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7780A -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780A
KR20140107780A KR1020130021752A KR20130021752A KR20140107780A KR 20140107780 A KR20140107780 A KR 20140107780A KR 1020130021752 A KR1020130021752 A KR 1020130021752A KR 20130021752 A KR20130021752 A KR 20130021752A KR 20140107780 A KR20140107780 A KR 2014010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switch
groove
pen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780A/ko
Priority to US14/162,003 priority patent/US9372554B2/en
Publication of KR2014010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의 전자펜 결합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형성되는 전자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 결합하는 전자펜으로, 상기 휴대 장치에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펜촉부; 및 상기 펜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펜 결합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펜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ELECTRONIC PEN, ELECTRONIC PEN CONNECTING STRUCTURE COMBINED WITH THE ELECTRONIC PEN THEREOF AND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NIC PEN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의 전자펜 결합부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휴대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지원 등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고,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휴대성 및 편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펜은 다양화된 휴대 장치의 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휴대 장치는 전자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에 따라 휴대 장치의 각종 기능을 제어한다.
전자펜 입력을 통한 휴대 장치의 제어가 일반화됨에 따라, 최근 휴대 장치에는 전자펜 분실 방지를 위하여 휴대 장치에 펜을 결합할 수 있도록 전자펜 결합부가 구비된다. 휴대 장치에서 결합되는 전자펜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현재에는 분실 방지를 위해서만 사용될 뿐,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사례는 없다.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결합가능한 전자펜으로써, 휴대 장치의 전자펜 결합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전자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펜 결합부에 전자펜의 홈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펜의 홈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온/오프됨에 따라 제어되는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은, 휴대 장치에 형성되는 전자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 결합하는 전자펜으로, 상기 휴대 장치에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펜촉부, 및 상기 펜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펜 결합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펜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펜대부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서로 다른 둘레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둘레 길이는, 일정한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오프로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온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대부는, 상기 전자펜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하고, 나머지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대부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휴대 장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부는, 조그 다이얼, 조그 셔틀, 조그 휠 및 다이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오프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수 및 온으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수에 따른 온/오프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는,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로, 상기 전자펜을 수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는 경우 오프로 제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는 경우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결합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둘레와 접촉함으로써 온으로 제어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전자펜과 결합하는 휴대 장치로써, 상기 전자펜을 수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자펜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는 경우 오프로 제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는 경우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결합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둘레와 접촉함으로써 온으로 제어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스위치가 오프로 제어되는 경우, 다른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는, 휴대 장치의 외부에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추가하지 않고 전자펜 결합부에 결합되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는 분실 방지용으로만 사용되던 전자펜을 휴대 장치 제어를 위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의 몸통부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이 전자펜 결합부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펜 및 전자펜과 결합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펜과 결합하는 휴대 장치로써,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노트 패드(Note Pad), 와이브로(Wibro) 단말, 타블렛 PC(Tablet PC) 등의 일반적인 전자 단말뿐만 아니라, 펜을 탈부착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00)의 측면도이다. 전자펜(100)은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정전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펜(10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2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00)은 펜촉부(110) 및 펜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펜촉부(110) 내부에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에는 전자펜(110)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저항,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펜촉부(110)의 일단에는 펜촉(111)이 형성된다. 펜촉(111)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주변에 형성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펜촉(111)은 펜촉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펜촉(111)은 전자 장치(300)와 접촉하여 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자 장치(300)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한다.
펜촉부(110)의 다른 일단에는 펜대부(120)가 연결된다.
펜대부(120)에는 전자펜(10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주파수, 세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버튼(121)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121)은 내부 회로의 저항, 캐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와 결합하여, 버튼(121)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속성을 변화시키도록 한다.
펜대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홈(122)은 전자펜 결합부(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55)(도 4에 도시됨)를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홈(122)은 펜대부(120)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홈(122) 각각은 펜대부(120)의 서로 다른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00)의 펜대부(120)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펜대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a, 122b, 122c, 122d)이 형성된다. 각각의 홈은 제1 홈(122a),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으로 명명된다. 적어도 하나의 홈(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대부(120)에서 서로 다른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홈(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둘레 길이를 갖는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홈(122)의 둘레 길이는 일정한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홈(122)의 둘레 길이는, 1:2:3:4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가장 긴 둘레 길이를 갖는 홈,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4 홈(122d)의 둘레 길이는, 펜대부(120)의 전체 둘레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펜대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을 이용하여 전자펜 결합부(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55)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펜대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을 통하여 스위치의 버튼을 수용함으로써, 스위치의 버튼이 푸쉬되지 않도록 하여 오프로 제어한다. 또한, 펜대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를 통해 스위치의 버튼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치의 버튼을 푸쉬하여 온으로 제어한다.
적어도 하나의 홈(122)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55)는 서로 다른 둘레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하여 다양한 온/오프 조합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55)는 서로 다른 둘레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하여 온으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개수 및 오프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영역(10)은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나타낸다. 제1 영역(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해 수용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므로, 온으로 제어된다.
제2 영역(20)은 제4 홈(122d)만 형성된 영역을 나타낸다. 제2 영역(2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중 제4 홈(122d)에 대응하는 하나의 스위치만 제4 홈(122d)에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여 온으로 제어된다.
제3 영역(30)은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이 형성된 영역을 나타낸다. 제3 영역(3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중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에 대응하는 두 개의 스위치만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에 각각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여 온으로 제어된다.
제4 영역(40)은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이 형성된 영역을 나타낸다. 제4 영역(4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중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에 각각 대응하는 세 개의 스위치만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에 각각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온으로 제어된다.
제5 영역(50)은 제1 홈(122a),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이 모두 형성된 영역을 나타낸다. 제5 영역(50)에서는 제1 홈(122a),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에 각각 대응하는 스위치가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된다.
전자펜(100)은 전자펜 결합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전자펜 결합부(200)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전자펜 결합부(200)의 회전에 따라 제1 영역(10) 내지 제5 영역(50) 중 어느 한 영역에 따른 온/오프 조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대응하지 않는 보조 스위치(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스위치(255)는 전자펜(1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해 수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자펜(100)이 전자펜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보조 스위치(225)는 항상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펜 결합부(200)는 보조 스위치(225)를 통하여, 전자펜(100)이 전자펜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보조 스위치(255)가 온으로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중 어느 하나가 온으로 제어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각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에 대한 온/오프 조합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제3 스위치 제4 스위치 보조 스위치
제1 영역
제2 영역 오프
제3 영역 오프 오프
제4 영역 오프 오프 오프
제5 영역 오프 오프 오프 오프
펜대부(120)의 일단에는 다이얼부(123)가 형성된다. 다이얼부(123)는 전자펜(100)이 전자펜 결합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돕는다. 다이얼부(123)는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 조그 셔틀, 조그 휠, 스크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이얼부(123)에는 회전하는 다이얼부(123)가 특정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00)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이얼부(123)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의 온/오프 조합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인디케이터 1은 도 2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되지 않아 모든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는 제1 영역(1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의 인디케이터 2는 제4 홈(122d)만 형성되어 제4 홈(122d)에 대응하는 스위치만 오프로 제어되는 제2 영역(20)을 나타낼 수 있다. 인디케이터 3은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이 형성되어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에 대응하는 스위치만 오프로 제어되는 제3 영역(30)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인디케이터 4는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이 형성된 제4 영역(40)을 나타내고, 인디케이터 5는 제1 홈(122a), 제2 홈(122b), 제3 홈(122c) 및 제4 홈(122d)이 모두 형성된 제5 영역(50)을 나타낼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인디케이터를 통해 원하는 온/오프 조합 상태로 전자펜(100)을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인디케이터가 숫자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디케이터는 텍스트, 그림, 아이콘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펜(100)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200)는 결합부(210), 스위치부(220) 및 메인 보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전자펜(11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210)는 일단 또는 양단이 개방되어 전자펜(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단을 통하여 전자펜(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부(210)의 하단이 개방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5에서는 결합부(210)의 측면이 모든 방향에서 폐쇄된 형태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결합부(210)의 임의의 측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전자펜(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스위치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택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택트 스위치는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이 푸쉬되면 온 상태로 제어되고, 버튼이 푸쉬되지 않으면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택트 스위치의 버튼은 결합부(12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버튼은 결합부(120)에 결합된 전자펜(100)에 접촉하여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버튼은 전자펜(1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해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택트 스위치의 버튼은 결합부(210)를 통해 결합되는 전자펜(100)의 홈(122)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택트 스위치의 버튼이 전자펜(100)의 홈(122)에 수용되는 경우, 버튼은 푸쉬되지 않고 택트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반면, 택트 스위치의 버튼이 전자펜(100)의 홈(122)에 수용되지 않는 경우, 즉 택트 스위치가 홈(122)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부(120)에 접촉하는 경우, 택트 스위치의 버튼이 푸쉬되고, 택트 스위치는 온 상태로 제어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일부가 온으로 제어되고, 나머지 일부는 오프로 제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전자펜(100)의 회전에 의하여, 온으로 제어되는 스위치 수 및 오프로 제어되는 스위치 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 수에 따른 온/오프 조합의 예에 대하여는 전자펜(100)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전자펜(100)이 결합부(210)에 수용됨에 따라 전자펜(100)의 둘레와 접촉함으로써 온으로 제어되는 보조 스위치(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스위치(255)는 전자펜(1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홈(122)에 의해 수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자펜(100)이 전자펜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보조 스위치(225)는 항상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펜 결합부(200)는 보조 스위치(225)를 통하여, 전자펜(100)이 전자펜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보조 스위치(255)가 온으로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중 어느 하나가 온으로 제어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스위치부(2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는 메인 보드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보드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의 온/오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메인 보드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21, 222, 223, 224, 225) 각각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전자펜 결합부(2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는 표시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는 카메라(320), 음향 출력부(330), 음성 입력부(340), 홈버튼(35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310)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정전압 방식의 전자펜(100)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310)는 입력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표시부(310)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변화를 통하여 전자펜(100)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230)를 통하여 입력을 발생시키는 전자펜(1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펜(100)과 동일할 수 있다.
카메라(32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30)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형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음성,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홈버튼(350)은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그 스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홈버튼(350)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이나, 휴대 장치(300) 내의 특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에는 전자펜(100)과 결합할 수 있는 전자펜 결합부(360)가 구비된다. 전자펜 결합부(360)는 전자펜(100)이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부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결합부를 통하여 결합된 전자펜(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홀에 의해 수용되는 경우에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홀에 의해 수용되지 않는 경우, 즉, 전자펜(100)의 홀이 아닌 둘레에 접촉하는 경우 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온/오프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3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전자 장치(300)에 구비되는 전자펜 결합부(360)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펜 결합부(36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입력부(410), 전자펜 감지부(420), 제어부(430), 저장부(440) 및 표시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430)로 전달한다. 입력부(41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410)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전자기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410)는 패드 상에 센서가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패널 형태로 결합된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10)는 전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또는 EMI(Eletro Magnetic Interferenc) 방식의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410)는 후술할 표시부(45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입력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1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입력 패드를 포함하고 표시부(450)와 결합된 TSP(Touch Screen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5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입력부(410)는 터치 스크린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전자펜 감지부(420)는 전자펜(100) 감지부(420)는 전자펜(100)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부 및 결합부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전자펜(100)이 결합부로 수용됨에 따라 전자펜(100)의 둘레와 접촉하여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자펜 감지부(420)는 보조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됨에 따라 전자펜(100)이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펜 감지부(420)는 전자펜(1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가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전자펜 감지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전자펜(100)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가 접촉함으로써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펜 감지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전자펜 감지부(4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휴대 장치(4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휴대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자펜 감지부(420)로부터 보조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지 않은 상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430)는 나머지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제어 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휴대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하여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430)는 전자펜 감지부(430)를 통하여 감지된 전자펜(100)에 의한 스위치 제어 상태에 따라 휴대 장치(4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3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440)는 휴대 장치(400)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440)는 전자펜 감지부(42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휴대 장치(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450)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입력부(410) 및 센서부(12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는 표시부(450)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장치(4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430)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510).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430)는 잠금 모드, 대기 모드, 슬립 모드로 동작하거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구동 중일 수 있다. 제어부(430)는 대기 상태에서 잠금 화면,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30)는 전자펜(100)에 의한 휴대 장치(400)의 제어 설정 요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20).
제어부(430)는 입력부(410)를 통하여 감지된 입력에 따라, 전자펜(100)에 의한 제어 설정 요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설정 요청은 설정을 위한 메뉴 또는 아이콘 등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설정 요청은 휴대 장치(400)에 구비되는 퀵 버튼 또는 리셋 버튼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제어 동작 설정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어 동작을 설정한다(530).
제어부(430)는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설정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표시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온/오프 조합에 대한 목록 및 각각의 온/오프 조합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제어 동작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표시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온/오프 조합은 표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제어 동작의 목록은 휴대 장치(400)에서 제공되는 기능,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어 동작의 목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모드, 기능, 서비스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30)는 휴대 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제어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동작의 디폴트값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디폴트값은 휴대 장치(40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 동작 설정 요청이 리셋 버튼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제어부(430)는 제어 동작을 디폴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4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에 의한 제어 동작의 온/오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온/오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표시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온/오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화면, 대기 화면 또는 표시부(450) 상의 상단 커튼 GUI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30)는 전자펜(200)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40).
제어부(430)는 보조 스위치가 온으로 제어되었는지를 기초로 전자펜(100)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조 스위치는, 전자펜 감지부(420)의 결합부로 전자펜(100)이 결합하여, 전자펜(100)의 둘레에 보조 스위치가 접촉됨으로써 온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펜(100)의 결합 감지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전자펜(100)의 결합에 따라 통화 기능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전자펜(100)으로 입력한 후, 휴대 장치(400)에 전자펜(100)을 결합하는 경우, 제어부(430)는 입력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하도록 통화 기능을 구동할 수 있다.
전자펜(100)이 결합되지 않았으면, 제어부(430)는 대기 상태로 회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전자펜(100)이 결합하면,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를 판단한다(550).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각각에 대하여 전자펜(100)의 홈에 수용되어 오프로 제어되는지 또는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여 온으로 제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전자펜(100)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의 수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30)는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560).
제어 동작은 상술한 과정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휴대 장치(40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30)는 현재 구동 중이거나 구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메모 애플리케이션, 문자 애플리케이션 또는 SNS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파일 첨부, 이모티콘 추가,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30)는 통화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음소거, 스피커 폰, 영상 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동영상 모드 변경, 필터 적용, 오토 포커싱, 타이머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계산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에 따라 일반 계산기 및 공학 계산기 간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30)는 전자펜(100)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경우, 연속적인 변화를 기초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 상태의 연속적 변화를 기초로 전자펜(1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제어부(43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제어부(43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카메라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문서 또는 이미지 뷰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제어부(430)는 회전 방향에 따라 표시된 화면의 확대/축소를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방송 재생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 제어부(430)는 회전 방향 또는 회전 후의 자기장 레벨에 따라 볼륨 제어, 재생 파일 선택, 빨리 감기/되감기 제어, 재생 속도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430)는 전자펜(100)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70).
제어부(430)는 전자펜 감지부(420)를 통하여 모든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전자펜(100)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만약, 전자펜(100) 분리에 대응하는 동작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43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퀵 메모 기능 수행, 이미지 또는 사진의 편집 모드 진입 등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펜 110: 펜촉부
120: 펜대부 200: 전자펜 결합부
210: 결합부 220: 스위치부
230: 메인 보드부 300: 휴대 장치
310: 표시부 320: 카메라
330: 음향 출력부 340: 음성 입력부
350: 홈버튼 360: 전자펜 결합부

Claims (19)

  1. 휴대 장치에 형성되는 전자펜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 결합하는 전자펜으로,
    상기 휴대 장치에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키는 펜촉부; 및
    상기 펜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펜 결합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펜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펜대부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서로 다른 둘레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둘레 길이는,
    일정한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오프로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온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부는,
    상기 전자펜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하고, 나머지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대부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휴대 장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조그 다이얼, 조그 셔틀, 조그 휠 및 다이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오프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수 및 온으로 제어되는 스위치의 수에 따른 온/오프 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10.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로,
    상기 전자펜을 수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결합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결합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는 경우 오프로 제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는 경우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결합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결합부.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결합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둘레와 접촉함으로써 온으로 제어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결합부.
  15. 전자펜과 결합하는 휴대 장치로써,
    상기 전자펜을 수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자펜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는 경우 오프로 제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하는 경우 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결합부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둘레와 접촉함으로써 온으로 제어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스위치가 오프로 제어되는 경우, 다른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KR1020130021752A 2013-02-28 2013-02-28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KR20140107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52A KR20140107780A (ko) 2013-02-28 2013-02-28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US14/162,003 US9372554B2 (en) 2013-02-28 2014-01-23 Electronic pen, electronic pen connection structure connecting to the electronic pen,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electronic pen conne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52A KR20140107780A (ko) 2013-02-28 2013-02-28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80A true KR20140107780A (ko) 2014-09-05

Family

ID=5138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752A KR20140107780A (ko) 2013-02-28 2013-02-28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72554B2 (ko)
KR (1) KR201401077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157B2 (en) 2015-01-30 2020-01-0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pen
WO2022046108A1 (en) * 2020-08-31 2022-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pens for jog dial operation
CN112527135A (zh) * 2020-12-07 2021-03-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2510A (ja) * 1999-07-06 2001-01-26 Pilot Precision Co Ltd 入力ペン
CA2388622C (en) * 1999-10-25 2009-06-16 Paul Lapstu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en
USD563469S1 (en) * 2006-04-22 2008-03-04 Beifa Group Co., Ltd. Pen
US7683895B2 (en) * 2006-05-31 2010-03-23 Mika Jeanne M Multi-purpose pen
KR100854650B1 (ko) * 2007-02-08 2008-08-27 (주) 아이.에스.브이. 크기 조절 광학 펜형 마우스 및 그에 의한 크기 조절 방법
TWI358737B (en) * 2007-11-02 2012-02-2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533421B2 (ja) * 2007-11-22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825958B (zh) * 2009-03-03 2014-03-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笔
US20110148757A1 (en) * 2009-07-24 2011-06-23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input pen device with a trigger-style switch
US8408832B2 (en) * 2009-08-14 2013-04-02 Scott E. Andochick Adjustable length pen holder
US8922530B2 (en) * 2010-01-06 2014-12-30 Apple Inc. Communicating stylus
CN102591481A (zh) * 2011-01-13 2012-07-18 国立成功大学 数字绘图电子笔、数字绘图系统及其使用方法
CN102566797A (zh) * 2011-12-07 2012-07-11 深圳易方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笔及跟踪器
KR101992192B1 (ko) * 2012-11-02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0297A1 (en) 2014-08-28
US9372554B2 (en)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430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560847B2 (en) Mobile terminal, lock state control program for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lock state of mobile terminal
CN108701001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104910B1 (ko) 입력 유닛에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0957B1 (ko)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EP2687943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9772762B2 (en) Variable scale scrolling and resizing of displayed images based upon gesture speed
KR102097496B1 (ko)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934949B2 (en) Mobile terminal
EP269330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teracting with an external electronic stylus with color sensor
KR102344356B1 (ko) 입력 장치, 그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39146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400920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KR2014013635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인터렉션 방법
TW201428601A (zh) 使用電子筆控制攜帶式裝置的方法及其攜帶式裝置
JP2008084119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3056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the orientation of a display on a mobile device
US2021010969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US9794396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lateral conversation
CN103995662A (zh) 触摸操作处理方法
CN103809895A (zh) 一种可动态生成按键的移动终端及方法
KR20140107780A (ko) 전자펜, 그 전자펜과 결합하는 전자펜 결합부 및 전자펜 결합부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
JP2013062777A (ja) 携帯端末、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KR101474463B1 (ko) 이동단말기의 리스트 표시방법
KR1022141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