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472A -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6472A KR20120066472A KR1020100127830A KR20100127830A KR20120066472A KR 20120066472 A KR20120066472 A KR 20120066472A KR 1020100127830 A KR1020100127830 A KR 1020100127830A KR 20100127830 A KR20100127830 A KR 20100127830A KR 20120066472 A KR20120066472 A KR 20120066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gmented reality
- driver
- content
- distance
- front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16 au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virtually distinguishing relevant parts of a scene from the background of the scene
- B60R2300/308—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virtually distinguishing relevant parts of a scene from the background of the scene by overlaying the real scene, e.g. through a head-up display on the windscree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고속 주행 시 운전자가 주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방 물체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한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는 차량 전방의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여 운전자로부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 물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 및 합성위치를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거리 측정부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운전자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부; 및 위치 보정부에서 보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 시 운전자가 주시하는 전방 물체 상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는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은 일반적으로 영상 정합, 상호작용, 그리고 실시간의 3가지의 특성을 만족해야한다. 영상 정합은 사용자가 보는 실세계 영상에서 대상 물체와 관련된 가상 부가 정보가 같은 위치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상호작용은 사용자가 보는 실세계 영상이 사용자의 위치 또는 주시 방향 변화에 따라 변하고 정합되는 영상도 이 변화에 대응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은 영상 정합과 상호작용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차량 내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 Head-Up Display(HUD)를 들 수 있다. HUD는 차량 주행 정보, 길안내 정보 등 운전 편의 정보 및 콘텐츠를 운전자 주시 방향과 일치하는 윈드 쉴드 또는 별도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고 전방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독일의 BMW사는 2006년부터 HUD를 장착한 차량을 출시하여 차량 주행 정보 및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풀 컬러 HUD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현재 HUD 기반 차량 항법 시스템 등에서는 증강현실과 유사한 형태로 운전 편의 정보 및 콘텐츠를 표시하나, 증강현실의 3가지 특성 가운데 하나인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의 고정된 위치에 항상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위치는 운전자가 현재 주시하고 있는 전방의 상황과 무관하게 항상 고정되어 있다.
이런 경우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다가 간간이 HUD에 표시된 콘텐츠를 보기 위해 시선을 옮겨야 한다. HUD 시스템이 운전자의 시야 영역 내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목적이므로 시선의 이동이 크지 않지만, 고속 주행 시는 운전자의 시야각이 현저히 좁아지고 전방을 주시하는 집중도가 더욱 높으므로 이러한 약간의 시선 이동도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주행 시 운전자가 주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방 물체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한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는, 차량 전방의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여 운전자로부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 물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 및 합성위치를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거리 측정부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운전자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부; 및 위치 보정부에서 보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부는, 차량의 진행방향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모듈; 및 영상정보 획득모듈로부터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고, 영상정보 내 중앙에 위치한 물체와 가장 가까운 깊이값을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거리로 예측하는 거리 예측모듈을 포함한다.
콘텐츠 설정부는, 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는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 및 거리 예측부에서 획득한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근거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영상정보에 합성하기 위한 합성위치를 설정하는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을 포함한다.
위치 보정부는, 운전자의 위치 및 표시부의 위치를 근거로 영상정보와 운전자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표시부는 투명 디스플레이, HUD(Head-Up Display) 중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방법은, 차량의 진행방향 전방을 촬영하여 차량 전방의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근거로 운전자로부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영상정보와 운전자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 물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증강 현실 콘텐츠를 영상정보에 합성하기 위한 합성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영상정보 내 중앙에 위치한 물체와 가장 가까운 깊이값을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거리로 측정한다.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측정된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근거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한다.
합성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근거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영상정보에 합성하기 위한 합성위치를 설정한다.
보정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위치 및 표시부의 위치를 근거로 영상정보와 운전자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차량 고속 주행시 운전자의 시선이 맞추어진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에 적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주행 시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 주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거리 변화에 대응하는 실감나는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전방 물체와의 거리만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고 전방 물체와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만 변화시켜 제공함으로써,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콘텐츠의 가독성을 유지하며 운전자의 안전 운행도 보장하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추후 고속 주행 시 전방의 움직이는 차량 상에 콘텐츠를 합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증강콘텐츠의 개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연계된 차량 시스템의 경우 주행 중 문자메시지를 운전자가 주시하고 있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주행 중 전화를 걸기 위한 키패드 디스플레이 등도 가능하다. 음악 목록을 검색하기 위해 차량 내부 오디오 시스템으로 시선을 옮길 필요 없이 전방 물체 상에(예를 들면, 범퍼 등) 음악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방 물체 상부에 가상 전광판을 설치하여 각종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거리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위치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도 1의 거리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위치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차량 주행시 운전자의 시선은 전방에 위치한 앞 차량을 주시하는 경향이 있고 이때 운전자의 초점은 전방의 차량에 맞추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강 현실 구현을 위한 콘텐츠 삽입시 운전자의 초점과 무관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콘텐츠가 합성될 경우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한 전방 주시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고정되어 있는 전방 물체(예를 들면, 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운전자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리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위치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는 거리 측정부(100), 콘텐츠 설정부(200), 위치 보정부(300), 표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리 측정부(100)는 차량 전방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전방 물체(5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측정부(100)는 영상정보 획득모듈(120) 및 거리 예측모듈(140)을 포함한다.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은 차량 내 운전자(600)의 위치에서 전방의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한다. 즉,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은 스테레오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센서 등과 같은 깊이/영상 측정 장비로 구성되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며, 차량의 진행방향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한다.
거리 예측모듈(140)은 영상정보 획득모듈(120)로부터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전방 물체(500)까지의 거리를 예측한다. 즉, 거리 예측모듈(140)은 영상정보 획득모듈(120)로부터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예를 들면, 깊이 맵)를 획득한 후 영상 내 중앙에 위치한 물체와 가장 가까운 깊이값을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거리로 예측한다.
콘텐츠 설정부(200)는 전방 물체(500)를 이용해 운전자(600)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설정부(200)는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220) 및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240)을 포함한다.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220)은 3차원 그래픽 디스플레이 툴(3D graphic display tool)과 유사하게 거리에 따라 표시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즉,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220)은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여 전방 물체(500)의 거리 변화에 대응 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
여기서,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220)에서 전방 물체(500)의 회전을 고려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할 경우 콘텐츠의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220)은 차량의 고속 주행시 전방 물체(500)의 회전(즉, 좌회전, 우회전 등)을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 설정에 고려하지 않는다. 이처럼,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만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고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만 변화시켜 제공함으로써,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콘텐츠의 가독성을 유지하며 운전자(600)의 안전 운행도 보장하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240)은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220)에서 크기가 설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할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240)은 콘텐츠를 전방 물체(500)의 가운데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할 수 있다.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240)은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에서 획득한 영상에 원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거리 예측부에서 획득한 전방 물체(500)까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상부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하고 싶은 경우 차량의 크기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상부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텐츠를 합성할 수도 있다.
위치 보정부(300)는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에서 획득한 전방 영상과 운전자(600)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즉, 위치 보정부(300)는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에서 획득한 영상과 운전자(600)간의 거리차로 인한 시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전에 운전자(600)와 영상정보 획득모듈(1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 획득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전방 영상과 운전자(600)가 보는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한 HUD(즉, 표시부(400))가 운전자(600)의 정면 위치에 설치되었다면,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의 표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z는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에서 전방 물체(500)까지의 거리이고, dz0는 운전자(600)에서 영상정보 획득모듈(120)까지의 거리이고, dx0는 운전자(600)와 영상정보 획득모듈(12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UD 장치(즉, 표시부(400))가 운전자(600)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고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있다면 이값 역시 사전에 입력을 받아서 운전자(600) 위치 보정 후 이를 다시 한 번 더 보정한다.
표시부(400)는 운전자(600)가 차량 유리창(700)을 통해 바라보는 전방 영상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400)는 투명 디스플레이, 각종 HUD(Head-Up Display) 등으로 구성되어 차량 내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거리 측정부(100)는 증강 현실 출력을 위해 전방의 영상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S100). 거리 측정부(100)는 차량 내 운전자(600)의 위치에서 전방의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한다.
거리 측정부(100)는 기 획득한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전방 물체(500)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S200). 거리 측정부(100)는 S100단계에서 획득한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예를 들면, 깊이 맵)를 이용하여 영상 내 중앙에 위치한 물체와 가장 가까운 깊이값을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거리로 예측한다.
위치 보정부(300)는 운전자(600)의 시각과 영상 간의 오차 보정을 수행한다(S300). 즉, 위치 보정부(300)는 거리 측정부(100)에서 획득한 영상과 운전자(600)간의 거리차로 인한 시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전에 운전자(600)와 영상정보 획득모듈(1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정보 획득모듈(120)로부터 획득한 전방 영상과 운전자(600)가 보는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콘텐츠 설정부(200)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한다(S400). 콘텐츠 설정부(200)는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여 전방 물체(500)의 거리 변화에 대응 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 여기서, 콘텐츠 설정부(200)는 전방 물체(500)의 회전을 고려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할 경우 콘텐츠의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전방 물체(500)의 회전(즉, 좌회전, 우회전 등)을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 설정에 고려하지 않는다.
콘텐츠 설정부(200)는 크기가 설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할 위치를 결정한다(S500). 이때, 콘텐츠 설정부(200)는 콘텐츠를 전방 물체(500)의 가운데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할 수 있다. 콘텐츠 설정부(200)는 거리 측정부(100)에서 획득한 영상에 원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거리 측정부(100)에서 획득한 전방 물체(500)까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상부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합성하고 싶은 경우 차량의 크기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상부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텐츠를 합성할 수도 있다.
표시부(400)는 기결정된 합성위치에 기설정된 크기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한다(S600). 이때, 표시부(400)는 투명 디스플레이, 각종 HUD(Head-Up Display) 등으로 구성되며 차량 내에 설치되어 운전자(600)가 차량 유리창(700)을 통해 바라보는 전방 영상에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차량 고속 주행시 운전자(600)의 시선이 맞추어진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에 적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주행 시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 주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거리 변화에 대응하는 실감나는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만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를 설정하고 전방 물체(500)와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만 변화시켜 제공함으로써,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콘텐츠의 가독성을 유지하며 운전자(600)의 안전 운행도 보장하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추후 고속 주행 시 전방의 움직이는 차량 상에 콘텐츠를 합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증강콘텐츠의 개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연계된 차량 시스템의 경우 주행 중 문자메시지를 운전자(600)가 주시하고 있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주행 중 전화를 걸기 위한 키패드 디스플레이 등도 가능하다. 음악 목록을 검색하기 위해 차량 내부 오디오 시스템으로 시선을 옮길 필요 없이 전방 물체(500) 상에(예를 들면, 범퍼 등) 음악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방 물체(500) 상부에 가상 전광판을 설치하여 각종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거리 측정부 120: 영상정보 획득모듈
140: 거리 예측모듈 200: 콘텐츠 설정부
220: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 240: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
300: 위치 보정부 400: 표시부
500: 전방 물체 600: 운전자
700: 차량 유리창
140: 거리 예측모듈 200: 콘텐츠 설정부
220: 콘텐츠 크기 설정모듈 240: 콘텐츠 합성위치 결정모듈
300: 위치 보정부 400: 표시부
500: 전방 물체 600: 운전자
700: 차량 유리창
Claims (1)
- 차량 전방의 영상정보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여 운전자로부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 물체를 통해 상기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크기 및 합성위치를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시각에서의 영상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부; 및
상기 위치 보정부에서 보정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7830A KR20120066472A (ko) | 2010-12-14 | 2010-12-14 |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7830A KR20120066472A (ko) | 2010-12-14 | 2010-12-14 |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6472A true KR20120066472A (ko) | 2012-06-22 |
Family
ID=4668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7830A KR20120066472A (ko) | 2010-12-14 | 2010-12-14 |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66472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35148A1 (en) * | 2012-08-31 | 2014-03-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
KR101409846B1 (ko) * | 2012-12-18 | 2014-06-19 | 전자부품연구원 | 3차원 증강현실 기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60002179A (ko) * | 2014-06-30 | 2016-01-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정보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
US9299193B2 (en) | 2013-09-26 | 2016-03-29 | Hyundai Motor Company |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using augmented reality |
KR20160069451A (ko) * | 2014-12-08 | 2016-06-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증강현실 hud 표시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
US9690104B2 (en) | 2014-12-08 | 2017-06-27 | Hyundai Motor Company | Augmented reality HUD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
WO2018026247A1 (ko) * | 2016-08-05 | 2018-02-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2010
- 2010-12-14 KR KR1020100127830A patent/KR2012006647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35148A1 (en) * | 2012-08-31 | 2014-03-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
US10002462B2 (en) | 2012-08-31 | 2018-06-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
KR101409846B1 (ko) * | 2012-12-18 | 2014-06-19 | 전자부품연구원 | 3차원 증강현실 기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
US9299193B2 (en) | 2013-09-26 | 2016-03-29 | Hyundai Motor Company |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using augmented reality |
KR20160002179A (ko) * | 2014-06-30 | 2016-01-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정보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
US9963070B2 (en) | 2014-06-30 | 2018-05-08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
KR20160069451A (ko) * | 2014-12-08 | 2016-06-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증강현실 hud 표시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
US9690104B2 (en) | 2014-12-08 | 2017-06-27 | Hyundai Motor Company | Augmented reality HUD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
WO2018026247A1 (ko) * | 2016-08-05 | 2018-02-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9790B2 (en) | Coordinate matching apparatus for head-up display | |
US9835864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 |
US10162175B2 (en) | Dual head-up display apparatus | |
KR20120066472A (ko) | 전방 물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출력 장치 및 방법 | |
CN111433067A (zh) | 平视显示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 |
JP2023029340A (ja) |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9086566B2 (en) | Monocular head mounted display | |
US20140232746A1 (en) | Three 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eye tracking | |
US2010028750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formal symbology on a see-through display | |
WO2006030613A1 (ja) |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 |
JP6121131B2 (ja) | 多重表示装置 | |
JP2014201197A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JP2019098755A (ja) | 虚像表示装置 | |
KR20120007781U (ko) | 증강현실과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 |
US9849835B2 (en) | Operating a head-up display of a vehicle and image determining system for the head-up display | |
US20190166357A1 (en) | Display device,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 |
JPWO2019026747A1 (ja) | 車両用拡張現実画像表示装置 | |
JP2022549562A (ja) | 車両運転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US20190166358A1 (en) | Display device,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 |
JP2014234139A (ja) | 車載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220032448A (ko) | 크로스토크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20072957A1 (en) | Method for Depicting a Virtual Element | |
US11983838B2 (en) | Circuit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7145509B2 (ja) |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 |
KR20180026418A (ko) |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좌표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