135A (en) | Failure diagnosing system of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 |
KR101304022B1 (en)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1434803B1 (en)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
WO2012125417A1 (en) | Method for detecting underperforming solar wafers in a solar panel or underperforming solar panel in a solar array | |
KR101465764B1 (en)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1424165B1 (en) | System for monitoring a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having a idealized monitoring network circumstance | |
KR101549428B1 (en) | Monitoring apparatus for solar cell modul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257668B1 (en) | Photovoltaic system for individual management of photovoltaic modules using USN | |
EP3046202B1 (en) | Photovoltaic device | |
KR101121622B1 (en) | Display device of each window array for bipv and display method thereof | |
KR101402045B1 (en) | Apparatus for mornitoring a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
KR101395642B1 (en) | System for monitoring a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ble to caculate a degree of pollution of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
KR20240079547A (en) | Smart IoT monitoring terminal system with PV module failure diagnosis and module chang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50624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