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075U -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3075U KR20130003075U KR2020110010109U KR20110010109U KR20130003075U KR 20130003075 U KR20130003075 U KR 20130003075U KR 2020110010109 U KR2020110010109 U KR 2020110010109U KR 20110010109 U KR20110010109 U KR 20110010109U KR 20130003075 U KR20130003075 U KR 2013000307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llen leaves
- cleaning device
- road surface
- clean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63—Apparatus loosening or removing the dirt by blowing and subsequently dislodging it at least partially by suction ; Combined suction and blowing nozzles
- E01H1/0872—Apparatus loosening or removing the dirt by blowing and subsequently dislodging it at least partially by suction ; Combined suction and blowing nozzles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feeding instruments for the dirt to be removed pneumatically, e.g. brushes, scr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6—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horizontal a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면으로부터 낙엽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내측의 상부에 흡입유닛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몸체 내측의 도로면을 향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내측의 상부에 흡입유닛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몸체 내측의 도로면을 향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면으로부터 낙엽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은 보행중 또는 차량 운행중에 버려지는 쓰레기로 인하여 오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로변의 쓰레기는 미감을 해치고, 악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보행 및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수시로 도로변의 청소가 실시되고 있다.
한편, 과거 도로변의 청소는 작업자가 직접 비질을 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비질을 행하여 도로변을 청소하는 방법은 도로변의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는 만큼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차량을 이용한 도로변의 청소가 실시되고 있다.
도로변 청소 차량은 브러쉬 회전을 통해 쓰레기를 모은 후 이를 흡입하여 한데 모음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단시간 내에 넓은 구역을 청소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를 덜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차량을 이용한 도로변 청소는 도로면으로부터 낙엽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낙엽은 두께가 얇고 가벼워 도로면에 밀착되므로 도로변 청소 차량의 브러쉬가 회전하더라도 대게의 낙엽은 도로면에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바, 도로변 청소 차량이 운행한 이후에도 도로면에는 여전히 낙엽이 잔존하여 미감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로면에서 낙엽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작업자가 직접 비질을 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도로면으로부터 낙엽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청소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로면으로부터의 낙엽 제거에 따르는 곤란함 및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내측의 상부에 흡입유닛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몸체 내측의 도로면을 향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하단에 바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분사관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브러쉬는 몸체의 폭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는, 몸체가 도로면을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에어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 에어 및 롤브러쉬 회전에 의해 도로면의 낙엽이 몸체 내에서 부양된 후 몸체의 통공을 통해 흡입되어 일정한 장소에 수거되는 것인바, 도로면으로부터 낙엽 제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로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를 통한 낙엽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를 통한 낙엽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A)는 몸체(10)와, 에어분사관(20)과, 롤브러쉬(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저면이 개방된 것이며, 내측의 상부에 흡입유닛(12)으로 이어지는 통공(11)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에서 흡입유닛(12)은 진공펌프와 같이 에어의 흡입이 가능한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흡입유닛(12) 자체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이때, 흡입유닛(12)은 몸체에 별도로 마련하여도 무방하나, 가급적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흡입유닛(12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청소 차량(1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인바, 몸체(10)에 흡입유닛(12)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흡입유닛(12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흡입유닛(120)을 통해 흡입되는 낙엽은 연결관(13)을 통해 청소 차량(100)의 쓰레기수거함(110)에 수거되고, 몸체(10)에 마련되는 별도의 흡입유닛(12)을 통해 흡입되는 낙엽은 연결관(13)을 통해 수거함 또는 자루(도면상 미도시)에 수거된다.
한편, 몸체(10)의 하단은 가급적 도로면(200)에 인접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하단이 도로면(200)에 인접함으로써 몸체(10) 내에서 부양되는 낙엽(300)이 몸체(10) 하단과 도로면(200)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하단에는 바퀴(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 하단에 바퀴(14)가 마련됨으로써 바퀴(14) 회전을 통해 몸체(1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분사관(20)은 몸체(10)의 양 측면으로부터 몸체(10) 내측의 도로면(200)을 향해 컴프레셔(21)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분사관(20)은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분사관(20)이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됨으로써 몸체(10) 내에서 폭넓게 고압 에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에어분사관(20)에서 컴프레셔(21)는 고압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라도 무방하므로 컴프레셔(21) 자체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이때, 컴프레셔(21)는 몸체(10)에 별도로 마련하여도 무방하나, 가급적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컴프레셔(13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청소 차량(1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인바, 몸체(10)에 컴프레셔(21)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컴프레셔(130)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롤브러쉬(30)는 몸체(10)의 내측에서 모터(31) 구동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30)브러쉬는 몸체(10)의 폭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브러쉬(30)가 몸체(10)의 폭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됨으로써 롤브러쉬(30)를 통해 몸체(10) 내측에 위치하는 도로면(200)을 폭넓게 쓸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브러쉬(30)는 도로면(200)을 쓸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A)는 청소 차량(100에 설치되어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0)는 청소 차량(100)의 전방에 고정되고,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컴프레셔(130) 및 흡입유닛(120)은 연결관(13)을 통해 각각 에어분사관(20)과 통공(11)에 연결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몸체(10)가 청소 차량(100)의 전방에 고정되고, 청소 차량(100)에 마련되는 컴프레셔(130) 및 흡입유닛(120)이 연결관(13)을 통해 각각 에어분사관(20)과 통공(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청소 차량의 운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사관(20)을 통해 고압 에어 분사가 시작되고, 롤브러쉬(30)의 회전이 시작되며, 통공(11)을 통해 몸체(10) 내의 공기 흡입이 시작된다.
여기서, 에어분사관(20)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 에어는 몸체(10) 측면으로부터 도로면(200)을 향하여 분사되는바, 지면에 밀착된 낙엽(300)에 가해져 낙엽(300)을 부양시키게 되고, 롤브러쉬(30)는 도로면(200)과 접하여 회전하는바, 지면에 밀착된 낙엽(300)을 쓸어 내어 유동(유동된 낙엽은 곧바로 부양되거나 유동 과정에서 에어분사관을 통해 분사된 고압 에어와 접하여 부양됨)시키게 되고, 몸체(10)의 통공(11)은 몸체(10)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인바, 공기의 흡입과 더불어 부양된 낙엽(300)을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 차량(100)이 운행되는 과정에서 에어분사관(20)을 통한 고압 에어 분사와, 롤브러쉬(30) 회전과, 통공(11)을 통한 흡입을 통해 도로면(200)으로부터 낙엽(300)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로 청소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A)가 청소 차량(1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몸체(10)에 바퀴(14)를 마련하게 되면 수작업으로도 몸체(1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낙엽(300) 제거 외에 종이, 비닐, 담배꽁초 등의 경량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A)는, 몸체(10)가 도로면을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에어분사관(20)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 에어 및 롤브러쉬(30) 회전에 의해 도로면(200)의 낙엽(300)이 몸체(10) 내에서 부양된 후 몸체(10)의 통공(11)을 통해 흡입되어 일정한 장소에 수거되는 것인바, 도로면(200)으로부터 낙엽 제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로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통공
12 : 흡입유닛 13 : 연결관
14 : 바퀴 20 : 에어분사관
21 : 컴프레셔 30 : 롤브러쉬
31 : 모터 100 : 청소 차량
110 : 쓰레기 수거함 120 : 흡입유닛
130 : 컴프레셔 200 : 도로면
300 : 낙엽 A : 청소장치
12 : 흡입유닛 13 : 연결관
14 : 바퀴 20 : 에어분사관
21 : 컴프레셔 30 : 롤브러쉬
31 : 모터 100 : 청소 차량
110 : 쓰레기 수거함 120 : 흡입유닛
130 : 컴프레셔 200 : 도로면
300 : 낙엽 A : 청소장치
Claims (4)
-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이 개방되며, 내측의 상부에 흡입유닛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몸체 내측의 도로면을 향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바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관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상기 롤브러쉬는 몸체의 폭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109U KR20130003075U (ko) | 2011-11-15 | 2011-11-15 |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109U KR20130003075U (ko) | 2011-11-15 | 2011-11-15 |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075U true KR20130003075U (ko) | 2013-05-24 |
Family
ID=5242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109U KR20130003075U (ko) | 2011-11-15 | 2011-11-15 |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3075U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3662A (ko) * | 2014-12-17 | 2016-06-27 | 삼중이엔씨(주) | 압축공기 분사식 제설 차량 |
KR20180092769A (ko) * | 2017-02-10 | 2018-08-20 | 한국도로공사 | 터널 배수로 청소장치 |
CN108914844A (zh) * | 2018-06-27 | 2018-11-30 | 林娜 | 一种市政用落叶收集装置 |
CN111636342A (zh) * | 2020-06-15 | 2020-09-08 | 泉州台商投资区忆品茶业有限公司 | 一种园林残叶清扫回收装置 |
CN114232543A (zh) * | 2021-12-23 | 2022-03-25 | 阳谷县市政园林公用事业服务中心 | 一种园林用具有保护功能的落叶清理装置 |
KR102449692B1 (ko) * | 2021-12-20 | 2022-09-29 | 이민형 | 아스콘 도포시의 아스콘 청소장치 |
-
2011
- 2011-11-15 KR KR2020110010109U patent/KR20130003075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3662A (ko) * | 2014-12-17 | 2016-06-27 | 삼중이엔씨(주) | 압축공기 분사식 제설 차량 |
KR20180092769A (ko) * | 2017-02-10 | 2018-08-20 | 한국도로공사 | 터널 배수로 청소장치 |
CN108914844A (zh) * | 2018-06-27 | 2018-11-30 | 林娜 | 一种市政用落叶收集装置 |
CN111636342A (zh) * | 2020-06-15 | 2020-09-08 | 泉州台商投资区忆品茶业有限公司 | 一种园林残叶清扫回收装置 |
KR102449692B1 (ko) * | 2021-12-20 | 2022-09-29 | 이민형 | 아스콘 도포시의 아스콘 청소장치 |
CN114232543A (zh) * | 2021-12-23 | 2022-03-25 | 阳谷县市政园林公用事业服务中心 | 一种园林用具有保护功能的落叶清理装置 |
CN114232543B (zh) * | 2021-12-23 | 2024-03-15 | 阳谷县市政园林公用事业服务中心 | 一种园林用具有保护功能的落叶清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8343B1 (ko) | 살수겸용의 노면 청소 시스템 | |
KR20130003075U (ko) |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 |
EP3345526B1 (en) | Floor scrubber dry sweep apparatus | |
KR20150109812A (ko) |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 |
CN109351710A (zh) | 用于太阳能电池板的清洗设备 | |
CN108867511A (zh) | 一种具有吸尘功能的扫路车 | |
CN210658182U (zh) | 一种道路桥梁清障机 | |
JP5636125B1 (ja) | 道路清掃作業車 | |
KR101125704B1 (ko) | 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 | |
JP4339715B2 (ja) | 清掃装置及び方法 | |
EP2463441B1 (en) | Dust control system | |
KR101073886B1 (ko) | 살수차 | |
JP5456566B2 (ja) | 車両のタイヤ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 |
KR200251093Y1 (ko) | 노면 청소용 고압 분사 노즐을 구비한 노면 청소차 | |
KR101125705B1 (ko) | 분진제거 성능을 향상시킨 도로 분진 흡입청소차 | |
KR100917591B1 (ko) | 노면 청소차 | |
CN209508902U (zh) | 一种路面清洁车 | |
EP3392410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ground surface of artificial turf | |
JPH07229121A (ja) | ガム取り掃除機 | |
KR20140124290A (ko) | 이물질 제거장치 | |
CN220202542U (zh) | 一种道路清洁车 | |
CN206844006U (zh) | 一种洗扫车清洗装置 | |
CN111733752A (zh) | 一种道路灰土清理装置 | |
CN206495172U (zh) | 电动扫地车 | |
KR100500021B1 (ko) | 흡입장치가 구비된 살수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