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4261A -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261A
KR20130074261A KR1020110142247A KR20110142247A KR20130074261A KR 20130074261 A KR20130074261 A KR 20130074261A KR 1020110142247 A KR1020110142247 A KR 1020110142247A KR 20110142247 A KR20110142247 A KR 20110142247A KR 20130074261 A KR20130074261 A KR 20130074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angle
blade
value
blades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필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4261A/ko
Publication of KR2013007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2Adjus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blades
    • F03D7/0224Adjusting blade p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03D17/027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 being monitored or tested
    • F03D17/029Blade pitch or yaw drive systems, e.g. pitch or yaw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2Adjus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blades
    • F03D7/024Adjusting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blades of individual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6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stopping; controlling in emergency situ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8Blade pitch ang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는,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로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킨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고,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Of Pitch Angle For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기는 산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에 의한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천연자원의 고갈에 따라 대체 에너지원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풍력발전이란 공기 유동이 갖는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킨 후 다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서, 자연에 존재하는 바람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므로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도 친환경적인 바, 점차 사용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풍력발전기(1)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또는 플랫폼에 세워지는 고층의 타워(5) 상단에 블레이드(2)를 회동 지지하는 나셀(3)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나셀(3) 내부에는 증속기 등의 구동장치 및 발전장치, 제어장치를 두어, 블레이드(2)의 회전력이 허브(6)를 거쳐 주축을 통해 발전기에 이르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퐁력발전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상태에서 개별피치제어(IPC) 조건에 따라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였다.
이러한 개별피치제어 중인 풍력발전기에서 이상신호(예를 들면, 풍력발전기의 고장, 과풍속, 과출력 발생 등)가 발생하여 풍력발전기를 정지하여야 할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 12, 13)을 운전상태의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증가시켜 페더링위치(10)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풍력발전기가 개별피치제어 중인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의 방위각 또는 하중의 크기에 상관없이 각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이 서로 다른 상태(즉, 공력(空力) 불균형 상태)에서 페더링 위치로 증가되므로 공력 불균형 상태가 페더링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지속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풍력발전기의 정지제어시에 발생하는 공력 불균형 상태의 지속은 풍력발전기의 하중을 증가시키므로 풍력발전기를 제작할 때 블레이드, 나셀, 타워 등의 강도를 더욱 크게 제작해야하고, 이로 인해 풍력발전기의 제작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공력 불균형 상태의 지속은 풍력발전기의 수명을 감소시키므로 발전단지의 운영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력발전기의 정지 제어시 공력 불균형을 빠른 시간 안에 해소하면서 블레이드 피치 각도값을 페더링 위치로 이동시키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킨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고,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의 증가곡선에 중간값(131) 이외의 피치 각도값(111, 121)을 수렴시켜 일치시키고, 일치된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는 상기 중간값(131)보다 큰 피치 각도값(12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빠르고, 상기 중간값(131)보다 작은 피치 각도값(11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느리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중간값(131)으로 수렴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이 일치된 후에는 동일한 피치각 제어 신호에 의해 블레이드 각각이 페더링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치각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하는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 상기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키는 피치각 일치단계(S3); 및 상기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피치각 일치단계(S3)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이 중간값(131)으로 일치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피치각 증가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치각 일치단계(S3)는, 상기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은 고정하고, 상기 중간값(131) 이외의 값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을 상기 중간값(131)으로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는 상기 중간값(131)보다 큰 피치 각도값(12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빠르고, 상기 중간값(131)보다 작은 피치 각도값(11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느리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을 중간값(131)으로 일치시키는 피치각 조정단계(S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치각 조정단계(S2)를 거친 후 상기 피치각 일치단계(S2)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발전기의 정지 제어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을 중간값으로 일치시켜 페더링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공력 불균형을 빠른 시간 안에 해소할 수 있어 풍력발전기의 제작시 강도를 필요이상으로 크게 제작할 필요가 없어 풍력발전기의 제작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력 불균형의 빠른 해소로 인해 풍력발전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가 페더링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로직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 동작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 동작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 동작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 동작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는,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로서,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킨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고,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력발전기가 운전중에는 각 블레이드의 피치값이 개별적으로 변하거나(개별피치 제어모드(IPC)), 전체 블레이드가 동일한 피치값으로 변한다(통합피치 제어모드(CPC)).
도 3 및 도 4에서는 3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풍력발전기를 예시하였으므로 3개의 피치 각도값 변화곡선(110, 120, 130)을 가지게 되는데, 개별피치 제어모드로 운전중인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전체 각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이 서로 다른 상태(즉, 공력(空力) 불균형 상태)를 갖게 되며, 이러한 공력 불균형 상태가 풍력발전기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므로 이를 최소화 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치각 제어장치는 개별피치 제어모드로 운전중인 풍력발전기의 정지제어시에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중간값(131)으로 일치(failure 제어)시킴으로써 공력 불균형을 최소화시켰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개별피치 제어중인 풍력발전기는 중간값을 가지는 피치 각도값(131)을 그외의 피치 각도값을 가지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111, 121)이 중간값으로 일치되는 동안에 중간값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고, 전체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이 일치된 후에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전체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이 중간값으로 일치된 후에는 개별적인 피치각 신호로 제어되던 각 블레이드가 동일한 피치각 제어 신호에 의해 신속히 페더링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제어로직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이 동일하므로 바로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는,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로서,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의 증가곡선에 중간값(131) 이외의 피치 각도값(111, 121)을 수렴시켜 일치시키고, 일치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공력 불균형이 발생하는 개별피치 제어모드로 풍력발전기를 운전중인 경우에는 공력 불균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블레이드의 피치값 중 중간값(131)의 피치 각도값으로 중간값(131) 이외의 피치 각도값(111, 121)을 일치(failure 제어)시키는데,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전체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이 일치하는 동안에 중간값(131)의 피치 각도값이 페더링 위치(100)로 증가하는 것이다.
이 때,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는 중간값(131)보다 큰 피치 각도값(12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빠르고, 중간값(131)보다 작은 피치 각도값(11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느리도록 하여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이 중간값(131)의 피치 각도값으로 수렴하면서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증간값(131)의 피치 각도값이 증가하면서 전체 피치 각도값이 일치하므로 각 블레이드가 페더링 위치(100)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전체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이 일치된 후에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별적인 피치각 신호로 제어되던 각 블레이드가 동일한 피치각 제어 신호에 의해 신속히 페더링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제어로직이 단순화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이 동일하므로 바로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피치각 제어장치를 갖는 풍력발전기를 제작한다면 상술한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율성 높은 풍력발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은,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방법으로서,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 피치각 일치단계(S3) 및 피치각 증가단계(S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는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다.
블레이드의 제어모드에는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피치 제어모드와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가 있으며, 개별피치 제어모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피치각 일치단계(S3) 및 피치각 증가단계(S4)를 실시하게 되고, 통합피치 제어모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피치각 증가단계(S4)를 실시하게 된다.
피치각 일치단계(S3)는 결별피치 제어모드로 운전 중인 풍력발전기가 정지 정지될 때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킨다.
피치각 증가단계(S3)는 풍력발전기가 통합피치 제어모드로 운전 중일 경우 또는 피치각 일치단계(S3)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이 중간값(131)으로 일치되는 경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피치각 일치단계(S3)는,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은 고정하고, 중간값(131) 이외의 값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을 중간값(131)으로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피치각 일치단계(S3)는 후술할 피치각 조정단계(S2)를 거친 후 실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도 4 참조), 피치각 조정단계(S2)는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를 중간값(131)보다 큰 피치 각도값(12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 빠르게 하고, 중간값(131)보다 작은 피치 각도값(11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느리도록 하여 피치각을 중간값(131)으로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피치각 제어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여러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페더링 위치
110, 120, 130: 피치 각도값 변화곡선
111, 121, 131: 피치 각도값
S1: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
S2: 피치각 조정단계
S3: 피치각 일치단계
S4: 피치각 증가단계

Claims (8)

  1.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킨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고,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2.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터빈 정지제어를 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한 후,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의 증가곡선에 중간값(131) 이외의 피치 각도값(111, 121)을 수렴시켜 일치시키고, 일치된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키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는 상기 중간값(131)보다 큰 피치 각도값(12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빠르고, 상기 중간값(131)보다 작은 피치 각도값(11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느리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중간값(131)으로 수렴 일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이 일치된 후에는 동일한 피치각 제어 신호에 의해 블레이드 각각이 페더링 위치로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각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6. 풍력발전기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제어하는 피치각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의 터빈을 정지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의 제어모드를 판단하는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
    상기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피치 제어모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현재 피치 각도값 중 중간값(131)으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치시키는 피치각 일치단계(S3); 및
    상기 블레이드 제어모드 판단단계(S1)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통합 피치 제어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피치각 일치단계(S3)에서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이 중간값(131)으로 일치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111, 121, 131)을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블레이드 각각을 페더링 위치(100)로 이동시키는 피치각 증가단계(S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치각 일치단계(S3)는,
    상기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은 고정하고, 상기 중간값(131) 이외의 값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을 상기 중간값(131)으로 일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간값(13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는 상기 중간값(131)보다 큰 피치 각도값(12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빠르고, 상기 중간값(131)보다 작은 피치 각도값(111)을 갖는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값의 증가속도보다는 느리도록 하여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피치 각도값을 중간값(131)으로 일치시키는 피치각 조정단계(S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치각 조정단계(S2)를 거친 후 상기 피치각 일치단계(S2)가 실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방법.
KR1020110142247A 2011-12-26 2011-12-26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30074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47A KR20130074261A (ko) 2011-12-26 2011-12-26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47A KR20130074261A (ko) 2011-12-26 2011-12-26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261A true KR20130074261A (ko) 2013-07-04

Family

ID=4898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247A KR20130074261A (ko) 2011-12-26 2011-12-26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4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04B1 (ko) * 2013-11-11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피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5274B1 (ko) * 2013-07-19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피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39959B2 (en) 2019-11-21 2024-03-26 Vestas Wind Systems A/S Stopping a wind turbine rotor based on stored pitch angle sig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274B1 (ko) * 2013-07-19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피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6104B1 (ko) * 2013-11-11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피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39959B2 (en) 2019-11-21 2024-03-26 Vestas Wind Systems A/S Stopping a wind turbine rotor based on stored pitch angle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471B2 (en) Method for preventing rotor overspeed of a wind turbine
EP3256724B1 (en) Control system having local and central controllers for wind turbine system having multiple rotors
EP3256723B1 (en) Control system for wind turbine having multiple rotors arranged to control support arm orientation
US8035241B2 (en) Wind turb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wind turbine power production
CN102518555B (zh) 一种兆瓦级风力机组及其控制方法、控制系统
AU2012203245B2 (en) Method, park controller and program element for controlling a wind farm
WO2011099128A1 (ja) 風力発電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の制御方法
KR20120132300A (ko) 풍력 발전 설비 및 풍력 발전 설비의 제어 방법
US20130119660A1 (en) Wind-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294920B2 (en) Wind turb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ind turbine
AU2014257841B2 (en) Wind pa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park
KR20130074261A (ko) 풍력발전기의 피치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0296046B (zh) 一种风力发电机变桨控制方法
EP2963288A1 (en) Downwind type windturbine and method of stopping such windturbine
KR101475274B1 (ko) 풍력발전기의 피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S2969541T3 (es) Control de tasa de aumento de potencia
CN107327369A (zh) 叶片自保护型风能发电装置
US20130039762A1 (en) Adjustment system for the pitch angle of a wind turbine
TWI730337B (zh) 風力發電裝置的控制方法
KR20130023524A (ko)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피치 제어 시스템
KR20130000285A (ko)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722595A1 (en) Controller for a wind turbine
RU2488020C2 (ru) Макет ветродвигателя для настройки ветродвигателя на заданные ветровые условия
KR20140126937A (ko) 전력 차단 장치 및 풍력발전기 운용방법
KR20140052447A (ko) 정지풍속 구간에서의 풍력발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