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2247A -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247A
KR20110122247A KR1020100041630A KR20100041630A KR20110122247A KR 20110122247 A KR20110122247 A KR 20110122247A KR 1020100041630 A KR1020100041630 A KR 1020100041630A KR 20100041630 A KR20100041630 A KR 20100041630A KR 20110122247 A KR20110122247 A KR 2011012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asket
main
rail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용
Original Assignee
박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용 filed Critical 박선용
Priority to KR102010004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247A/ko
Publication of KR2011012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와이어 로프를 통해 메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타워 리프트는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 바스켓,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고 메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을 갖는 메인 롤러부, 및 메인 롤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리프트 바스켓과 연결된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갖는 사이드 롤러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메인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각각 삽입되어, 리프트 바스켓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TOWER LIFT AND TOWER LIF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기장의 타워조명을 설치 또는 수리하기 위한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장(stadium)에는 다수의 타워조명들이 설치되어 야간에도 운동경기의 실시 및 관람이 가능하다. 즉, 상기 타워조명은 기둥역할을 하는 타워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경기장으로 원하는 밝기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워조명은 보통 타워 리프트에 의해 설치 또는 수리될 수 있다.
상기 타워 리프트는 리프트 바스켓(lift basket) 내에 사람 및 장비를 실고, 상기 타워폴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타워폴과 마주하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내측면에 장착된 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이러한 이송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리프트 바스켓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타워 리프트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외부의 바람 또는 충격에 의해 흔들릴 경우, 상기 타워 리프트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타워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타워 리프트를 구비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는 와이어 로프를 통해 메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장치로, 리프트 바스켓, 메인 롤러부 및 사이드 롤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다. 상기 메일 롤러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을 갖는다. 상기 사이드 롤러부는 상기 메인 롤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과 연결된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는 하판,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를 연결하는 리프트 기둥부,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롤러부가 장착된 내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기둥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기 내측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외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롤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삽입되는 제3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상단부와 반대특인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롤러부와 상기 사이드 롤러부가 장착된 바스켓 고정부, 및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스켓 고정부과 탈부착이 가능한 바스켓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이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롤러부가 장착된 내측판, 상기 제1 내측기둥과 상기 내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내측기둥과 상기 내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분리부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에 의해 상기 바스켓 고정부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연결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스켓 분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외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은 타워폴 및 타워 리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폴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폴, 상기 메인폴의 외표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메인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메인폴에 고정된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한다. 상기 타워 리프트는 와이어 로프를 통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 바스켓,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을 갖는 메인 롤러부, 및 상기 메인 롤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갖는 사이드 롤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폴은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상기 메인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 지지유닛, 및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상기 메인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은 상기 메인폴에 부착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바닥부, 및 ㄷ-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레일 바닥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레일 측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일 바닥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레일 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레일 측부로 돌출된 제1 레일 돌출부, 및 상기 레일 바닥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레일 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측부로 돌출된 제2 레일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롤러유닛들을 갖는 서브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의 단선시 상기 레일 바닥부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하강을 억제시키는 제1 안전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의 단선시 상기 제1 및 제2 레일 측부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하강을 억제시키는 제2 안전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이 메인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 됨에 따라, 리프트 바스켓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워 리프트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타워 리프트 시스템 중 타워 리프트와 가이드 레일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 레일들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4의 제1 안전 브레이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4의 제2 안전 브레이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 중 타워 리프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워 리프트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타워 리프트 시스템 중 타워 리프트와 가이드 레일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 레일들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은 타워폴(Tower Pole, 100) 및 상기 타워폴(100)에 부착되고 와이어 로프(wire rope, 1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타워 리프트(Tower Lift, TL)을 포함한다.
상기 타워폴(100)은 메인폴(110), 메인 가이드 레일(120), 사이드 가이드부(130) 및 레일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폴(1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폴(11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동일 또는 작아지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융아연도금된 스틸(steel)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폴(110)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타워조명들(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폴(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10)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와이어 드럼(wire drum, 20) 및 사람이 타고 오를 수 있는 폴안쪽 사다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10)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 리프트(TL)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 도르레(wire pulley,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은 레일 바닥부(121), 제1 레일 측부(122) 및 제2 레일 측부들(123)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제1 롤러 돌출부(124) 및 제2 롤러 돌출부들(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닥부(121)는 상기 메인폴(110)의 외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레일 측부들(122, 123)은 ㄷ-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레일 바닥부(12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 바닥부(121)와 동일하게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레일 돌출부(124)는 상기 레일 바닥부(121)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레일 측부(12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레일 측부(123)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레일 돌출부(125)는 상기 레일 바닥부(121)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레일 측부(123)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측부(122)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사이드 가이드부(130)는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132)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1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132)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134)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에 반대편인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132, 134)은 서로 대칭이 되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과 평행하게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한편,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132, 13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레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지지부(140)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132, 134)을 상기 메인폴(11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 지지부(140)는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132)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 지지유닛(142) 및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134)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 지지유닛(14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레일 지지유닛들(142)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132)을 상기 메인폴(110)에 고정시키고, 복수의 제2 레일 지지유닛들(144)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134)을 상기 메인폴(110)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타워 리프트(TL)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상기 타워 리프트(TL)는 리프트 바스켓(200), 메인 롤러부(300), 서브 롤러부(400), 사이드 롤러부(500),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 및 제2 안전 브레이크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은 상기 와이어 로프(1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사람,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공간도 갖고 있다.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은 상판(210), 하판(220), 리프트 기둥부(230), 내측판(240) 및 외측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은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다각형 또는 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 기둥부(230)는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한다. 상기 리프트 기둥부(230)는 예를 들어, 4개의 기둥들, 즉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 및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은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 중 상기 메인폴(110)과 마주보는 내측 모서리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은 상기 내측 모서리들의 반대측인 외측 모서리들에 위치한다.
상기 내측판(240)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내측판(240)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내측판(24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과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판(250)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을 연결한다. 상기 외측판(250)은 상기 내측판(24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과 이격되어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판(25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롤러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과 마주보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일면, 즉 상기 내측판(240)의 외표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에 삽입된다. 그 결과,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롤러부(300)는 상기 상판(210)에서부터 상기 하판(220) 사이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메인 롤러유닛(310, 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롤러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롤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롤러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124, 12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일면, 즉 상기 내측판(240)의 외표면에 장착된다. 상기 서브 롤러유닛의 롤러의 외표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124, 125)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롤러유닛은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롤러부(400)는 상기 상면(210)과 상기 제1 메인 롤러유닛(310) 사이에 배치된 제1 서브 롤러유닛(410) 및 상기 하면(220)과 상기 제3 메인 롤러유닛(330)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롤러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롤러부(500)는 복수의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메인 롤러부(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132, 134)에 각각 삽입된다. 그 결과, 상기 복수의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롤러부(500)는 상기 상판(210)과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510, 520)과, 상기 하판(220)과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3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530, 5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워 리프트(TL)가 상기 사이드 롤러부(500)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상기 서브 롤러부(4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상단부, 예를 들어 상기 상판(210)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10)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 내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는 상기 와이어 로프(10)의 단선시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급격한 하강을 1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전 브레이크부(700)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일면, 즉 상기 내측판(240)의 외표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 내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안전 브레이크부(700)는 상기 와이어 로프(10)의 단선시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급격한 하강을 2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안전 브레이크부(700)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롤러유닛들(310, 320) 사이에 배치되고, 도면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롤러유닛들(310, 320)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4의 제1 안전 브레이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는 상기 와이어 로프(10)와 연결된 압축비틀림 스프링(610) 및 상기 압축비틀림 스프링(62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1차 브레이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의 동작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와이어 로프(10)가 단선될 경우, 상기 압축비틀림 스프링(610)은 상기 1차 브레이크(6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회전된 상기 1차 브레이크(620)는 상기 레일 바닥부(121)와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124, 125)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하강을 1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브레이크(620)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124, 125)과 대응될 수 있도록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4의 제2 안전 브레이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안전 브레이크부(700)는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와 별도의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인장 스프링(710), 상기 인장 스프링(710)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720), 상기 인장 스프링(710)과 연결된 인장비틀림 스프링(730), 및 상기 인장비틀림 스프링(73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2차 브레이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710)은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6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 로프(10)와 상기 연결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의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스프링 수용부(720)의 수용홈 내에 압축되어 있다.
상기 제2 안전 브레이크부(700)의 동작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와이어 로프(10)가 단선될 경우, 상기 와이어 로프(10)와 연결된 상기 연결 와이어의 인력이 제거되고, 그로 인해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일부가 상기 스프링 수용부(720)의 수용홈 내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인장 스프링(7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장비트림 스프링(730)은 상기 2차 브레이크(7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렇게 회전된 상기 2차 브레이크(740)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 측부들(122, 123)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의 하강을 2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 브레이크(740)는 한 쌍이 배치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3 사이드 롤러유닛들(510, 530)이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13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520, 540)이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134)에 삽입되어 가이드 됨에 따라,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 중 타워 리프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은 리프트 바스켓(200)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타워 리프트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겠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은 바스켓 고정부(200a) 및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와 탈부착이 가능한 바스켓 분리부(200b)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는 상기 와이어 로프(10)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롤러부(300), 상기 서브 롤러부(400) 및 상기 사이드 롤러부(500)가 장착된다.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는 제1 내측기둥(231), 제2 내측기둥(232), 내측판(240),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판(235),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판(2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기둥(231)은 상기 제1 및 제3 사이드 롤러유닛들(510, 53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내측기둥(232)은 상기 제1 내측기둥(231)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520, 54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내측판(240)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롤러부(300) 및 상기 서브 롤러부(400)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연결판(235)은 상기 제1 내측기둥(231)과 상기 내측판(24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판(236)은 상기 제2 내측기둥(232)과 상기 내측판(240) 사이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내측판(240)이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판들(235, 236)을 생략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바스켓 분리부(200b)는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바스켓 분리부(200b)는 상판(210), 하판(220), 제1 외측기둥(233), 제2 외측기둥(234), 제1 연결기둥(237), 제2 연결기둥(238) 및 외측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은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고, 예를 들어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은 상기 상판(210) 및 상기 하판(22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의 반대측편 모서리들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들(237, 238)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과 대응되도록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판(210)과 상기 하판(220)을 연결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둥들(237, 238)은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P1, P2)에 의해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 즉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231, 232)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P1, P2)은 볼트, 핀 등과 같이 쉽게 결합/분리가 가능한 수단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판(250)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210)과 상기 하판(220)을 연결한다. 상기 외측판(250)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233, 234)과 이격되어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바스켓(200)이 사용후,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와 상기 바스켓 분리부(200b)로 분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바스켓 분리부(200b)를 다른 타워 리프트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는 상기 타워폴(100)에 결합되어 계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 분리부(200b)는 상기 바스켓 고정부(200a)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타워폴과 결합된 바스켓 고정부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와이어 로프 20 : 와이어 드럼
100 : 타워폴 110 : 메인폴
120 : 메인 가이드 레일 121 : 레일 바닥부
122 : 제1 레일 측부 123 : 제2 레일 측부
124 : 제1 롤러 돌출부 125 : 제2 롤러 돌출부
130 : 사이드 가이드부 132 :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
134 :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 140 : 레일 지지부
142 : 제1 레일 지지유닛 144 : 제2 레일 지지유닛
TL : 타워 리프트 200 : 리프트 바스켓
200a : 바스켓 고정부 200b : 바스켓 분리부
210 : 상판 220 : 하판
230 : 리프트 기둥부 231 : 제1 내측기둥
232 : 제2 내측기둥 233 : 제1 외측기둥
234 : 제2 외측기둥 235 : 제1 연결판
236 : 제2 연결판 237 : 제1 연결기둥
238 : 제2 연결기둥 P1 : 제1 연결부재
P2 : 제2 연결부재 240 : 내측판
250 : 외측판 300 : 메인 롤러부
310 : 제1 메인 롤러유닛 320 : 제2 메인 롤러유닛
330 : 제3 메인 롤러유닛 400 : 서브 롤러부
410 : 제1 서브 롤러유닛 420 : 제2 서브 롤러유닛
500 : 사이드 롤러부 510 : 제1 사이드 롤러유닛
520 : 제2 사이드 롤러유닛 530 : 제3 사이드 롤러유닛
540 : 제4 사이드 롤러유닛 600 : 제1 안전 브레이크부
610 : 압축비틀림 스프링 620 : 1차 브레이크
700 : 제2 안전 브레이크부 710 : 인장 스프링
720 ; 스프링 수용부 730 ; 인장비틀림 스프링
740 : 2차 브레이크

Claims (19)

  1. 와이어 로프를 통해 메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타워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 바스켓;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을 갖는 메인 롤러부; 및
    상기 메인 롤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과 연결된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갖는 사이드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는 하판;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를 연결하는 리프트 기둥부;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롤러부가 장착된 내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기둥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기 내측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외측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각각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롤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삽입되는 제3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사이드 롤러유닛들은 상기 상단부와 반대특인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스켓은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롤러부 및 상기 사이드 롤러부가 장착된 바스켓 고정부; 및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스켓 고정부과 탈부착이 가능한 바스켓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이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상기 제1 및 제2 내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롤러부가 장착된 내측판;
    상기 제1 내측기둥과 상기 내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판; 및
    상기 제2 내측기둥과 상기 내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분리부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연결부재들에 의해 상기 바스켓 고정부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연결기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분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외측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외측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13.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폴, 상기 메인폴의 외표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메인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메인폴에 고정된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하는 타워폴; 및
    와이어 로프를 통해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타워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사람과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는 리프트 바스켓;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롤러유닛을 갖는 메인 롤러부; 및
    상기 메인 롤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롤러유닛들을 갖는 사이드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폴은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상기 메인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 지지유닛; 및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상기 메인폴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은
    상기 메인폴에 부착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바닥부; 및
    ㄷ-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레일 바닥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레일 측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은
    상기 레일 바닥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레일 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레일 측부로 돌출된 제1 레일 돌출부; 및
    상기 레일 바닥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레일 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 측부로 돌출된 제2 레일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롤러유닛들을 갖는 서브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의 단선시 상기 레일 바닥부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돌출부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하강을 억제시키는 제1 안전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리프트는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안전 브레이크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 가이드 레일 내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의 단선시 상기 제1 및 제2 레일 측부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리프트 바스켓의 하강을 억제시키는 제2 안전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KR1020100041630A 2010-05-04 2010-05-04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KR20110122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630A KR20110122247A (ko) 2010-05-04 2010-05-04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630A KR20110122247A (ko) 2010-05-04 2010-05-04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247A true KR20110122247A (ko) 2011-11-10

Family

ID=4539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630A KR20110122247A (ko) 2010-05-04 2010-05-04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2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6086A (zh) * 2012-08-26 2014-03-12 江苏雄宇重工科技股份有限公司 倒斜角墙面施工吊篮
CN106006302A (zh) * 2016-07-28 2016-10-12 大久制作(大连)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风电塔筒免爬器
CN111847332A (zh) * 2020-08-02 2020-10-30 张若玮 浮升式电力塔杆登高机
CN114855644A (zh) * 2022-03-25 2022-08-05 浙江恒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桥梁主塔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6086A (zh) * 2012-08-26 2014-03-12 江苏雄宇重工科技股份有限公司 倒斜角墙面施工吊篮
CN106006302A (zh) * 2016-07-28 2016-10-12 大久制作(大连)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风电塔筒免爬器
CN111847332A (zh) * 2020-08-02 2020-10-30 张若玮 浮升式电力塔杆登高机
CN114855644A (zh) * 2022-03-25 2022-08-05 浙江恒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桥梁主塔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4743B (zh) 跃层电梯和跃层方法
US9511979B2 (en) Underslung elevator
KR20110122247A (ko)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RU2447011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меняемое в приспособлениях для подъема плит на потолки и стены
US20140027207A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EP2771084B1 (en) Loft block with aligned sheaves
US10508002B2 (en) Rope lifting tool and a rope lifting arrangement
CN101531318A (zh) 无机房电梯的牵引机盖单元
JP2004352377A (ja) エレベータ
ES2707982T3 (es) Terminación de correa para ascensor
JP6089088B1 (ja) エレベータの釣り合い重り
JP6656957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160135330A (ko)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KR101700871B1 (ko) 피난기구 지붕 크레인 장치
JP2007238208A (ja) 釣合錘
KR20090070599A (ko)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KR102117698B1 (ko) 출렁다리시스템
JP2013067492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固定装置
JPWO2013080323A1 (ja) 乗客コンベア
CN100569621C (zh) 电梯装置
JP2013040493A (ja) 天井部の吊下装置
JP2018030687A (ja) エレベータ用レール保持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保持方法
JP6684473B2 (ja)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0119219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