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77U - 정량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177U KR20130002177U KR2020110008740U KR20110008740U KR20130002177U KR 20130002177 U KR20130002177 U KR 20130002177U KR 2020110008740 U KR2020110008740 U KR 2020110008740U KR 20110008740 U KR20110008740 U KR 20110008740U KR 20130002177 U KR20130002177 U KR 2013000217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powder
- discharge device
- container
- outlet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 상태의 물질을 일정한 용량으로 정확하게 배출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분말이 유입되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태의 수용부를 가지는 피스톤과, 분말을 저장하는 용기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을 탄성부재에 의하여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하측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피스톤의 수용부에 유입된 분말의 일부나 전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 인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말이나 곡물을 일정한 용량으로 정확하게 배출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분말이나 곡물이 유입되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태의 수용부를 가지는 피스톤과, 분말이나 곡물을 저장하는 용기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을 탄성부재에 의하여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하측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피스톤의 수용부에 유입된 분말이나 곡물의 일부나 전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 인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시 빈번하게 이용되는 설탕, 소금, 후추가루과 같은 각종 분말이나 쌀, 보리, 깨와 같은 입자가 굵은 상태의 곡물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하기 위하여 계량용 테이블 스푼이나 티 스푼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계량용 테이블 스푼이나 티 스푼의 용량은 국제적으로 통일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1 테이블 스푼(주로 약칭하여 '1T' 라 표시한다)은 15 ml 의 용량이고, 1 티 스푼(주로 약칭하여 '1t' 라 표시한다)은 5 ml 의 용량을 가리킨다.
상기 테이블 스푼이나 티 스푼을 이용하여 분말 상태의 물질이나 곡물을 계량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량 스푼으로 대상 목적의 분말을 뜬 후 계량 스푼에 담겨진 분말의 상면을 평탄하게 맞추어야만 정확한 양을 계량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조리과정에서 정확한 계량을 위하여 계량용 스푼에 담겨진 분말의 상면을 일일히 평탄하게 맞추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계량용 스푼의 평탄화 과정 자체가 눈대중으로 이루어지므로 숙련자가 아니면 정확한 계량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량용 스푼으로 분말이나 곡물을 뜨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들이 담겨진 용기의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는데, 이렇게 용기를 개방하고 다시 밀봉하는 과정에서 분말이나 곡물이 공기중에 빈번하게 노출되므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용기내에 침습되어 분말이나 곡물이 딱딱하게 경화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경우 계량 스푼의 사용이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테이블 스푼 단위나 티 스푼 단위의 일정한 용량을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개량하되 그 계량 과정을 매우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분말이나 곡물을 저장하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할 필요가 없어 분말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경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량 배출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는, 일정량의 분말이 유입되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태의 수용부를 가지는 피스톤과, 분말을 저장하는 용기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을 탄성부재에 의하여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하측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피스톤의 수용부에 유입된 분말의 일부나 전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 인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피스톤의 헤드 부분을 눌러서 피스톤을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키기만 하면 피스톤의 수용부에 수용된 분말이나 곡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인출관의 배출구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되므로, 종래 계량 스푼에 의한 계량 과정의 번거로움을 일거에 해소하여 조리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둘째, 피스톤의 이동거리에 따라서 항상 일정한 용량의 분말이나 곡물만이 배출되므로, 종래의 계량용 스푼보다 더 정확한 계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용기에 분말이나 곡물을 새롭게 투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개량을 위하여 용기의 뚜껑을 굳이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기내에 저장된 분말이나 곡물이 공기중에 필요없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말이나 곡물이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경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를 발현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4a 는 분말 미배출시의 상태도, 도 4b 는 분말 일부 배출시의 상태도, 도 4c 는 분말 전부 배출시의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인출관 내부에 잔여된 분말을 외부로 방출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정량 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4a 는 분말 미배출시의 상태도, 도 4b 는 분말 일부 배출시의 상태도, 도 4c 는 분말 전부 배출시의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인출관 내부에 잔여된 분말을 외부로 방출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정량 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1)는 설탕, 소금, 후추가루과 같은 각종 분말이나 쌀, 보리, 깨와 같은 입자가 굵은 상태의 곡물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 배출장치(1)에 수용되어 계량될 수 있는 물질을 편의상 '분말'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이하, 편의상 '배출장치'라 약칭함)(1)는 분말을 저장한 용기(30)의 분말이 유입되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태의 수용부(23)를 가지는 피스톤(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 배출장치는 상기 피스톤(20)을 탄성부재(60)에 의하여 그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하측에 상기 피스톤(20)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피스톤(20)의 수용부(23)에 유입된 분말의 일부나 전부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1)를 형성한 인출관(1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배출장치(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분말을 저장하는 용기(30)가 위치하며, 상기 용기(30)의 상단은 뚜껑(40)에 의하여 개방 또는 밀봉된다.
상기 용기(30)의 하부에 인출관(10)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관(10)의 내부 관로에 피스톤(2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출관(10) 및 피스톤(20)의 직경은 본 고안 배출장치(1)가 수용하는 분말이나 곡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은 일측에 헤드(21)가 형성되고, 이 헤드(21)의 측부에 몸체(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22)에는 수용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3)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중공 상태이되 상기 용기(30)의 유출구(31)를 통하여 유입되는 분말을 수용한다.
상기 수용부(23)는 격벽(24)에 의하여 수용 공간이 분리될 수 있는데, 이 격벽(24)은 후술할 인출관(10)의 배출구(11)로 배출되는 분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품이다.
상기 격벽(24)은 수용부(23)의 벽면에 형성된 세로 방향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채널(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격벽(24)을 수용부(23)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출관(10)에는 상기 피스톤(20)의 수용부(23)에 수용된 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배출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관(10)은 상기 용기(30)의 유출구(31)를 통하여 유입되는 분말을 상기 피스톤(20)의 수용부(23)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유입구(12)를 형성한다.
이때, 만일 상기 용기(30)와 인출관(1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면, 인출관(20)에 유입구(12)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용기(30)의 유출구(31)가 상기 인출관(20)의 유입구(12)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유입구(12)의 개구와 상기 배출구(11)의 개구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에서 그 개구들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용부(23)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구된 상태이므로, 분말이 피스톤(20)의 수용부(23)에 수용되었을 때, 수용부(23)의 하부를 인출관(10)의 바닥면의 일부가 차폐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인출관(10)의 일측 말단은 상기 피스톤(20)을 삽입시키는 개구(15)가 형성되고, 인출관(10)의 타측 말단은 폐쇄된 바닥면(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관(10)의 하부에는 배출구(11)와 상기 바닥면(16) 사이에 협소한 폭을 가진 방출구(13)가 형성된다.
이 방출구(13)는 평소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패킹(70)(packing)에 의하여 막혀진 상태이나, 후술할 도 5 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인출관(10)의 관로상에 누출된 잔여 분말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 패킹(70)을 개방시켜 잔여 분말을 방출구(13)를 통하여 인출관(1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20)이 인출관(10)의 관로로 결합할 경우, 상기 인출관(10)의 바닥면(16)과 상기 피스톤(20)의 몸체(22)의 말단면 사이에 탄성부재(60)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피스톤(20)에 누르는 힘을 가하였다가 이를 해제하였을 때, 피스톤(20)을 원래 위치로 회복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며, 통상의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피스톤(20)이 인출관(10)의 관로에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밀폐링(50)이 제공된다.
상기 밀폐링(50)은 그 내측 벽면에는 나사산 형상의 밀폐링 결합면(51)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밀폐링(5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와 몸체(22) 사이에는 단차진 계단 형상의 걸림턱(26)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관(10)의 개구(15)의 외주면에도 나사산 형상의 결합면(14)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 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링(50)으로 피스톤(20)의 헤드(21)를 관통시킨다음, 상기 밀폐링(50)의 천정 내측면이 상기 걸림턱(26)에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밀폐링(50)의 결합면(51)과 인출관(10)의 결합면(14)을 상호 체결함으로써, 상기 피스톤(20)을 인출관(10) 내부 관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20)이 인출관(10)의 내부에 결합되면, 피스톤(20)의 헤드(21) 부분이 눌려지면, 피스톤(20)의 몸체(22)측에 결합된 탄성부재(60)를 압축시키면서 피스톤(20)이 인출관(10)의 바닥면(16) 방향으로 이동하며, 헤드(21) 부분의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60)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피스톤(20)에 작용하여 피스톤(20)이 인출관(10)의 개구(15)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되, 복귀시 피스톤(20)의 걸림턱(26)이 밀폐링(50)의 천정 내측면에 걸려지면서 피스톤(20)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기 인출관(10)과 피스톤(20)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직육면체나 다각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32 및 41 은 각각 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된 용기결합면(32)과 뚜껑(40)의 하단부에 형성된 뚜껑 결합면(41)으로서, 이들은 상호 치합되는 형상의 나사산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결합면(32, 41)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용기(30)와 뚜껑(40)이 서로 결합되므로, 용기(30)의 상단을 뚜껑(40)에 의하여 밀봉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4a 는 분말 미배출시의 상태도, 도 4b 는 분말 일부 배출시의 상태도, 도 4c 는 분말 전부 배출시의 상태도이다.
먼저, 도 4a 를 참조하여 본 고안 배출장치의 초기 작동 상태인 분말 미배출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고안 배출장치의 초기 상태는 사용자에 의하여 피스톤(20)의 헤드(21) 부분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20)의 몸체(22)가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출관(10)의 개구(15) 방향으로 밀려져 피스톤(20)의 걸림턱(26) 부분이 밀폐링(50)에 의하여 걸려져 있게 된다.
그러면, 위와 같은 피스톤(20)의 위치에서는, 피스톤(20)의 수용부(23)의 상부 개구가 인출관(10)의 유입구(12) 부분과 중첩되게 되고, 용기(30)에 저장되어 있던 분말(P)이 하방향으로 자연 낙하하여 유출구(31)로 빠져나가면서 인출관(10)의 유입구(12)를 경유하여 수용부(23)의 공간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0)의 수용부(23)의 하부 개구는 인출관(10)의 바닥면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수용부(23)에 수용된 분말(P)은 배출구(11)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고안 배출장치를 통하여 분말(P)을 인출하고자,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의 헤드(21) 부분을 인출관(11)의 바닥면(16) 방향으로 밀게 되면, 탄성부재(60)가 압축되면서 피스톤(20)이 인출관(11)의 내부 바닥면(16)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피스톤(20)의 수용부(23)에 설치된 격벽(24)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의 최우측에 도달하게 되면, 격벽(24)을 중심으로 하여 수용부(23)의 좌측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분말(P)은 배출구(11)를 통하여 인출관(10) 외부로 배출되나, 수용부(23)의 우측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분말(P)은 아직 인출관(10)의 바닥면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본 고안 배출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이러한 상태를 수용부(23)의 공간 부피 대비 1/2 배출 상태인 '절반 배출 작동'이라 편의상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수용부(23)의 공간 전체의 부피를 1 테이블 스푼의 15 ml 의 용량이나 1 티 스푼의 5 ml 의 용량으로 설계하였을 경우, 본 고안의 배출장치가 상기와 같은 절반 배출 작동시에는 1/2 테이블 스푼(7.5ml)이나 1/2 티 스푼(2.5ml)의 용량이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 부분에 상기와 같이 본 고안 배출장치가 절반 배출 작동을 하는 지점을 측정하여 이 지점에 마킹(marking)을 하여 두면,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24)의 높이는 수용되는 분말이나 곡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서 이것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하면 되는데, 특히 본 고안 용기(30)에 다소 굵은 입자인 곡물이 수용될 경우에는 곡물이 수용부(230 내부로 보다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24)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절반 배출 작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스톤(20)의 헤드(21) 부분을 더 누르게 되면,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가 더욱 압축되면서 피스톤(20)이 인출관(11)의 내부 바닥면(16) 방향으로 더 깊이 추가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20)의 수용부(23)에 설치된 격벽(24)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의 최좌측에 도달하게 되면, 격벽(24)을 중심으로 하여 수용부(23)의 우측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분말(P)마저 배출구(11)를 통하여 인출관(10) 외부로 배출되며, 본 고안 배출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이러한 상태를 수용부(23)의 공간 부피 대비 2/2 배출 상태인 '총 배출 작동'이라 편의상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수용부(23)의 공간 전체의 부피를 1 테이블 스푼의 15 ml 의 용량이나 1 티 스푼의 5 ml 의 용량으로 설계하였을 경우, 본 고안의 배출장치가 상기와 같은 총 배출 작동시에는 1 테이블 스푼(15 ml)이나 1 티 스푼(5 ml)의 용량이 배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정량 배출장치(1)는 인출관(10)에 결합된 피스톤(20)을 눌러 피스톤(20)을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에 따라 각각 다른 2 가지 용량의 분말을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배출 작동이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종래 계량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 배출장치의 인출관(10) 내부에 잔여된 분말(P)을 외부로 방출시킬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 배출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분말(P)이 피스톤(20)의 수용부(23)로부터 누출되면서 인출관(10)의 바닥면(16)과 피스톤(20)의 몸체(22) 사이에 누적될 우려가 있는데, 이렇게 누적되는 분말(P)은 본 고안 배출장치의 피스톤(20) 원활한 작동을 저해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렇게 인출관(10)에 잔류된 분말(P)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배출장치는 인출관(10) 하부측 배출구(11)와 상기 바닥면(16) 사이에 협소한 폭을 가진 방출구(13)를 형성하였다.
이 방출구(13)는 평소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패킹(70)(packing)에 의하여 막힌 상태이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관(10)의 관로상에 잔류된 분말(P)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방출구(13)를 막고 있던 패킹(70)을 개방시킴으로써 잔여 분말을 방출구(13)를 통하여 인출관(10) 외부로 방출시키면 된다.
한편, 본 고안 배출장치의 활용 목적에 따라서 1 테이블 스푼과 1/2 테이블 스푼 및 1 티 스푼과 1/2 티 스푼에 해당하는 용량을 일괄하여 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본 고안 배출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2)와 같이, 용기를 결합링(1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상부용기(30') 및 하부용기(30)로 구성하고, 상부용기(30')의 상측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인출관(10')과 피스톤(20')을 결합 설치하고, 하부용기(30)의 하측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인출관(10)과 피스톤(20)을 결합 설치한다.
이때, 상부용기(30')의 피스톤(20')의 총 배출 작동시의 배출 용량을 1 티 스푼 용량으로 설정하고, 하부용기(30)의 피스톤(20)의 총 배출 작동시의 배출 용량은 1 테이블 스푼 용량으로 설정하면, 상부용기(30')와 하부용기(30)가 결합된 단일한 용기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4 가지 부피의 분말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과 효용성이 한층 제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정량 배출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
2;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정량 배출장치
10; 인출관
11; 배출구 12; 유입구
13; 방출구 14; 인출관 결합면
15; 개구 16; 바닥면
20; 피스톤
21; 헤드 22; 몸체
23; 수용부 24; 격벽
25; 채널 26; 걸림턱
30; 용기
31; 유출구 32; 용기 결합면
40; 뚜껑
41; 뚜껑 결합면
50; 밀폐링
51; 밀폐링 결합면
60; 탄성부재
70; 패킹
1; 본 고안 정량 배출장치
2;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정량 배출장치
10; 인출관
11; 배출구 12; 유입구
13; 방출구 14; 인출관 결합면
15; 개구 16; 바닥면
20; 피스톤
21; 헤드 22; 몸체
23; 수용부 24; 격벽
25; 채널 26; 걸림턱
30; 용기
31; 유출구 32; 용기 결합면
40; 뚜껑
41; 뚜껑 결합면
50; 밀폐링
51; 밀폐링 결합면
60; 탄성부재
70; 패킹
Claims (8)
- 분말이나 곡물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일정량의 분말이나 곡물이 유입되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태의 수용부(23)를 가지는 피스톤(20);
상기 피스톤(20)을 탄성부재(60)에 의하여 그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하측에 상기 피스톤(20)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피스톤(20)의 수용부(23)에 유입된 분말이나 곡물의 일부나 전부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1)를 형성한 인출관(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일측에 헤드(21)가 형성되고 이 헤드(21)의 측부에 몸체(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22)에는 상기 수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3)는 격벽(24)에 의하여 수용 공간이 분리되고, 상기 인출관(10)의 바닥면(16)과 상기 피스톤(20)의 몸체(22)의 말단면 사이에 탄성부재(60)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20)과 인출관(1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밀폐링(5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4)은 상기 수용부(23)의 벽면에 형성된 채널(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2)의 개구와 상기 배출구(11)의 개구는 평면상에서 그 개구들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10)의 배출구(11)와 상기 바닥면(16) 사이에 방출구(13)를 형성하고, 이 방출구(13)는 패킹(70)에 의하여 막혀지거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50)은 그 내측 벽면에는 나사산 형상의 밀폐링 결합면(51)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5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피스톤(20)의 헤드(21)와 몸체(22) 사이에는 단차진 계단 형상의 걸림턱(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결합링(10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상부용기(30') 및 하부용기(30)로 구성하고,
상부용기(30')의 상측 및 하부용기(30)의 하측에, 상기 인출관(10)과 피스톤(20)을 각각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740U KR20130002177U (ko) | 2011-09-29 | 2011-09-29 | 정량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740U KR20130002177U (ko) | 2011-09-29 | 2011-09-29 | 정량 배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177U true KR20130002177U (ko) | 2013-04-08 |
Family
ID=5242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740U KR20130002177U (ko) | 2011-09-29 | 2011-09-29 | 정량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2177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69183A (zh) * | 2017-11-20 | 2018-02-09 | 防城港市润杰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家庭生活用的环保调料罐 |
KR102050468B1 (ko) * | 2018-06-21 | 2019-11-29 | 조병래 |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
-
2011
- 2011-09-29 KR KR2020110008740U patent/KR2013000217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69183A (zh) * | 2017-11-20 | 2018-02-09 | 防城港市润杰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家庭生活用的环保调料罐 |
KR102050468B1 (ko) * | 2018-06-21 | 2019-11-29 | 조병래 | 가루형 양념 토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79374B (zh) | 用于流体的剂量分配装置 | |
JP6483109B2 (ja) | 収納体のシールアセンブリおよびシールアセンブリを備える収納体 | |
KR20130002177U (ko) | 정량 배출장치 | |
CN204642703U (zh) | 指推式粒状药品定量给药盒 | |
KR101679261B1 (ko) | 계량이 가능한 이중 덮개를 포함하는 조미료 계량용기 | |
US20140033658A1 (en) | Dry goods portion control container | |
CN109533676B (zh) | 一种定量装置 | |
US20070210119A1 (en) | Dispensing cap | |
US2558251A (en) | Reciprocating trap chamber dispensing container | |
KR20100003117U (ko) | 정량 인출장치 | |
KR101179698B1 (ko) |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 |
WO2018077213A1 (zh) | 一种固体粉末的存储及定量取粉装置 | |
KR200472706Y1 (ko) |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 |
KR200433076Y1 (ko) | 정량 인출장치 | |
CN204568425U (zh) | 一种多功能防潮奶粉罐 | |
KR101523932B1 (ko) | 양념통 | |
KR20130099775A (ko) | 분말 우유용 계량스푼 일명 Jinny-Cap〈지니 캡〉 | |
CN202987886U (zh) | 手持式药品存取器 | |
CN214297251U (zh) | 定量分配包装容器 | |
CN217171356U (zh) | 出料嘴结构及容器 | |
JP2003112757A (ja) | 計量容器 | |
KR20070060014A (ko) | 다양한 액체를 그들의 저장용기에서 일정량만큼 따라 내는배출기 | |
US3141582A (en) | Sliding type dispenser | |
CN219270748U (zh) | 一种液体定量出液装置及调料机 | |
JP7181813B2 (ja) | 定量抽出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