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163A -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5163A KR20140025163A KR1020120091480A KR20120091480A KR20140025163A KR 20140025163 A KR20140025163 A KR 20140025163A KR 1020120091480 A KR1020120091480 A KR 1020120091480A KR 20120091480 A KR20120091480 A KR 20120091480A KR 20140025163 A KR20140025163 A KR 201400251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 unit
- indoor unit
- determination
- trial ru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이 불가능한 실내기가 적용된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시운전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은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1 실내기, 상기 실외기로 단방향 AC릴레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내기가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공조 공간으로 송풍을 실시하면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동안 상기 멀티 공기 조화기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제1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실외기에 마련되는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실내기에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2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상기 제1 시운전 또는 상기 제2 시운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결정하는 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실내기가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이 불가능한 실내기를 적용 시에도 시운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의 설치업자 및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운전 판정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은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1 실내기, 상기 실외기로 단방향 AC릴레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내기가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공조 공간으로 송풍을 실시하면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동안 상기 멀티 공기 조화기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제1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실외기에 마련되는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실내기에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2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상기 제1 시운전 또는 상기 제2 시운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결정하는 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실내기가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이 불가능한 실내기를 적용 시에도 시운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의 설치업자 및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운전 판정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이 불가능한 실내기가 적용된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시운전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토출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기기이다.
이를 테면, 공기 조화기는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며,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복수의 실내기와, 외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멀티형 실외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특성상 설치 시 시운전 모드를 통해 제품의 센서류, 팬, 모터 등 구성 부품의 오조립 여부와 정상 동작 여부를 체크하고, 실내외기 연결 배관 및 냉매량의 적정여부를 체크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내기는 실내 온도, 실내 열교환기 온도 등의 실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검출부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전 정보와 실내 정보를 실외기에 송신하고 실외기로부터 운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춘PBA(Printed Board Assembly)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멀티 공기 조화기를 구현하는 경우, 복수의 실내기에 각종 검출부와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가진 PBA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종 검출부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예를 들어, 실내기에 유입 냉매 온도 검출부만 존재하는 경우) 양방향 통신이 불가능한 싱글 타입의 실내기의 경우에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시운전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멀티 공기 조화기에서 AC 릴레이 신호 인식만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실내기의 시운전을 구현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은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1 실내기, 상기 실외기로 단방향 AC릴레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내기가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공조 공간으로 송풍을 실시하면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동안 상기 멀티 공기 조화기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제1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실외기에 마련되는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실내기에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2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상기 제1 시운전 또는 상기 제2 시운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결정하는 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실내기가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준시간은, 상기 제2 실내기에 제공되는 제2 열교환기의 온도가 공조 공간의 온도까지 포화되는 시간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풍을 실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시운전 단계에서 송풍을 시작하여 시운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운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시운전을 수행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이상이 발견되면,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실내기의 AC 릴레이 신호를 오프(OFF)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시운전을 수행하는 것은, 부품의 조립 상태가 모두 정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제2 시운전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실내기의 제2 시운전 진입 시점과 상기 제2 실내기의 제2 시운전 진입 시점은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시운전 단계는, 현재 시운전하고 있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하고;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는 전자 팽창 밸브 개도로 전자 팽창 밸브를 개방하고;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현재 시운전하고 있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1 실내기로부터 전달받은 통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전달받은 AC 릴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운전하고 있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시운전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에 따라서 복수의 온도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온도 영역에 따라서 시운전 판정 기준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실내 온도 경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가 제1 실내 온도 경계값 초과이고 제2 실내 온도 경계값 이하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1 기준온도 초과이면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1 기준온도 초과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가 제3 기준온도 초과이면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가 제2 실내 온도 경계값 초과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2 기준온도 초과이면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2 기준온도 초과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가 제4 기준온도 초과이면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 결과가 “합격”이면, 제2 실내기를 제1 실내기의 판정이 완료되는 시간인 제3 기준시간까지 연속 운전시키고; 상기 제3 기준시간 경과 후에AC 릴레이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 결과가 “합격”이면,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가 “판정 직전에 측정한 제2 열교환기 온도+제5 기준온도” 보다 크면 AC 릴레이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 결과가 “불합격”이면 AC 릴레이를 오프(OFF)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AC 릴레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시운전 결과를 상기 제1 실내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실내기가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이 불가능한 실내기를 적용 시에도 시운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의 설치업자 및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운전 판정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운전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센서부의 추가 및 PBA 사양의 변경이 불필요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냉매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1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2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판정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시운전 결과 표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1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2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판정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시운전 결과 표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냉매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100),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내기(200)는 제1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여 제1 실내 공간의 공기를 기류식으로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제2 실내기(300) 제2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와 통신이 불가능 하며,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여 제2 실내 공간의 공기를 기류식으로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01), 실외 열교환기(102), 실외 팬(103), 제1 분배관(104), 제1 유량 조절 밸브(105), 제2 유량 조절 밸브(106), 제2 분배관(107),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 108), 오일 분리기(Oil Saparator : 109), 실외 온도 검출부(121), 토출 온도 검출부(123), 및 사방밸브(176)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1)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흡입 후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1)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로서, 실내기(200, 300)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응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압축기(101)의 용량을 가변 시킬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102)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 팬(103)은 팬 모터(M1)에 의해 회전하고 실외 열교환기(102) 주변의 공기를 강제 송풍함으로써 열교환을 보조할 수 있다.
제1 분배관(104)은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102)에서 공급된 냉매를 분배하여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에 각각 공급할 수 있고, 난방 운전 시에는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에서 공급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02)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분배관(104)은 하나의 실외기(100)의 냉매관에 복수 실내기(200, 300)의 냉매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으로, 제1홀과 제1홀에 연결되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홀을 가진다.
즉, 제1 분배관(104)의 제1홀에는 실외 열교환기(102)에서 인출된 냉매관이 연결되고, 복수의 제2홀에는 제1 실내기(200)의 냉매관과 제2 실내기(300)의 냉매관이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102)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제1 분배관(104)를 통해서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에 각각 공급되고, 난방 운전 시에는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에 각각 열교환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02)로 공급된다.
제1 유량 조절 밸브(105)는 제1 분배관(104)에 연결된 냉매관 중에서 제1 실내기(200)에 연결된 냉매관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 흡수 작용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강하시킬 수 있다.
제2 유량 조절 밸브(106)는 제1 분배관(104)에 연결된 냉매관 중에서 제2 실내기(300)에 연결된 냉매관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 흡수 작용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강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유량 조절 밸브(105, 106)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팽창 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배관(107)은 냉방 운전 시에는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에서 각각 공급된 냉매를 모아 압축기(101)에 공급할 수 있고, 난방 운전 시에는 압축기(101)에서 공급된 냉매를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배관(107)은 하나의 실외기(100)의 냉매관과 복수의 실내기(200, 300)의 냉매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으로, 제1홀과, 제1홀에 연결되되 유동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배관(107)의 제1홀에는 압축기(101)의 흡입측에 연결된 냉매관이 연결되고, 복수의 제2홀에는 제1 실내기(200)의 냉매관과 제2 실내기(300)의 냉매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 시에는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에 각각 공급된 냉매가 제2 분배관(107)을 통해 모아져 압축기(101)에 공급될 수 있고, 난방 시에는 압축기(101)에서 공급된 냉매가 제2 분배관(107)을 통해서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 108)는 압축기(101)의 흡입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실내기(200, 300)에서 압축기(101)로 유입되는 냉매 중 기화되지 않은 액냉매를 분리하여 액냉매가 압축기(101)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10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108)는 증발기에서 미처 증발하지 못한 액상 냉매를 모아 기화시켜 압축기(101)로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증발기에서 완전한 증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어큐뮬레이터(108)로 들어오는 냉매는 액체와 기체 상태의 혼합인데, 어큐뮬레이터(108)는 액상의 냉매를 기화시켜 기체 상태의 냉매 만이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오일 분리기(Oil Saparator : 109)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108)와 압축기(101)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기(101)의 토출 냉매의 증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101)로 되돌려 줌으로써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 유막이 형성되어 전열 효과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기(101) 내에 윤활유 부족이 생기게 되어 윤활 작용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외 온도 검출부(121)는 실외기(100)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고, 실외 공간의 실외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토출 온도 검출부(123)는 압축기(101)의 토출 측에 배치되고, 압축기(10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사방밸브(176)는 압축기(105)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사방밸브(176)는 난방 운전 시 압축기(101)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제1, 2 실내기(200, 300)로 안내하고 실외 열교환기(102)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08)로 안내한다. 즉, 점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사방밸브(176)는 냉방 운전 시 압축기(105)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02)로 안내하고 제1, 2 실내기(200, 300)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08)로 안내한다. 즉,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냉방 운전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내기(200)는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제1 실내 공간을 냉방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00)는 제1 실내 열교환기(205), 제1 실내 팬(275), 제1 실내 유입 냉매 온도 검출부(223), 제1 실내 유출 냉매 온도 검출부(225), 및 제1 실내 온도 검출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내 열교환기(205)는 제1 유량 조절 밸브(105)에 연결되고 제1 유량 조절 밸브(105)를 통해서 공급된 냉매가 기화되고 냉매 기화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실내 팬(275)는 팬 모터(M2)에 의해 회전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제1 실내 공간으로 강제 송풍할 수 있다.
제1 실내 유입 냉매 온도 검출부(223)는 제1 실내 열교환기(205)의 유입측 냉매관에 설치되고, 제1 실내 열교환기(205)의 유입측 냉매관에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실내 유출 냉매 온도 검출부(225)는 제1 실내 열교환기(205)의 유출측 냉매관에 설치되고, 제1 실내 열교환기(205)의 유출측 냉매관에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실내 온도 검출부(221)는 제1 실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실내기(300)는 실외기와 통신이 불가능하고, AC릴레이 신호를 실외기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실내 공간을 냉방할 수 있다.
제2 실내기(300)는 제2 실내 열교환기(305), 제2 실내 팬(375), 제2 열교환기 온도 검출부(323), 및 제2 실내 온도 검출부(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305)는 제2 유량 조절 밸브(106)에 연결되고 제2 유량 조절 밸브(106)를 통해서 공급된 냉매가 기화되고 냉매 기화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내 팬(375)는 팬모터(M3)에 의해 회전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제2 실내 공간으로 강제 송풍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 온도 검출부(323)는 제2 실내 열교환기(305)의 중간 측에 설치되고, 제2 실내 열교환기(305) 내의 냉매의 평균적인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실내 온도 검출부(321)는 제2 실내 공간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는 실외기 전력 공급부(110), 실외기 검출부(120), 실외기 통신부(130), 실외 제어부(140), 저장부(150),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160), 및 실외기 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전력 공급부(110)는 실외기(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 검출부(120)는 실외 온도 검출부(121), 토출 온도 검출부(123), 전류 검출부(125), 주파수 검출부(127), 및 전원 검출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온도 검출부(121)는 실외기(100)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고, 실외 공간의 실외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토출 온도 검출부(123)는 압축기(101)의 토출 측에 배치되고, 압축기(10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25)는 실외기(100)의 운전 전류를 검출 할 수 있다.
주파수 검출부(127)는 인버터부(미도시)의 출력 측에 연결되어 인버터부로부터 압축기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를 실외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 검출부(129)는 제2 실내기(300)의 AC 릴레이부(330)에 연결되어 제2 실내기(300)의 전원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실외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부(130)는 실외 제어부(140)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실내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외기 통신부(130)는 제1 실내기(200)의 운전 시 제1 실내기(200)로부터 운전 정보 및 실내 정보를 수신하여 실외 제어부(140)에 전송하고, 실외 제어부(140)의 명령에 대응되는 운전 제어 신호를 제1 실내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외 제어부(140)는 실외 온도 검출부(121), 토출 온도 검출부(123), 전류 검출부(125), 주파수 검출부(127), 및 전원 검출부(1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각각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실외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가 제2 실내기(300)의 제2 입력부(315)를 통하여 시운전 명령을 발생시키면, 실외 제어부(140)는 제2 실내 제어부(340)로부터 시운전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로써, 제2 실내 제어부(340)와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 명령이 발생하였음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제어부(140)는 제2 실내기(300)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 받고 제2 시운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외 제어부(140)는 압축기(101)를 구동시키고, 제2 실내기(300) 쪽의 제2 유량 조절 밸브(106, 이하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와 혼용하여 기재한다)를 개방하여 냉매가 순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제어부(140)는 제2 실내기(300)로부터 단방향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외 제어부(140)는 AC 릴레이 신호의 수신 여부로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상태를 예측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통신이 가능한 제1 실내기(200)로 전달 할 수 있다.
즉, 실외 제어부(140)는 전원 검출부(129)를 통해서 제2 실내기(300)의 AC 릴레이부(330)로부터 송출된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실외 제어부(140)는 실외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제1 실내기(200)의 제1 실내 통신부(230)로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를 전달 할 수 있다.
실외 제어부(140)의 추가적인 기능은 도3 내지 도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50)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 발생하는 데이터(온도 검출 값, 주파수 검출 값, 전원 검출 값, 밸브 개도 값, 기준 온도, 기준 시간 등)를 저장하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160)는 시운전이 진행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그 시운전 진행률 정보를 실외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 진행률 정보를 제1 실내기(200)에 전달함으로써 제1 실내기(200)에서 진행률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실외기 구동부(170)는 압축기 구동부(171), 실외 팬 구동부(173), 제1 유량 조절 밸브 구동부(178), 및 제2 유량 조절 밸브 구동부(179)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171)는 압축기(101, 도 1 참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171)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정 주파수와 고정 전압의 교류 전원을 입력 받고, 이 교류 전원을 정류한 후 평활(DC)하여 맥동 성분을 제거하여 직류 성분으로 만든 다음 직류 성분의 전압을 실외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전압과 주파수로 가변시켜 압축기(101, 도 1 참조)의 모터(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
실외 팬 구동부(173)는 실외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에 따라서 실외 팬(103, 도 1 참조)의 운전(온/오프)과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방밸브 구동부(175)는 실외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에 따라서 사방밸브(176, 도1 참조)를 제어하여 냉방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제1 유량 조절 밸브 구동부(178)는 실외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에 따라 제1 유량 조절 밸브(105)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되, 제1 유량 조절 밸브(105) 개방 시 실외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에 대응되는 개도로 제1 유량 조절 밸브(105)가 개방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유량 조절 밸브 구동부(179)는 실외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에 따라 제2 유량 조절 밸브(106)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되, 제2 유량 조절 밸브(106) 개방 시 실외 제어부(140)의 구동 명령에 대응되는 개도로 제2 유량 조절 밸브(106)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00)는 제1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냉방 운전을 수행하여 제1 실내 공간의 공기를 기류식으로 냉방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00)는 제1 실내기 전력 공급부(210), 제1 입력부(215), 제1 실내기 감지부(220), 제1 실내기 통신부(230), 제1 실내 제어부(240), 제1 표시부(260), 및 제1 실내 팬 구동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내기 전력 공급부(210)는 외부의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고, 교류전원을 각 구성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실내기 전력 공급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온 또는 오프 명령을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운전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면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 운전 명령 및 운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운전 명령은 제1 실내기(200)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구동 명령 및 제1 실내기 시운전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온도, 풍향, 및 풍속 설정에 대응되는 운전 모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내기 감지부(220)는 제1 실내 온도 검출부(221), 제1 유입 냉매 온도 검출부(223), 및 제1 유출 냉매 온도 검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내 기 감지부(220)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제1 실내기 통신부(230)는 제1 실내 제어부(240)의 명령에 대응하여 실외기(1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방향 통신을 통해서 실외기(100)와 제1 실내기(200)는 운전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제1 실내 제어부(240)는 제1 실내기 전력 공급부(210), 제1 입력부(215), 제1 실내기 감지부(220), 제1 실내기 통신부(230), 제1 표시부(260), 및 제1 실내 팬 구동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실내기(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가 제1 입력부(215)를 통하여 시운전 명령을 발생시키면, 제1 실내 제어부(240)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여 실외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실내 제어부(240)와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 명령이 발생하였음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내 제어부(240)와 실외 제어부(140)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시운전에는 제1 시운전 단계, 제2 시운전 단계, 및 판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운전 단계는 제1 실내기(200)의 제1 실내 팬(275)를 운전하면서 실외기(100) 및 제1 실내기(200)의 여러 가지 기계 장치들과 전장 부품들의 조립 상태 및 구동 상태 등을 확인한다.
제2 시운전 단계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01)를 운전하면서 실외기(100)와 제1 실내기(200) 사이에 정상적인 냉매의 흐름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제1 판정 단계는 제1 시운전 단계 및 제2 시운전 단계의 운전 결과에 근거하여 실외기(100)와 제1 실내기(200) 사이의 배관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제2 판정 단계는 제1 실내기(200)로 필요한 양의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판정 단계와 제2 판정 단계는 하나의 판정단계로 통합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내 제어부(240)는 제1 실내기 통신부(230)를 통하여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를 전달 받고, 제1 표시부(260)를 통하여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내 제어부(240)의 추가적인 기능은 도3 내지 도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표시부(260)는 제1 실내기(200)에 마련되고,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고 또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내 메시지나 경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1 표시부(260)는 시운전 진행률 및 시운전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운전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는 엘시디(LCD) 패널 또는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26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가 엘시디(LCD) 패널인 경우, 현재까지의 진단 제어의 시운전 진행 상황을 백분율(%)로 표시하거나 시운전 전체를 0-99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진행 단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그래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260)가 엘이디인 경우, 복수의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점등되는 엘이디의 수를 통해 시운전의 진행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는 제1 실내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60)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진행 정도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실내 팬 구동부(270)는 제1 실내 제어부(24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실내 팬(275)의 운전(ON/OFF)과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내기(300)는 제2 실내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와 통신이 불가능 하며, 냉방 운전을 수행하여 제2 실내 공간의 공기를 기류식으로 냉방할 수 있다.
제2 실내기(300)는 제2 실내기 전력 공급부(310), 제2 입력부(315), 제2 실내기 감지부(320), AC 릴레이부(330), 제2 실내 제어부(340), 제2 표시부(360), 및 제2 실내 팬 구동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내기 전력 공급부(310)는 외부의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고, 교류전원을 각 구성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실내기 전력 공급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온 또는 오프 명령을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온(ON) 명령이 입력되면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운전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면 각 구성부에 동작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315)는 사용자로부터 운전 명령 및 운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운전 명령은 제2 실내기(300)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구동 명령 및 제2 실내기 시운전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온도, 풍향, 및 풍속 설정에 대응되는 운전 모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내기 감지부(320)는 제2 실내 온도 검출부(321) 및 제2 열교환기 온도 검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내기 감지부(320)는 앞서 도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AC 릴레이부(330)는 제2 실내 제어부(340)의 명령에 대응하여 실외기(100)로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방향 전달을 통해서 제2 실내기(300)는 제2 실내기(300)의 운전 상태(ON 또는 OFF)를 실외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 전력 공급부(310), 제2 입력부(315), 제2 실내기 감지부(320), AC 릴레이부(330), 제2 표시부(360), 및 제2 실내 팬 구동부(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 실내기(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사용자 또는 설치 담당자가 제2 입력부(315)를 통하여 시운전 명령을 발생시키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여 실외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실내 제어부(340)와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 명령이 발생하였음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내 제어부(340)와 실외 제어부(140)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시운전에는 제1 시운전 단계, 제2 시운전 단계, 및 판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운전 단계는 제2 실내기(300)의 제2 실내 팬(375)을 운전하면서 실외기(100) 및 제2 실내기(300)의 여러 가지 기계 장치들과 전장 부품들의 조립 상태 및 구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시운전 단계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01)를 운전하면서 실외기(100)와 제2 실내기(300) 사이에 정상적인 냉매의 흐름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판정단계는 제2 실내기(300)로 필요한 양의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AC 릴레이부(330)를 통해서 실외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제2 표시부(36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내 제어부(340)의 추가적인 기능은 도3 내지 도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표시부(360)는 제2 실내기(300)에 마련되고,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고 또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내 메시지나 경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2 표시부(360)는 시운전 진행률 및 시운전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운전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60)는 엘시디(LCD) 패널 또는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36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60)가 엘시디(LCD) 패널인 경우, 현재까지의 진단 제어의 시운전 진행 상황을 백분율(%)로 표시하거나 시운전 전체를 0-99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진행 단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그래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360)가 엘이디인 경우, 복수의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점등되는 엘이디의 수를 통해 시운전의 진행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60)는 제2 실내 제어부(34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60)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진행 정도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실내 팬 구동부(370)는 제2 실내 제어부(34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2 실내 팬(375, 도 1 참조)의 운전(ON/OFF)과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특히, 사용자가 멀티 공기 조화기의 설치 후 시운전을 통해 멀티 공기 조화기의 정상 설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진단 제어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실외 제어부(140), 제1 실내기 제어부(240), 및 제2 실내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실내기(300)의 제2 입력부(315)을 통하여 시운전 명령을 발생시키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여 실외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1100).
이로써 제2 실내 제어부(340)와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 명령이 발생하였음을 공유하게 된다.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은 제1 시운전 단계(1200), 제2 시운전 단계(1300), 판정단계(1400), 및 시운전 결과 표시단계(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운전 단계(1200)는 제2 실내기(300)의 제2 실내 팬(375)을 운전하면서 실외기(100),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의 여러 가지 기계 장치들과 전장 부품들의 조립 상태 및 구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시운전 단계(1300)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01)를 운전하면서 실외기(100)와 각 실내기(제1 실내기 및 제2 실내기) 사이에 정상적인 냉매의 흐름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판정단계(1400)는 각 실내기(제1 실내기 및 제2 실내기)로 필요한 양의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시운전 결과 표시단계(1500)는 제1 실내기(200)의 제1 표시부(260)에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1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2 입력부(315)는 사용자로부터 시운전 명령을 전달 받고, 이를 제2 실내 제어부(3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실내 제어부(340)을 시운전 명령을 전달 받으면 제1 시운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2 실내 제어부(340)는 부품(센서류 및 모터 등)의 조립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1110).
부품의 조립 상태 점검은 해당 부품들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응답의 확인을 통해서 가능하다.
둘째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 팬(375)을 운전하여 제2 실내기(300)가 설치되어 있는 공조 공간으로 송풍을 실시할 수 있다(1120).
여기에서, 제1 시운전 단계(1200)에서 작동하기 시작한 제2 실내 팬(375)은 시운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셋째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부품에 이상이 발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30).
만약, 제2 실내 팬(375)을 운전 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이상이 발견되면(1130의 “예”)이면, 후술하게 될 판정 단계(1400)의 147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도 6참조).
만약, 제2 실내 팬(375)을 운전 하는 동안에 부품의 조립 상태가 모두 정상이면(1130의 “아니오”)이면, 114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넷째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 팬(375)의 운전 경과시간이 제1 기준시간(t1)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40).
만약, 제2 실내 팬(375)의 운전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t1) 미만이면(1140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11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1140).
만약, 제2 실내 팬(375)의 운전 경과시간이 제1 기준시간(t1) 이상이면(1140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15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1140).
즉, 제2 실외 제어부(340)는 부품 진단 및 제2 실내 팬(375)의 운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t1)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며(1140의 “아니오”), 제2 실내 팬(375)의 운전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t1)에 도달하면 제2 시운전 단계(1300, 도3 참조)로 진입한다(1140의 “예”).
여기에서, 제2 시운전 단계(1300, 도3 참조)로 진입하는 시간은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압축기(101)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 실내 팬(375)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t1) 동안 운전하는 것은 이후 단계에서 제2 실내기(300)의 제2 열교환기(305)의 온도를 공조 공간의 온도까지 포화시켜서 판정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기준시간(t1)은 제2 실내기(300)의 제2 열교환기(305)의 온도가 공조 공간의 온도까지 포화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섯째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온도인 제2 실내 온도(Tr1)를 검출할 수 있다(1150).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는 판정 단계(1400)에서 각 실내기(제1 실내기 및 제2 실내기)로 필요한 양의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제2 시운전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압축기(101)의 구동을 위해 실외기(100)로 AC 릴레이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하고, AC 릴레이부(330)는 제2 실내 제어부(340)의 명령을 전달받고 AC 릴레이 신호를 실외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100)의 전원 검출부(129)는 제2 실내기(300)의AC 릴레이부(330)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AC 릴레이 신호를 실외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외 제어부(140)는 제2 실내기(300)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제2 시운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1300).
즉, 실외 제어부(140)는 압축기(101)를 구동시키고, 제2 실내기(300) 쪽의 제2 유량 조절 밸브(106, 이하에서는 전자 팽창 밸브와 혼용하여 기재한다)를 개방하고, 제2 실내기에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냉매가 순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 하려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1320).
시운전하려는 실내기의 수는 시운전 하는 실내기와의 통신 신호 또는 AC 릴레이 신호 수신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실내기가 통신이 가능한 제1 실내기(200)과 통신이 불가능한 제2 실내기(300)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가 모두 시운전 되면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는 “2”가 되며, 제1 실내기(200)와 제2 실내기(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내기만이 시운전되면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는 “1”이 된다.
둘째로,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는 전자 팽창 밸브 개도(Vo 또는 Vom)로 전자 팽창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1330).
여기에서, 전자 팽창 밸브 개도Vo는 시운전하는 실내기가 하나인 단독 운전에서의 전자 팽창 밸브 개도 값이고, 전자 팽창 밸브 개도 Vom은 시운전하는 실내기가 복수인 다실 운전에서의 전자 팽창 밸브 개도 값이다.
전자 팽창 밸브 개도 값은 공기 조화기의 모델에 따라 진단에 필요한 적절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셋째로, 실외 제어부(140)는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Cf 또는 Cfm)로 압축기(101)를 운전할 수 있다(1340).
여기에서,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 Cf는 시운전하는 실내기가 하나인 단독 운전에서의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이고, 운전 주파수 Cfm은 시운전하는 실내기가 복수인 다실 운전에서의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이다.
주파수를 구분해 주는 것은 실내 요구 용량의 합에 따른 운전 주파수를 달리하여 냉방 사이클의 신뢰성 확보 및 판정 변별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넷째로, 실외 제어부(140)는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의 수가 같은지를 비교할 수 있다(1350).
만약,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가 같지 않다면(1350의 “아니오”), 실외 제어부(140)는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도록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Cf 또는 Cfm)를 변경할 수 있다(1360).
또한, 실외 제어부(140)는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도록 전자 팽창 밸브 개도 값(Vo 또는 Vom)을 변경할 수 있다(1370).
그리고 나서, 실외 제어부(140)는 132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의 수보다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가 더 많으면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Cf또는 Cfm) 및 유량 조절 밸브(105, 106)의 전자 팽창 밸브 개도(Vo 또는 Vom)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의 수보다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가 더 적으면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Cf또는 Cfm) 및 유량 조절 밸브(105, 106)의 전자 팽창 밸브 개도(Vo 또는 Vom)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단독 운전과 다실 운전의 경우를 구분하여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Cf또는 Cfm) 및 유량 조절 밸브(105, 106)의 전자 팽창 밸브 개도(Vo 또는 Vom)를 달리하는 것은 실내기에서 요구하는 운전 용량의 합에 따라서 압축기(101)의 운전 주파수(Cf또는 Cfm) 및 유량 조절 밸브(105, 106)의 전자 팽창 밸브 개도(Vo 또는 Vom)를 달리함으로써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판정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만약, 이전에 시운전했던 실내기의 수와 현재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가 같다면(1350의 “예”), 실외 제어부(140)는 138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다섯째로, 실외 제어부(140)는 압축기(101)의 운전 경과시간이 제2 기준시간(t2)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380).
만약, 압축기(101)의 운전 경과시간이 제2 기준시간(t2)과 다르다면(1380의 “아니오”), 실외 제어부(140)는 132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실외 제어부(140)는 압축기(101)를 제2 기준시간(t2)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운전할 수 있다.
만약, 압축기(101)의 운전 경과시간이 제2 기준시간(t2)과 동일하다면(1380의 “예”), 실외 제어부(140)는 140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실외 제어부(140)는 판정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판정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2 실내기(300)는 실외기(100)와 통신이 불가능하고 실외 제어부(140)의 명령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실내 제어부(340)는 별도로 시운전 모드를 수행한다.
하지만, 실외 제어부(140)는 제2 실내기(300)로부터 단방향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외 제어부(140)는 AC 릴레이 신호의 수신 여부로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상태를 예측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통신이 가능한 제1 실내기(200)로 전달 할 수 있다.
제1 실내기(200)는 제1 실내기 통신부(230)를 통하여 제2 실내기의 시운전 상태 및 결과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1 표시부(260)을 통하여 제1 실내기 시운전 상태 및 결과뿐만 아니라 제2 실내기 시운전 상태 및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통신이 불가능한 제2 실내기(300)는 독립적으로 시운전을 수행하지만, 실외기(100)는 AC 릴레이 신호의 수신여부로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도 제1 실내기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판정 직전에서의 온도인 제2 실내 온도(Tr) 및 제2 열교환기 온도(Te)를 검출 할 수 있다(1410).
그리고 나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에 따라서 복수의 온도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온도 영역에 따라서 시운전 판정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측정한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온도인 제2 실내 온도(Tr1)를 3가지 범위로 구분하고, 각 범위에서 적정 냉매량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첫째로,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1 실내 온도 경계값(T1) 이하이면(1415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1415, 1445)
여기에서, 제1 실내 온도 경계값(T1)은 저온 영역과 상온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온도 경계값이다.
예를 들어, 제1 실내 온도 경계값(T1)이 20도이고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17도인 경우, 제2 실내기(3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제2 실내 온도(Tr1)가 충분히 낮은 값을 갖게 되므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된다고 결정하는 것이다.
둘째로,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1 실내 온도 경계값(T1) 초과이고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 이하이면(1415의 “아니오” 및 1420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42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1415, 1420).
여기에서,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은 제1 실내 온도 경계값(T1)보다 큰 값이며,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은 상온 영역과 고온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온도 경계값이다.
만약,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를 뺀 값이 제1 기준온도(Tc1) 초과이면(1425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430 단계를 수행하고,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를 뺀 값이 제1 기준온도(Tc1) 이하이면(1425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한다(1425, 1470).
여기에서, 제2 열교환기(305)에 공급되는 냉매가 충분할수록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낮은 값을 가지고, 공급되는 냉매가 부족할수록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높은 값을 가진다.
즉, 냉방 사이클 내 순환 냉매량이 부족할 경우, 열 교환기(305)를 지나는 냉매의 액상 비율보다 기상 비율이 높기 때문에 판정 직전에서의 평균적인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냉매량이 충분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낸다.
반면에, 냉방 사이클 내 순환 냉매량이 충분한 경우, 열 교환기(305)를 지나는 냉매의 기상 비율보다 액상 비율이 높기 때문에 판정 직전에서의 평균적인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냉매량이 부족한 경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낸다.
제1 기준온도(Tc1)는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1 실내 온도 경계값(T1) 초과이고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 이하인 조건(1415의 “아니오” 및 1420의 “예”)에서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와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의 최소 차이값이다.
만약,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3 기준온도(Tc3) 초과이면(1420의 “예” 및 1425의 “예”, 및 1430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고(1430, 1445),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3 기준온도(Tc3) 이하이면(1420의 “예” 및 1425의 “예”, 및 1430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한다(1430, 1470).
제3 기준온도(Tc3)는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1 실내온도(T1) 초과이고 제2 실내온도(T2) 이하인 조건(1415의 “아니오” 및 1420의 “예”)에서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의 최소 온도값이다.
제2 열교환기(305)에서 냉매의 상변화(액상->기상)가 이루어지므로, 제2 열교환기(305)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매의 상변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냉매는 액상의 비율이 기상의 비율 보다 높아지고,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차가운 액상의 냉매에 의해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3 기준온도(Tc3) 이하로 내려가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열교환기(305)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냉매의 상변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진다.
그 결과,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냉매는 액상의 비율과 기상의 비율 이 적당한 수준으로 존재하고,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액상의 냉매 및 기상의 냉매에 의해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3 기준온도(Tc3)를 초과하게 되므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셋째로,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 초과이면(1415의 “아니오” 및 1420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43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1415, 1420).
만약,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를 뺀 값이 제2 기준온도(Tc2) 초과이면(1435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440 단계를 수행하고,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를 뺀 값이 제2 기준온도(Tc2) 이하이면(1435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한다(1435, 1470).
여기에서, 제2 열교환기(305)에 공급되는 냉매가 충분할수록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낮은 값을 가지고, 공급되는 냉매가 부족할수록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높은 값을 가진다.
즉, 냉방 사이클 내 순환 냉매량이 부족할 경우, 열 교환기(305)를 지나는 냉매의 액상 비율보다 기상 비율이 높기 때문에 판정 직전에서의 평균적인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냉매량이 충분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낸다.
반면에, 냉방 사이클 내 순환 냉매량이 충분한 경우, 열 교환기(305)를 지나는 냉매의 기상 비율보다 액상 비율이 높기 때문에 판정 직전에서의 평균적인 제2 열교환기 온도(Te)는 냉매량이 부족한 경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낸다.
제2 기준온도(Tc2)는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 초과인 조건(1415의 “아니오” 및 1420의 “아니오”)에서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와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의 최소 차이값이다.
여기에서, 제2 기준온도(Tc2)는 제1 기준온도(Tc1) 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내기에 동일한 양의 냉매가 흐르더라도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에 따라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가 떨어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높을수록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Tr)가 떨어지는 정도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 초과인 경우에는 제2 기준온도(Tc2)는 제1 기준온도(Tc1)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여,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만약,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4 기준온도(Tc4) 초과이면(1420의 “아니오” 및 1435의 “예”, 및 1440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고(1440, 1445),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4 기준온도(Tc4) 이하이면(1420의 “아니오” 및 1435의 “예”, 및 1440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한다(1440, 1470).
제4 기준온도(Tc4)는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2 실내온도(T2) 초과인 조건(1415의 “아니오” 및 1420의 “아니오”)에서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의 최소 온도값이다.
제2 열교환기(305)에서 냉매의 상변화(액상->기상)가 이루어지므로, 제2 열교환기(305)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매의 상변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냉매는 액상의 비율이 기상의 비율 보다 높아지고,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차가운 액상의 냉매에 의해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4 기준온도(Tc4) 이하로 내려가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열교환기(305)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냉매의 상변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진다.
그 결과,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냉매는 액상의 비율과 기상의 비율 이 적당한 수준으로 존재하고,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305) 내에 존재하는 액상의 냉매 및 기상의 냉매에 의해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제4 기준온도(Tc4)를 초과하게 되므로,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에 적정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4 기준온도(Tc4)는 제3 기준온도(Tc3)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내기에 동일한 양의 냉매가 흐르더라도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에 따라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떨어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높을수록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가 떨어지는 정도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1)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Tr1)가 제2 실내 온도 경계값(T2) 초과인 경우에는 제4 기준온도(Tc4)는 제3 기준온도(Tc3) 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여,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시운전 결과에 대한 합격 또는 불합격 결정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시운전결과에 대한 합격 또는 불합격 결정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시운전결과가 합격이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기(300)를 제1 실내기(200)의 판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연속 운전시킨 후 제2 실내기의 운전을 종료시키거나, 실외기(100)와 제1 실내기(200)의 운전이 종료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실내기(300)의 운전을 종료시킬 수 있다.
먼저,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1)를 검출한다(1450).
만약, 판정 경과 시간이 제3 기준시간(t3)이면(1455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AC 릴레이를 온(ON)으로 설정하고 제2 실내기의 운전을 종료한다(1455, 1465, 1490).
만약, 판정 경과 시간이 제3 기준시간(t3)이 아니고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1)가 “판정 직전에 측정한 제2 열교환기 온도(Te)+제5 기준온도(Tc5)” 이하이면 (1455의 “아니오” 및 1460의 “아니오”), 제2 실내 제어부(340)는 1450 단계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제3 기준시간(t3)은 제1 실내기(200)의 판정이 완료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제5 기준온도(Tc5)는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실외기(100) 및 제1 실내기(200)의 운전 종료를 감지하는데 기준이 되는 판정 이후에 측정한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1)와 판정 직전에 측정한 제2 열교환기 온도(Te)의 차이값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1 실내기(200)의 판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제2 실내기(300)를 연속 운전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실내기(300)가 오프(OFF)되면 냉매 유량이 일시적으로 제1 실내기(200)로 몰려 냉매가 부족한지 여부를 감지하는 판정 구간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제2 실내기(300)의 판정 시점이 제1 실내기(200)의 판정 시점보다 앞서기 때문에 제2 실내 제어부(340)가 제1 실내기(200)의 판정시점까지 제2 실내기(300)의 운전을 수행하여 제1 실내기(200)의 판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만약, 판정 경과 시간이 제3 기준시간(t3)이 아니고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1)가 “판정 직전에 측정한 제2 열교환기 온도(Te)+제5 기준온도(Tc5)” 보다 크면(1455의 “아니오” 및 1460의 “예”), 제2 실내 제어부(340)는 AC 릴레이를 온(ON)으로 설정하고 제2 실내기의 운전을 종료한다(1455, 1465, 1490).
제2 실내기(300)는 실외기(100)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실외 제어부(140)의 명령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제2 실내기(300)가 독자적으로 실외기(100)와 제1 실내기(200)의 운전 종료를 감지하고 제2 실내기(300)의 운전을 종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외기(100) 및 제1 실내기(200)의 운전이 종료가 되면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1)는 상승하는데, 제2 실내 제어부(340)는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Te1)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실외기(100) 및 제1 실내기(200)의 운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시운전결과가 불합격이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AC 릴레이를 오프(OFF)로 설정하고 제2 실내기의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1475, 1490).
또한, 시운전결과가 불합격이면, 제2 실내 제어부(340)는 제2 실내 팬(375)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제어 방법 가운데 시운전 결과 표시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실외 제어부(140)는 전원 검출부(129)를 통해서 제2 실내기(300)의 AC 릴레이부(330)로부터 송출된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1510).
그리고 나서, 전달 받은 AC 릴레이 신호가 온(ON)이면, 실외 제어부(140)는 제1 실내기(200)로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가 합격임을 전달한다(1520, 1530).
하지만, 전달 받은 AC 릴레이 신호가 오프(OFF)이면, 실외 제어부(140)는 제1 실내기(200)로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가 불합격임을 전달한다(1520, 1540).
이때, 실외 제어부(140)는 실외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제1 실내기(200)의 제1 실내 통신부(230)로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를 전달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실내기(200)의 제1 실내 제어부(240)는 제1 실내 통신부(230)를 통하여 제2 실내기(300)의 판정 결과를 전달 받고, 제1 표시부(260)를 통하여 제1 실내기(200) 및 제2 실내기(300)의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1550).
100 : 실외기 110 : 실외기 전력 공급부
120 : 실외기 검출부 130 : 실외기 통신부
140 : 실외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 170 : 실외기 구동부
200 : 제1 실내기 210 : 제1 실내기 전력 공급부
215 : 제1 입력부 220 : 제1 실내기 감지부
230 : 제1 실내기 통신부 240 : 제1 실내 제어부
260 : 제1 표시부 270 : 제1 실내 팬 구동부
300 : 제2 실내기 310 : 제2 실내기 전력 공급부
315 : 제2 입력부 320 : 제2 실내기 감지부
330 : AC 릴레이부 340 : 제2 실내 제어부
360 : 제2 표시부 370 : 제2 실내 팬 구동부
120 : 실외기 검출부 130 : 실외기 통신부
140 : 실외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시운전 진행률 제어부 170 : 실외기 구동부
200 : 제1 실내기 210 : 제1 실내기 전력 공급부
215 : 제1 입력부 220 : 제1 실내기 감지부
230 : 제1 실내기 통신부 240 : 제1 실내 제어부
260 : 제1 표시부 270 : 제1 실내 팬 구동부
300 : 제2 실내기 310 : 제2 실내기 전력 공급부
315 : 제2 입력부 320 : 제2 실내기 감지부
330 : AC 릴레이부 340 : 제2 실내 제어부
360 : 제2 표시부 370 : 제2 실내 팬 구동부
Claims (18)
-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는 제1 실내기, 상기 실외기로 단방향 AC릴레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내기가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운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공조 공간으로 송풍을 실시하면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동안 상기 멀티 공기 조화기의 조립 상태를 진단하는 제1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실외기에 마련되는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실내기에 냉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2 시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실내기가 상기 제1 시운전 또는 상기 제2 시운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결정하는 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실내기가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시간은,
상기 제2 실내기에 제공되는 제2 열교환기의 온도가 공조 공간의 온도까지 포화되는 시간인 것을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을 실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시운전 단계에서 송풍을 시작하여 시운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운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운전을 수행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이상이 발견되면, 시운전 결과를 “불합격”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실내기의 AC 릴레이 신호를 오프(OFF)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운전을 수행하는 것은,
부품의 조립 상태가 모두 정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시간 경과 후 상기 제2 시운전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기의 제2 시운전 진입 시점과 상기 제2 실내기의 제2 시운전 진입 시점은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운전 단계는,
현재 시운전하고 있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하고;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는 전자 팽창 밸브 개도로 전자 팽창 밸브를 개방하고;
시운전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현재 시운전하고 있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1 실내기로부터 전달받은 통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전달받은 AC 릴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운전하고 있는 실내기의 수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운전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에 따라서 복수의 온도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온도 영역에 따라서 시운전 판정 기준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실내 온도 경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가 제1 실내 온도 경계값 초과이고 제2 실내 온도 경계값 이하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1 기준온도 초과이면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1 기준온도 초과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가 제3 기준온도 초과이면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기 전의 제2 실내 온도가 제2 실내 온도 경계값 초과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2 기준온도 초과이면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실내 온도에서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뺀 값이 제2 기준온도 초과인 경우,
판정 직전에서의 제2 열교환기 온도가 제4 기준온도 초과이면 제2 실내기의 시운전 결과를 “합격”으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 결과가 “합격”이면,
제2 실내기를 제1 실내기의 판정이 완료되는 시간인 제3 기준시간까지 연속 운전시키고;
상기 제3 기준시간 경과 후에 AC 릴레이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 결과가 “합격”이면,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시운전 판정 이후의 제2 열교환기 온도가 “판정 직전에 측정한 제2 열교환기 온도+제5 기준온도” 보다 크면 AC 릴레이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시운전 결과가 “불합격”이면 AC 릴레이를 오프(OFF)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가 상기 제2 실내기로부터 AC 릴레이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실외기가 상기 AC 릴레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시운전 결과를 상기 제1 실내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실내기가 상기 시운전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480A KR101929854B1 (ko) | 2012-08-21 | 2012-08-21 |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480A KR101929854B1 (ko) | 2012-08-21 | 2012-08-21 |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5163A true KR20140025163A (ko) | 2014-03-04 |
KR101929854B1 KR101929854B1 (ko) | 2018-12-17 |
Family
ID=5064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1480A KR101929854B1 (ko) | 2012-08-21 | 2012-08-21 |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985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41034A (zh) * | 2015-11-17 | 2016-01-13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
CN105571071A (zh) * | 2016-01-05 | 2016-05-1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
CN107300908A (zh) * | 2017-06-21 | 2017-10-27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一种空调线控器检测方法 |
CN110567048A (zh) * | 2019-09-27 | 2019-12-13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多联机制热运行中电子膨胀阀控制方法和装置 |
CN112985869A (zh) * | 2021-03-29 | 2021-06-18 |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 双设备共用工装测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
CN113203176A (zh) * | 2021-05-27 | 2021-08-03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压缩机排气压力调节方法及空调器 |
CN113983653A (zh) * | 2021-10-21 | 2022-01-28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空调机组启动控制方法、装置、系统和空调机组 |
CN115854524A (zh) * | 2022-11-03 | 2023-03-28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外机的商检控制方法、装置及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39512B (zh) * | 2018-11-26 | 2021-01-26 |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降频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07199B2 (ja) | 2009-10-26 | 2014-05-28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故障診断システム |
-
2012
- 2012-08-21 KR KR1020120091480A patent/KR10192985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41034A (zh) * | 2015-11-17 | 2016-01-13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
CN105571071A (zh) * | 2016-01-05 | 2016-05-1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
CN107300908A (zh) * | 2017-06-21 | 2017-10-27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一种空调线控器检测方法 |
CN110567048A (zh) * | 2019-09-27 | 2019-12-13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多联机制热运行中电子膨胀阀控制方法和装置 |
CN112985869A (zh) * | 2021-03-29 | 2021-06-18 |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 双设备共用工装测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
CN113203176A (zh) * | 2021-05-27 | 2021-08-03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压缩机排气压力调节方法及空调器 |
CN113983653A (zh) * | 2021-10-21 | 2022-01-28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空调机组启动控制方法、装置、系统和空调机组 |
CN113983653B (zh) * | 2021-10-21 | 2022-12-09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空调机组启动控制方法、装置、系统和空调机组 |
CN115854524A (zh) * | 2022-11-03 | 2023-03-28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外机的商检控制方法、装置及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9854B1 (ko) | 2018-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25163A (ko) |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 |
KR102317340B1 (ko)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 |
KR102333207B1 (ko) |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
US1176911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iagnostics of HVAC systems | |
US10408484B2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a refrigerant leak sensor in an indoor unit | |
US11378316B2 (en) | Diagnostic mode of operation to detect refrigerant leaks in a refrigeration circuit | |
US7954333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516381B1 (ko) | 냉동장치 | |
US20080315000A1 (en) | Integrated Controller And Fault Indicator For Heating And Cooling Systems | |
US20100174412A1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 |
KR101070186B1 (ko) | 냉매 흐름량 변화에 따른 송풍기 풍량 자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직접팽창방식 공조기 | |
US20200018504A1 (en) | Indoor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 |
US20210207831A1 (en) | Refrigerant leak detection and mitigation | |
CN106765859A (zh) | 空调的制冷除湿控制方法及空调系统 | |
KR20100056204A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냉매 누설 진단방법 | |
CN104501355B (zh) | 空调器的控制方法 | |
CN101231016A (zh) | 多联式空调机的管道连接检查装置及其方法 | |
KR102455220B1 (ko) |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
KR20110001667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40141127A (ko) |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 |
CN110848874A (zh) | 一种空调冷媒泄漏的检测方法及装置 | |
JP2008039388A (ja) | マルチ式空気調和機 | |
EP1643193B1 (en) |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344066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37206A (ko) | 공기 조화기의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