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00835A -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835A
KR20140000835A KR1020120068279A KR20120068279A KR20140000835A KR 20140000835 A KR20140000835 A KR 20140000835A KR 1020120068279 A KR1020120068279 A KR 1020120068279A KR 20120068279 A KR20120068279 A KR 20120068279A KR 20140000835 A KR20140000835 A KR 2014000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able
electric vehicle
contact
charging port
magnet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102012006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835A/ko
Priority to PCT/KR2013/005530 priority patent/WO2014003380A1/ko
Publication of KR2014000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D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2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비삽입식 충전포트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에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원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비삽입형 컨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는, 바디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의 접촉면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와 자력을 통해 면접촉 결합되도록 하는 자력결합부재와;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비삽입식 충전포트의 접촉단자가 비삽입 접점되도록 하여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류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Non-insertion type charging plug for an electromobile and charging port non-insertion connect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전원을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 비삽입식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충전스탠드의 충전플러그가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된 상태에서 전원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로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모터 및 제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차량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에 전원을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이 기동됨에 따라 시동시 배터리 팩에 충전된 전류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전기충전소에 구비된 충전스탠드의 삽입식 플러그가 차량에 구비된 삽입식 충전용 포트에 강제 삽입 연결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에 전류가 충전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충전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이에 삽입되는 삽입식 충전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플러그(10)는 일단이 충전스탠드에 전기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에 '凸'의 돌기형상을 가지는 접점들이 구성되고, 충전포트(2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주입구의 해당 부위에 배터리 팩에 연결된 상태로 위치되는 '凹'의 홈형상을 가지는 접점들이 구성되어 충전플러그(10)의 접점 들이 물리적으로 삽입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충전포트(20)에 충전플러그(10)가 상호간 반복 접촉 및 분리되는 경우 물리적 접점 상태가 헐거워져 접점들의 접촉 상태가 불량해 지거나 또는, 불리시 상기 접점들의 분리 방향에 따라 휘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전포트(20)에 충전플러그(10)가 역방향으로 결합되거나 잘못된 사용법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접점들의 파손과 함께 접점들에 연결된 구성부들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에 비삽입식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충전스탠드의 충전플러그가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된 상태에서 전원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가 젠더 형태로 종래의 삽입식 충전포트와 삽입식 충전플러그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비삽입식 충전포트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에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원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비삽입형 컨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는, 바디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의 접촉면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와 자력을 통해 면접촉 결합되도록 하는 자력결합부재와;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비삽입식 충전포트의 접촉단자가 비삽입 접점되도록 하여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류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는,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비삽입식 충전포트의 가이드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면에 자력결합부재와 접촉단자로 구성된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주입구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와;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상기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 팩에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가 접촉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또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는, 각각 젠더타입으로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용 삽입식 충전플러그 또는 전기자동차용 삽입식 충전포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에 비삽입식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충전스탠드의 충전플러그가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된 상태에서 전원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 용이한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를 통하여, 불안정한 접속 및 구성부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가 젠더 형태로 종래의 삽입식 충전포트와 삽입식 충전플러그에 연결 적용됨으로써, 종래의 충전을 위한 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삽입식 충전포트도 상호간 용이한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이에 삽입되는 삽입식 충전포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접촉단자의 일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2의 충전플러그에 있어서 착탈용 레버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접촉단자의 일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충전플러그에 있어서 착탈용 레버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100)는, 바디(B)의 일면에 위치되며 전기자동차의 해당 부위에 형성된 충전포트(200)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충전포트(200)에 연결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에 전류의 충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삽입형 컨넥터(110), 상기 바디(B)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스탠드로부터 비삽입형 컨넥터(110)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충전케이블(120) 및 상기 바디(B)의 외측에 형성되어 비삽입형 컨넥터(110)와 충전케이블(120)을 보호하며 비삽입형 컨넥터(110)가 자력에 의해 충전포트(200)에 비삽입 접점시 접점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탈착시 접점 해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용 레버(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케이블(120)은 후술된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접촉단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또는 전선 등으로서, 이를 이용한 충전스탠드의 연결 및 그 구성은 이미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용 레버(130)를 이용하여 충전포트(200)에 결착 상태를 유지하거나 결착 해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의 외주연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탈착용 너트(미부호)가 전기자동차의 충전포트(200) 외측에 형성되는 탈착용 볼트(미도시) 등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바디(B)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용 손잡이(미부호)를 통해 작업자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바디(B)의 비삽입형 컨넥터(110)가 충전포트(200)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용 레버(130)는, 상기 충전포트(200)와 충전플러그(100)가 안정적인 결합 유지를 위하여 강한 자력을 가지게 되는 경우 노약자 및 힘이 약한 여성의 경우 충전포트(200)와 충전플러그(100)의 결합 해제가 용이하지 못한 경우와 충전포트(200) 이외의 위치에 충전플러그(100)가 부착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 외에도 구성부들의 물리적인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한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자력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비삽입형 컨넥터(110)는, 바디(B)의 접촉면(PS)에 구성되어 전기자동차의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자력을 이용하여 면접촉 되도록 하는 컨넥팅부재로, 바디(B)의 접촉면(PS)에 형성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M)와 자력을 통해 면접촉 결합되도록 하는 자력결합부재(111), 상기 접촉면(P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단자(T)가 비삽입 접점되도록 하여 접촉단자(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류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단자(112) 및 상기 접촉면(P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가이드(G)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113)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삽입식 충전플러그(100)의 비삽입형 컨넥터(110)에 연결되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비삽입식 충전포트(200)는,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에 자력을 통하여 면접촉 되도록 하는 포트부재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주입구 접촉면(C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111)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M), 상기 접촉면(C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상기 접촉단자(112)에 비삽입 접점되어 전류를 공급받는 접촉단자(T) 및 상기 접촉면(C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이드(113)에 가이드되는 가이드(G)를 포함한다.
상기 자력결합부재(111)는, 바디(B)의 접촉면(PS)에 형성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100)의 접촉면(CS)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M)와의 자력을 통해 면접촉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로, 상기 바디(B)의 접촉면(PS)에 다양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면서 위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접촉단자(112)와 가이드(113) 부분을 제외한 접촉면(PS)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거나 또는, 접촉단자(112)와 가이드(113)의 일측에 해당 면적을 가지면서 구비되거나 또는, 가이드(113)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11,M)는, 자성부재 또는 피자성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데,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조각의 형태를 가지거나 각 조각이 다수의 극성을 가지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단극 또는 다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자력결합부재(111)는,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자력결합부재(M)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호간 자력을 통해 결합될수 있도록 상기 자성부재에 대해 인력을 가지는 자성부재이거나 피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력결합부재(M)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호간 자력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력결합부재(111,M)가 자석인 경우에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금속체가 해당 자석의 배면부 또는 좌우측부 또는 상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력의 직진성 확보를 통한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자석들간의 자력 결합시 해당 극성끼리만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와 비삽입형 포트(NP)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되어야 하는 경우 역방향 접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자력결합부재(111)에 의하면, 바디(B)의 접촉면(PS)이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에 면접촉되는 경우 자력결합부재(M)에 자력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112)는, 상기 접촉면(PS)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도금 공법에 의해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핀의 형상을 통하여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112)는, 상기 바디(B)의 접촉면(PS)에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그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112a)와 그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반동 삽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휘어지는 탄력단자(112b)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평면단자(112a)는 접촉면(PS)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112b)는 접촉면(PS)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일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접촉단자(112)는,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단자(T)가 평면단자(Ta)인 경우에는 상호간 전기적 접점이 가능하도록 탄력단자(112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촉단자(T)가 탄력단자(Tb)인 경우에는 상호간 전기적 접점이 가능하도록 평면단자(112a)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접촉단자(112)에 의하면, 바디(B)의 접촉면(PS)에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이 면접촉을 위한 자력결합부재(111,M)들이 자력 결합시 상호간 탄력적으로 접점되어 비삽입형 컨넥터(110)로부터 비삽입식 충전포트(200)를 통하여 배터리 팩에 전류 공급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촉단자(112)가 형성되는 것은,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는 도금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통전이 가능한 어떠한 물질 즉, 핀이나 에칭 및 프레스 등으로 가공된 철편을 조립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113)는,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바디(B)의 접촉면(PS) 면접촉시 상기 접촉면(P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의도된 바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가이드(G)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상기 바디(B)의 접촉면(PS)에 다양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면서 위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접촉단자(112)를 하나의 군으로 감싸거나 또는, 접촉면(PS)의 해당 위치에 자력결합부재(111)를 포함하면서 형성되거나 또는, 접촉면(PS)의 해당 위치에 단일 또는 복수개로 독립 형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13)는, 접촉면(PS)에 돌출 형성되는 양각가이드와 함몰 형성되는 음각가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가이드(G)가 양각가이드인 경우에는 상호간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음각가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가이드(G)가 음각가이드인 경우에는 상호간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양각가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와 비삽입식 충전포트(200)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되어야 하는 경우 역방향 접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가이드(113)에 의하면,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접촉면(PS)의 면접촉시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의도된 바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가이드(G)에 가이드됨으로써, 비삽입식 충전포트(200)가 접촉 부위로부터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형상에 따라서는 접촉단자들이 역방향으로 접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113)는, 상기 접촉면(PS)에 상기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측의 케이스(C)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이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접촉면(PS)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플러그(100)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가이드부재를 통해 가이드시 자력부재에 의해 면접촉됨과 동시에 단자들이 상호간 비삽입 접점됨으로써,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와의 용이한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를 통하여, 종래와 같은 단자들의 불안정한 접속 및 구성부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삽입식 충전플러그(100)와 비삽입식 충전포트(200)는 각각 종래의 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삽입식 충전포트에 연결되도록 하는 젠더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젠더타입의 충전플러그는 접촉면(PS)의 대향되는 삽입면에 삽입식 충전플러그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타입의 충전포트는 접촉면(CS)의 대향되는 삽입면에 삽입식 충전포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구성 및 기술은 이미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가 비삽입식 충전포트(210)에 면접촉 되는 경우 각각의 가이드들에 의해 접촉면들이 가이드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양각과 음각을 통해서도 이에 대한 기능은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접촉면(PS)과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에는 보호커버(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상기 구성부들을 보호 즉, 미충전시 이물질 등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력결합부재의 자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에 비삽입식 충전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충전스탠드의 충전플러그가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된 상태에서 전원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 용이한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를 통하여, 불안정한 접속 및 구성부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충전포트가 젠더 형태로 종래의 삽입식 충전포트와 삽입식 충전플러그에 연결 적용됨으로써, 종래의 충전을 위한 삽입식 충전플러그와 삽입식 충전포트도 상호간 용이한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전기자동차의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원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비삽입형 컨넥터(110)를 포함하며,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는,
    바디(B)의 접촉면(PS)에 형성되어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에 구비된 자력결합부재(M)와 자력을 통해 면접촉 결합되도록 하는 자력결합부재(111)와;
    상기 접촉면(P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단자(T)가 비삽입 접점되도록 하여 접촉단자(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류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단자(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는,
    상기 접촉면(P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가이드(G)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11)는,
    자성부재 또는 피자성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112)는,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112a)와,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휘어지는 탄력단자(112b)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단자(112a)는 접촉면(PS)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112b)는 접촉면(PS)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3)는,
    접촉면(PS)에 돌출 형성되는 양각가이드와 함몰 형성되는 음각가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11)가 자석인 경우에는,
    착자요크에 의해 단극, 상하단극, 2극 및 다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에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자력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위하여 상기 바디(B)의 외측에 형성되는 탈착용 레버(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의 접촉면(PS)에는 보호커버(미도시)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9. 접촉면(PS)에 자력결합부재(111)와 접촉단자(112)로 구성된 비삽입형 컨넥터(110)를 가지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100)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주입구 접촉면(C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111)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M)와;
    상기 접촉면(C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시 상기 접촉단자(112)에 비삽입 접점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 팩에 충전되도록 하는 접촉단자(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10)가 접촉면(PS)에 형성되는 가이드(11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촉면(CS)에 형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113)에 가이드되는 가이드(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M)는,
    자성부재 또는 피자성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T)는,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와,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휘어지는 탄력단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단자는 접촉면(CS)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는 접촉면(CS)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G)는,
    접촉면(CS)에 돌출 형성되는 양각가이드와 함몰 형성되는 음각가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M)가 자석인 경우에는,
    착자요크에 의해 단극,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5.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또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는,
    각각 젠더타입으로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용 삽입식 충전플러그 또는 전기자동차용 삽입식 충전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또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삽입식 충전포트(200)의 접촉면(CS)에는 보호커버(미도시)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포트.
KR1020120068279A 2012-06-26 2012-06-26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KR20140000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279A KR20140000835A (ko) 2012-06-26 2012-06-26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PCT/KR2013/005530 WO2014003380A1 (ko) 2012-06-26 2013-06-24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279A KR20140000835A (ko) 2012-06-26 2012-06-26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35A true KR20140000835A (ko) 2014-01-06

Family

ID=4978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279A KR20140000835A (ko) 2012-06-26 2012-06-26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00835A (ko)
WO (1) WO20140033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4400A (zh) * 2016-11-21 2017-04-19 爱泊车机器人张家口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车库的电动汽车插入式电缆线对接充电装置
KR20180123546A (ko) * 2016-03-25 2018-11-16 이즈-링크 게임베하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KR20200143063A (ko) * 2019-06-14 2020-12-23 이준화 배터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341B1 (fr) * 2014-02-07 2016-02-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nexion a double usage pour le raccordement electrique d'un vehicule a un cordon de charge
CN106712189A (zh) * 2016-12-30 2017-05-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系统及电子设备
US10283952B2 (en) 2017-06-22 2019-05-07 Bretford Manufacturing, Inc. Rapidly deployable floor power system
CN107634375B (zh) * 2017-09-13 2023-07-14 四川大学 一种可拆卸导向式电动汽车充电插头
CN109367423A (zh) * 2018-10-31 2019-02-22 安徽恒瑞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用充电枪装置
CN109616837B (zh) * 2018-12-10 2020-05-19 象山兑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组件
CN112821491B (zh) * 2021-01-13 2023-04-14 深圳市齐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手机充电器
CN113193625A (zh) * 2021-05-19 2021-07-3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其充电组件
CN113815444B (zh) * 2021-11-04 2023-03-28 深圳市致天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力车辆智能多用充电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235B2 (ja) * 1991-05-08 2001-04-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等の充電用コネクタ
JPH10112354A (ja) * 1996-08-0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H1127868A (ja) * 1997-07-04 1999-01-2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JP2010113903A (ja) * 2008-11-05 2010-05-20 Yutaka Seisakusho:Kk 電気自動車用給電カプラ
KR101057405B1 (ko) * 2009-11-13 2011-08-17 주식회사 에코카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의 록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546A (ko) * 2016-03-25 2018-11-16 이즈-링크 게임베하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CN106564400A (zh) * 2016-11-21 2017-04-19 爱泊车机器人张家口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车库的电动汽车插入式电缆线对接充电装置
KR20200143063A (ko) * 2019-06-14 2020-12-23 이준화 배터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380A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835A (ko)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KR101348932B1 (ko)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CA2732200C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connection
JP5826673B2 (ja) Usbコネクタ
CN212366273U (zh) 充电桩的弹力压接式电连接器
US7204695B1 (en) Fastener structure
CN104505679A (zh) 一种连接器和一种连接器的实现方法
GB2441567A (en) Battery plug structure having individually formed conducting wires with magnets for connection to battery terminals
CN216055443U (zh) 一种360度旋转侧接触弹片式新型磁吸连接器
CN207009792U (zh) 一种便于安装的防脱落电连接器
US87580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connection
CN102110936A (zh) 连接器
KR101045700B1 (ko) 배터리 충전기 및 장착된 소형 전기 장치의 검출을 위한 검출 구조
WO2014168337A1 (ko) 자력식 인터페이스
EP2535984A2 (e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US20200408395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a lamp support
CN216120105U (zh) 一种高压直流继电器
KR101348933B1 (ko)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CN206313216U (zh) 磁吸头及其磁吸连接器
CN112868079B (zh) 带有电弧抑制器的接触器
CN219163792U (zh) 插头、适配器、转接头、数据线、传输组件及电子设备
MX2018009754A (es) Conjunto de cargar de una bateria y metodo de carga que implementa este conjunto.
KR20150002449U (ko) 코일 몰딩형 케이스를 구비한 무선충전기
CN209804793U (zh) 用于电动工具的双并电池包
JP2002237354A (ja) 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