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890A - 연쇄 단자 - Google Patents
연쇄 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2890A KR20120042890A KR1020127002624A KR20127002624A KR20120042890A KR 20120042890 A KR20120042890 A KR 20120042890A KR 1020127002624 A KR1020127002624 A KR 1020127002624A KR 20127002624 A KR20127002624 A KR 20127002624A KR 20120042890 A KR20120042890 A KR 201200428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tangular piece
- terminal
- carrier
- signal conducto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combined with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 의한 프레스 성형만으로 신호 도체와 접속 가능한 연쇄 단자를 제공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에 직사각형의 직사각형편(12)이 연결된 캐리어(11)를, 당해 직사각형편(12)을 프레스 성형하기 위한 금형(40, 50)에 배치하고,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W1)를 직사각형편(12) 상에 배치하고, 신호 도체(W1)를 감싸도록 직사각형편(12)을 금형(40, 50)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신호 도체(W1)에 접속된 단자(20)를 형성하고, 캐리어(11)와 단자(20)의 접속 개소를 절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 등의 실드 도체를 구비하는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자와 신호 도체의 용이한 접속을 실현하는 연쇄 단자의 구조, 및 그 단자와 신호 도체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 2,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등의 실드 도체를 구비하는 케이블의 신호 도체를 단자에 접속할 때에는, 단자에 형성된 배럴(특허문헌 1에서는 압착 배럴(31b), 특허문헌 2에서는 압착편(32d), 특허문헌 3에서는 압착편(11c))에 의해 신호 도체를 압착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도체를 단자에 접속하기 위해 배럴을 압착하고자 하면,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한 단자를 금형에서 취출하고, 그 단자를 앤빌(anvil) 및 크림퍼(crimper)를 구비하는 단자 압착 장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금형에 의한 프레스 성형만으로 신호 도체와 접속 가능한 연쇄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쇄 단자는, 하기 (1)?(4)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1) 캐리어와, 당해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에 복수 연결된 직사각형의 직사각형편을 구비한 연쇄 단자이고, 상기 직사각형편이, 전선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를 감싸도록 프레스 성형되는 것에 의해, 중공의 원통형상 단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상기 (1)에 있어서, (2) 상기 직사각형편은,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와 당해 직사각형편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캐리어 링크를 개재하여,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링크는, 상기 직사각형편을, 상기 캐리어를 포함하는 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상기 (1)에 있어서, (3) 상기 캐리어의 폭은, 상기 신호 도체에 있어서의 노출된 부분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상기 (1)에 있어서, (4)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신호 도체에 있어서의 노출된 부분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폭이 작은 소폭부와, 상기 소폭부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폭이 큰 대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사각형편은, 상기 소폭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상기 (1)의 구성의 연쇄 단자에 의하면,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과, 단자와 전선의 신호 도체를 접속하는 공정을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상기 (2)?(4)의 구성의 연쇄 단자에 의하면, 캐리어와 직사각형편의 절단 위치를 단자의 후단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선단에 상대 단자와의 효율적인 접촉을 방해하는 버(burr)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쇄 단자에 의하면, 금형에 의한 프레스 성형만으로 신호 도체와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간결하게 설명하였지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이 더욱 명확화된다.
도 1(a)?(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가 프레스 성형되는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상면도로서, (a)는 단자가 절단되기 전의 상면도이고, (b)는 연쇄 단자로부터 절단된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상면도로서, (a)는 단자가 절단되기 전의 상면도이고, (b)는 연쇄 단자로부터 절단된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상면도로서, (a)는 단자가 절단되기 전의 상면도이고, (b)는 연쇄 단자로부터 절단된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상면도로서, (a)는 단자가 절단되기 전의 상면도이고, (b)는 연쇄 단자로부터 절단된 단자의 상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가 성형되는 과정을, 그 단자의 형상 변화와 함께 설명한다. 도 1(a)?(f)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단자가 프레스 성형되는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평판 형상의 금속판이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1)(금형 블록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에 배치되어 프레스되는 것에 의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형상의 캐리어(11)와, 당해 캐리어(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에 연결된 직사각형의 직사각형편(12)이 형성된다. 이때, 직사각형편(12)은, 후술하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전선의 신호 도체를 감싸는 것으로 당해 신호 도체와 도통하게 되는 직사각형편 본체(121)와, 직사각형편 본체(121)와 캐리어(11)를 연결하는 캐리어 링크(122)와,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캐리어(11)에 면한 일단에서 캐리어(11)를 향해 연장된 콘택트(123)에 의해 구성된다. 콘택트(123)는, 캐리어 링크(122)의 양측에서 2개가 캐리어(11)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123)는, 직사각형편(12)이 단자로 되었을 때에 당해 단자의 선단(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부위)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캐리어 링크(122)를 개재하여 캐리어(11)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편(12)에 있어서, 캐리어(11)에 가까운 측을 선단측이라 하고, 캐리어(11)에서 먼 측을 후단측이라 한다.
그 후, 금형 블록(M1)에 의해 프레스 절단된 직사각형편(1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2)에 배치되어 프레스된다. 도 1(b)에서는, 직사각형편(12)은,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캐리어 링크(122)를 가운데 위치시키는 양측 및 2개의 콘택트(123)가,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캐리어 링크(122)에 연결된 중앙에 대해 절곡된다. 이때, 직사각형편(12)의 단면은,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중앙을 저변으로 하였을 때,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양측이 당해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서 U자에 흡사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나아가, 금형 블록(M2)에 의해 프레스 성형된 직사각형편(1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3)에 배치되어 더 프레스된다. 도 1(c)에서는, 직사각형편(12)은,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선단측의 대략 절반이 오므려진다. 즉,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양측의 단부 중의 선단측의 대략 절반이 서로 접근하도록 직사각형편 본체(121)가 프레스 성형된다. 한편,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의 대략 절반은, 도 1(b)와 동일하게 상방이 개방된 상태, 즉,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양측이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서 U자에 흡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d)에서는,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 상에,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W1)를 배치한다. 이때,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의 대략 절반은, 그 상방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신호 도체(W1)를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후, 금형 블록(M3)에 의해 프레스 성형되어,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121)에 재치된 직사각형편(1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4)에 배치되어 더 프레스된다.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편(12)은,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배치된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의 대략 절반이 오므려진다. 즉,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양측의 단부 중의 후단측의 대략 절반이 상호 접근하도록 직사각형편 본체(121)가 성형된다.
직사각형편(12)은, 상술한 도 1(a)?(e)에 나타내는 공정을 거쳐,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121)에 접속됨과 동시에,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후, 금형 블록(M4)에 의해 프레스 성형된 직사각형편(12)이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5)에 배치되어,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링크(122)가 절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W)의 신호 도체(W1)에 접속된 상태의 단자(20)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에 의하면, 직사각형편(12)을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과, 단자와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접속하는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한 단자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고, 그 단자를 앤빌 및 크림퍼를 구비하는 단자 압착 장치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자가 결합된 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그 작업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의 구조를 적용한 연쇄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쇄 단자(30)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측 금형(40) 및 상측 금형(50)을 사용한다. 하측 금형(40)에는, 연쇄 단자(30)가 재치되는 단자 수용홈(41), 상측 금형(50)이 낙하했을 때에 전선(W)을 뭉개버리지 않도록 전선(W)을 수용하는 전선 수용홈(42), 상측 금형(50)의 보스(53)를 수용하는 보스홀(4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단자 수용홈(41)에는, 연쇄 단자(30)의 캐리어(11)가 재치되는 캐리어 베이스(411)가 형성되고, 그 캐리어 베이스(411)와 각 전선 수용홈(42)을 가교하도록 연쇄 단자의 직사각형편(12)이 재치되는 직사각형편 베이스(41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 있어서 복수개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는, 도면의 최 좌측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도 1(a) ~(f)을 설명할 때 기술한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1),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2),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3),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4),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5)에 각각 상당한다. 금형 블록은, 직사각형편 베이스(412) 단위로 형성되고, 그 형의 형상은 직사각형편 베이스(412)에 의해 결정된다. 금형 블록(M1)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의 형상은, 평판 형상의 금속판으로부터 직사각형편 본체(121), 캐리어 링크(122), 및 콘택트(123)를 구비하는 직사각형편(12)의 형상을 도려내는 형상이고, 금형 블록(M2?M4)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의 형상은, 직사각형편(12)의 직사각형편 본체(121)를 적절히 절곡하는 형상이고, 금형 블록(M5)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의 형상은, 캐리어 링크(122)를 절단하는 형상이다. 이와 같이 배열된 금형 블록(M1?M5)에 대해, 도 2(b)의 도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연쇄 단자(30)가 금형 블록(M1?M5) 상에 차례로 재치되는 것에 의해, 각 직사각형편(12)은 도 1(a)~(f)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일시점에서, 직사각형편(12)의 형상은, 도면 오른쪽에 나아감에 따라 단자의 형상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선 수용홈(42)은, 금형 블록(M3) 이후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수용홈(42)에 재치된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베이스(412)의 거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전선 수용홈(42)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전선 수용홈(42)에 전선(W)을 재치하는 것에 의해, 금형 블록(M3)에 의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방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에, 당해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재치할 수 있다.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에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재치된 후, 그 상태로 이후의 금형 블록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형 블록(M4, M5)의 직사각형편 베이스(412) 위치에 대응하여 전선 수용홈(42)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금형(M1?M5)을 이용한 5회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직사각형편(12)을 단자의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 회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수를 늘릴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직사각형편(12)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 및 단자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 캐리어 링크(122)를 절단하기 위한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만 있으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금형 블록을 단자 수용홈(41)에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해놓고, 직사각형편(12)의 프레스 성형에 필요한 금형 블록을 적절히 단자 수용홈(41)에 끼워 맞추도록 해놓으면, 사양에 따른 형상으로 단자를 프레스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상측 금형(50)에는, 하측 금형(40)까지 당해 상측 금형(50)이 낙하했을 때에 전선(W)을 뭉개버리지 않도록 전선(W)을 수용하는 전선 수용홈(52), 하측 금형(40)의 보스홀에 끼워 맞춰지는 보스(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금형(50)의 하면에는, 하측 금형(40)의 각 금형 블록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금형 블록과 한 쌍이 되는 금형 블록이 장착되어 있다(미도시). 상측 금형(50)의 금형 블록도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해놓고, 직사각형편(12)의 프레스 성형에 필요한 금형 블록을 적절히 끼워 맞추도록 해놓으면, 사양에 따른 형상으로 단자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쇄 단자에 의하면, 직사각형편(12)을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과, 단자와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접속하는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한 단자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고, 그 단자를 앤빌 및 크림퍼를 구비하는 단자 압착 장치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자가 결합된 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그 작업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선단측의 대략 절반을 금형 블록(M3)에 의해 오므린 후,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에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재치한 상태에서 그 후단측의 대략 절반을 금형 블록(M4)에 의해 오므리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신호 도체(W1)를 받아주는 수용부를 미리 형성해 놓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직사각형편 본체(121) 상에 신호 도체(W1)를 재치할 수 있다. 이 수용부를 이용한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금형 블록(M2)에 의해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양측이 당해 직사각형편 본체(121)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서 U자에 흡사한 형상으로 직사각형편(12)을 성형한 후,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에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재치한 상태에서 직사각형편 본체(121) 전체를 오므리도록 해도 좋다. 한편, 이러한 수용부를 이용하는 구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금형 블록(M1)에 의해 프레스 절단하여 직사각형편(12)을 형성한 후, 직사각형편 본체(121)의 후단측에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재치한 상태에서 직사각형편 본체(121) 전체를 오므리도록 프레스 성형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편(12)의 후단측(캐리어(11)에서 먼 측)에 전선(W)의 신호 도체(W1)의 선단을 재치할 때, 전선(W)이 캐리어(11)를 횡단하지 않도록, 즉, 캐리어(11)와 전선(W) 사이에 직사각형편(12)이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캐리어(11)를 횡단하지 않도록 전선(W)을 직사각형편(12)에 재치하도록 하면, 프레스 성형시에 전선(W)이 캐리어(11)와 금형에 의해 끼워져, 뭉개질 염려가 없기 때문에, 하측 금형(40) 및 상측 금형(50)의 형(mould)의 형상을 더욱 단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전선(W)의 지름이 커질수록 전선(W)이 캐리어(11)와 금형에 의해 끼워질 염려가 있지만, 그 염려가 해소된다. 한편, 캐리어(11)를 횡단하지 않도록 전선(W)을 직사각형편(12)에 재치하는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11)와 직사각형편(12)의 절단 위치(즉, 캐리어 링크(122)의 일부분)가 단자(2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자(20)의 선단에 상대 단자와의 효율적인 접촉을 방해하는 버(burr)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와의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버(burr)가 단자의 후단에 형성되는 연쇄 단자(80), 및 그 연쇄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70)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단자(70)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배열된 금형 블록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연쇄 단자(80)가 금형 블록 상에 차례로 재치되는 것에 의해, 각 직사각형편(6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다. 이하, 도 4(a),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가 성형되는 과정을, 그 단자의 형상 변화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평판 형상의 금속판이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11)에 배치되어 프레스되는 것에 의해, 벨트 형상의 캐리어(61)와, 당해 캐리어(6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에 연결된 직사각형의 직사각형편(62)이 형성된다. 이때, 직사각형편(62)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전선의 신호 도체를 감싸는 것에 의해 당해 신호 도체와 도통하게 되는 직사각형편 본체(621)와, 직사각형편 본체(621)와 캐리어(61)를 연결하는 캐리어 링크(622)와,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캐리어 링크(622)에 연결된 일단과는 반대측의 일단에서 캐리어(6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콘택트(623)에 의해 구성된다. 이후, 캐리어 링크(622)를 개재하여 캐리어(61)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편(62)에 있어서, 캐리어(61)에서 먼 측을 선단측이라 하고, 캐리어(61)에 가까운 측을 후단측이라 한다(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선단측 및 후단측의 정의가 상이한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캐리어 링크(622)는,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후단측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고, 각각이 캐리어(61)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캐리어 링크(622)의 형상은, 그 일부가 직사각형편 본체(621)를 포함하는 수평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에 의해, 직사각형편 본체(621)를, 캐리어(61)를 포함하는 수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형상이다. 직사각형편 본체(621)와 캐리어(61)의 높이 차이는, 직사각형편 본체(621)에 재치하는 전선의 지름의 크기에 따른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당해 전선의 지름의 절반 정도이다. 또한, 콘택트(623)는,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양측에서 2개가 캐리어(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직사각형편(62)이 단자로 되었을 때에 당해 단자의 선단(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부위)을 형성하게 된다.
그 후, 금형 블록(M11)에 의해 프레스 절단된 직사각형편(6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12)에 배치되어 프레스된다. 이때, 직사각형편(62)은,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양측 및 2개의 콘택트(623)가,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중앙에 대해 절곡된다. 이때, 직사각형편(62)의 단면은,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중앙을 저변으로 하였을 때,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양측이 당해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서 U자에 흡사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나아가, 금형 블록(M12)에 의해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양측이 당해 직사각형편 본체(621)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 U자에 흡사한 형상의 직사각형편(62)을 성형한 후,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후단 상에,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W1)를 배치한다. 이때, 전선(W)은, 도 5(a)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상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W)이 캐리어(61)를 횡단하는 한편, 신호 도체(W1)가 캐리어 링크(622)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전선(W)을 배치한 경우에도, 직사각형편 본체(621)와 캐리어(61)의 높이 차이가 전선(W)의 지름의 절반 정도이기 때문에, 신호 도체(W1)를 직사각형편 본체(621)에 재치하는 과정에서,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621) 및 캐리어 링크(622)에 접촉하기 전에 전선(W)이 캐리어(61)에 접촉하여, 신호 도체(W1)와 직사각형편 본체(621) 및 캐리어 링크(622)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후,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621)에 재치된 직사각형편(6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13)에 배치되어, 더 프레스된다. 이때, 직사각형편(62)은,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배치된 직사각형편 본체(621) 전체가 오므려진다. 즉, 직사각형편 본체(621)의 양측의 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직사각형편 본체(621)가 성형된다.
직사각형편(62)은, 상술한 공정을 거쳐,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621)에 접속됨과 동시에,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후, 금형 블록(M13)에 의해 프레스 성형된 직사각형편(62)이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14)에 배치되고, 도 5(a)에 나타내는 캐리어 절단 위치, 즉, 전선(W)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당해 전선(W)의 양 옆구리에 위치하는 절단면에서 캐리어(61) 및 캐리어 링크(622)가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자(70)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의 일부로 볼 수 있는 캐리어 링크(622)의 일부가 후단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W)의 신호 도체(W1)에 접속된 상태의 단자(70)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 및 그 연쇄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에 의하면, 직사각형편(62)을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과, 단자와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접속하는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한 단자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고, 그 단자를 앤빌 및 크림퍼를 구비하는 단자 압착 장치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자가 결합된 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그 작업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61)와 직사각형편(62)의 절단 위치가 단자(70)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절단에 따라 형성되는 버(burr)도 단자(70)의 후단에 형성되게 된다. 이 결과, 단자(70)의 선단에 상대 단자와의 효율적인 접촉을 방해하는 버(burr)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다.
또한, 직사각형편 본체(621)와 캐리어(61)의 높이에 차이가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스 성형시에 전선(W)이 캐리어(61)와 금형에 의해 끼워져 뭉개지지 않는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도, 캐리어와의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버(burr)가 단자의 후단에 형성되는 연쇄 단자(110), 및 그 연쇄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선(W)이 캐리어(61)와 금형에 의해 끼워져 뭉개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직사각형편 본체(621)와 캐리어(61)의 높이에 차이를 형성하였지만,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전선이 뭉개지는 사항을 회피하기 위하여, 캐리어(61)의 폭 방향의 길이에 특징을 부여한다.
제 3 실시형태의 단자(100)도,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배열된 금형 블록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연쇄 단자(110)가 금형 블록 상에 차례로 재치되는 것에 의해, 각 직사각형편(92)은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다. 이하, 도 6(a),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가 성형되는 과정을, 그 단자의 형상 변화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평판 형상의 금속판이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21)에 배치되어 프레스되는 것에 의해, 폭이 작은 소폭부(911)와 폭이 큰 대폭부(912)가 교대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톱니 형상의 캐리어(91)와, 당해 캐리어(9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 중의 소폭부(911)에 연결된 직사각형의 직사각형편(92)이 형성된다. 이때, 캐리어(91)의 소폭부(911)의 폭은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W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고, 대폭부(912)의 폭은 소폭부(911)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소폭부(911) 및 대폭부(912)는, 그 폭 방향의 일측으로 정열된 상태로 교대로 연결되어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대폭부(912)의 폭은, 소폭부(911)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큰 것으로 하였지만, 임의의 폭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중요한 것은, 직사각형편(92)이 연결되는 부분(제 3 실시형태에서는 소폭부(911)에 상당)에 있어서의 캐리어(91)의 폭이,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W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으면 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소폭부(911) 및 대폭부(912)가 그 폭 방향의 일측으로 정열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소폭부(911) 및 대폭부(912)의 연결 개소의 위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직사각형편(92)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전선의 신호 도체를 감싸는 것으로 당해 신호 도체와 도통하게 되는 직사각형편 본체(921)와,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캐리어(91)에 연결된 일단과는 반대측의 일단에서 캐리어(9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콘택트(923)에 의해 구성된다. 이후, 캐리어(91)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편(92)에 있어서, 캐리어(91)에서 먼 측을 선단측이라 하고, 캐리어(91)에 가까운 측을 후단측이라 한다(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선단측 및 후단측의 정의가 상이한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콘택트(923)는,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양측에서 2개가 캐리어(9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어, 직사각형편(92)이 단자로 되었을 때에 당해 단자의 선단(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부위)을 형성하게 된다.
그 후, 금형 블록(M21)에 의해 프레스 절단된 직사각형편(9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22)에 배치되어 프레스된다. 이때, 직사각형편(92)은,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양측 및 2개의 콘택트(923)가,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중앙에 대해 절곡된다. 이때, 직사각형편(92)의 단면은,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중앙을 저변으로 하였을 때,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양측이 당해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서 U자에 흡사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금형 블록(M22)에 의해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양측이 당해 직사각형편 본체(921) 중앙의 양단에서 각각 세워져 U자에 흡사한 형상으로 직사각형편(92)을 성형한 후,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후단 상에,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W1)를 배치한다. 이때, 전선(W)은, 도 7(a)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의 상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W)의 일단에서 노출되는 신호 도체(W1)가 소폭부(911)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전선(W)을 캐리어(91)에 배치한 경우, 전선(W)이 캐리어(91)에 접촉되지 않는다.
그 후,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921)에 재치된 직사각형편(92)이 프레스 성형용 금형 블록(M23)에 배치되어, 더 프레스된다. 이때, 직사각형편(92)은,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배치된 직사각형편 본체(921) 전체가 오므려진다. 즉, 직사각형편 본체(921)의 양측의 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직사각형편 본체(921)가 성형된다.
직사각형편(92)은, 상술한 공정을 거쳐, 전선(W)의 신호 도체(W1)가 직사각형편 본체(921)에 접속됨과 동시에, 단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후, 금형 블록(M23)에 의해 프레스 성형된 직사각형편(92)이 프레스 절단용 금형 블록(M24)에 배치되고, 도 7(a)에 나타내는 캐리어 절단 위치, 즉, 전선(W)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당해 전선(W)의 신호 도체(W1)의 양 옆구리에 위치하는 절단면에서 캐리어(91)의 소폭부(911)가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절단하여 형성되는 단자(100)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의 일부로 볼 수 있는 소폭부(911)의 일부가 후단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W)의 신호 도체(W1)에 접속된 상태의 단자(100)가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쇄 단자, 및 그 연쇄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에 의하면, 직사각형편(92)을 단자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과, 단자와 전선(W)의 신호 도체(W1)를 접속하는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한 단자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고, 그 단자를 앤빌 및 크림퍼를 구비하는 단자 압착 장치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자가 결합된 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그 작업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91)와 직사각형편(92)의 절단 위치가 단자(100)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절단에 따라 형성되는 버(burr)도 단자(100)의 후단에 형성되게 된다. 이 결과, 단자(100)의 선단에 상대 단자와의 효율적인 접촉을 방해하는 버(burr)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다.
또한, 캐리어(91)의 소폭부(911)에 연결된 직사각형편(92)에 신호 도체(W1)를 재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프레스 성형시에 전선(W)이 캐리어(91)와 금형에 의해 끼워져 뭉개지지 않는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179091을 기초로 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도입된다.
11, 61, 91: 캐리어
12, 62, 92: 직사각형편
121, 621, 921: 직사각형편 본체
122, 622: 캐리어 링크
123, 623, 923: 콘택트
20, 70, 100: 단자
30, 80, 110: 연쇄 단자
40: 하측 금형
50: 상측 금형
911: 소폭부(narrow part)
912: 대폭부(wide part)
W: 전선
W1: 신호 도체
12, 62, 92: 직사각형편
121, 621, 921: 직사각형편 본체
122, 622: 캐리어 링크
123, 623, 923: 콘택트
20, 70, 100: 단자
30, 80, 110: 연쇄 단자
40: 하측 금형
50: 상측 금형
911: 소폭부(narrow part)
912: 대폭부(wide part)
W: 전선
W1: 신호 도체
Claims (4)
-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에 복수 연결된 직사각형의 직사각형편을 포함하는 연쇄 단자이고,
상기 직사각형편이, 전선의 일단에서 노출된 신호 도체를 감싸도록 프레스 성형되는 것에 의해, 중공의 원통형상 단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편은,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와 당해 직사각형편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캐리어 링크를 개재하여, 상기 캐리어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링크는, 상기 직사각형편을, 상기 캐리어를 포함하는 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폭은, 상기 신호 도체에 있어서의 노출된 부분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신호 도체에 있어서의 노출된 부분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폭이 작은 소폭부와, 상기 소폭부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폭이 큰 대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사각형편은, 상기 소폭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179091A JP5430274B2 (ja) | 2009-07-31 | 2009-07-31 | 連鎖端子 |
JPJP-P-2009-179091 | 2009-07-31 | ||
PCT/JP2010/062955 WO2011013827A1 (ja) | 2009-07-31 | 2010-07-30 | 連鎖端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2890A true KR20120042890A (ko) | 2012-05-03 |
KR101293398B1 KR101293398B1 (ko) | 2013-08-05 |
Family
ID=4352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2624A KR101293398B1 (ko) | 2009-07-31 | 2010-07-30 | 연쇄 단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20120135648A1 (ko) |
EP (2) | EP2698884A1 (ko) |
JP (1) | JP5430274B2 (ko) |
KR (1) | KR101293398B1 (ko) |
CN (2) | CN102474057A (ko) |
WO (1) | WO201101382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82868B2 (ja) * | 2009-11-06 | 2014-01-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基板用同軸コネクタ、一対の連鎖端子、および基板用同軸コネクタを製造する製造方法 |
CN105075018B (zh) | 2013-02-22 | 2018-05-08 |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 端子连结带及其制造方法和压接端子的制造方法 |
CN105075034B (zh) * | 2013-02-22 | 2018-04-24 |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 端子制造装置及焊接装置 |
FR3011691B1 (fr) * | 2013-10-04 | 2017-05-12 | Axon Cable Sa | Procede de fabrication de contact electrique, et contact electrique correspondant |
US10044146B2 (en) * | 2016-04-19 | 2018-08-07 | Facebook, Inc. | Pass-through connector |
US20200067251A1 (en) * | 2018-08-21 | 2020-02-27 | Lear Corporation |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
JP2021034301A (ja) * | 2019-08-28 | 2021-03-01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接続部品、接続部品付き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149542B2 (ja) * | 2020-05-27 | 2022-10-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72880A (en) * | 1959-08-05 | 1963-01-08 | Malco Mfg Co | Snap-in terminal for panel |
US3325775A (en) * | 1965-11-08 | 1967-06-13 | Alfred M Zak | Electrical terminal |
US3473219A (en) * | 1967-07-10 | 1969-10-21 | Artos Engineering Co | Art of producing electrical terminals |
US3849860A (en) * | 1973-03-05 | 1974-11-26 | Gen Staple Co | Apparatus for forming and applying a strain relief splice from a continuous supply strip |
FR2539252A1 (fr) | 1983-01-12 | 1984-07-13 | Telemecanique Electrique | Embout en bande pour conducteur electriqu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e fils conducteurs munis d'un embout ou d'une cosse |
US4776651A (en) | 1985-12-06 | 1988-10-11 | Amp Incorporated | Socket contacts |
FR2619256B1 (fr) | 1987-08-03 | 1989-12-22 | Souriau & Cie | Borne de contact electr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borne |
US5067916A (en) * | 1990-10-12 | 1991-11-26 | Amp Incorporated | Method for making an electrical contact |
JP2522622B2 (ja) | 1992-08-20 | 1996-08-07 | 金剛株式会社 | 薄板状物検数器 |
US5340337A (en) | 1993-06-04 | 1994-08-23 | The Whitaker Corporation | Protective sleeve for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JPH07320843A (ja) * | 1994-05-26 | 1995-12-08 | Yazaki Corp | 端子圧着装置 |
JPH09129346A (ja) * | 1995-10-30 | 1997-05-16 | Sumitomo Wiring Syst Ltd | 端子連続帯 |
JP2939527B2 (ja) * | 1996-08-02 | 1999-08-25 |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 電気コネクタ用長尺絶縁スリーブ帯 |
JPH1092546A (ja) | 1996-09-19 | 1998-04-10 | Yazaki Corp | 連鎖状端子とその圧着方法 |
JP3477059B2 (ja) * | 1997-11-27 | 2003-12-10 | 日鉱金属株式会社 | コネクタ用金属条の巻き取り方法及びエンボステープ |
JP3440828B2 (ja) * | 1998-06-15 | 2003-08-25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の製造方法 |
JP2002343529A (ja) * | 2001-05-21 | 2002-11-29 | Smk Corp | 横連鎖状端子の切断・加締め装置 |
JP3738388B2 (ja) | 2002-04-24 | 2006-01-25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同軸コネクタ |
JP2006260978A (ja) * | 2005-03-17 | 2006-09-28 | Sumitomo Wiring Syst Ltd | 連鎖端子 |
JP2006302790A (ja) | 2005-04-25 | 2006-11-0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同軸ケーブル及び同軸コネクタ |
JP2008159312A (ja) | 2006-12-21 | 2008-07-10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同軸ケーブルと同軸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
JP2009164066A (ja) | 2008-01-10 | 2009-07-23 |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 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JP5200560B2 (ja) | 2008-01-29 | 2013-06-05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 |
JP5586354B2 (ja) * | 2010-07-15 | 2014-09-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金型及び圧着方法 |
-
2009
- 2009-07-31 JP JP2009179091A patent/JP5430274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7-30 CN CN2010800340605A patent/CN102474057A/zh active Pending
- 2010-07-30 US US13/387,896 patent/US2012013564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7-30 KR KR1020127002624A patent/KR1012933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7-30 WO PCT/JP2010/062955 patent/WO201101382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7-30 EP EP13005308.5A patent/EP269888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7-30 CN CN201310674989.XA patent/CN103762480B/zh active Active
- 2010-07-30 EP EP10804573.3A patent/EP246143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3-12 US US14/205,884 patent/US94194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61432A4 (en) | 2013-05-22 |
EP2698884A1 (en) | 2014-02-19 |
EP2461432A1 (en) | 2012-06-06 |
JP5430274B2 (ja) | 2014-02-26 |
WO2011013827A1 (ja) | 2011-02-03 |
CN103762480A (zh) | 2014-04-30 |
JP2011034772A (ja) | 2011-02-17 |
US9419400B2 (en) | 2016-08-16 |
KR101293398B1 (ko) | 2013-08-05 |
US20120135648A1 (en) | 2012-05-31 |
US20140190008A1 (en) | 2014-07-10 |
CN102474057A (zh) | 2012-05-23 |
CN103762480B (zh) | 201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3398B1 (ko) | 연쇄 단자 | |
CN103891063A (zh) | 带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带端子的电线及端子压接装置 | |
US9083132B2 (en) | Network communication connector fabrication method | |
CN101483287A (zh) | 电连接器及其端子料带与制作方法 | |
JP5569302B2 (ja) | ブスバー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CN101488637B (zh) | 连接器的制造方法 | |
JP5711790B2 (ja) | 電線に接続された端子を製造する製造方法 | |
WO2024108980A1 (zh) | 板间连接器、端子结构及其制造方法 | |
CN213256618U (zh) | 一种用于生产接口端子的模具 | |
CN202259913U (zh) | 微型开关同轴连接器 | |
WO2009113687A1 (ja) | 連鎖端子、内導体端子、内導体端子の製造方法及び、同軸ケーブルと内導体端子との圧着接続方法 | |
CN102044772A (zh) | 端子组合及其制造方法 | |
CN101621160B (zh) | 电连接器 | |
US9106041B2 (en) | Electrical power connector fabrication method | |
KR200415711Y1 (ko) | 버스 바의 전기접속부 제조장치 | |
JP3797539B2 (ja) | コネクタ圧接端子の形成方法 | |
JP5350533B2 (ja) | 線と接続要素の固定装置 | |
CN207134586U (zh) | 一种细线压接装置 | |
CN112170643A (zh) | 一种用于生产接口端子的模具 | |
TWI426669B (zh) | 線纜連接器組合及其製造方法、導電端子及其料帶 | |
KR100731293B1 (ko) | 버스 바의 전기접속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
JP2012022931A (ja) | 金型及び圧着方法 | |
CN1848534B (zh) | 电源连接器的导电端子及其制造方法 | |
CN114883831A (zh) | 一种三端子电连接器及其制备方法 | |
CN104078817A (zh) | 一种电子连接器的制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