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56A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0956A KR20140000956A KR1020120068872A KR20120068872A KR20140000956A KR 20140000956 A KR20140000956 A KR 20140000956A KR 1020120068872 A KR1020120068872 A KR 1020120068872A KR 20120068872 A KR20120068872 A KR 20120068872A KR 20140000956 A KR20140000956 A KR 20140000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weight concrete
- concrete block
- uneven
- lightweight
- fini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of expanded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0—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undercut recesses, e.g. dov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 벽체 형성에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 습식공법과 경량콘크리트판넬 건식공법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개발한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과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속경시멘트, 흑연발포EPS비드, 무기경량골재, 슬라그미분, 물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내화용, 흡음용, 차음용 등의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며, 경량콘크리트블럭 제조용 요철 몰드에 표면지를 먼저 넣고 표면지 양끝을 몰드에 고정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면 주입이 완료된 후 약 1분만에 경화되게 함으로써, 상하 좌우의 사면에 표면지로 마감된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을 제조하며, 이의 시공방법은 경량콘크리트블럭 요철부위를 단순히 끼워 맞춰 조적시공하는 일반공법과 요철부위에 있는 철근홈에 철근과 시멘트 몰탈로 충진한 후 끼워 맞춰 조적시공하는 보강공법이 있다.
Description
기존의 칸막이 벽체구조는 시멘트 벽돌이나 블럭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Block)을 시멘트 조적용 몰탈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형성하고, 다시 시멘트 미장용 몰탈로 미장함으로써 벽체구조를 형성하는 습식공법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석고보드나 경량콘크리트패널 등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칸막이 벽체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점차 확대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건식 칸막이 벽체 형성공법이 경량자재의 사용으로 건물하중감소, 빠른 시공으로 공기의 단축가능, 마감공정을 간략화를 통해 원가절감에 부응, 칸막이 벽체구조에 요구되는 내화 및 방음성능의 충족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칸막이 벽체 형성에 사용되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개발한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과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속경시멘트, 흑연발포EPS비드, 무기경량골재, 물, 기포제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성하며, 경량콘크리트블럭 제조용 요철 몰드에 표면마감용 표면지를 먼저 넣고 표면지 양끝을 몰드에 고정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면 주입이 완료된 후 약 1분만에 경화되게 함으로써, 상하 좌우의 사면에 표면지로 마감된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의 칸막이 벽체에 사용되는 경량콘크리트 블럭은 대부분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Block)이며, 이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시멘트와 규사, 생석회 등의 무기원료와 기포제, 물 등을 혼합하여 몰드에 주입한 후 1차 습윤 상온 양생실에서 양생하고 나면 몰드를 탈형할 수 있는데, 탈형된 제품을 피아노선을 사용하여 블럭형태로 절단한 후, 고온 고압의 양생기에서 양생하면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이 제조된다.
현재의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의 제조방법은 고온 고압의 양생기를 사용하여 양생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많은 생산방법이며,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은 표면강도가 미약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파손되기 쉽고, 칸막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조적용 몰탈로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조적한 후, 다시 시멘트 미장용 몰탈로 미장을 실시함으로써 벽체구조가 완성되는데,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은 표면강도가 미약하기 때문에 반드시 미장을 해야만 페인트, 도배, 타일 등의 마감재 시공이 가능하다.
현재의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의 물리성능을 살펴보면 일반블럭의 경우에는 비중 0.5, 압축강도 3N/㎟이고, 고강도블럭의 경우에는 비중 0.6, 압축강도 5N/㎟이다.
경량콘크리트 생산단계에서 에너지수요가 많은 고온 고압 양생기(Autoclave 설비)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1차 상온 상압 양생실과 2차 고온 고압 양생실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양생공정을 없애거나 단축시켜, 훨씬 작은 생산시설면적에서도 동일한 생산효과가 구현되도록 한다.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은 표면강도가 미약하여 약한 충격에도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사용하여 칸막이 벽체형성을 위해서는 시멘트 조적용 몰탈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형성하고, 여기에 다시 시멘트 미장용 몰탈로 미장하는 습식공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습식공법은 겨울철에 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인건비가 비싼 전문인력이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는 일반시멘트, 규사, 생석회, 기포제, 물 등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양생기간이 길고 고온 고압의 양생시설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초속경시멘트, 흑연발포EPS비드, 무기경량골재, 물, 기포제 등을 주원료로 하여 경량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써 양생기간이 극히 짧아 양생실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관련된 양생시설과 시설부지가 없어도 되고, 생산공정과 생산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어 생산효율성이 증대된다.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는 기포제를 사용하여 시멘트 슬러리(Slurry)를 발포한후 경화시키는 원리로 경량콘크리트를 제조하며, 그의 비중이 0.5, 압축강도가 3N/㎟ 이나, 수많은 기포가 노출되는 기포콘크리트의 특성상 표면강도가 미약할 수 밖에 없는데, 본 발명은 흑연발포EPS비드, 무기경량골재 등을 사용하여 골재 자체를 경량화하는 원리로 경량콘크리트를 제조하며, 그의 비중이 0.4, 압축강도가 4N/㎟ 로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보다 가벼우면서도 강도는 더 세고, 경량콘크리트가 노출되어도 경량골재가 시멘트로 코팅되어 있기에 표면강도가 매우 강하다.
본 발명은 별도로 미장을 실시하지 않고도 마감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경량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증대시켜 좀더 높이 조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지로 경량콘크리트의 상하부위와 양옆면 노출부위를 둘러 쌓다.
본 발명은 조적시공을 하는 습식공법을 건식공법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경량콘크리트 블럭을 일반적인 형태의 평범한 사각모양대신에 요철 형태로 블럭을 제조함으로써, 레고(Lego) 장난감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요철부위를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다양한 장난감 물건을 만들듯이,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는 상부와 좌측면 부위가 돌출요철로 되어 있고, 하부와 우측면 부위는 함몰요철로 되어 있어 서로를 끼워 맞추면서 조적하는 간단한 건식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블럭은 양측면 사각부위의 모서리를 모따기가 되어 있는데, 이는 그 자체로 마감시 의장성을 부여하는 특성이 있다.
만약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블럭의 표면지로 다양한 칼라와 문양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면, 별도의 마감작업이 필요없고 경량콘크리트블럭 조적시공단계에서 모든 작업이 한꺼번에 완료되므로 공기단축 및 공사비절감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블럭 조적후 페인트, 도배 등의 마감재 시공을 위하여 평활한 마감면이 필요한 경우, 경량콘크리트블럭 이음부위 및 연결부위들이 모두 모따기가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퍼티작업을 통해 평활한 바탕면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제조방법은 현재의 경량기포콘크리트블럭 제조방법을 획기적으로 변혁시켜 에너지절감, 생산성향상, 생산시설면적축소, 품질성능향상, 조적용 및 마감용 미장재 불필요 등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일반시공방법은 현재의 경량기포콘크리트블럭 습식시공방법을 대체할 수 있도록 시공공정을 획기적으로 변혁시킨 시공공법으로 동절기시공가능, 표면지의 강도증대효과로 조적높이향상, 조적용 및 마감용 미장작업 불필요, 일반인력시공가능 등으로 공기단축 및 공사비용절감의 효과가 매우 크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면지를 마감까지 가능하도록 다양한 칼라와 문양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별도의 마감작업이 불필요하여 공기단축 및 공사비절감효과는 더욱더 크다 하겠다.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보강시공방법은 경량콘크리트블럭 상단 및 하단의 요철부위에 철근홈이 나있는 부분에, 철근과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충전하면서 조적시공함으로써, 철근에 의한 횡력과 수직력을 모두 증대시킨 보강시공방법으로, 대형 경간구조나 방음벽 등에 적용시 철골빔을 세우지 않고 조적시공으로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비절감효과가 매우 큰 공법이다.
도1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제조공정도
도2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제조용 몰드 수직단면도
도3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제조용 중간몰드 수평단면도
도4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정면도
도5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좌측면도
도6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하향도
도7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시공공정도
도8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시공사례도
도2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제조용 몰드 수직단면도
도3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제조용 중간몰드 수평단면도
도4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정면도
도5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좌측면도
도6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하향도
도7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시공공정도
도8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시공사례도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제조방법은 도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재료들을 계량하고 혼합기에서 배합하여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도2 및 도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량콘크리트블럭 하부용 요철몰드와 중간용 요철몰드를 조립한 후 표면지를 투입하고, 중간용 요철몰드에 표면지의 양끝면과 내부면을 고정시키는 단계; 표면지가 고정되고 조립된 요철몰드에 배합된 혼합물을 투입하고, 여분의 표면지로 상부 부위를 덮은 후, 도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량콘크리트블럭 상부용 요철몰드로 유압프레스하여 경량콘크리트블럭 모형을 형성시키는 단계; 약 1분 동안 유압프레스된 몰드내에 방치하여 시멘트수화반응을 통해 강도가 발현되어 탈형되도록 양생 경화시키는 단계; 상부 및 중간 요철몰드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탈형하면, 도4, 도5 및 도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표면지로 마감처리되고 요철형상으로 된 경량콘크리트블럭이 되는데, 이를 파렛트에 적재하고 창고에 이송하여 보관하는 단계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원재료들을 계량하여 건식으로 미리 혼합하여 분체를 제조하는 건식혼합과정과 이 분체와 물을 혼합하는 습식혼합과정을 거쳐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은 내화용, 흡음용, 차음용 등으로 용도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구성성분도 달라진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내화용 혼합물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초속경시멘트는 체적비 10 ∼ 15%을 사용하고, 무기경량골재는 1 ∼ 7㎜ 크기의 제품을 사용하되 체적비 5 ∼ 10%을 사용하며, 흑연발포EPS비드는 1 ∼ 7㎜ 크기의 제품을 사용하되 체적비 65 ∼ 70%을 사용하고, 물은 체적비 10 ∼ 15%을 사용하며, 시멘트분야에서 상용중인 기능성 혼화제들(유동화제, 증점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발수제 등)은 각각 체적비의 1% 미만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내화용 경량콘크리트 블럭의 물리성능은 비중 0.4 ∼ 0.6, 압축강도 3 ∼ 6N/㎟, 열전도율(W/mk) 0.25 ∼ 0.32, 차음성능(dB, 500Hz) 35이상, 2시간 내화성능에 필요한 최소두께는 75㎜ 정도이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흡음 및 단열용 혼합물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초속경시멘트는 중량비 30 ∼ 60%을 사용하고, 슬라그 미분말은 중량비 10 ∼ 40%을 사용하며, 식물성기포제를 물 중량의 약 2%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포수용액은 중량비 15 ∼ 30%을 사용하고, 규산소다(물유리) 3종은 중량비 1 ∼ 10%을 사용하며, 시멘트분야에서 상용중인 기능성 혼화제들(유동화제, 증점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발수제 등)은 각각 중량비의 1% 미만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흡음 및 단열용 경량콘크리트 블럭의 물리성능은 비중 0.2 ∼ 0.3, 압축강도 1 ∼ 3N/㎟, 열전도율(W/mk) 0.04 ∼ 0.06, 흡음성능(NRC) 0.8이상 이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차음용 혼합물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초속경시멘트는 중량비 20 ∼ 40%을 사용하고, 무기경량골재는 1 ∼ 7㎜ 크기의 제품을 사용하되 중량비 30 ∼ 60%을 사용하며, 물은 중량비 10 ∼ 20%을 사용하고, 시멘트분야에서 상용중인 기능성 혼화제들(유동화제, 증점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 발수제 등)은 각각 중량비의 1% 미만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차음용 경량콘크리트 블럭의 물리성능은 비중 0.6 ∼ 0.9, 압축강도 6 ∼ 15N/㎟, 차음성능(dB, 500Hz) 40이상 이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블럭제조에 사용되는 몰드는 도2 및 도3 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하부용 요철몰드, 중간용 요철몰드, 상부용 요철몰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블럭제조의 첫단계는 하부용 요철몰드와 중간용 요철몰드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표면지를 투입하고, 여분의 표면지 양끝면과 내부면을 중간용 요철몰드에 고정시키는 작업이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 블럭제조에 사용되는 표면지는 종류, 재질 및 두께에 상관없이 표면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쉬트 형태의 제품은 모두 가능하며, 사용될 수 있는 표면지의 적용사례를 들면, 석고보드에 사용되는 크라프트지를 비롯하여 PP, PE, PET 등의 성분으로 된 모든 종류의 부직포, 직포 및 메쉬포, 열반사 효과를 통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알루미늄호일포, 내화성능이 있고 강성을 증대시키는 유리섬유 부직포, 직포 및 메쉬포, PVC, PP, PE, PET 등의 성분으로 된 다양한 칼라와 문양으로 만들어진 쉬트지, 삼베, 아마포 등과 같은 여러가지 천연직물, 면 또는 나이론 등과 혼방된 모든 종류의 직물 등이 있다.
다음으로 표면지가 고정되고 조립된 하부용 및 중간용 요철몰드에 미리 배합된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고, 표면지 고정장치를 해제하여 여분의 표면지로 상부 부위를 덮은 후, 상부용 요철몰드로 유압프레스하여 경량콘크리트블럭 모형을 완성시킨다.
다음으로 약 1분 동안 유압프레스중인 조립된 몰드내에서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방치하면, 초속경시멘트의 급격한 수화반응을 통해 경화되고 강도가 발현되어 탈형할 수 있게 되며, 탈형에 필요한 강도이상이 발현된 경량콘크리트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부용 및 중간용 몰드를 제거하면,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이 완성되는데, 이들을 파렛트에 적재하여 창고로 이송하고 실온상태에서 추가적인 양생 및 경화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일반시공방법은 도7 및 도8에서 도시하고 있는 시공공정도 및 시공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바탕면을 청소하고 정리한 후 먹줄 등을 사용하여 칸막이 설치위치를 구획하는 단계; 시멘트 몰탈, 하부런너, 쐐기 등을 사용하여 경량콘크리트블럭을 수평을 잡으면서 바닥부위에 설치하는 단계; 지그재그 모양으로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요철부를 맞추면서 상단층으로 계속하여 조적하는 단계; 최상층 경량콘크리트블럭과 천정부위의 틈새부위를 시멘트 몰탈, 상부런너, 우레탄폼 등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단계; 이음부위를 퍼티 및 실리콘 등으로 충전하여 마감하는 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보강시공방법은 상기 일반시공방법중 '지그재그 모양으로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요철부를 맞추면서 상단층으로 계속하여 조적하는 단계'를 철근과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보강하여 조적함으로써 횡력 및 수직력(하중력)에 대한 내구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하층부에 설치된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상단 도출요철부의 철근홈에 철근과 시멘트 몰탈을 넣어 충전한 후, 상층부에 시공되는 경량콘크리트블럭의 하단 함몰요철부의 철근홈에 끼워 맞추면서 조적시공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블럭은 평범한 사각블럭 형태로 되어 있어 시멘트 조적 몰탈을 사용하여 조적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했지만,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은 도4, 도5, 및 도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표면지로 둘러쌓여 있으면서 레고(Lego) 장난감과 같이 요철블럭 형태로 되어 있어, 돌출부위를 함몰부위에 끼워 맞추면서 조적작업을 하기에, 석고보드나 경량콘크리트판넬과 동일한 건식시공방법으로 겨울철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조적공과 같은 전문시공인력이 없어도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을 모두 조적하여 경량 칸막이 벽체가 완성되면, 마감공사의 수행 여부에 따라(즉 페인트, 도배 등과 같은 마감작업을 할지 또는 마감작업을 하지 않고 조적벽체로 끝낼지에 따라서) 이음부위, 연결부위, 틈새부위 등에 대한 충진 및 마감작업의 여부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블럭 조적후 마감공사를 할 경우에는 석고보드나 경량콘크리트판넬의 건식공법 이음부위처리방법과 동일하게 바탕면 만들기작업을 실시하는데, 이음부위, 연결부위, 틈새부위 등에 퍼티, 실리콘, 우레탄폼, 시멘트 몰탈 등을 충전하며, 이 바탕면에 페인트, 도배, 타일, 석재, 프라스터, 기타 다양한 마감재로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콘크리트블럭 조적후 마감공사를 미실시 할 경우에는 사전에 표면지의 종류를 선택하여 마감을 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완성된 경량 칸막이 벽체부위의 마감면은 표면지의 색상과 문양과 더불어 이음부위 및 연결부위의 모따기 음각형상으로 인하여, 마감 및 장식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마감작업을 실시하지 않기에 얻어지는 경제적인 이익이 매우 크다.
1. 상부용 몰드
2. 중간용 몰드
3. 하부용 몰드
4. 상부 유압프레스 실린더(조립/탈형)
5. 중간 유압프레스 실린더(조립/탈형)
6. 하부 함몰요철부 형상
7. 상부 돌출요청부 형상
8. 하부 수평부위 모따기 형상
9. 상부 수평부위 모따기 형상
10. 우측 함몰요철부 형상
11. 좌측 돌출요철부 형상
12. 우측 수직부위 모따기 형상
13. 좌측 수직부위 모따기 형상
14. 천정 슬라브
15. 바닥 슬라브
16. 기둥/벽체
17. 시멘트 몰탈, 하부런너, 쐐기 등으로 바닥수평잡기 부위
18. 실리콘 충진마감
19. 퍼티 충진마감
20. 시멘트 몰탈, 상부런너 우레탄폼 등으로 천정틈새부위 충전
21. 표면지 마감면
22.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23. 철근배근을 위한 홈파기 부위
2. 중간용 몰드
3. 하부용 몰드
4. 상부 유압프레스 실린더(조립/탈형)
5. 중간 유압프레스 실린더(조립/탈형)
6. 하부 함몰요철부 형상
7. 상부 돌출요청부 형상
8. 하부 수평부위 모따기 형상
9. 상부 수평부위 모따기 형상
10. 우측 함몰요철부 형상
11. 좌측 돌출요철부 형상
12. 우측 수직부위 모따기 형상
13. 좌측 수직부위 모따기 형상
14. 천정 슬라브
15. 바닥 슬라브
16. 기둥/벽체
17. 시멘트 몰탈, 하부런너, 쐐기 등으로 바닥수평잡기 부위
18. 실리콘 충진마감
19. 퍼티 충진마감
20. 시멘트 몰탈, 상부런너 우레탄폼 등으로 천정틈새부위 충전
21. 표면지 마감면
22.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23. 철근배근을 위한 홈파기 부위
Claims (6)
- 도4, 도5 및 도6에서 도시하고 있는 형상과 같이 표면지로 마감되고 요철 및 모따기 형상이 있는 경량콘크리트블럭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철 및 모따기 형상을 위해 도2 및 도3 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하부용, 중간용, 상부용 요철몰드 등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본 발명의 표면지(크라프트지, 부직포, 직포, 메쉬망, 알루미늄호일포, 쉬트지, 직물 등의 모든 제품이 가능하며, 재질, 종류 및 두께 등과도 상관없음)로 마감을 위해 하부용 요철몰드와 중간용 요철몰드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표면지를 투입하고, 여분의 표면지 양끝면과 내부면을 중간용 요철몰드에 고정시키며, 조립된 하부용 및 중간용 요철몰드에 미리 배합된 경량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고 표면지 고정장치를 해제하여 여분의 표면지로 상부 부위를 덮은 후, 상부용 요철몰드로 유압프레스하여 경량콘크리트블럭을 완성하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생산된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 초속경시멘트는 체적비 10 ∼ 15%을 사용하고, 무기경량골재는 1 ∼ 7㎜ 크기의 제품을 사용하되 체적비 5 ∼ 10%을 사용하며, 흑연발포EPS비드는 1 ∼ 7㎜ 크기의 제품을 사용하되 체적비 65 ∼ 70%을 사용하고, 물은 체적비 10 ∼ 15%을 사용하며, 시멘트분야에서 상용중인 기능성 혼화제들(유동화제, 증점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등)은 각각 체적비의 1% 미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내화용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 초속경시멘트는 중량비 30 ∼ 60%을 사용하고, 슬라그 미분말은 중량비 10 ∼ 40%을 사용하며, 식물성기포제를 물 중량의 약 2%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포수용액은 중량비 15 ∼ 30%을 사용하고, 규산소다(물유리) 3종은 중량비 1 ∼ 10%을 사용하며, 시멘트분야에서 상용중인 기능성 혼화제들(유동화제, 증점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발수제 등)은 각각 중량비의 1% 미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흡음 및 단열용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 초속경시멘트는 중량비 20 ∼ 40%을 사용하고, 무기경량골재는 1 ∼ 7㎜ 크기의 제품을 사용하되 중량비 30 ∼ 60%을 사용하며, 물은 중량비 10 ∼ 20%을 사용하고, 시멘트분야에서 상용중인 기능성 혼화제들(유동화제, 증점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 발수제 등)은 각각 중량비의 1% 미만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차음용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 도7 및 도8에서 도시하고 있는 시공공정도 및 시공사례와 같이 먼저 바탕면을 청소하고 정리한 후 먹줄 등을 사용하여 칸막이 설치위치를 구획하는 단계; 시멘트 몰탈, 하부런너, 쐐기 등을 사용하여 경량콘크리트블럭을 수평을 잡으면서 바닥부위에 설치하는 단계; 지그재그 모양으로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요철부를 맞추면서 상단층으로 계속하여 조적하는 단계; 천정부위와 경량콘크리트블럭의 틈새부위를 시멘트 몰탈, 상부런너, 우레탄폼 등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단계; 이음부위를 퍼티 및 실리콘 등으로 충전하여 마감하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는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일반시공방법
- 상기 '청구항 5'의 일반시공방법중 '지그재그 모양으로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요철부를 맞추면서 상단층으로 계속하여 조적하는 단계'를 철근과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보강하여 조적함으로써 횡력 및 수직력(하중)에 대한 내구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하층부에 설치된 경량콘크리트블럭의 상단 도출요철부의 철근홈에 철근과 시멘트 몰탈을 넣어 충전한 후, 상층부에 시공되는 경량콘크리트블럭의 하단 함몰요철부의 철근홈에 끼워 맞추면서 조적시공하는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보강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8872A KR20140000956A (ko) | 2012-06-27 | 2012-06-27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8872A KR20140000956A (ko) | 2012-06-27 | 2012-06-27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956A true KR20140000956A (ko) | 2014-01-06 |
Family
ID=5013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8872A KR20140000956A (ko) | 2012-06-27 | 2012-06-27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095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6525A (zh) * | 2020-03-10 | 2020-06-05 | 宁波科德建材有限公司 | 一种新型装饰保温隔热砌块、墙体结构及砌块的制作方法 |
CN112780037A (zh) * | 2021-01-27 | 2021-05-11 | 上海君道住宅工业有限公司 | 一种轻质装饰保温一体化外墙板 |
-
2012
- 2012-06-27 KR KR1020120068872A patent/KR201400009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6525A (zh) * | 2020-03-10 | 2020-06-05 | 宁波科德建材有限公司 | 一种新型装饰保温隔热砌块、墙体结构及砌块的制作方法 |
CN112780037A (zh) * | 2021-01-27 | 2021-05-11 | 上海君道住宅工业有限公司 | 一种轻质装饰保温一体化外墙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858114A (zh) | 现场浇筑整体式轻体隔墙施工方法 | |
CN104763098B (zh) | 一种水平自锁拼装墙板及其内嵌于建筑墙体的施工方法 | |
CN101967866B (zh) | 石材型加强轻型复合板 | |
CN110607853B (zh) | 一种保护建筑的防火复合墙体 | |
CN104594525B (zh) | 复合保温墙板与建筑结构一体化保温墙体体系及施工工艺 | |
CN112459291A (zh) |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墙体结构及其施工工艺 | |
CN206752740U (zh) | 一种组合式空腔eps模块 | |
US20180155246A1 (en) | Insulated concrete forms, insulating cement, and relate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 |
CN109356319A (zh) | 一种六合一装配式混凝土外墙板及其生产方法 | |
CN113047480B (zh) | 一种现浇钢筋混凝土墙装配式免拆复合保温大模板及其生产与施工方法 | |
CN106639135A (zh) | 一种新型装配式h型预制复合墙板及其制备方法 | |
KR20140000956A (ko) | 표면지마감 요철 경량콘크리트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15670510U (zh) |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轻质免拆模多功能墙体 | |
CN211622088U (zh) | 一种保护建筑的防火复合墙体 | |
CN108018986A (zh) | 一种结构与节能一体化半装配式预制外墙板及其施工方法 | |
CN215106414U (zh) | 一种装配式石膏复合楼盖 | |
CN106639089A (zh) | 一种新型装配式工字型预制复合楼承板及其制备方法 | |
CN204609037U (zh) | 复合保温墙板与建筑混凝土结构一体化施工保温墙体体系 | |
CN110130553B (zh) | 保温隔热楼板结构及生产方法 | |
WO2002038518A1 (en) | The production method of lightweight floor and wall panels | |
CN205577171U (zh) | 装配式非承重现浇筑轻质复合墙体 | |
CN206418642U (zh) | 一种新型装配式工字型预制复合楼承板 | |
CN215978182U (zh) |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阴角墙体结构 | |
KR100567734B1 (ko) | 외기와 접하는 욕실 벽체의 단열 시공방법 | |
KR100244170B1 (ko) | 점토와 경량세골재 및 폴리머가 함유된 경량 콘크리트와 이를이용한 제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