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8840U -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840U
KR20120008840U KR2020110005374U KR20110005374U KR20120008840U KR 20120008840 U KR20120008840 U KR 20120008840U KR 2020110005374 U KR2020110005374 U KR 2020110005374U KR 20110005374 U KR20110005374 U KR 20110005374U KR 20120008840 U KR20120008840 U KR 20120008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ttery
connector
auxiliary batter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3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승용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to KR2020110005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840U/en
Publication of KR20120008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4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에 보조배터리를 추가로 장착해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을 늘리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가 개시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는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에 휴대단말기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턱이 형성되는 베이스 커버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단자와 도킹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배터리를 탈착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커버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일측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커넥터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형성되어 있어, 보조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전력을 커넥팅 결합을 통해 메인배터리에 인가할 수 있게 되어 메인배터리의 전력을 소진 했을 때 보조배터리에 있는 전력으로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추가적인 충전 행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second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additionally installs an auxiliary battery in the portable terminal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has a base cover portion formed with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on one sid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at least one engaging ja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and a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nector uni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to be docked and coupled to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and the battery housing and one side formed in the base cover portion so as to receive the portab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detachably Is form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art to supply a power of the battery to the connector part. The power supply of the auxiliary battery is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through a connecting coupling. Power supply to the main battery when the main battery is depleted. You can charge the main battery as the power is available without additional charging behavior.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보조배터리를 장착해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을 늘리는 보조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case for mounting the auxiliary battery in the portable terminal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용단말기는 외부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이를 휴대하기 위해선 전기를 공급해주는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for external use, and in order to carry them,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is essential.

근래에는 휴대용단말기 하나로 전화뿐만이 아니라 회사업무, 은행업무, 게임, 영화감상, 음악 감상, 인터넷 등이 가능해 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용시간이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현재 배터리로는 이러한 사용시간을 커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급한 연락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연락을 취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소에서 일정시간을 충전한 뒤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간을 고려해서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닐 수 있지만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recent years, as a portable terminal enables not only a phone, but also a company, banking, games, movies, music, Internet, etc., the overall usage time is increasing. However, the current battery can not cover this usage time. For this reason, there is a situation that can not be contacted in a situation where you need to contact urgently, there is a disadvantage to use after charging a certain time in a place to charge the battery to solve this.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 time can carry a secondary batter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lost.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ase for a mobile terminal which can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mobile terminal.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는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에 휴대단말기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턱이 형성되는 베이스 커버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단자와 도킹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부와,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배터리를 탈착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커버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일측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커넥터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on one sid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 base cove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locking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And a connector part provided at a bottom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to be docked and coupled to a terminal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ormed at the base cover part to removably receive the portab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one side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si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art to include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power of the battery to the connector part.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된 상기 보조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도록 더 체결될 수 있다.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the cover may be further faste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prevent the stored auxiliary battery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베이스 커버부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양측 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측면에는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홈과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slid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the connector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and fitted with the sliding groove. A sli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to be coupled to slide up and down.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에 따르면, 보조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전력을 커넥팅 결합을 통해 메인배터리에 인가할 수 있어, 메인배터리의 전력을 소진 했을 때 보조배터리에 있는 전력으로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추가적인 충전 행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applied to the main battery through a connecting coupling, so that the main battery can be charged with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when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It can be used without additional charging.

또한, 커넥터부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홈과 슬라이딩돌기를 구비해 휴대단말기를 베이스 커버부에 결합할 때 커넥터부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liding groove and a slid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connector to slide up and down,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caused by the connector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base cov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부의 내부에 배터리와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부의 외부에 배터리와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커넥터부를 확대한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커넥터부를 확대한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op.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attery case and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and a cover are coupled to an inside of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and a cover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부에 배터리와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1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부의 외부에 배터리와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op,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and portab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G. 4 is a battery and a cover coupled to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and the cover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1000)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30)가 내부에 수납되며, 휴대단말기(1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도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전원을 인가한다.1, 2, 3, 4, and 5, the auxiliary battery case 10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30 to which power can be applied. It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o a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

상기 보조배터리(30)는 일측에 보조배터리접촉단자(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으로 배터리 내부에 전원을 충전하며 또한,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secondary battery 30 has a secondary battery contact terminal 32 is formed on one side, this portion charges the power inside the battery, and also supplies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 되는 상기 걸림홈(12)과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단자(1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14)는 MICRO USB 5PIN SOKET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는 메인배터리(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메인배터리 수납홈(16)과 카메라(18)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일측면에는 메인배터리 접촉단자(22)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배터리 수납홈에는 접촉부재(16a)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 is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ransmits a power or electric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14 is formed. For example, the terminal 14 may be made of MICRO USB 5PIN SOKET. The main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16 and the camera 18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so that the main battery 20 can be fit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a main battery contact terminal 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attery 20, and a contact member 16a may be formed in the main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1000)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부(100),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부(200),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300), 상기 커넥터부(200)와 상기 배터리 수납부(300)의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ase 1000 for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base cover part 100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connector part 200 formed under the base cover part 100, and the base cover part 100. It may include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300 formed on one surface, the power supply part 400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nector 200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300.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수용하는 휴대단말기수용홈(110),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20), 상기 카메라(18)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간섭방지홀(130)을 포함한다.The base cover part 1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110 to accommodate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110 and at least on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locking jaw 120 and the camera interference prevention hole 13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camera 18 is provided.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은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은 출고당시 포함된 배면커버(미도시)를 제거한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을 수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은 상기 배면커버(미도시)가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수용하는 부분과 같은 부분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을 포함하는 베이스 커버부(100)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유격이 거의 없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탄성을 가진다.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cover part 100.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accommodates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with the rear cover (not shown) included at the time of shipment.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may receive a portion such as a portion in which the rear cover (not shown) accommodates the portabl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base cover part 100 includ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has elasticity because i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 little play.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형성된 걸림홈(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홀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평면에서 보여지는 부분이 반달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여러번 탈착이 이뤄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jaw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110. The locking jaw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groove 12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catching jaw may have a half moon shape in a portion viewed in a plane to be easily coupled to the catching hole. Also. Since the desorption is performed several times,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a durable material.

상기 카메라 간섭방지홀(130)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구비되는 카메라(18)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간섭방지홀(130)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 부분과 플래시 부분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interference prevention hole 1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18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camera interference prevention hole 130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lens portion and the flash portion of the camera.

상기 커넥터부(200)는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와 커넥팅되는 커넥터단자(210)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part 200 is formed under the base cover part 100 and includes a connector terminal 210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상기 커넥터 단자(210)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저면에 구비된 단자(14)와 암ㅇ 수 도킹결합 한다. 상기 커넥터단자(210)는 상기 단자(14)에 전원 또는 전기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단자(210)는 MICRO USB 5PIN SOKET으로 이뤄질 수 있다.The connector terminal 210 is female-dock coupled to the terminal 14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connector terminal 210 may transmit power or an electrical signal to the terminal 14. For example, the connector terminal 210 may be made of MICRO USB 5PIN SOKET.

상기 배터리 수납부(300)는 상기 보조배터리(30)를 탈착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커버부(110)에 형성되는 보조배터리 수납홈(310),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분리홈(320),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의 내부에 장착된 보조배터리(30)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30)를 포함한다.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300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0 formed in the base cover part 110 so as to detachably store the auxiliary battery 30, and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0. The separation groove 320 formed in the secondary battery 30 includes a cover 330 which prevents the secondary battery 30 moun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receiving groove 3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은 상기 휴대단말기 수용홈(110)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은 상기 보조배터리(30)가 끼워져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의 측면에는 상기 보조배터리가 끼워져 결합할 때 너무 헐거워져 쉽게 빠지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재질이 코팅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3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110. Preferably,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0 has a form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30 is fitted and coupled thereto.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ubber having elasticity may be coated or adhered to a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is too loose to be easily detached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inserted and coupled.

상기 분리홈(320)은 상기 배터리 수납홈(3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320)은 장착된 보조배터리(30)를 빼낼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홈(320)은 반원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손톱 등의 딱딱한 부분을 홈 사이로 집어넣어 빼낼 수 있다. The separation groove 3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on groove 310. The separation groove 320 may be used to take out the auxiliary battery 30 mounted. For example, the separation groove 320 is composed of a semi-circular groove and can be pulled out by inserting a hard part such as a nail between the grooves.

상기 커버(330)는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330)는 상기 보조배터리(30)가 장착된 후 그 위에 결합되어 보조배터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330)는 일측에 고정수단을 구비해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과 결합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330)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0)의 일측에 홈과 돌기를 구비해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레일과 홈을 구비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30)의 일단에는 상기 분리홈(320)과 같이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홈이 형성 될 수 있다.The cover 330 is formed on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0. The cover 330 is coupled to the secondary battery 30 after it is mounted so that the secondary battery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330 may be fixed to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310 by having a fixing means on one side thereof.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330 may be fitted with a groove and a protrusion at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30. Or, it may be slidingly coupled with a predetermined rail and groove. In addition, a groov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ver 330 to facilitate separation, such as the separation groove 32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은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의 외면에 형성 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제거 하지 않고도 보조배터리(30)를 탈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이 외부에 형성될 때는 상기 커버(330)가 필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0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cover part 110. As a result, the auxiliary battery 30 may be detached without removing the base cover part 1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310 is formed outside, the cover 330 may be essentially provided.

상기 전원공급부(400)는 상기 보조배터리(30)와 접촉하는. 단자접촉부재(410), 일측은 상기 단자첩촉부재(4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단자(210)와 연결되는 송전부재(420), 상기 송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400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battery 30. Terminal contact member 41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act member 410 and the other side is a power transmission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210, the control unit 4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do.

상기 단자접촉부재(410)는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홈(3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단자 접촉부재(410)는 상기 보조배터리(30)에 구비된 보조배터리접촉단자(32)와 접촉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접촉부재(410)의 재질은 구리와 같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rminal contact member 4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groove 310. The terminal contact member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contact terminal 32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30. The material of the terminal contact member 410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or such as copper.

상기 송전부재(420)는 상기 단자접촉부재(410)와 상기 커넥터부(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접촉부재(410)와 상기 커넥터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송전부재(420)는 도체로 이루어지며, 전기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절연물질로 외부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전부재(420)는 전선과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유연하고 얇은 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420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contact member 410 and the connector 20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terminal contact member 410 and the connector 200.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420 is made of a condu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side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4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uch as an electric wire, may be made of a flexible and thin plate shape.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송전부재(42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송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보조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메인베터리(2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메인배터리(20)에 남아있는 전력량을 감지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이 필요한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430) 상기 보조배터리의 남아있는 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보조배터리(30)의 전력이 메인배터리(20)로 이송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부재(미도시)가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30 is formed adjacent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4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The control unit 430 allows the power stored in the auxiliary battery to be applied to the main battery 20. The controller 430 may detect the amount of power remaining in the main battery 20 to determine whether the auxiliary battery needs power. The control unit 430 may be a display member (not shown) that can display the amount of power remaining in the secondary battery. The control unit 4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cover 110, a switch member (not shown) tha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0 does not transfer to the main battery 20.

위에 서술한 내용을 토대로 상기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10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충전이 완료된 보조배터리(30)를 상기 보조배터리수납홈(310)에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커버(330)로 상기 보조배터리(3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려준다. 그다음,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된 기존 커버(미도시)를 제거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에 형성된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에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인접시킨다. 서로 인접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형성된 단자(14)와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커넥터단자(210)를 서로 커넥팅 결합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의 상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14)와 상기 커넥터 단자(210)가 끼워지는 순간은 힘에 의해 변형되며 뒤로 물러난다. 이렇게 상기 단자(14)와 커넥터단자(210)가 결합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일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에 수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형성된 걸림홈(12)과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압하여 장착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1000 for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insert the auxiliary battery 30, the charging is completed in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groove 310 and then the cover 330 to the Auxiliary battery 30 is hidden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Next, the existing cover (not show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removed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djacent to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110 formed in the base cover 110. The terminal 14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connector terminal 210 positioned below the base cover part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cover part 1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moment when the terminal 14 and the connector terminal 210 are fitted is deformed by force and backs off. When the terminal 14 and the connector terminal 210 are coupled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naturally accommod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and mounts the locking groove 12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locking jaw 120 formed at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11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thumb and an index fing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배터리(30)를 수납하는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커넥터부(200) 상기 커넥터부(200)에 상기 보조배터리(30)가 가지고 있는 전력을 이송하는 상기 전원공급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30)가 가지고 있는 전력을 커넥팅 결합을 통해 상기 메인배터리(20)에 인가할 수 있어,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전력을 소진 했을 때 상기 보조배터리(30)에 있는 전력으로 메인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어 추가적인 충전 행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base cover part 100 accommodating the auxiliary battery 30 and the connector part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re attached to the connector part 200. As the power supply unit 300 which transfers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0 is provided,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0 may be applied to the main battery 20 through a connecting coupling. When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20 is exhausted, the main battery 20 can be charged with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0, so that the main battery 20 can be used without additional charging.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커넥터부를 확대한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커넥터부를 확대한 사시도 이다.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커넥터수용홈(140)과 슬라이딩홈(142) 슬라이딩돌기(220) 간의 결합관계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or accommodating groove 140 and the sliding groove 142, the sliding protrusion 220,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Since the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1000)는 서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200)가 수납되는 커넥터수용홈(140)과 상기 커넥터수용홈(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슬라이딩홈(142)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220)를 포함한다.6 and 7, the auxiliary battery case 1000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under the base cover part 100 so as to slide together so that the connector part 200 is accommodated. It includes a connector receiving groove 140 and a sliding groove 1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140 and a sliding protrusion 220 coupled to the sliding groove 142.

상기 커넥터수용홈(140)은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의 하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수용홈은 상기 커넥터부(200)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14)와 커넥팅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수용홈(140)은 상기 커넥터부(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부(20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cover part 100. For example,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portion 200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140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onnector part 200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part 200.

상기 슬라이딩홈(142)은 상기 커넥터수용홈(140)의 양측 면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142)은 상기 커넥터부(200)가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홈이 형성된다.The sliding groove 14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140. The sliding groove 142 has a groov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the connector portion 200 can be moved up and down.

상기 슬라이딩돌기(220)는 상기 슬라이딩홈(142)과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터부(200)의 양측 면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돌기(220)는 상기 슬라이딩홈(142)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송한다. 또한, 상하로 이송할 수 있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protrusions 22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or part 200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grooves 142. The sliding protrusion 220 is moved up and down based on the sliding groove 142. In addition, the sli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to adjust the amount that can be transported up and down.

위에 서술한 내용을 토대로 상기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슬라이딩돌기(22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충전이 완료된 보조배터리(30)를 상기 보조배터리수납홈(310)에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커버(330)로 상기 보조배터리(3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려준다. 그 다음,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결합된 기존 커버(미도시)를 제거하고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에 형성된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에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인접시킨다. 이때, 상기 커넥터부(200)는 하부로 슬라이딩된 상태다. 그 다음,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커넥터부(200)는 하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이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의해 간섭 받지 않는다. 서로 밀착시킨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림홈(12)과 상기 걸림턱(120)을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형성된 걸림홈(12)과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1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압한다. 결합이 완료된 다음 하부로 슬라이딩 시켜놨던 커넥터부(200)를 상부로 슬라이딩 시키며 상기 커넥터부(200)에 형성된 커넥터단자(2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형성된 단자(14)를 서로 커넥팅결합 시킨다.Looking at the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ing groove 142 and the sliding protrusion 220 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auxiliary battery 30, the charging is completed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groove 310 and then the cover 330 ) To hide the auxiliary battery 3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Next, the existing cover (not show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removed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djacent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formed in the base cover 110. . At this time, the connector portion 200 is in a state of sliding downward. Next, the portable terminal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ng groove 110.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or 200 is slid downward, the connector 200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mobile terminal 10. The hooking groove 12 and the hooking jaw 120 respectively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11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by using a thumb and index finger. The locking groove 12 and the locking jaw 120 formed at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110 are pressuriz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fter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connector unit 200 which is slid to the lower side is slid upward, and the connector terminal 210 formed on the connector unit 200 and the terminal 14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20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홈(142)과 슬라이딩돌기(22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를 상기 베이스 커버부(100)에 결합할 때 상기 커넥터부(200)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connector 200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142 and a sliding protrusion 220 so as to slide up and down,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base cover par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connector unit 200.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부(200)는 상기 커넥터수용홈(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홈(144)과 상기 커넥터부(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돌기(230)의 결합으로 상기 베이스 커버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or unit 200 is a combination of the rotation grooves 144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or accommodation groove 140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23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or unit 200. It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cover 110.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10 : 휴대단말기 12 : 걸림홈
14 : 단자 100 : 베이스 커버부
110 : 휴대단말기수용홈 120 : 걸림턱
130 : 카메라 간섭방지홀 200 : 커넥터부
210 : 커넥터단자 300 : 배터리수납부
310 : 보조배터리수납홈 320 : 분리홈
400 : 전원공급부 410 : 단자접촉부재
420 : 송전부재 430 : 제어부
330 : 커버 140 : 커넥터수용홈
142 : 슬라이딩홈 220 : 슬라이딩돌기
1000: auxiliary battery case for mobile terminal
10: portable terminal 12: hanging groove
14 Terminal 100 Base Cover Part
110: mobile terminal receiving groove 120: jam jaw
130: camera interference prevention hole 200: connector
210: connector terminal 300: battery storage
310: auxiliary battery storage groove 320: separation groove
400: power supply 410: terminal contact member
420: power transmission member 430: control unit
330: cover 140: connector receiving groove
142: sliding groove 220: sliding projection

Claims (6)

휴대단말기 보조배터리 겸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에 휴대단말기수용홈가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베이스 커버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단자와 도킹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부;
상기 휴대단말기 보조배터리를 탈착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커버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 및
일측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커넥터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In the portab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combined case,
The case includes a base cover portion having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t least one locking ste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A connector par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ion groove to be docked with a terminal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base cover part to removably accommodate the portab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And
One side is form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and a second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conn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compartment,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compartment,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cover.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는 수납된 상기 보조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도록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battery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further fastened so that the cover so that the stored secondary battery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부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 휴대단말기수용홈의 양측 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cover portion is a secondary battery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slid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portable terminal receiving groove is forme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측면에는 상기 커넥터 수용홈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홈과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uxiliary battery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roject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is located in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in the connector receiving groove is coupled to the sliding groove to slide up and down.
KR2020110005374U 2011-06-16 2011-06-16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2000884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74U KR20120008840U (en) 2011-06-16 2011-06-16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74U KR20120008840U (en) 2011-06-16 2011-06-16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40U true KR20120008840U (en) 2012-12-27

Family

ID=5368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374U KR20120008840U (en) 2011-06-16 2011-06-16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840U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38B1 (en) * 2013-12-24 2014-07-24 맹용주 mobil device protective cover
WO2014171655A1 (en) * 2013-04-16 2014-10-23 Ha Mi Hee Apparatus for charging
KR101459615B1 (en) * 2013-07-11 2014-11-07 주식회사 태산씨앤비 Connecting apparatus of supplementary battery for cellular phone
KR200476233Y1 (en) * 2013-05-06 2015-02-09 박상률 Mobile phone case
KR20160062915A (en) 2014-11-26 2016-06-03 이홍주 Common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EP3072412A1 (en) * 2015-03-25 2016-09-28 Tech 21 Licensing Limited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80062591A (en) * 2016-12-01 2018-06-11 신승민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does not power off during the phone battery is replace
KR20180002324U (en)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Multi-Functional Wireless Input Device Comprising Portable Secondary Battery
KR20190120594A (en) 2018-04-16 2019-10-24 (주)게이트코리아 Portable terminal case with integrated auxiliary batttery and detachable charging connecto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655A1 (en) * 2013-04-16 2014-10-23 Ha Mi Hee Apparatus for charging
KR101528552B1 (en) * 2013-04-16 2015-06-12 하미희 Rechargeable device
KR200476233Y1 (en) * 2013-05-06 2015-02-09 박상률 Mobile phone case
KR101459615B1 (en) * 2013-07-11 2014-11-07 주식회사 태산씨앤비 Connecting apparatus of supplementary battery for cellular phone
KR101423438B1 (en) * 2013-12-24 2014-07-24 맹용주 mobil device protective cover
WO2015099397A1 (en) * 2013-12-24 2015-07-02 맹용주 Mobile terminal protection cover
KR20160062915A (en) 2014-11-26 2016-06-03 이홍주 Common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EP3072412A1 (en) * 2015-03-25 2016-09-28 Tech 21 Licensing Limited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GB2536881A (en) * 2015-03-25 2016-10-05 Tech 21 Licensing Ltd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80062591A (en) * 2016-12-01 2018-06-11 신승민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does not power off during the phone battery is replace
KR20180002324U (en)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Multi-Functional Wireless Input Device Comprising Portable Secondary Battery
KR20190120594A (en) 2018-04-16 2019-10-24 (주)게이트코리아 Portable terminal case with integrated auxiliary batttery and detachable charging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8840U (en)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80105038A (en) Charger pluggable into a wall socket for small electrical appliances
JP3164959U (en) Charge / discharge device with USB plug that can be stored
EP2984949A1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and support structure thereof
US20140035511A1 (en)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20130002049A1 (en) Battery boost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54606B1 (en) Multifunctional mobile device case
KR20130079314A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KR101417806B1 (en) Battery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s and electronic appliances having the same
US20120196658A1 (en)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Exchangeable Battery Cell
KR200467455Y1 (en)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US20130114231A1 (en) Combined type storage case for electronic device accessories
EP1729487A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JP3127310U (en) Multi outlet electrical equipment
US9800067B2 (en) Rail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multiple batteries
US9112368B1 (en) Charger with strap for securing cord
KR20090021047A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JP3178882U (en) Charger
CN205430349U (en) Smart mobile phone auxiliary battery
CN110832728A (en)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ging method and handheld cloud platform assembly
KR20130130921A (en) Portable charging battery with holder
JP3109383U (en)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with computer port
CN209170456U (en) Charge handle of taking pictures
CN205864010U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harging device
JP2012055122A (en) Battery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