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539A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0539A KR20140120539A KR20130036434A KR20130036434A KR20140120539A KR 20140120539 A KR20140120539 A KR 20140120539A KR 20130036434 A KR20130036434 A KR 20130036434A KR 20130036434 A KR20130036434 A KR 20130036434A KR 20140120539 A KR20140120539 A KR 201401205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casing
- buoyancy
- casing
- deck
- lif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3—Hulls built to withstand hydrostatic pressure when fully submerged, e.g. submarine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63B35/4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with adjustable drau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63B2035/405—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for carrying submar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갑판 위에서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 형태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력 케이싱이 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있어서, 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부력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세팅하는 리프팅 장치 세팅 단계;갑판에 고정된 부력 케이싱을 분리하는 부력 케이싱 분리 단계;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레일 조립체를 세팅하는 레일 조립체 세팅 단계;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하강하여, 레일 조립체에 안착시키는 부력 케이싱 하강단계;동력 실린더를 작동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서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동력 실린더 작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부력 케이싱이 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있어서, 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부력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세팅하는 리프팅 장치 세팅 단계;갑판에 고정된 부력 케이싱을 분리하는 부력 케이싱 분리 단계;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레일 조립체를 세팅하는 레일 조립체 세팅 단계;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하강하여, 레일 조립체에 안착시키는 부력 케이싱 하강단계;동력 실린더를 작동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서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동력 실린더 작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적하고자 하는 중량물 형태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무게, 형상, 크기 등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 화물선으로는 상기 화물에 대한 운송이 불가능한데, 이러한 화물(Project Cargo)을 운반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건조된 운반선이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이다.
상기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종류로는 헤비 리프트 바셀(Heavy Lift Vessel), 도크 타입 바셀(Dock Type Vessel) 그리고 오픈 데크 바셀(Open Deck Vessel) 등이 있다.
이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중량물의 안정적인 운반을 위하여,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선체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밸러스트 평형(Ballast balance)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는 밸러스트 평형 측정 장치 즉, 부력 케이싱(buoyancy casing)이 설치된다.
부력 케이싱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carrier)에서 추가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1과 같이 갑판(upper deck) 위 선미 부분에 설치되는 박스형 구조물이다.
이때, 부력 케이싱(10)은 선체의 양측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선미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부력 케이싱(10)은 용접을 통해 갑판 위에 고정이 되며, 부력 케이싱(10)의 저면 테두리 모두가 용접됨으로 인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이용한 중량물 선적 및 하적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10)을 구성하는 밸러스트 물탱크에 물을 주입하여 선체 갑판(20)을 수면 아래로 잠수시킨다.
다음으로, 중량물, 예컨대 반건조선, 해양구조물 등을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갑판 위에 선적시킨다.
이때, 중량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케이싱(10)과 선실(30) 사이에 확보된 공간에 선적된다.
이후, 중량물에 대한 선적 작업이 완료되면, 밸러스트 물탱크를 비워 반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갑판(20)을 바다위로 상승시킨다.
즉, 부력 케이싱(10)의 부력에 의해 잠수된 선체의 갑판(20)이 바다 위로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량물에 대한 적재가 완료되면,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운항하여 목적지로 상기 중량물을 운반시킨다.
이후,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중량물을 하적하기 위하여 부력 케이싱(10)에 물을 채워 반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갑판(20)을 잠수시킨다.
이후, 반잠수된 중량물 운반선으로부터 중량물을 육상으로 하적시킴으로써 중량물에 대한 운반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선미에 부력 케이싱(10)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중량물을 적재하기 위한 갑판(20)의 공간 활용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중량물의 형태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바, 부력 케이싱(10)의 간섭으로 인해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중량물 적재가 필요한 경우에 중량물 적재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물론, 부력 케이싱(10)을 갑판으로부터 떼어내어 부력 케이싱(1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중량물 적재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으나, 부력 케이싱(10)은 저면 테두리 모두가 용접된 상태이므로 갑판(20)으로부터 부력 케이싱(10)을 떼어내는 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갑판의 공간 활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력 케이싱이 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있어서, 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부력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세팅하는 리프팅 장치 세팅 단계;갑판에 고정된 부력 케이싱을 분리하는 부력 케이싱 분리 단계;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제1 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레일 조립체를 세팅하는 레일 조립체 세팅 단계;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하강하여, 레일 조립체에 안착시키는 제1 부력 케이싱 하강단계;동력 실린더를 작동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서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동력 실린더 작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동력 실린더 작동단계 후에는, 부력 케이싱이 목적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목적 위치 판단단계;부력 케이싱이 목적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제2 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부력 케이싱 하방의 레일 조립체를 해체하는 해체 단계;상승된 부력 케이싱을 갑판으로 하강시키는 제2 부력 케이싱 하강단계;갑판에 부력 케이싱을 고정시키는 부력 케이싱 고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 위치 판단단계에서 부력 케이싱이 목적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동력 실린더를 이동하여 레일 조립체에 재결합시키는 동력 실린더 재결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 조립체 세팅 단계는 복수의 레일 유닛을 서로 결합하여 부력 케이싱의 이동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잭 업(Jack-up)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교적 구성이 간소한 잭업 장치를 이용하여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 함으로써, 부력 케이싱을 레일로 옮기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복수의 레일 유닛을 조립하여 부력 케이싱에 대한 이동 경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부력 케이싱 이동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력 케이싱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력 케이싱은 갑판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 서포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갑판에 대한 부력 케이싱의 고정 작업 및 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부력 케이싱과 갑판 간의 고정 면적이 최소화되어 갑판에 대한 부력 케이싱의 탈부착 작업 시간을 줄여 맨아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넷째, 선실을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고,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갑판에 대한 중량물 적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부력 케이싱의 저수 용량을 줄이되, 갑판 위에 저용량의 부력 케이싱을 설치함으로써 선체의 밸런스 유지를 디테일 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주요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주요 장비 중 스키드 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하여 리프팅 장치가 부력 케이싱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 부력 케이싱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 부력 케이싱이 안착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의해 부력 케이싱이 이동되어 배치된 상태의 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주요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주요 장비 중 스키드 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하여 리프팅 장치가 부력 케이싱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 부력 케이싱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 부력 케이싱이 안착된 상태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의해 부력 케이싱이 이동되어 배치된 상태의 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을 위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부력 케이싱을 갑판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 확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와, 선실(30)과,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실(30)은 선원들의 공간 및 운항을 위한 조종실이 구비되며, 선체의 갑판(20)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갑판(20) 위에서의 선실 배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갑판(20)의 적재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으로써, 길이가 긴 중량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은 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갑판(20) 위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부력 케이싱(100)은 평형수를 저장하는 용량을 줄여 크기를 줄이되 복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선체의 균형 유지를 디테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부력 케이싱(100)은 갑판(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는, 부력 케이싱(100)의 저면 전체가 갑판(20)에 용접되었던 종래와는 달리, 부력 케이싱(100)을 갑판(2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갑판(20)에 대한 고정 부위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갑판(20)과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리프팅 장치를 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부력 케이싱(100)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고정 서포트(11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서포트(110)의 높이는 부력 케이싱(100)의 하중 및 높이 등을 고려하여 대략 60 ~ 80cm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서포트(110)는 갑판(2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거나 볼팅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력 케이싱(100)의 저면에는 부력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기초부재(120)가 설치된다.
기초부재(120)는 후술하는 스키드 롤러의 결합핀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상기 기초부재(120)에는 결합핀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비는 리프팅 장치(200)와, 레일 조립체(300)와, 스키드 롤러(400)와, 동력 실린더(500)로 구성된다.
리프팅 장치(200)는 부력 케이싱(100)을 갑판(20)으로부터 상승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복수로 배치된다.
이때, 리프팅 장치(200)는 잭업(jack-up) 장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8개 정도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레일 조립체(300)는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갑판 (20)위에 설치된다.
이때. 레일 조립체(300)는 복수의 레일 유닛이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레일 유닛의 결합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키드 롤러(400)는 구름 작용을 통해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 레일 조립체(300)에 설치된다.
스키드 롤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0)와, 구름부재(420)와, 회전판(430)을 포함한다.
몸체(410)는 부력 케이싱(100)을 실어 나르는 부위이며, 레일 조립체(30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몸체(410)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동력 실린더(5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411)가 형성된다.
구름부재(420)는 레일 조립체(300)를 따라 몸체(4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름 역할을 하며, 몸체(41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름부재(420)는 레일 조립체(300)로부터 몸체(4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퀴(421)와, 레일 조립체(300)를 따라 구름되면서 몸체(410)를 주행시키는 주행 바퀴(422)로 구성된다.
가이드 바퀴(421)는 몸체(410)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 조립체(300)의 측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축 결합된다.
주행 바퀴(422)는 몸체(410)의 하부에 복수로 설치되며, 레일 조립체(300)의 상면을 따라 구름되도록 설치된다.
즉, 가이드 바퀴(421)는 레일 조립체(30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축 결합되며, 주행 바퀴(422)는 레일 조립체(3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축 결합되는 것이다.
회전판(430)은 부력 케이싱(100)이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부위이며, 몸체(4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판(430)에는 복수의 결합핀(431)이 형성된다.
결합핀(431)은 부력 케이싱(100)의 기초부재(120)에 형성된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구성이며, 회전판(4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을 향해 설치된다.
즉, 부력 케이싱(100)이 회전판(43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이 기초부재(120)의 삽입홈(121)에 삽입됨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시 안정감 있는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결합핀(431)은 회전판(4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판(430)은 몸체(410)의 상부에 축 결합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된다.
이는, 고정되어 있는 기초부재(120)에 대하여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된 기초부재(120)의 삽입홈(121)에 대하여 회전판(43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이 삽입홈(12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동력 실린더(500)는 레일 조립체(300) 상에서 스키드 롤러(400)를 밀거나 당기면서 스키드 롤러(400)에 안착된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의 일단부는 레일 조립체(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력 실린더(500)의 타단부는 스키드 롤러(400)의 결합부(4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의 타단부라 함은 피스톤 로드의 단부를 말한다.
즉,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몸체에 출입되면서 스키드 롤러(4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에서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비들을 보관장소로부터 이동하고자하는 부력 케이싱(100)의 일측으로 운반시킨다.
상기 장비들은 모두 각각 유닛들로 제공된 상태이므로, 평상시에는 별도의 보관 장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력 케이싱(100)을 이동할 경우에만 부력 케이싱 (100)주위로 운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리프팅 장치(200) 즉, 잭업 장치를 배치시킨다.(S10)
이때, 부력 케이싱(100)은 고정 서포트(110)에 의해 갑판(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잭업 장치(200)의 배치는 큰 무리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갑판(20) 위에 고정된 고정서포트(110)를 갑판으로부터 분리시킨다.(S20)
이는, 부력 케이싱(100)을 갑판(20)으로부터 리프팅 시키기 위함으로써, 볼트를 풀어내거나 용접부위를 해제시킴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갑판(20)에 고정된 부위의 면적이 적기 때문에, 부력 케이싱(100)에 대한 분리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유압장치(Hydraulic power unit)를 작동하여 복수의 잭업 장치(200)로 하여금 부력 케이싱(100)을 들어올리는 제1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를 수행한다.(S30)
이때, 부력 케이싱(100)의 하중이 각각의 잭업 장치(200)에 분산될 수 있도록, 잭업 장치(200)의 높이를 수시로 체크하여 유압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 갑판(20)에 레일 조립체(300)를 고정시킨다.(S40)
이때, 작업자는 미리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 경로를 정하여 복수의 레일 유닛들을 이동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조립체(300) 위에 복수의 스키드 롤러(400)를 결합시킨다.(S40)
이때, 스키드 롤러(400)는 레일 조립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8개 정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 롤러(400)의 가이드 바퀴(421)는 레일 조립체(300)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주행 바퀴(422)는 레일 조립체(300)의 상면에 밀착이 된다.
다음으로, 동력 실린더(500)를 레일 조립체(300)에 결합시킨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의 일단부는 레일 조립체(300)에 결합이 되고, 동력 실린더(500)의 타단부는 스키드 롤러(400)의 결합부(411)에 결합이 된다.
이때, 동력 실린더(500)를 모든 스키드 롤러(400)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부력 케이싱(100)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동력 실린더(5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정도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을 들어올리고 있던 잭업 장치(200)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100)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제1부력 케이싱 하강단계를 수행한다.(S50)
이때, 부력 케이싱(100)은 하방에 배치된 스키드 롤러(400)의 회전판(430)에 안착이 되는데, 회전판(430)의 결합핀(4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120)의 삽입홈(121)에 삽입이 된다.
이에 따라, 부력 케이싱(100)은 스키드 롤러(400) 상에서 큰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배치된 잭업 장치(200)를 외측으로 빼낸다.
다음으로, 유압장치를 작동하여 동력 실린더(500)로 하여금 스키드 롤러(400)를 밀어낸다.(S60)
이에 따라, 스키드 롤러(400)는 레일 조립체(300)를 따라 구름되며, 스키드 롤러(400)에 안착된 부력 케이싱(100)은 동력 실린더(500)의 피스톤 로드의 인출 길이만큼 이동을 하게 된다.
이후, 동력실린더(500)의 작동에 의해 이동된 부력 케이싱(100)의 위치가 목적하는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목적 위치 판단단계를 수행한다.(S70)
이때, 부력 케이싱(100)의 위치가 목적하는 위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레일 조립체(300)로부터 동력 실린더(500)를 분리시킨 후, 스키드 롤러(400)가 이동된 위치의 레일 조립체(300) 위에 재결합시킨다.(S80)
이때, 동력실린더(500)는 스키드 롤러(400)의 결합부(411) 및 레일 조립체(3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이므로,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무리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부력 케이싱(100)을 목적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한편, 목적하는 위치에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복수의 잭업 장치(200)를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배치시킨 후, 잭업 장치(200)로 하여금 부력 케이싱(10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제2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를 수행한다.(S90)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의 하방에 배치된 레일 조립체(300) 및 스키드 롤러(400) 등의 장비를 해체시킨다.(S100)
다음으로, 잭업 장치(200)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100)을 서서히 하강시키는 제2부력 케이싱 하강 단계를 수행한다.(S110)
다음으로, 부력 케이싱(100)의 고정 서포트(110)가 갑판(20) 위에 닿으면,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부력 케이싱(100)의 이동이 완료된다.(S120)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갑판 위의 모든 부력 케이싱(100)은 다른 위치로 이동이 될 수 있으며, 그들의 배치는 갑판(20) 위에 선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부력 케이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선적되는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갑판의 적재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부력 케이싱 110 : 고정 서포트
120 : 기초부재 121 : 삽입홈
200 : 리프팅 장치 300 : 레일 조립체
400 : 스키드 롤러 410 : 몸체
411 : 결합부 420 : 구름부재
421 : 가이드 바퀴 422 : 주행바퀴
430 : 회전판 431 : 결합핀
500 : 동력 실린더
120 : 기초부재 121 : 삽입홈
200 : 리프팅 장치 300 : 레일 조립체
400 : 스키드 롤러 410 : 몸체
411 : 결합부 420 : 구름부재
421 : 가이드 바퀴 422 : 주행바퀴
430 : 회전판 431 : 결합핀
500 : 동력 실린더
Claims (5)
- 부력 케이싱이 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에 있어서,
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부력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세팅하는 리프팅 장치 세팅 단계;
갑판에 고정된 부력 케이싱을 분리하는 부력 케이싱 분리 단계;
부력 케이싱의 하방에 배치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제1 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
부력 케이싱의 하방 갑판에 레일 조립체를 세팅하는 레일 조립체 세팅 단계;
리프팅 장치를 이용해 부력 케이싱을 하강하여, 레일 조립체에 안착시키는 제1 부력 케이싱 하강단계;
동력 실린더를 작동하여 레일 조립체 위에서 부력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동력 실린더 작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실린더 작동단계 후에는,
부력 케이싱이 목적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목적 위치 판단단계;
부력 케이싱이 목적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력 케이싱을 리프팅하는 제2 부력 케이싱 리프팅 단계;
부력 케이싱 하방의 레일 조립체를 해체하는 해체 단계;
상승된 부력 케이싱을 갑판으로 하강시키는 제2 부력 케이싱 하강단계;
갑판에 부력 케이싱을 고정시키는 부력 케이싱 고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위치 판단단계에서 부력 케이싱이 목적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동력 실린더를 이동하여 레일 조립체에 재결합시키는 동력 실린더 재결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조립체 세팅 단계는 복수의 레일 유닛을 서로 결합하여 부력 케이싱의 이동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잭 업(Jack-up)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6434A KR101466888B1 (ko) | 2013-04-03 | 2013-04-03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6434A KR101466888B1 (ko) | 2013-04-03 | 2013-04-03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539A true KR20140120539A (ko) | 2014-10-14 |
KR101466888B1 KR101466888B1 (ko) | 2014-12-01 |
Family
ID=5199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6434A KR101466888B1 (ko) | 2013-04-03 | 2013-04-03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68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74977A1 (en) * | 2016-10-19 | 2018-04-26 | Ame2 Pte Ltd |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mobile dock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removal, installation, housing and transferring asset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8103108A (nl) * | 1981-06-26 | 1983-01-17 | Wijsmuller Bv | Transportschip. |
DE8436853U1 (de) * | 1984-12-17 | 1985-05-09 |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4200 Oberhausen | Schwimmdock mit Auftriebskästen |
KR20100051452A (ko) * | 2008-11-07 | 2010-05-17 | 주식회사 에버텍 | 중량물 이송장치 |
-
2013
- 2013-04-03 KR KR1020130036434A patent/KR10146688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74977A1 (en) * | 2016-10-19 | 2018-04-26 | Ame2 Pte Ltd |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mobile dock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removal, installation, housing and transferring assets |
CN109952246A (zh) * | 2016-10-19 | 2019-06-28 | 艾米海事环境能源私人有限公司 | 对用于运输、移除、装配、容置和转移资产的移动式停驻设备再配置的系统和方法 |
CN114684330A (zh) * | 2016-10-19 | 2022-07-01 | 艾米海事环境能源私人有限公司 | 可再配置的移动式停驻设备及操作移动式停驻设备的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6888B1 (ko) | 2014-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29141B1 (en) | Self-propelled jack-up vessel | |
WO2012066789A1 (ja) |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 |
FI114306B (fi) |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 |
KR101865164B1 (ko) |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 |
JP2013029101A (ja) | 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方法およ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バージ | |
CN104936885A (zh) | 在多甲板纯汽车/卡车运输船(pctc)上举升承载汽车/卡车的甲板面板的方法和设备 | |
CN102356021B (zh) | 用于装载和运输大结构的滑靴组件 | |
AU2018360932B2 (en) | Modular multipurpose offshore operation platform, integrated work platform, and transportation method | |
JP5306837B2 (ja) | 腹盤木及び船舶の支持方法 | |
KR101459618B1 (ko)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 |
KR101466888B1 (ko) |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 |
EP3601141A1 (en) | A lifting device | |
AU2012100144A4 (en) | Hyperbaric lifeboat recovery system | |
AU2010216206B2 (en) |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 |
EP3674199A1 (en) | Decommissioning of offshore structures | |
KR101186257B1 (ko) |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 |
KR101717973B1 (ko) |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 |
CN105109632A (zh) | 一种定点浮式的起重施工平台 | |
CN204916101U (zh) | 一种定点浮式的起重施工平台 | |
KR102021981B1 (ko) | 분리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 |
KR101255683B1 (ko) | 부유식 크레인 | |
KR101499162B1 (ko) |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 |
KR102022097B1 (ko) | 일체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및 상기 선양장에서의 도킹방법 | |
KR101732607B1 (ko) | 해양 구조물용 운반선 | |
KR20170030200A (ko) |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