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234A - Smart phone game holder - Google Patents
Smart phone game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4234A KR20140024234A KR1020130150200A KR20130150200A KR20140024234A KR 20140024234 A KR20140024234 A KR 20140024234A KR 1020130150200 A KR1020130150200 A KR 1020130150200A KR 20130150200 A KR20130150200 A KR 20130150200A KR 20140024234 A KR20140024234 A KR 20140024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holder
- game
- coupled
- clip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 스마트폰과 게임기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결합하는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략 직사각형의 스마트폰(1)과, 하향연장되는 한 쌍의 자루형상의 손잡이부(5)를 양측에 구비한 본체(4)의 상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6,7,8,9)을 구비한 게임기 컨트롤러(3)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컨트롤러 본체(4)의 손잡이부(5) 사이의 중앙부를 감싸도록 개폐되는 밴드형상의 클립부(10)와, 상기 클립부(10)에서 상향연장되며 스마트폰(1)의대향하는 둘레부에 신축가능하게 맞물려서 스마트폰(1)을 체결하도록 된 클램프부(20)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game holder for easily combining the smartphone and the game machin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 and 7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 having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smartphone 1 and a pair of bag-shaped handle portions 5 extending downward. In the holder for coupling the game machine controller (3) having 8, 9 with each other, the holder is a band-shaped clip portion which is opened and closed to surround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handle portion 5 of the controller body (4) 10) and a smartphone game holder consisting of a clamp portion (20) which is extended upwardly from the clip portion (10) and elastically engaged with an opposing circumference of the smartphone (1) to fasten the smartphone (1).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스마트폰과 게임기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스마트폰에 저장된 게임을 게임기전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함으로써, 게임의 조작이 간편하고 박진감 있으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가리지 않아서, 화면의 진행상황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어서 게임의 승률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smartphone game, and more particularly, by combining the smartphone and the game console controller, the game stored in the smartphone using a controller dedicated to the game machine, the operation of the game is simple and exciting and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game holder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progress of the screen without obscuring the screen, thereby increasing the game's winning rate.
근래에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게임어플이 개발되어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게임어플은 터치패드로 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게임화면이 표시되는데, 이러한 게임화면에 게임의 조작을 위한 스타트버튼, 선택버튼 및 방향버튼 등의 조작버튼이 동시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게임자가 스마트폰 본체를 손으로 쥐고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의 터치화면을 눌러서 게임을 해야 하는데, 그에 따라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불가피하게 가리게 되어 게임자가 스마트폰 화면 전체를 볼 수 없어서 게임의 진행상황을 충분히 신속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그만큼 게임의 승률이 낮아지거나 게임의 박진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게임의 개발자도 사용자의 조작버튼 부위가 가려지는 것을 감안하여 게임화면을 설계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자유로운 게임화면의 구성에 제약이 있었다. Recently, as smartphones are widely used, various game applications implemented in smart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enjoyed by many people. As described above, the game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e smartpho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which is a touch pad, and operation buttons such as a start button, a selection button, and a direc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game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game screen. do. Accordingly, in order to play a smartphone game, the player must hold the smartphone body with his hand and press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with his finger to play the gam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gress of the game could not be grasped quickly enough to see the whole, so that the winning rate of the game or the thrill of the game was reduced. In addition, the developer of the game has to design the game scree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operation button is blocked, there was a limi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ree game screen.
한편, 종래에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전용게임기와 함께 사용하는 게임기 컨트롤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게임기 컨트롤러는 대략 양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의 상부에는 선택버튼, 스타트버튼, 방향버튼이나 조작버튼, 조이스틱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게임컨트롤러는 파지가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버튼이 구비되어 게임의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래에 확산되는 스마트폰 게임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game machine controller used with a dedicated game machine such as a Playstation is used, and such a game machine controller has a selection button, a start button, a direction button, Operation buttons, joysticks and the like are provided. Such a game controll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smartphone game that has recently been spread despite the advantages of easy gripping and easy operation of the game with various kinds of button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폰 게임 및 전용게임기용 컨트롤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게임기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스마트폰에 저장된 게임을 게임기전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함으로써, 게임의 조작이 간편하고 박진감 있으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가리지 않아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나타나는 게임화면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어서 게임화면에 나타나는 개체의 출현과 변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하여 게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 게임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 game and the dedicated game machine 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combining the smartphone and the game machine controller to use the game machine controller for the game stored in the smartphone By doing so, the operation of the game is simple and thrilling, and it does not cover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game screen appearing on the smartphone display screen can be improved, so that the appearance and change of objects appearing on the game screen can be quickly and easily. It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smartphone gam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grasp and focus on the game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smartphone g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머의 취향이나 자세에 따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화면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직사각형의 화면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전환할 수 있어서 시인성이 더욱 우수하고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or switch the rectangular screen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cording to the taste or attitude of the gamer to provide a smartphone game holder of a new structure with better visibility and more convenient. I would like to.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대략 직사각형의 스마트폰(1)과, 하향연장되는 한 쌍의 자루형상의 손잡이부(5)를 양측에 구비한 본체(4)의 상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6,7,8,9)을 구비한 게임기 컨트롤러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컨트롤러 본체(4)의 손잡이부(5) 사이의 중앙부를 감싸도록 개폐되는 밴드형상의 클립부(10)와, 상기 클립부(10)에서 상향연장되며 스마트폰(1)의대향하는 둘레부에 신축가능하게 맞물려서 스마트폰(1)을 체결하도록 된 클램프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 having a substantial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더의 클램프부(20)의 기단부는 상기 클립부(10)의 상단에 힌지축(1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램프부(20)에 결합된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ase end of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더의 클립부(10)의 상부에는 상향돌출된 연장지지부(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20)는 상기 연장지지부(26)에 형성된 축부재(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립부(10)에 대하여 스마트폰(1)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립부(10)는 컨트롤러 본체(4)의 전면중앙부를 감싸는 상광하협의 전면커버(11)와, 상기 전면커버(1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컨트롤러 본체(4)의 배면부를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커버(11)의 하단부와 탄성결합되는 걸림부(13)가 형성된 상광하협의 배면커버(1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의 양측 상단에는 컨트롤러 본체(4)의 배면부를 향해 하향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기 컨트롤러 본체(4)의 손잡이부(5) 사이의 중앙부를 감싸도록 개폐되는 밴드형상의 클립부(10)와, 이 클립부(10)에서 상향연장되며 스마트폰(1)을 체결하도록 된 클램프부(20)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 어플게임을 할 때, 스마트폰 터치화면을 통해 조작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나타나는 게임화면을 손가락의 간섭없이 잘 주시할 수 있어서, 게임화면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고, 게임화면에 나타나는 개체의 출현과 변화를 신속용이하게 파악하여 게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 게임의 흥미와 점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의 클램프부(20)는 스마트폰(1)의 대향하는 둘레부에 신축가능하게 맞물려서 스마트폰(1)을 체결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을 단일의 홀더에 의해 손쉽게 착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또한, 게이머의 취향이나 자세에 따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화면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직사각형의 화면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전환할 수 있어서 시인성이 더욱 우수하고 편리한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립부(10)를 상부에서 힌지연결된 상광하협의 전면커버(11)와 상광하협의 배면커버(12)로 형성하고, 전면커버(11)의 상단 양측에는 컨트롤러 본체(4)의 배면부를 향해 하향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14)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에서 게임기 컨트롤러를 제거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phone or switch the rectangular screen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cording to the taste or posture of the gamer can provide a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smartphone game holder. In addition, th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4와 도 5는 상기 실시예를 스마트폰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및 거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4 and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tate of mounting state using the embodiment as a smartphone holder
6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략 직사각형의 스마트폰(1)과, 하향연장되는 한 쌍의 자루형상의 손잡이부(5)를 양측에 구비한 본체(4)의 상면에 다수개의 조작버튼(6,7,8,9)을 구비한 게임기 컨트롤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홀더이다. 이 홀더는 컨트롤러 본체(4)의 손잡이부(5) 사이의 중앙부를 감싸도록 개폐되는 밴드형상의 클립부(10)와, 이 클립부(10)에서 상향연장되며 스마트폰(1)의 둘레부에 맞물리는 클램프부(20)로 이루어진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 having a substantially
상기 클립부(10)는 컨트롤러 본체(4)의 전면 중앙부, 즉 한 쌍의 손잡이부(5)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상광하협의 전면커버(11)와, 이 전면커버(1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컨트롤러 본체(4)의 배면부를 감싸는 배면커버(12)로 구성된다. 전면커버(11)와 배면커버(12)의 형상은 이에 결합되는 컨트롤러 본체(4)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태를 이루지만, 대체로 상광하협의 형태를 취하여 그 하단부는 그 폭이 작게 제작되므로 탄성결합을 위한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면커버(11)는 배면커버(12)의 하단부 걸림부(13)와 원터치조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11)의 양측 상단에는 컨트롤러 본체(4)의 배면부를 향해 하향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14)가 구비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클램프부(20)는 클립부(10)의 전면커버(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향연장되는 지지판(21)과, 이 지지판(2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스마트폰(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걸림턱(22)과, 이 지지판(21)의 내부에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강되며 스마트폰(1)의 상단부와 맞물리도록 지지하는 상단걸림턱(25)이 형성된 슬라이더(24)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러 본체(4)와 스마트폰(1)을 연결하는 접속케이블(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케이블(3)은 컨트롤러 본체(4)와 스마트폰(1)이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cable 3 for connecting the controller body 4 and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게임기용 컨트롤러 본체(4)의 중앙부를 감싸는 밴드형상의 클립부(10)와 이 클립부(10)에서 상향연장되며 스마트폰(1)을 체결하도록 된 클램프부(20)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게임용 홀더를 제공할 수 있어서, 스마트폰(1)의 터치화면을 직접 조작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에 비해 게임화면이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차단되어, 게임화면의 시인성이 증대되고, 게임화면에 나타나난 개체의 출현과 변화를 신속용이하게 파악하여 게임에 충실하게 집중할 수 있어서, 어서, 게임의 흥미와 점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의 클램프부(20)는 상기 슬라이더(24)가 탄성적으로 승강함에 따라 스마트폰(1)의 대향하는 둘레부에 신축가능하게 맞물려서 스마트폰(1)을 체결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스마트폰을 단일의 홀더에 의해 손쉽게 착탈할 수 있어 범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립부(10)의 전면커버(11)와 배면커버(12)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하단부의 폭이 좁은 걸림부(13)의 탄성변형이 원활하므로, 원터치 탄성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립부(10)에 컨트롤러 본체(4)를 결합하는 대신에,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커버(12)를 뒤로 제껴서 전면커버(11)와 배면커버(12)의 하단부를 전후방의 지지다리로 이용하고, 전면커버(11)의 양측 상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를 좌우의 지지다리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홀더를 스마트폰 거치대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and-shap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클램프부(20)의 기단부에는 상기 클립부(1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15)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힌지축(15)은 적절한 정도의 가압력으로 밀착결합되어 게이머가 약간의 힘을 가하면 각도조절이 되면서도 손을 놓으면 그 각도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내부에 도시안된 다수의 걸림홈과 탄지볼이 구비되어,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걸림홈과 탄지볼이 탄성결합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멈추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al end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홀더의 클립부(10)의 상부에 상향돌출된 연장지지부(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20)는 별체로 이루어져서 턴테이블과 같이 축부재(27)를 통해 상기 연장지지부(2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클립부(10)에 대하여 클램프부(20)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직사각형의 스마트폰(1)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설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게임에 대하여 스마트폰(1)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용이하게 배치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7 i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ims (4)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 7, 8, and 9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 having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smartphone 1 and a pair of bag-shaped handle portions 5 extending downwards on both sides. In the holder for coupling the game controller provided with each other, the holder is a band-shaped clip portion 10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rround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handle portion 5 of the controller body 4, and the clip portion ( The holder for a smartphone g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lamp portion (20) which is extended upward in the 10 and is elastically engaged to the opposite circumference of the smartphone (1) to fasten the smartphone (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end of the clamp portion 20 of the hold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lip portion 10 by a hinge shaft 15, the smartphone coupled to the clamp portion ( 1) Smartphone gam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display ang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clip portion 10 of the holder further includes an upwardly extending support portion 26, wherein the clamp portion 20 is formed on the shaft shaft Rotatingly coupled to the member 27, the smartphone gam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ble to position the smartphone (1)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lip portion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200A KR20140024234A (en) | 2013-12-04 | 2013-12-04 | Smart phone game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200A KR20140024234A (en) | 2013-12-04 | 2013-12-04 | Smart phone game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234A true KR20140024234A (en) | 2014-02-28 |
Family
ID=5026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0200A KR20140024234A (en) | 2013-12-04 | 2013-12-04 | Smart phone game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24234A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42228A1 (en) * | 2016-02-18 | 2017-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ler |
USD929390S1 (en) | 2019-06-19 | 2021-08-31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WO2021225891A1 (en) * | 2020-05-05 | 2021-11-11 |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 Mobile video game controller |
US11181230B2 (en) | 2017-01-04 | 2021-11-23 | Google Llc | Mount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
US11202963B2 (en) | 2019-05-08 | 2021-12-2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Balanced game controller clip |
KR20220001829A (en) * | 2020-06-30 | 2022-01-0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roller capable of change volume and length using buckling effect |
US11546491B2 (en) | 2017-01-04 | 2023-01-03 | Google Llc |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
USD997927S1 (en) | 2019-11-19 | 2023-09-05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US11849198B2 (en) | 2017-09-19 | 2023-12-19 | Google Llc | Outdoor camera assembly |
US11924532B2 (en) | 2017-01-04 | 2024-03-05 | Google Llc |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
-
2013
- 2013-12-04 KR KR1020130150200A patent/KR20140024234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42228A1 (en) * | 2016-02-18 | 2017-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ler |
US11546491B2 (en) | 2017-01-04 | 2023-01-03 | Google Llc |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
US11924532B2 (en) | 2017-01-04 | 2024-03-05 | Google Llc | Camera assembly with concave-shaped front face |
US11181230B2 (en) | 2017-01-04 | 2021-11-23 | Google Llc | Mount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
US12167112B2 (en) | 2017-09-19 | 2024-12-10 | Google Llc | Outdoor camera assembly |
US11849198B2 (en) | 2017-09-19 | 2023-12-19 | Google Llc | Outdoor camera assembly |
US11202963B2 (en) | 2019-05-08 | 2021-12-2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Balanced game controller clip |
USD956034S1 (en) | 2019-06-19 | 2022-06-28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USD929390S1 (en) | 2019-06-19 | 2021-08-31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USD997927S1 (en) | 2019-11-19 | 2023-09-05 | Google Llc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US11491394B2 (en) | 2020-05-05 | 2022-11-08 |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 Mobile video game controller |
WO2021225891A1 (en) * | 2020-05-05 | 2021-11-11 |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 Mobile video game controller |
KR20220001829A (en) * | 2020-06-30 | 2022-01-06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roller capable of change volume and length using buckling effec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24234A (en) | Smart phone game holder | |
US10675546B2 (en) | Controllers for game machines | |
US9802118B2 (en) | Game controller with clamp for portable device | |
US20200398171A1 (en) |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 |
US10272325B1 (en) | Game controll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 |
WO2020226816A1 (en) | Balanced game controller clip | |
US20080230987A1 (en) | Gaming control holder | |
US20130148270A1 (en) | Electronic device case with removable attachments | |
US20120196680A1 (en) | Compact game controller | |
JP6503536B1 (en) | Operation support tool for game controller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 |
US8523674B2 (en) | Video game controller for multiple users | |
US2735682A (en) | Basketball game | |
KR101053559B1 (en) | Rotary three-dimensional ironing board | |
US20130102391A1 (en) | Video game controller for multiple users | |
US20150335998A1 (en) | Video game portal | |
JP2009543215A (en) | Controller holder for video game remote controller assembly | |
US9764228B2 (en) | Contextual play pattern switching system and method | |
KR20190068733A (en) | Game controller for smartphone in which can be attached to smartphone | |
JP4185938B2 (en) | Flying toy | |
KR101529789B1 (en) | Custody Box of Ping-Pong Balls | |
CN201200788Y (en) | Chessboards | |
KR101143587B1 (en) | Game controller | |
CN201596340U (en) | Television game balance board | |
US8740707B1 (en) | Video game controller for multiple users | |
KR100760659B1 (en) | Theatrical do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