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19971A -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971A
KR20120019971A KR1020100083626A KR20100083626A KR20120019971A KR 20120019971 A KR20120019971 A KR 20120019971A KR 1020100083626 A KR1020100083626 A KR 1020100083626A KR 20100083626 A KR20100083626 A KR 20100083626A KR 20120019971 A KR20120019971 A KR 20120019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martphone
tablet computer
bal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대성
Original Assignee
노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대성 filed Critical 노대성
Priority to KR102010008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971A/ko
Publication of KR2012001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따라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이하, '스마트폰'이라 약칭한다)를 손으로 감아쥐지않고 손가락과 손바닥 또는 차량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회전시키거나 고정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해 주는 거치대에 관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의 밀착면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는 관통공을 축으로 역삼각 형태나 반원형 형태의 걸림홈이 다수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결합하기 위한 합체결합부; 원형의 밀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체에 조립된 상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걸림홈과 대접되는 형태의 걸림단이 밀착면에 다수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밀착면 저부에 결합되는 지지체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부착면의 하부가 평면구간이 되도록 체결대가 구비되는 체결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감아쥐지 않은 상태로 통화 또는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전파수신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A cradle for smart phone or tablet PC}
본 발명은 기기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 따라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이하, '스마트폰'이라 약칭한다)를 손으로 감아쥐지않고 손가락과 손바닥 또는 차량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회전시키거나 고정하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해 주는 거치대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휴대폰 및 테블릿 컴퓨터 등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스마트폰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의 방향도 가로 또는 세로로 변경되거나 가벼운 터치만으로도 화면이 변환되어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마트폰은 손으로 직접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회전을 시키는 경우 스마트폰을 바닥에 떨어뜨릴 염려가 있으며, 손으로 파지할 경우 전파수진 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통화가 끊기거나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통화 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하게 되면, 잡는 방법에 따라 전파 수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자체발열에 의해 파지한 손에 저온화상을 입기도 하는 심각한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운전 중 스마트폰의 편리한 기능인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경우 차량에 마땅한 거치장치가 없어 한손으로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불편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과 위치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터치하거나 조작하는 것은 더욱 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감아쥐지 않은 상태로 통화 또는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전파수신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이나 손바닥 위에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로 또는 세로로 쉽게 회전시켜 안전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후면부에 손가락이나 손바닥 일부분만 접촉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기기의 자체발열에 의한 저온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도록 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거치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각도로 쉽게 회전시키거나 고정하여 시청할 있도록 하는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 위나 내부 윈도우 등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장착하여, 거치구의 방향을 다양한 형태로 절곡하거나 회전시켜 조정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거나 차량 등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하여 거치되어진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가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형의 밀착면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는 관통공을 축으로 역삼각 형태나 반원형 형태의 걸림홈이 다수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결합하기 위한 합체결합부; 원형의 밀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체에 조립된 상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걸림홈과 대접되는 형태의 걸림단이 밀착면에 다수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밀착면 저부에 결합되는 지지체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부착면의 하부가 평면구간이 되도록 체결대가 구비되는 체결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은 전면부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착면의 반대측에는 둥근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단안내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파지부에 체결되는 헤드부; 일측 끝단이 상기 헤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대; 일측 끝단이 상기 연결대의 타측 끝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회전볼이 형성되는 방향회전대; 및, 상기 방향회전대의 회전볼이 삽입되어 회전볼의 상단부가 회전볼제어턱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되며, 방향회전대가 회전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와 방향회전대에는 탄지볼베어링이 각각 탄지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탄지볼베어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홈이 양측 힌지를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며 각각 반원홈이 양측 힌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각각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감아쥐지 않은 상태로 통화 또는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전파수신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이나 손바닥 위에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쉽게 회전시켜 안전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후면부에 손가락이나 손바닥 일부분만 접촉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기기의 자체발열에 의한 저온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거치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가로 또는 세로로 쉽게 회전시키거나 고정하여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 위나 내부 윈도우 등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장착하여, 거치구의 방향을 다양한 형태로 절곡하거나 회전시켜 조정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거나 차량 등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하여 거치되어진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가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일부 절결 사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태의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손가락에 결합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적용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적용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절곡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자동차 유리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일부 절결 사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100)는 스마트폰(S)에 결합되는 회전체(110)와, 스마트폰(S)의 배면에 회전체(110)를 결합하는 합체결합부(120) 및 회전체(110)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지지체(130), 그리고, 체결파지부(140)로 구분된다.
회전체(110)는 저면에 원형의 밀착면(11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되며, 원형의 밀착면(111)에는 소정의 각도로 걸림홈(113)이 다수 형성된다. 걸림홈(113)은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부가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역삼각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걸림홈(113)은 반원형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도 일 예로 가능하다.
합체결합부(120)는 회전체(110)를 스마트폰(S)의 배면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S)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양태(樣態), 용접 또는 초음파융착 등 예를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마트폰(S)의 제작 시 배면 케이스(S-10)에 인출공(S-20)홈을 형성하고, 케이스(S-10)의 내측에는 인출공(S-20)과 접하는 형태의 고정홈(S-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회전체(110)의 측면에는 케이스(S-10)의 고정홈(S-30)에 걸리는 형태의 합체고정턱(115)을 형성한다.
지지체(130)는 회전체(110)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밀착면(131)이 형성되며, 밀착면(131)의 중앙부에는 회전체(110)와 결합되는 회전부(13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부(132)는 회전체(110)의 관통공(112)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지지체(130)가 회전체(110)와 조립된 상태가 되고, 이는 지지체(130)가 회전체(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대응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지지체(130)의 밀착면(131)에는 회전체(110)의 걸림홈(113)과 대접되는 삼각 형태의 걸림단(133)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걸림단(133)은 반원형 형태의 볼록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파지부(140)는 지지체(130)와 결합되는 지지체부착면(141)이 형성되고, 지지체부착면(141)의 저면에는 지지체부착면(141)과 평면을 이루도록 평면구간(143)이 형성되는 체결대(142)가 구비된다.
체결대(142)는 도면에서와 같이 벨크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되, 손가락 또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피거치대와 쉽게 체결 가능하도록 링형의 고리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대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적용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적용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헤드부(210)는 체결파지부(14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단부의 전면은 평면으로 되는 전면부착면(215)이 형성되고, 전면부착면(215)의 반대측은 둥근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단안내부(216)가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210)의 하단에는 걸림턱(217)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파지부(140)의 평면구간(143)이 헤드부(210)의 전면부착면(215)과 밀착 결합되고, 체결부(142)는 상단안내부(216)에 삽입 체결되며, 체결된 체결부(142)는 헤드부(210) 하단의 걸림턱(217)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체결이 된다.
연결대(220)는 상측단이 헤드부(210)에 힌지(221) 결합되며, 하측단은 후술되는 방향회전대(230)와 힌지(222) 결합된다.
방향회전대(230)는 스틱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단이 연결대(220)와 힌지(222) 결합되며, 하측단에는 회전볼(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대(220)와 힌지(221) 결합되는 헤드부(210)의 일측에 탄지볼베어링(211)이 탄지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연결대(220)와 힌지(222) 결합되는 방향회전대(230)의 일측에도 탄지볼베어링(223)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 결합된다.
연결대(220)의 양측에는 탄지볼베어링(211)(223)이 각각의 힌지(221)(222)를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탄지볼베어링(211)(223)과 대응하는 위치에 반원홈(224)이 소정의 간격마다 원형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240)는 중앙부에 삽입공(241)이 형성되고, 삽입공(241)의 상부에는 회전볼제어턱(242)이 형성되고 삽입공(241)의 내부에는 방향회전대(230)의 회전볼(231)이 삽입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볼제어스프링(243)이 삽입되며, 삽입공(241)의 하부 끝단은 차단구(244)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예를 설명한다.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거치대(100)는 회전체(110)와 지지체(130)가 회전부(132)에 의해 조립된 상태로 구비되고, 이는 합체결합부(120)에 의해 스마트폰(S)의 배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파지부(140)의 체결대(142)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운 후 알맞은 길이로 벨크로를 조정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폰(S)을 직접적으로 파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S)이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체결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손으로 감싸 쥠으로써 통화중 전파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없게 되며,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스마트폰(S)을 사용하여도 떨어뜨릴 염려가 없고, 손바닥으로 감아쥐쥐 않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에 의한 저온화상을 입을 염려도 줄어든다.
또한, 체결파지부(140)가 손가락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손바닥을 편 상태로 다른 측의 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S)을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로 360° 회전시키더라도, 스마트폰(S) 저면에 결합된 회전체(110)의 밀착면(111)이 손가락에 고정된 상태의 지지체(130)의 밀착면(131)과 접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110)의 회전으로 인해 지지체(130)의 걸림단(133)이 회전체 밀착면(111)과 접지되면서 자체 탄성으로 인해 상승되어 회전체(110)의 걸림홈(113)에서 억지로 빠져 나와 회전이 자유로워지며, 사용자가 스마트폰(S)을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에서 회전을 멈추면 지지체(130)의 걸림단(133)이 다시 다음 걸림홈(113)에 삽입되고 회전체(110)의 회전이 고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S)을 사용하기 알맞은 각도에서 고정하여 안정되게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손으로 감싸쥐지 않고도 손바닥을 편채로 스마트폰(S)을 간편하게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의 스마트폰(S)이 다시 회전할 염려가 없이 안정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절곡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자동차 유리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거치대(100)가 스마트폰(S)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파지부(140)의 체결대(142)를 헤드부(210)에 삽입하되, 체결파지부(140)의 배면에 형성된 평면구간(143)이 헤드부(210)의 전면부착면(215)에 대향지게 밀착되도록 하여 견고히 체결하므로써 가벼운 터치에는 스마트폰(S)이 좌우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헤드부(210)의 걸림턱(217)으로 인해 체결파지부(140)의 체결대(142)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함으로써, 스마트폰(S)이 헤드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마트폰(S)이 하강되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240)가 차량의 내부 대쉬보드나 유리(W) 등 편리한 위치에 장착하여 스마트폰(S)을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게 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S)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거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방향회전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방향회전대(230)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상하좌우로 각도 조정을 하게 되면, 차단구(244)에 의해 스프링(243)이 방향회전대(230)의 회전볼(231)을 강하게 압지하게 되어 방향회전대(230)가 회전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보다 디테일한 각도 조정 및 방향 조정을 위해 방향회전대(230)와 결합된 연결대(220), 연결대(220)와 결합된 헤드부(210)를 각각 소정의 각도씩 전측 또는 후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정한다.
스마트폰(S)이 결합된 상태의 헤드부(210)를 힌지(221)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헤드부(210)에 구비된 탄지볼베어링(211)이 연결대(220)에 형성된 반원홈(224)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탄지볼베어링(211)이 반원홈(224)으로부터 억지 빠짐이 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다음 반원홈(224)까지 회전한 후 탄지볼베어링(211)이 반원홈(224) 속으로 강한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어 회전을 일시 정지시킨다.
따라서, 소정의 각도까지 회전이 되도록 헤드부(210)를 회전시킨 후 정지시키면, 반원홈(224)에 삽입된 탄지볼베어링(211)에 의해 헤드부(210)가 회전된 상태로 정지하여 고정된다.
또한, 연결대(220)도 마찬가지로 방향회전대(230)와 결합된 힌지(222)를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마찬가지로 탄지볼베어링(223)이 반원홈(224)에서 억지 빠짐된 후 다시 다음 반원홈(224) 속으로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면서연결대(220)의 회전을 정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스마트폰(S)의 방향과 위치의 조정이 마무리된 후 스마트폰(S)을 가로 또는 세로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마트폰(S)을 돌리면, 거치대(100)를 손가락에 체결한 상태에서 스마트폰(S)을 회전시킬때와 마찬가지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마트폰(S)을 차량 등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의 방향을 원하는 각도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거치대 110 : 회전체
111,131 : 밀착면 112 : 관통공
113 : 걸림홈 120: 합체결합부
130 : 지지체 132 : 회전부
133 : 걸림단 140 : 체결파지부
141 : 지지체부착면 142 : 체결대
210 : 헤드부 211,223 : 탄지볼베어링
220 : 연결대 221,222 : 힌지
230 : 방향회전대 231 : 회전볼
240 : 고정부 241 : 삽입공
242 : 회전볼제어턱 243 : 스프링
244 : 차단구

Claims (4)

  1. 원형의 밀착면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에는 관통공을 축으로 역삼각 형태나 반원형 형태의 걸림홈이 다수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결합하기 위한 합체결합부;
    원형의 밀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체에 조립된 상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걸림홈과 대접되는 형태의 걸림단이 밀착면에 다수 형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밀착면 저부에 결합되는 지지체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부착면의 하부가 평면구간이 되도록 체결대가 구비되는 체결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전면은 전면부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접지부의 반대측에는 둥근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단안내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파지부에 체결되는 헤드부;
    일측 끝단이 상기 헤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대;
    일측 끝단이 상기 연결대의 타측 끝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회전볼이 형성되는 방향회전대; 및,
    상기 방향회전대의 회전볼이 삽입되어 회전볼의 상단부가 회전볼제어턱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되며, 방향회전대가 회전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3. 전면은 전면부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접지부의 반대측에는 둥근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단안내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파지부에 체결되는 헤드부;
    일측 끝단이 상기 헤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대;
    일측 끝단이 상기 연결대의 타측 끝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회전볼이 형성되는 방향회전대; 및,
    상기 방향회전대의 회전볼이 삽입되어 회전볼의 상단부가 회전볼제어턱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되며, 방향회전대가 회전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방향회전대에는 탄지볼베어링이 각각 탄지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탄지볼베어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홈이 양측 힌지를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며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KR1020100083626A 2010-08-27 2010-08-27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KR20120019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626A KR20120019971A (ko) 2010-08-27 2010-08-27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626A KR20120019971A (ko) 2010-08-27 2010-08-27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71A true KR20120019971A (ko) 2012-03-07

Family

ID=4612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626A KR20120019971A (ko) 2010-08-27 2010-08-27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9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69A (ko) 2014-06-05 2015-12-15 박남태 차량용 오디오 및 공조제어를 위한 태블릿pc 매립장치
KR101662974B1 (ko) * 2016-02-02 2016-10-06 주식회사 오픈잇 자전거용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
JP2020088835A (ja) * 2018-11-16 2020-06-04 コーナースト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端末機用スタンド
KR20210063145A (ko) * 2019-11-22 2021-06-01 이현서 회전 및 손가락 끼움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WO2022119373A1 (ko)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프로펠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KR102553334B1 (ko) * 2022-02-03 2023-07-07 주식회사 효진 스마트기기 거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069A (ko) 2014-06-05 2015-12-15 박남태 차량용 오디오 및 공조제어를 위한 태블릿pc 매립장치
KR101662974B1 (ko) * 2016-02-02 2016-10-06 주식회사 오픈잇 자전거용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
JP2020088835A (ja) * 2018-11-16 2020-06-04 コーナースト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端末機用スタンド
KR20210063145A (ko) * 2019-11-22 2021-06-01 이현서 회전 및 손가락 끼움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WO2022119373A1 (ko)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프로펠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US12095938B2 (en) 2020-12-04 2024-09-17 Propell Inc. Apparatus for holding a smart phone
KR102553334B1 (ko) * 2022-02-03 2023-07-07 주식회사 효진 스마트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20120019971A (ko)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US9360154B2 (en) Systems and apparatuses to support an electronic device
US10865934B2 (en) Mobile device mount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US9416814B2 (en)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US20150115112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US20110031287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20130146625A1 (en)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US20170000250A1 (en) Combination strap and stand support for tablets and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WO2016138720A1 (zh) 一种多功能支架组件及显示设备套件
KR20140007050A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US20170112240A1 (en)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WO2020073759A1 (zh) 一种可自由转动伸缩的智能臂
US20230389684A1 (en)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case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98050A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210138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 securing apparatus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CN209881850U (zh) 一种可自由转动伸缩的智能臂
US9706027B1 (en) System and apparatus attaching to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hands-free use thereof and carrying personal items thereon
CN207674040U (zh) 一种车载支架
KR10141063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