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826A -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7826A KR20140067826A KR1020120135576A KR20120135576A KR20140067826A KR 20140067826 A KR20140067826 A KR 20140067826A KR 1020120135576 A KR1020120135576 A KR 1020120135576A KR 20120135576 A KR20120135576 A KR 20120135576A KR 20140067826 A KR20140067826 A KR 201400678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inflammatory
- pain
- composi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1000195473 Sargassum fulvellum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2559 Inflammatory bowel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02556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19695 Migrain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28389 Nerve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5298 acute pai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2551 irritable bowel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764 nerve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4550 Postoperative Pain Diseases 0.000 claims 1
- 208000019804 backache Diseases 0.000 claims 1
- 206010027599 migraine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00926 neu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01000001119 neuropathy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07823 neuropathy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108010057466 NF-kappa B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29940117173 croton oil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102000040945 Transcription factor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108091023040 Transcription factor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770 pro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14025 Ear swelling Diseases 0.000 abstract 2
- 102000003945 NF-kappa B Human genes 0.000 abstract 1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2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102000004889 Interleukin-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14
- 102100038280 Prostaglandin G/H synth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229940100601 interleukin-6 Drug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108050003267 Prostaglandin G/H synth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02000011779 Nitric Oxide Synthase Type I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108010076864 Nitric Oxide Synthase Type II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102100023050 Nuclear factor NF-kappa-B p105 subunit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UQLDLKMNUJERMK-UHFFFAOYSA-L di(octadecanoyloxy)lead Chemical compound [Pb+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UQLDLKMNUJERM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29940069765 bean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8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 IL-1β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2000008299 Nitric Oxide Synth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21487 Nitric Oxide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06010058667 Oral tox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0852 Tumor Necrosis Factor-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418 oral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5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4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YZXBAPSDXZZRGB-DOFZRALJSA-N arachid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YZXBAPSDXZZRGB-DOFZRALJ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180 prostagland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437 Amygdal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3777 Interleukin-1 bet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193 Interleukin-1 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307 Myosotis scorpi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005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459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224 almon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60 anti-inflammato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28 culture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616 mo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02000013415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08010037464 Cyclooxygen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7462 Cyclooxygen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01336 Horseradish Per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0589 Interleuk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2352 Interleuk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100022397 Nitric oxide synthase, bra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8452 Nitric oxide synthase, endothel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710090055 Nitric oxide synthase, endothel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8277 Prostaglandin G/H synth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74 Sargas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40247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98 acute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4079 arachid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42 arachid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476 lactos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62 mammalia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152 nicoti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0 nicotin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205 prednisol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OIGNJSKKLXVSLS-VWUMJDOOSA-N prednisol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OIGNJSKKLXVSLS-VWUMJDOO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LPXPTNMVRIOKMN-UHFFFAOYSA-M sodium nitrite Chemical compound [Na+].[O-]N=O LPXPTNMVRIOKM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OGFVTREOLYCPF-KXNHARMFSA-N (2s,3r)-2-[[(2r)-1-[(2s)-2,6-diaminohex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3-hydroxy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H](O)[C@@H](C(O)=O)NC(=O)[C@H]1CCCN1C(=O)[C@@H](N)CCCCN LOGFVTREOLYCPF-KXNHARMF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HBKXEKEPDILRR-UHFFFAOYSA-N 2,3-bis(butanoylsulfanyl)propyl buta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SC(=O)CCC)CSC(=O)CCC NHBKXEKEPDIL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117 Abnormal behavi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020 BCA Protein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0584 Calmod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1952 Calmod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23 Carcinogene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0518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094 Chronic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222 Codium fragi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2722 Ecklonia ca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824 Endotox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5150 Ery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4281 Eucalyptus ma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KKCQDROTDCQOR-UHFFFAOYSA-L Ferrous lactate Chemical compound [Fe+2].CC(O)C([O-])=O.CC(O)C([O-])=O DKKCQDROTDCQOR-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882 Gast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95 Griess dea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1001128158 Homo sapiens Nanos homolog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124991 Homo sapiens Nitric oxide synthase, inducibl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N L-argi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C(N)N ODKSFYDXXFIFQN-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64664 L-argi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52 L-argi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HGKLRLOHDJJDR-BYPYZUCNSA-N L-citrulline Chemical compound NC(=O)NCCC[C@H]([NH3+])C([O-])=O RHGKLRLOHDJJD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3 Lamin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603 Migraine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260374 Myagropsis myagr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19458 Neorhodomela acule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8858 Nitric Oxide Synthase Type I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11444 Nitric oxide synthase, br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9438 Nitric oxide synthase, inducibl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708 Protein Isoform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9485 Protein Isoform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4279 Sargassum fusifor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60874 Sargassum horne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3923 Sargassum micracanth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3522 Sargassum thunber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34017 Saururus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070 Sept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140 Sleep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2674 Swel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4094 Tumour nec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252 Ul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61506 Undaria pinnatif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029 Uterine contractions during pregna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115 angi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63 anti-inflammatory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19 anticoagulant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362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27 bio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52 cancer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04 carcino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8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30 cell culture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04 cell lys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GVAZMGAQJOSFJ-WZHZPDAFSA-M cobalt(2+);[(2r,3s,4r,5s)-5-(5,6-dimethylbenzimidazol-1-yl)-4-hydroxy-2-(hydroxymethyl)oxolan-3-yl] [(2r)-1-[3-[(1r,2r,3r,4z,7s,9z,12s,13s,14z,17s,18s,19r)-2,13,18-tris(2-amino-2-oxoethyl)-7,12,17-tris(3-amino-3-oxopropyl)-3,5,8,8,13,15,18,19-octamethyl-2 Chemical compound [Co+2].N#[C-].[N-]([C@@H]1[C@H](CC(N)=O)[C@@]2(C)CCC(=O)NC[C@@H](C)OP(O)(=O)O[C@H]3[C@H]([C@H](O[C@@H]3CO)N3C4=CC(C)=C(C)C=C4N=C3)O)\C2=C(C)/C([C@H](C\2(C)C)CCC(N)=O)=N/C/2=C\C([C@H]([C@@]/2(CC(N)=O)C)CCC(N)=O)=N\C\2=C(C)/C2=N[C@]1(C)[C@@](C)(CC(N)=O)[C@@H]2CCC(N)=O AGVAZMGAQJOSFJ-WZHZPDAF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36 cytoskele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EYBRNLFEZDVAW-ARSRFYASSA-N dinoprostone Chemical compound CCCCC[C@H](O)\C=C\[C@H]1[C@H](O)CC(=O)[C@@H]1C\C=C/CCCC(O)=O XEYBRNLFEZDVAW-ARSRFYAS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86 dinoprost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5 ferrous lac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5 ferrous lac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907 ferrous lac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JWWTRQNNRNTPU-ABBNZJFMSA-N fucoxanthin Chemical compound C[C@@]1(O)C[C@@H](OC(=O)C)CC(C)(C)C1=C=C\C(C)=C\C=C\C(\C)=C\C=C\C=C(/C)\C=C\C=C(/C)C(=O)C[C@]1(C(C[C@H](O)C2)(C)C)[C@]2(C)O1 SJWWTRQNNRNTPU-ABBNZJFMSA-N 0.000 description 1
- AQLRNQCFQNNMJA-UHFFFAOYSA-N fucoxanthin Natural products CC(=O)OC1CC(C)(C)C(=C=CC(=CC=CC(=CC=CC=C(/C)C=CC=C(/C)C(=O)CC23OC2(C)CC(O)CC3(C)C)C)CO)C(C)(O)C1 AQLRNQCFQNNM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94 hormon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67 immunologic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788 innate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189 interleukin-1 beta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306 interleukin-6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BTMGCOVALSLOR-VPNXCSTESA-N laminar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1O[C@@H]1[C@@H](O)C(O[C@H]2[C@@H]([C@@H](CO)OC(O)[C@@H]2O)O)O[C@H](CO)[C@H]1O DBTMGCOVALSLOR-VPNXCSTESA-N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17 leukotri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37 ne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70 neuro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2 neu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1 neuropath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722 neuropathic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24 neur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89 neur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87 neur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7 nonaqueous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443 oxytocics prostagland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574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39 phloro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2 potass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XEYBRNLFEZDVAW-UHFFFAOYSA-N prostaglandin E2 Natural products CCCCCC(O)C=CC1C(O)CC(=O)C1CC=CCCCC(O)=O XEYBRNLFEZDVA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59 radi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88 sodium nitr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7 sterile water fo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DDDEECHVMSUSB-UHFFFAOYSA-N sulfanilamide Chemical compound NC1=CC=C(S(N)(=O)=O)C=C1 FDDDEECHVMSU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30 sulfon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1 suppository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ZWIIPASKMUIAC-VQTJNVASSA-N thrombox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H]1OCCC[C@@H]1CCCCCCC RZWIIPASKMUIAC-VQTJNVAS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6 tris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433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553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27 vas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반 추출물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세포 염증성 매개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크로톤 오일로 유도된 마우스의 귀 부종에 대해 귀 부종 완화 효과가 있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의 발전과 더불어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고령자 인구의 비율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풍요로운 식생활은 수산물이나 야채 등과 같은 식품 소재를 주로 이용하던 전형적인 우리나라 식문화를 변화시켜 암, 당뇨병, 고혈압, 비만 및 혈관성 질환 등의 생활습관 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면역 조절 이상으로 인하여 유발된 염증이 지속됨으로써 발생되는 염증성 질환의 발병률 또한 최근 10년 사이에 서양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 이르러 건강과 장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건강기능성 소재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건강기능성 식의약품 시장의 규모 확대 등으로 이어지고 있어 천연자원으로부터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염증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병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목적을 둔 항염증효능 소재 발굴 연구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염증반응은 생체 혹은 조직에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및 물리적 작용에 의해 발생된 손상 부위를 재생하려는 복구기전이다. 유해한 자극, 감염 및 외상 등에 의해 염증이 발현되면 국소적으로 염증성 성분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염증을 유발하는데, 이와 같은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함에 따라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으로 인한 류마티스 관절염, 동맥경화증, 위염, 천식 등의 염증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은 사이토카인(cytokines), 프로스타글란딘E2(prostagrandins E2, PGE2), 유리라디칼(free radicals) 등 다양한 매개물질이 관여하고 있다. 특히, 대식세포에서는 사이토카인,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은 자극에 의해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nclear factor-κ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유도성 산화질소(inducible nitiric oxide synthase, iNOS),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를 발현시켜 과량의 산화질소(NO)와 프로스타글라란딘 E2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획득면역 등 다양한 숙주반응에 대하여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며, 염증 반응 시에는 산화질소 및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감염 초기에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이다. RAW 264.7과 같은 대식세포 또는 단핵구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외막에 존재하는 내독소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자극에 의해 종양괴사인자-α, 인터루킨-1β(IL-1β) 및 인터루킨-6(IL-6)과 같은 염증매개성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를 촉진한다. 이러한 염증 매개 물질들의 형성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COX)의 작용을 거쳐 류코트리엔(leukotriene), 트롬복산(thromboxan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등으로 바뀌는 과정 및 산화질소(NO)의 대량 생성에 관여함으로써 염증매개에 큰 역할을 하며, 숙주에 치명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COX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이 유리된 후 프로스타글란딘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효소로써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1,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2의 이형(isoform)이 존재한다.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1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현되어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관하여하는 반면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2는 성장인자(growth factors), 사이토카인 및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등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대식세포(macrophage)나 단핵구(monocyte) 등의 세포에서만 다량 발현되며, 이로 인해 발생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기여한다. 산화질소(NO)는 세포 내에서 L-아르기닌(L-arginine)을 기질로 하여 산화질소 신타아제(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L-시트룰린(L-citruline)과 함께 생성되는 신경계, 면역계, 심장혈관계에서 주요 전달 물질로 신경독성 및 신경 보호성의 기능을 동시에 나타내고, 쇼크 및 여러 가지 신경 퇴행성 질병의 발생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NOS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신경성 NOS(nNOS, NOS1), 유도성 NOS(iNOS, NOS2), 내피성 NOS(eNOS, NOS)로 분류되며(Tsao et al., 2002), 이중 유도성 iNOS는 세포내 칼슘 농도와 외부에서 주입된 칼모둘린(calmodulin)의 자극과는 무관하게 활성화된 세포에서만 활성을 보이며 다양한 세포에서 유도된다. 또한, 활성화된 핵전사인자(Nuclear transcription factor-kappa B, NF-κB)는 TNF-α, IL-1β, IL-6, iNOS 및 COX-2 등의 여러 염증 매개 물질의 전사를 촉진하는 전사인자로서 이들의 유전자 발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염증매개 물질의 생성과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천연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물질은 비교적 독성이 적어 의약품에 비해 장기간 섭취하여도 안전하다는 면 때문에 각종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및 치료보조제로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천연물을 이용한 염증반응 완화에 대한 연구로는 삼백초, 오가피, 홍화, 금은화등 생약재의 항염증에 관한 연구들과 등골나물, 큰비쑥, 녹두 및 대두 등의 육상식물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해조류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함께 해양 생태계의 일차생산자로서 다양한 해양생물의 산란장, 은신처 및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양에서는 기원전 300-800년, 서양에서는 1,400년 전부터 식용과 약재로 사용되어온 주요한 해양생물자원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해조류 중에서 총 54종(녹조류 16종, 갈조류 17종, 홍조류 21종)이 약용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청각(Codium fragile)과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는 식품으로 이용되면서 해충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고,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자궁 수축 및 출산 후 손실된 혈액 보충을 위한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갈조류인 미역, 다시마, 감태 등의 열수 추출물에서 항혈액응고 활성 물질이 확인되었고, 새빨간검둥이(Neorhodomela aculeata)와 모란갈파래(Ulva conglobata)의 추출물은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특히 갈조류에는 섬유소를 비롯하여 미네랄, 무기질, 비타민 및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알긴산(alginic acid), 퓨칸(fucan), 라미나란(laminaran) 등의 수용성 다당류가 풍부하다. 이들 수용성 다당류는 다량 섭취 시 인체에 무해하며, 퓨칸과 알긴산 유도체들은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종양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갈조류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의 항균효과와 해조류 성분의 항산화작용 등도 보고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갈조류인 톳(Hizikia fusiforme), 괭생이(Sargassum horneri) 및 잔가시 모자반(Sargassum micracanthum)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항염증 효과가 있는 물질로는 외톨개모자반(Myagropsis myagroides)에서 분리한 푸콕산틴(fucoxanthin)과 감태(Ecklonia cava)에서 분리된 플로로탄닌(phlorotannin)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생리활성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는 열량소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해조류의 특성 때문에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급격히 진행되는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비교적 안전한 천연물 유래물질로서 해조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모자반목 모자반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식용해조류이다. 모자반에 관한 연구로는 항암, 항균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일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비틀대 모자반에 관한 연구로는 항산화효과, 독성중금속인 Pb 및 Cr의 생체 흡착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져 있을 뿐, 이외에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풍부한 자원에 비해 식품분야에 적용되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를 이용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하여 LPS로 활성화 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 매개물질들의 생성 억제효과를 관찰하고, 마우스의 귀 부종완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각종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반 추출물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세포 염증성 매개 물질의 생성 억제 및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크로톤 오일로 유도된 마우스의 귀 부종에 대해 귀 부종 완화 효과가 있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의 세포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NO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TNF-α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IL-6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IL-1β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로부터 NF-κB,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크로톤오일로 유도된 마우스 귀 부종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NO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TNF-α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IL-6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로부터 IL-1β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로부터 NF-κB,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크로톤오일로 유도된 마우스 귀 부종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자연에서 채취하여 이용할 수 있고, 양식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자반은 신선한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동결건조, 자연건조 등을 한 상태로 보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한다.
건조된 분말 상태의 모자반에 모자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배량, 바람직하게는 10배량의 용매를 가하여, 1 내지 3일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추출 방법은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이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은 TNF-α, IL-1β, 및 IL-6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저해하거나, IκB-α, NF-κB의 p65 또는 p50 단백질, ERK 단백질, JNK 단백질 또는 p38단백질 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신경관절염, 염증성 창자염, 강직 척추염, 건선,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 천식,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 후 통증, 편두퉁 및 관절통과 같은 통증, 신경손상, 과민성 장증후군, 내독소에 의한 쇼크, 염증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및 염증성 요통을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과 함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또한,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1mg/kg 내지 1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모자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분말상태의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에 모자반 총 중량에 대해 10배량의 80% 에탄올을 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건조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20℃에서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독성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MTT assay를 수행하기 20시간 전에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1x105 cells/mL씩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배양한 후, 1 μg/mL의 LPS와 모자반 추출물을 농도별(0.1, 1, 10, 50, 100 μg/mL)로 첨가하여 37℃, 5% CO2-배양기(MCO-15AC, Sanyo, Osaka, Japan)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후, 모자반 추출물의 농도별로 처리된 각 웰에 5 mg/mL 농도의 MTT 시약을 첨가하여 2시간 재 배양하고, 이를 4℃, 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UNION 32R, Hanil Co., Incheon, Korea)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각 웰에 DMSO를 첨가하고 이를 microplate reader(Model 550, Bio-rad, Richmond,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ob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능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 세포증식능(%) = 시료 흡광도/ 대조군 흡광도 x 100
모자반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에 대한 MTT assay 수행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이 RAW264.7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으로, 모자반 추출물을 0.001, 0.01, 0.1, 1, 10, 50, 100 μ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RAW 264.7 세포의 증식능이 대조군(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시료를 처리한 군)에서 세포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자반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량 측정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로부터의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산화질소(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아질산염(nitrite) 농도를 글리스(griess) 반응(Lee et al., 2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5x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5% CO2 배양기(MCO-15AC, Sanyo, Osaka, Japan)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에 1 μg/mL의 LPS와 0.1, 1, 10, 50, 100 μg/m의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상층액을 얻은 후, 동량의 griess 시약(1% 술파닐아미드(sulfanilamide) + 0.1% 나프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naphthylendiamine dihydrochloride), 1:1)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Model 550, Bio-rad, Richmond,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 NO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NaNO2)의 농도별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로부터 모자반 추출물이 가지는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LPS 처리 후 NO 생성량은 정상세포에 비해 3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NO 생성량이 LPS 처리군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모자반 추출물 0.1 μg/mL의 낮은 농도 처리에서도 현저히 낮은 NO 분비량을 보여, 모자반 추출물이 NO 생성 저해에 미치는 효과가 탁월함을 관찰하였으며, 모자반 추출물을 각각 50 μg/mL과 100 μg/mL으로 처리하였을 때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 약 50% 이상의 높은 NO 생성 저해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분비량 측정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염증 유발 원인이 되는 주요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LPS(1 μg/mL)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로부터 분비된 TNF-α, IL-6 및 IL-1β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ELISA kit(Mouse ELISA set, BD Bioscience, San Dieg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1. TNF-α
구체적으로는,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capture antibody로 anti-mouse TNF-α, IL-6 및 IL-1β 를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coating)시켰다. 코팅된 플레이트를 0.05% 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액(PBS-T)으로 세척하고, 10% FBS용액으로 차단(blocking)하였다. PBST로 세척한 뒤, 각 microplate에 상기 실험예 2에서 NO를 측정하였던 것과 동일한 배양 상층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세척한 뒤 희석한 biotinylated anti-mouse TNF-α와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이를 다시 PBST로 세척한 다음, OPD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반응 시켰다. 2 M H2SO4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microplate reader(Model 550, Bio-rad, Richmond,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로부터의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모든 농도 처리구에서 TNF-α의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37% 이상 그 분비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자반 추출물이 TNF-α 생성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3-2. IL-6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capture antibody로 anti-mouse IL-6를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coating)시켰다. 코팅된 플레이트를 0.05% 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액(PBS-T)로 세척하고, 10% FBS용액으로 차단(blocking)하였다. PBST로 세척한 뒤, 각 microplate에 상기 실시예 3에서 NO를 측정하였던 것과 동일한 배양 상층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세척한 뒤 희석한 비오틴결합(biotinylated) anti-mouse IL-6 detection antibody와 스트렙타아비딘-홀스래디쉬 과산화효소 공액(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이를 다시 PBST로 세척한 다음, OPD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반응 시켰다. 2 M H2SO4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microplate reader(Model 550, Bio-rad, Richmond,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로부터의 IL-6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IL-6 분비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모자반 추출물을 0.1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IL-6 분비량이 각각 354.09±15.8 및 271.03±6.6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LPS 단독 처리 시 IL-6 분비량이 587.38±10.56인 것과 비교해 볼 때, 모자반 추출물이 IL-6 분비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IL-1β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캡쳐항체(capture antibody)로 anti-mouse IL-1β 를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coating)시켰다. 코팅된 플레이트를 0.05% 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액(PBS-T)로 세척하고, 10% FBS용액으로 차단(blocking)하였다. PBST로 세척한 뒤, 각 microplate에 상기 실시예 3에서 NO를 측정 하였던 것과 동일한 배양 상층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세척한 뒤, biotinylated anti-mouse IL-1β detection antibody를 첨가하고 1시간 반응 후,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를 첨가하여 30분 반응 시켰다. 그 후, 이를 다시 PBST로 세척한 다음, OPD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반응 시켰다. 2 M H2SO4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microplate reader(Model 550, Bio-rad, Richmond,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로부터의 IL-1β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을 비교적 낮은 농도인 0.1 μg/mL로 처리하였을 때부터 약 50% 이상 높은 분비량 감소를 보였다. 특히, 모자반 추출물을 최고농도인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 LPS와 모자반 추출물 모두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분비량을 보여 높은 IL-1β 분비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염증 매개성 효소 및 전사인사의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이 세포 염증성 매개 물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LPS(1 μg/mL)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로부터 iNOS, COX-2 및 NF-κB의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하였다.
LPS(1 μg/mL)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 모자반 추출물을 0.001, 0.01, 0.1, 1, 10, 50, 100 μ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수집하여 3회 인산완충액(PBS)으로 세척한 후, 세포 용해 완충액을 첨가하여 30분간 4℃에서 세포를 용해시킨 후, 12,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여 세포막 성분 등을 제거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CA protein assay kit(Pierce, IL, USA)를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30 μL의 용해물(lysate)을 Laemmli(1970)의 방법을 사용하여 8-10% SDS-PAGE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Towbin 등(1979)의 방법을 참고하여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Bio-rad, CA, USA)에 200 mA에서 2시간 동안 전사시킨 후, 5% 탈지유(skim milk)가 포함된 TBST(tris buffered saline; pH7.5) 용액으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차단하였다. iNOS, COX-2 및 NF-κB(p65)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anti-mouse iNOS, anti-mouse COX-2 및 anti-NF-κB(p65)를 각각 사용하여, TBST 용액으로 희석하고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TBST로 3회 세정하였다. 2차 항체로 HRP(horse 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anti-mouse IgG 및 anti-rabbit IgG를 1:5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30분 간 반응시킨 후, TBST로 3회 세정하여 ECL 기질과 1-3분 간 반응 후 X-ray 필름(Kodak X-Omat blue film, Perkinelmer, Waltham, USA)에 감광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에 의한 iNOS, COX-2, NF-κB 단백질 발현을 관찰한 웨스턴블롯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이 COX-2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LPS에 의해 증가된 iNOS, COX-2, NF-κB의 단백질 발현 양이 모자반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내었고, 특히 모자반 추출물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COX-2 단백질 발현이 크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모자반 추출물의 처리가 염증반응에 있어 COX-2 단백질 발현 양을 감소시켜 염증성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성과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을 저해하여 LPS로 활성화 된 RAW264.7 대식세포로부터의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을 비롯하여 효소인 COX-2 및 iNOS의 분비량을 억제시킴으로써 항염증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마우스의 귀 부종 측정
급성염증반응에 대한 모자반 추출물의 염증성부종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크로톤오일로 유도된 마우스 귀 부종완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계 마우스(8주령, 20-50g)는 일정한 조건(22±1℃, 12시간 밤/낮 주기)으로 7일간 적응시켰으며, 각 군당 5마리씩 사용하였다. 시료를 경구 투여하고 1시간 뒤 2.5% 크로톤오일(croton oil)을 이용해 마우스의 우측 귀 안과 밖에 20 μL씩 도포하여 크로톤오일로 유도된 마우스 귀 부종 모델을 확립하였다. 크로톤오일 처리 5시간 후 귀의 두께를 측정하고 크로톤오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귀의 두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급성염증반응에 대한 모자반 추출물의 염증성부종 완화 효과의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 항염증제인 프레드니솔론을 사용하였을 경우, 10 및 50 mg/kg으로 경구투여 했을 때 36-58% 완화정도를 보였다. 이와 비교 시, 모자반 추출물을 250mg/kg으로 투여했을 경우, 귀 부종이 46% 까지 감소함을 확인했으며, 이는 프레드니솔론과 유사한 항염증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경구독성 측정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에 대한 경구독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시험군은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BALB/c(10주령, 20-25g) 마우스를 5마리씩 사용하였다. 경구독성 실험 전 6시간 동안 절식하고, 모자반 추출물(5 g/10 mL의 5% tween-80/kg 체중)을 5000 mg/kg, 2000 mg/kg, 3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그 후 6시간 동안 가려움, 졸림 등 이상행동에 대한 관찰을 하였으며, 2주에 걸쳐 사망수를 관찰하여 경구독성을 측정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에 대한 경구독성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경구 투여 후 사망 수 측정일 |
||||||||
0 | 2 | 4 | 6 | 8 | 10 | 12 | 14 | |
대조구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300 mg/kg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2000 mg/kg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5000 mg/kg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을 5 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고 2주 동안 경구독성 측정 결과, 어떠한 독성도 보이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WHO에 따르면 LD50이 5 g/kg 보다 낮은 경우 독성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모자반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안전한 물질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모자반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모자반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모자반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모자반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제
2-1. 건강식품의 제조
모자반 추출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모자반 추출물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4)
-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반 추출물은 모자반 에탄올 가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신경관절염, 염증성 창자염, 강직 척추염, 건선,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 천식,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 후 통증, 편두퉁 및 관절통과 같은 통증, 신경손상, 과민성 장증후군, 내독소에 의한 쇼크, 염증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및 염증성 요통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576A KR20140067826A (ko) | 2012-11-27 | 2012-11-27 |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576A KR20140067826A (ko) | 2012-11-27 | 2012-11-27 |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826A true KR20140067826A (ko) | 2014-06-05 |
Family
ID=5112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5576A KR20140067826A (ko) | 2012-11-27 | 2012-11-27 |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7826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1456A1 (ko) * | 2017-02-14 | 2018-08-2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연골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KR20180117812A (ko) * | 2017-04-20 | 2018-10-3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
KR102123565B1 (ko) * | 2019-02-12 | 2020-06-16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해조류 효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
KR102502196B1 (ko) * | 2022-09-15 | 2023-02-20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KR20230113451A (ko) | 2022-01-21 | 2023-07-31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모자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
CN117122059A (zh) * | 2023-08-29 | 2023-11-28 | 中国海洋大学 | 一种抗过敏和抗炎症海藻多酚的制备方法与应用 |
-
2012
- 2012-11-27 KR KR1020120135576A patent/KR201400678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1456A1 (ko) * | 2017-02-14 | 2018-08-2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연골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US11304984B2 (en) | 2017-02-14 | 2022-04-19 |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dium fragile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otecting or treating articular cartilage |
KR20180117812A (ko) * | 2017-04-20 | 2018-10-3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
KR102123565B1 (ko) * | 2019-02-12 | 2020-06-16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해조류 효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
KR20230113451A (ko) | 2022-01-21 | 2023-07-31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모자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
KR102502196B1 (ko) * | 2022-09-15 | 2023-02-20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CN117122059A (zh) * | 2023-08-29 | 2023-11-28 | 中国海洋大学 | 一种抗过敏和抗炎症海藻多酚的制备方法与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5576B1 (ko) |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130046897A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치료용 조성물 | |
KR20140067826A (ko) |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14574B1 (ko) |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 |
KR101811207B1 (ko) | 굴피나무잎, 자작나무수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101686431B1 (ko) | 잔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00101113A (ko) |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35061B1 (ko) |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359728B1 (ko) | 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58969B1 (ko) |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487065B1 (ko) |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JP2010254594A (ja) |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 |
KR20140095132A (ko) |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54121B1 (ko) |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0695625B1 (ko) | 항염증 활성을 갖는 자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1080927B1 (ko) |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 |
KR101750854B1 (ko) |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 |
KR101074348B1 (ko) |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 |
KR101341532B1 (ko) | 티아닌을 함유하는 기관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60059152A (ko) |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
KR20140104090A (ko) |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101684574B1 (ko) | 구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
KR20140147967A (ko) |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
KR102430399B1 (ko) |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20190037014A (ko) |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