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01207A - L-푸코실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 및 그의 신규한 2,3,4 트리벤질-푸코실 유도체 중간체의 합성 방법 - Google Patents

L-푸코실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 및 그의 신규한 2,3,4 트리벤질-푸코실 유도체 중간체의 합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207A
KR20110101207A KR1020117016534A KR20117016534A KR20110101207A KR 20110101207 A KR20110101207 A KR 20110101207A KR 1020117016534 A KR1020117016534 A KR 1020117016534A KR 20117016534 A KR20117016534 A KR 20117016534A KR 20110101207 A KR20110101207 A KR 20110101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glucose
group
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아나 살시니
마르꼬 마노니
지오반니 치폴레띠
Original Assignee
이날코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날코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이날코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1010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20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4Di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푸코실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의 합성 방법 및 용이하게 결정화되는 그의 신규한 2,3,4-트리-O-벤질-푸코실 합성 중간체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산업적 규모의 2' O-푸코실 락토오스 합성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푸코실 DL- 또는 올리고-당 및 그의 신규한 2,3,4 트리벤질-푸코실 유도체 중간체의 합성 방법{Process for the synthesis of L-fucosyl DL- or oligosaccharides and novel 2,3,4 tribenzyl-fucosyl derivatives intermediates thereof}
본 발명은 올리고당의 화학적 합성 분야, 특히 L-푸코실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에 관한 것이다.
모유는 올리고당이 풍부하다. 현재까지 130개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이 분리되고 확인되었다. 비록 과거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영양학적 중요성이 과소평가되었으나, 이에 반해 갓난 젖먹이에 대한 그들의 큰 중요성이 최근 증명되고 있다 (L. Bode, J. Nutr. 2006, 136, 2127-2130; J. Kemsley, Chem. & Eng. News 2008, 86(39), 13-17); 이러한 올리고당들은, 추가적인 생물학적 기능 외에, 감염 과정의 시작을 위한 주요한 결정적인 순간으로 증명된, 상피 세포 표면으로의 박테리아의 부착을 방해한다. Fuc-α-(1-2)-Gal-β-(l-4)-Glc (2'-O-푸코실락토오스, CAS N°41263-94-9) e Gal-β-(1-4)-[Fuc-α-(l-3)]-Glc가 가장 풍부하고(Chaturvedi P. et al. Glycobiology. 2001. 11 ,5, 365-372) 이러한 푸코실 올리고당의 항-부착 특성이 푸코오스 (6-데옥시-L-갈락토오스)의 존재 때문인지 또는 글리코실화의 위치 때문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들이 관여된 생물학적 과정을 연구하고 더 잘 이해하고 인공 우유와 같은 유아 식품,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제제에 그들을 첨가할 수 있기 위해 이러한 올리고당의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푸코실 올리고당 제조를 위한 많은 합성 방법이 당업계에 보고되었다.
예를 들면:
- H.M. Flowers et al. Carbohydrate Research, 4, (1967), 189-195;
- R.R. Schmidt and B. Wegman, Carbohyd. Res. (1988), 184, 254-261;
- S. A. Abbas et al, Carbohydr. Res., 88 (1981) 51-60;
- A. Fernandez-Mayorales et. al., Carbohydr. Res., 154 (1986) 93-101;
- R. K. Jain et al., Carbohydrate Research (1991), 212, C1-C3;
- M. Izumi, et a., J. Org. Chem. (1997), 62, 992-998;
- A. Rencurosi et al., J. Carbohydrate Chem. (2001), 20, 761-765;
- L. Panza et al., Carbohydrate Research 337 (2002), 1333-1342
- A. Rencurosi et al., Eur. J. Org. Chem. (2003), 1672-1680.
- W. Kinzy et al., Carbohyd. Res., 245 (1993), 193-218.
이미 알려진 합성은 히드록실기의 많은 보호 단계 및 탈보호 단계를 제공하고 그들 모두는 많은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포함하고 산업적 규모에 적용하기에 어렵다.
푸코실 락토시드 및 푸코실-아세틸 락토사민을 위한 것과 같은 푸코실 올리고당의 효소적 또는 발효적 방법에 의한 합성은 효소의 높은 가격, 용이하게 입수할 수 없는 기질(GDP-푸코오스)의 사용 및 현재까지 수득된 낮은 수율으로 인하여 가격-효율적인 방법을 가능하게 할 수 없다 (P. A. Prieto et al. US 5,945,314; S. Drouillard et al., Angew. Chem. Int. Ed. (2006), 45(11), 1778-1780; T. Murata et a. J. Carbohyd. Chem.(2003), 22(5), 309-316; E.Beat et al., Can. J. Chem., (2000), 78(6), 892-904).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의 용이한 분리 및 정제를 이용하여 수율 및 순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산업적 규모에 적합한 여러 개의 용이한 단계에 의해 푸코실 이당류- 및 올리고당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산업적 규모에서도 적합한, 하기 식 (I)을 가지며,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R은 유리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인 것인 푸코실 유도체의 합성 방법에 의해 해결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 식 (IV)를 가지며,
Figure pct00002
상기 식 중 P는 서로 독립적인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03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은 R에 상응하여,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것인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인 것인 중간체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식 (IV)의 화합물을 결정화에 의해 분리하고 정제하는 것은 놀라울 정도로 용이하고, 그 결과, 이들은 산업적 규모에서도, 식 (I)의 푸코실 유도체의 용이한 정제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식 (II) 또는 (IV)의 2,3,4-트리-O-벤질-L-푸코실 유도체 화합물이고,
Figure pct00004
상기 식 중, P는 서로 독립적인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05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이미데이트이고;
R"은, R에 상응하여,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것인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이고,
식 (II)의 화합물에서, X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네이트이고 R1은 p-클로로인 경우, R2는 수소가 아닌 것인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X는 이미데이트 또는 할로겐 중에서 선택된 아노머 탄소의 활성화기(activator)이고;
P는 서로 독립적인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06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식 (II)의 화합물의 앞서 기술된 식 (IV)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공여체(donor)로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은 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공여체인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은 식 (II)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산업적 규모에서도 적합한, 식 (I)을 가지며
Figure pct00007
상기 식 중,
R은 유리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인 것인 푸코실 유도체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하기 식 (IV)의 중간체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pct00008
상기 식 중 P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09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는 R에 상응하여,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이다.
전술된 식 (IV)의 화합물을 결정화에 의해 분리하고 정제하는 것은 놀라울 정도로 용이하고, 그 결과, 이들은 산업적 규모에서도, 식 (I)의 푸코실 유도체의 용이한 정제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중간체 (IV)의 벤질기를 제거하여 식 (I)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c)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c) 단계 이전에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a) P는 전술된 것과 같고; X는 아노머 탄소 활성화기인, 식 (II)의 2,3,4-트리-O-벤질-푸코피라노실 유도체의 공여체를
Figure pct00010
R'은 R에 상응하여, 히드록시기가 적절히 보호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으로서, 상기 히드록시기는 최대 2개가 유리 상태이고, 선택적으로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되고, 나머지 히드록시기는 벤질기를 보존하기 위해, 특히 푸코실 모이어티에 존재하는 -OP 기를 보존하기 위한 조건에서 제거되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작용기(group)로 보호되는 것인 식 R'OH의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 글리코실 수용체 (acceptor)와 결합시켜;
P 및 R'이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II)의 중간체를 얻는 단계;
Figure pct00011
b) 푸코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OP 기를 보존하고, 선택적으로는 R' 상에 존재하는 벤질기를 보존하는 조건 하에서, 당 모이어티 R'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R" 및 P는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V)의 중간체를 얻는 단계.
Figure pct00012
단계 a) 및 b)의 조 생성물(crude product)의 순차적인 가공 후에도, 전술된 식 (IV)의 화합물을 결정화에 의해 분리하고 정제하는 것은 놀라울 정도로 용이하고, 그 결과, 이들은 산업적 규모에서도, 식 (I)의 푸코실 유도체의 용이한 정제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중간체 (IV)의 결정화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용매의 추가 없이 또는 결정화를 위한 적절한 공용매의 추가 없이 반응 매질로부터 직접적으로 수행된다.
벤질기에 의해 보호된 히드록시기는 -OCH2Ph 또는 -OP기를 의미한다.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히드록시기는 R' 및 R" 상에 "n"개의 히드록시기가 존재하는 경우, 벤질기에 의해 보호되는 그들의 최대 수는 n/2(n이 짝수인 경우) 또는 (n-1)/2(n이 홀수인 경우)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R"이 갈락토오스인 경우, n=4이고, 용어 "부분적으로 보호된(partially protected)"은 하나 또는 최대 2개의 히드록시기가 벤질기에 의해 보호되고 남은 세 개 또는 최소 두 개의 히드록시기는 유리상태라는 것을 의미하고; R"이 락토오스인 경우, n=7이고, 용어 "부분적으로 보호된"은 하나, 둘 또는 최대 세 개의 히드록시기가 벤질기에 의해 보호되고, 남은 여섯개, 다섯개 또는 최소 4개의 히드록시기는 유리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응하게 탈보호되거나, 전술된 바와 같은 기로 적절히 보호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보호된 상기 R, R' 및 R"은 바람직하게는 락토오스, 푸코오스, (2-아세틸아미노)-락토오스, (2-아미노)-락토오스, (2-아지도)-락토오스, 락토-N-비오스(Lacto-N-biose),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2-아미노)-글루코오스 및 (2-아지도)-글루코오스 중에서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2'-락토오스, 3-락토오스, 3-(2-아세틸아미노)-락토오스, 3-(2-아미노)-락토오스, 3-(2-아지도)-락토오스, 4-락토-N-비오스, 2-갈락토오스, 3-글루코오스, 3-(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3-(2-아미노)-글루코오스, 3-(2-아지도)-글루코오스, 4-(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4-(2-아미노)-글루코오스 및 4-(2-아지도)-글루코오스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아노머 탄소 활성화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미데이트 또는 할로겐 중에서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X는 α-브롬 또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이다.
식 (II)의 공여체와 식 R'OH의 수용체 간의 결합 a)는 이미 알려진 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아노머 탄소 활성화기는 글리코실 공여체의 제1 위치에 연결된 치환체 (X)를의미하고, 이는 적절한 조촉매(promoter)의 존재 하에 글리코실 결합의 형성을 유도하는 좋은 이탈기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할로겐, 트리-할로아세티미데이트(tri-haloacetymidate), 티오글리코시드, 술폭시드(sulphoxyde) 및 n-펜테닐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기를 위한 특이적 반응 조건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B. G. Davies, Recent Developments in Oligosaccharide Synthesis, J. Chem. Soc, Perkin Trans. I, (2000), 2137-2160 참조).
두 개의 당 간의 결합 반응의 성공은, 조촉매, 두 개의 당 단위 상의 치환체, 당연히 사용된 반응 조건(용매, 온도, 첨가 양상) 및 글리코실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당의 타입에 의한 공여체 및 수용체의 반응성에 따라 결정된다 (I. Robina et al. Glycosylation Methods in Oligosaccharide Synthesis. Part 1, Current Organic Synthesis (2008), vol. 5(1), 33-60, I. Robina et al. Glycosylation Methods in Oligosaccharide Synthesis. Part 2, Current Organic Synthesis (2008), vol. 5(2), 81-116).
또한, 결합 반응은 새로운 글리코실 결합의 상이한 배열(configuration)을 제공할 수 있다(1,2-시스, 1,2 트랜스 결합 또는 둘의 혼합물의 형성).
배열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은 글리코실 공여체의 제2 위치 상에 존재하는 보호기의 속성이다(참여기(partecipating group)/비-참여기, 인접기 보조(anchimeric assistance)가 있거나 또는 없는 기 등).
전술된 파라미터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α(1,2-시스) 배열을 갖는 글리코시드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X가 이미데이트인 경우, 특히 X가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인 경우, 상기 결합(coupling) 반응은, 디클로로메탄 및 디에틸 에테르와 같은 비양자성 용매를 사용하여,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티드(boron trifluoride etherated) 또는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와 같은 루이스 산의 존재 하에서 R. R. Schmidt and A. Toepfer (J. Carbohyd. Chem, 1993, 12(7), 809- 82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역 과정(inverse procedure)"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X가 할로겐인 경우, 특히 X가 α-브롬인 경우, 상기 결합 반응은 조촉매제로서 Ag(I)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Koenigs-Knoor 반응(Koenigs, W.; Knoor, E. Chem. Ber., 1901, 34, 957)에 의해, 또는 Hg(II)를 조촉매제로서 이용하는 Helferich 변형(Helferich, B.; Zirner, J. Chem. Ber., 1962, 95, 2604)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 모이어티 R'의 탈보호 단계 b)는, 푸코오스 상의 변형되지 않은 벤질기 및 필요하다면 당 모이어티 상의 벤질기를 보존하는, 당업계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W. Green and P. G. M. Wuts. Green'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Ed. Wiley ed 4. 2006). 그러므로 수용체 R'OH는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반응 조건에 의해 또는 약한 산성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가능한 기, 예를 들면 아실 및 아세탈 기로 보호된다.
탈벤질화 단계 c)는 당업계의 방법, 예를 들면 촉매성 수소화반응(hydrogenation)(W. Kinzy et al., Carbohyd. Res., 245 (1993), 193-218) 또는 산 가수분해 (M. Izumi, et a., J. Org. Chem. (1997), 62, 992-998, L. Panza et al., Carbohydrate Research 337 (2002), 1333-1342), 바람직하게는 촉매성 수소화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은 식 (II)의 푸코실 공여체는 L-푸코오스로부터 시작하여 당업계의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가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또는 브롬인 식 (II)의 화합물의 제조의 경우, 반응 개요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메틸 푸코시드 및 P는 전술된 바와 같은 것인 식 P-Br 또는 P-Cl, 바람직하게는 P-Cl의 벤질 브로마이드 또는 클로라이드에 의한, 그의 2,3,4-O-트리-벤질 유도체의 제조를 통해 가능하다.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인 아노머 탄소의 활성화를 위해, 합성은 메틸푸코시드의 산 가수분해 및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및 DBU에 의한 이미데이트의 형성으로 지속될 수 있다(W. Kinzy et al., Carbohyd. Res., 245 (1993), 193-218).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α-브롬인 아노머 탄소의 활성화를 위해, 트리벤질 메틸푸코시드의 산 가수분해 후 합성이 할라이드를 수득하기 위해 2개의 순차적인 단계로 계속될 수 있다(Flowers et al. Carbohyd. Res. 1971, 18, 215-226).
Figure pct00013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2'-O-푸코실락토오스, 즉 R이 2'-락토오스인 식 (I)의 화합물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응 개요 2에 기술된 것에 따라,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전술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a) 전술된 것과 같은 식 (II)의 글리코실 공여체와
R3은 알킬 또는 아릴 아실, 벤질, P, 트리틸, 실릴 유도체 중에 선택된 작용기이고: 바람직하게는 R3은 아실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또는, 염소, 브롬, 알콕시 또는 니트로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 또는 이- 치환된 벤조일인 것인 하기 식 (VII)의 글리코실 수용체 6'-O-치환된 2,3:5,6:3',4'-트리-O-이소프로필리덴-락토오스 디메틸 아세탈을 결합시켜,
Figure pct00014
P 및 R3는 전술된 것과 같은 중간체 (IIIa)를 얻는 단계;
Figure pct00015
b) 반응 개요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탈보호(b') 및 탈-아세톤화(b")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보호(b') 및 탈-아세톤화(b")는 임의의 순서로, 결과적으로 P 및 R3는 전술된 것과 같은 식 (IIIb') 또는 (IIIb")의 중간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인 탈호보에 의해,
Figure pct00016
R"은 2'-락토오스인 식 (IV)의 중간체, 즉 P는 전술된 바와 같고; R4는 수소, 벤질 또는 P인 식 (IVa)의 중간체를 수득하는 단계;
Figure pct00017
c)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바람직하게는 촉매적 수소화(catalitic hydrogenation)를 통해 중간체 (IVa)를 탈벤질 시키는 단계.
Figure pct00018
R3이 벤질 또는 P와 상이한 경우, 탈보호 b)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중간체 (IIIb')를 통해 성취되고, R3이 벤질 또는 P인 경우, 중간체 (IVa)에 상응하는 중간체 (IIIb")를 통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한 단계를 절약할 수 있다.
Figure pct00019
상기 연속적인 탈보호 단계 b)(반응 개요 3)는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반응 (b') 및 (b")로부터 생성되는 조 생성물로서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중간체 (IIIb') 및 (IIIb")의 분리 없이 수행된다.
R3이 아실인 경우, 탈보호 (b')(반응 개요 3)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소듐 메톡시드, 소듐 에톡시드 또는 소듐 히드록시드와 같은 염기, 더 바람직하게는 소듐 히드록시드를 사용하고, 용매로서 1차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더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탈아세톤화 (b")(반응 개요 3)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산, 바람직하게는 HCl의 존재 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물의 혼합물; 더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10:1 비율, 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8:1 범위의 아세토니트릴/물의 혼합물; 중에서 이루어진다.
식 (IVa)의 중간체는 놀랍게도, 그들이 단계 a) 및 b)의 조 반응 생성물(crude reaction product)의 가공에 의해 수득된 이후에도 용이하게 결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특히 그들은 반응 매질에서 공용매의 첨가 없이 직접적으로 결정화될 수 있다.
P가 치환되지 않은 벤질인 것인 공지된 식 (IVa)의 화합물(S. A. Abbas et al, Carbohydr. Res., 88 (1981) 51-60) 대비 전술된 유도체 (IVa)는 예기치 않게, 단계 a) 및 b)로부터 각각 직접적으로 얻은 조 생성물로서 사용된 중간체 (II), (IIIa), (IIIb') 또는 (II), (IIIa), (IIIb")의 연속적인 가공 이후에 얻어진 경우에도, 특히 연속적인 탈보호 (b') 및 (b") 또는 이의 반대 순서에 따른 단계 (b)에 관하여 반응 조 생성물로 사용된 중간체 (IIIb') 및 (IIIb")의 분리 없이 성취된 경우에도, 결정화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O-푸코실-락토오스의 합성의 경우, 전술된 방법이 X=OC(NH)CCl3, P=p-클로로벤질 또는 2-클로로벤질인 식 (II)의 공여체와 조생성물로서 사용된 R3는 벤조일인 식 (VII)의 수용체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식 (IIIb')의 중간체를 통해 얻은 식 (IVa)의 화합물은, 그가 조 중간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 다섯 개의 화학적 변화 후에 얻어진 것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그는 공동 용매의 첨가 없이 탈-아세톤화(b") 반응 매질로부터 직접적으로 결정화될 수 있다.
전혀 예상치못했던 결과는 식 (IVa)의 중간체가 그들이 50 중량% 보다 낮은 농도로 포함되고 나머지 함량은 이전 5개의 화학적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 및 잔여물로 구성된 것인 반응 매질로부터 결정화시키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수용체 (VII)(Barili et al. Carbohyd. Res. 1997, 298, 75-84)은 아세톤화 및 뒤따르는 6' 위치의 선택적인 보호에 의해 락토오스 일수화물로부터 시작하여 합성된다.
반응 개요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6' 위치 상의 치환체 R3는 바람직하게는 아실기, 예를 들면 아세틸기 또는 벤조일, 또는 염소, 브롬, 알콕시 또는 니트로로 일- 또는 이-치환된 벤조일, 바람직하게는 벤조일이다(S. A. Abbas et al, Carbohydr. Res., 88 (1981) 51-60).
Figure pct00020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 (II) 또는 (IV)의 화합물 2,3,4-트리-O-벤질-L-푸코실 유도체이고
Figure pct00021
상기 식 중 P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22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이미데이트이고;
R"는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이며,
X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이고 R1은 p-클로로인 경우 R2가 수소인 식 (II)의 화합물은 제외한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1은 바람직하게는 염소이다.
식 (IV)의 화합물의 경우, R"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시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로 부분적으로 보호된, 락토오스, 푸코오스, (2-아세틸아미노)-락토오스, (2-아미노)-락토오스, (2-아지도)-락토오스, 락토-N-비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2-아미노)-글루코오스 및 (2-아지도)-글루코오스 중에서 선택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로 부분적으로 보호된, 2'-락토오스, 3-락토오스, 3-(2-아세틸아미노)-락토오스, 3-(2-아미노)-락토오스, 3-(2-아지도)-락토오스, 4-락토-N-비오스, 2-갈락토오스, 3-글루코오스, 3-(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3-(2-아미노)-글루코오스, 3-(2-아지도)-글루코오스, 4-(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4-(2-아미노)-글루코오스 및 4-(2-아지도)-글루코오스 중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R"가 2'-락토오스인 식 (IV)의 화합물, 즉 식 (IVa)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Figure pct00023
식 중에서 P는 전술된 것과 같고, R4는 수소, 벤질 또는 P이다.
식 (II)의 화합물의 경우, X는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식 (IV)의 화합물은 전술된 방법의 단계 a) 및 b)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X가 이미데이트 또는 할로겐 중에서 선택되는 아노머-탄소 활성화기,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또는 α-브롬인 식 (II)의 화합물의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V)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공여체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식 중에서 P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24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R2는 수소이고 R1은 염소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공여체로서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V)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 공여체로서, 식 (I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식 중 X는 이미데이트 또는 할로겐 중에서 선택되는 아노머 활성화기,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또는 브롬이고;
P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25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메톡시,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2는 수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R2는 수소이고 R1은 p-클로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공여체로서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알콕시는 예를 들면 -OMe, -OEt, -OnPr, -OiPr, - OnBu, -OiBu, -OtBu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알킬은 할로겐, 히드록시, 알콕시, 니트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사슬이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아릴은 할로겐, 알콕시, 니트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벤젠이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아실은 알킬 및 아릴은 앞서 정의된 것과 같은 것인 -OCO-알킬, 또는 -OCO-아릴 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이미데이트는 알킬은 앞서 정의된 것과 같은 것인 -OC(NH)-알킬 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트리알킬 실릴은, 알킬 및 아릴은 앞서 정의된 것과 같은 것인, 치환체로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3개의 알킬 또는 아릴에 연결된 실리콘 원자로 형성된 화학기(예를 들면, 터트-부틸디메틸실릴, 터트-부틸디페닐실릴 또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단당류는 n=3,4,5,6,7인 식 (CH2O)n, CnH2nOn -1, CnH2nOn -1NH2, CnH2nOn -1N3 또는 CnH2nOn -1NHAc의 단당(simple sugar)인 폴리옥시알데히드(알도오스) 또는 폴리옥시케톤(케토오스)을 지칭한다.
상기 정의는 모든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 및 모든 개방된 형태 또는 시클릭 형태, 예를 들면 피라노사이드 및 푸라노사이드 형태와 같은 분자내 세미 아세탈 및 세미-케탈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에리트로오스, 푸코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클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이도오스(idose), 릭소오스(lixose), 만노오스, 사이코오스(psicose), 리보오스, 데옥시로보오스(deoxirobose), 소르보오스, 타가토오스, 트레오스, 실로오스(xilose) 및 상응하는 케토오스(chetose)도 정의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당류는 O-글리코실 및 N-글리코실 결합인 아세탈 결합을 통해 연결된 두 개의 단당류로 형성된 폴리히드록실레이트 화합물을 지칭한다; 상기 정의는 모든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 및 모든 개방된 형태 또는 시클릭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락토오스, 락토사민, N-아세틸-락토사민, 말토오스, 셀로비오스, 사카로오스, 트레할로오스(trealose), 투라노오스(turano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올리고당은 선형 또는 분지형 당 사슬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글리코실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세 개 내지 여섯 개의 단당류를 갖는 폴리머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라피노오스, 멜레지토오즈(melezitose), 말토트리오스, 아카르보오스(acarbose), 스타키오스(stachio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험예에 기초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1
2,3:5,6:3',4'-트리-O- 이소프로필리덴락토오스 메틸아세탈 (1).
100.0 그램 (278 밀리몰(mmole))의 락토오스 및 4.0 그램 (21 밀리몰) 의 p-톨루엔 술폰산을 600 ml의 2,2-디메톡시프로판 중에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90' 후, 상기 용액을 트리에틸아민(3,2 ml, 2,3 밀리몰)으로 중화시키고,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진한 시럽을 얻었다.
상기 시럽을 톨루엔(2x 100ml)으로 2회 처리하고 다시 건조해질 때까지 농축시켜 과량의 염기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9:1 메탄올/물 혼합물 10 부피 중에 용해시키고 상부(upper) Rf 스팟(에틸 아세테이트에서 0.7)의 소멸이 관찰될 때까지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최종 시럽을 30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물로 2회 세척하고 그 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시럽으로 다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혼합물로부터의 잔여물의 결정화는 91.2 그램 (179 밀리몰, 64%)의 2,3:5,6:3',4'-트리-O-이소프로필리덴락토오스 디메틸아세탈 (1)을 제공하였다.
13C NMR (75 MHz, CDCl3): 110.47, 109.94, 108,38 ((CH3)2C=) 기의 3차 탄소; 107.20 (C1), 103.52 (C1'); 79.54, 78.24, 77.63, 75.88, 75.44, 74.75, 74.18, 73.64; 64.57 (C6), 62.45 (C6'); 57.56 e 54.41 (2 OCH3); 28.17, 27.10, 26.30, 26.30, 25.72, 24.01 (6 CH3C=).
실시예 2
6'-0-벤조일-2,3:5,6:3',4'-트리-0- 이소프로필리덴락토오스 디메틸아세탈 (2)의 제조. ( R 3 = 벤조일인 VII 의 화합물)
51.0 그램 (100 밀리몰)의 (1) 및 17.5 ml (126 밀리몰)의 트리에틸아민을 51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켰다.
245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14.6 ml (126 밀리몰)의 벤조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0℃에서 냉각된 앞서 제조된 용액에 30'에 걸쳐 적가하였다.
0℃에서 3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용액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소듐 중탄산염의 포화용액으로 세척하고 그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후, 유기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정제되지 않은(crude) 6'-O-벤조일-2,3:5,6:3',4'-트리-O-이소프로필리덴락토오스 디메틸아세탈 시럽(73.5 g)을 수득하고 추가적인 정제 없이 결합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13C NMR (75 MHz, CDCl3): 166.35 (ArCOO); 133.18, 130.44, 129.79, 128.44 (C Ar); 110.39, 110.14, 108.31 (3 C 4차(quat.) 이소프로필리덴기); 105.06 (C1), 103.81 (CT); 79.07, 77.86, 77.82, 76.46, 75.21, 74.29, 73.45, 71.63; 64.74 (C6), 64.01 (C6'); 56.34, 53.24 (2 OCH3); 28.13, 27.23, 26.43, 26.30, 25.72, 24.60 (6 CH3C=).
실시예 3
메틸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 메틸 L- 푸코피라노시드 ) (3)의 제조.
200 그램 (1.22 moli)의 L-푸코오스 및 200 그램의 Amberlite IR120, H+ 형태를 2 리터의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가열하여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수지를 여과시키고 용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의 잔여물의 결정화 후 145.4 그램 (816 밀리몰, 67%)의 메틸 6-데옥시-L-갈락토피라노시드 (3)를 얻었다.
13C NMR (75 MHz, D2O), α- 아노머: 100.1(C1), 72.4, 70.2, 68.5, 67.1, 15.9 (C6), 55.7 (OCH3); β-아노머: 104.4 (C1), 73.6, 72.0, 71.5, 71.1, 15.9 (C6), 57.8 (OCH3).
결정의 여과 후, 일단 시럽까지 농축되었던 모액(mother liquor)을 전술된 바와 같이 다시 처리하여 이전의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추가적인 43.0 g (20%)의 화합물 3을 얻었다. 총 수율 87%
실시예 4
메틸 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4)의 제조. (P= 4- 클로로벤질인 식 V의 화합물)
10.0 그램 (56 밀리몰)의 (3)을 27.8 ml (200 밀리몰)의 트리에틸아민 중에 현탁시켰다.
현탁액을 80℃에서 가열시키고 18.9 ml (200 밀리몰)의 무수 아세트산을 적가하였다.
첨가의 종료 후, 상기 용액을 60' 동안 80℃에서 유지시키고, 그 후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0 ml의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30 ml의 소듐 중탄산염 포화용액으로 2회 추출하였다.
층을 분리한 후, 무기층을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47 g (0.80 몰)의 포타슘 히드록시드를 건조시킨 용액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100℃에서 가열시켰다.
28 ml (0.22 몰)의 4-클로로벤질 클로라이드를 약 90분에 걸쳐 적가하고 혼합물을 이 후 추가적인 60'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현탁액을 50 ml의 물로 희석시키고 염의 완전한 용해가 일어날 때까지 교반 하에 두었다. 그 후 층을 안정시키고, 분리시키고, 유기상을 25 ml의 10% 소듐 클로라이드로 세척하고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액을 최종적으로 작은 부피로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상의 FCC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리액으로서 8:2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사용).
생성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수집하고(pool) 농축시켜 22.6 그램 (73%)의 메틸 2,3,4-트리-O-(4-클로로벤질)-6-데옥시-L-갈락토피라노시드 (무색 시럽)를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7.34-7.18 (m, 12H, H Ar), 4.91-4.57 (m, 6H, 3CH2 벤질), 4.25 (d, 7.6 Hz, 1H, H1-β), 3.98 (dd, 1H, J2 ,3 1.1 Hz, J2 ,1 3.4Hz, H2-α), 3.88 (dd, 1H, J3 ,4 2.7HZ, J3 ,2 10.1Hz, H3-α), 3.85 (m, 1H, H5-α), 3.61 (dd,1H, J4 ,5 0.9Hz, J4 ,3 2.4 Hz, H4-α), 3.54 (s, 3H, OCH3-β), 3.37 (s, 3H, OCH3-α), 1.24 (d, 6.4Hz, 3H, H6-β), 1.17 (s, 6.4Hz, 3H, H6-α).
13C NMR (50 MHz, CDCl3), α 아노머: 98.6, 79.2, 78.6, 76.5, 74.4, 72.6, 72.6, 66.1, 55.4, 16.7. β 아노머: 104.9, 82.4, 79.4, 77.2, 74.2, 74.2, 72.4, 70.4, 57.0, 16.9.
실시예 5
정제되지 않은 메틸 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 시드 (4)의 제조. (P= 4- 클로로벤질인 식 V의 화합물)
100 g (0.56 몰)의 (3)을 실리카 상에서 정제시키는 단계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 기술된 것과 같이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처리하고 유기층을 농축시킨 후, 387.4 g의 시럽을 얻었다. 상기 시럽을 추가적인 정제 없이 이어지는 단계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6
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5)의 제조. (P= 4-클 로로벤질 인 식 VI 의 화합물)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정제되지 않은 시럽 (4) (387.4 g, 0.41 몰)을 1500 ml의 80% 아세트산 및 280 ml의 2M 염산으로 처리하였다.
가열하여 10 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1 리터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켰다.
그 후,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소듐 중탄산염 포화 용액으로 먼저 세척하고 그 후 물로 세척하였다.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시럽으로 농축시킨 후, 조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155.2 그램의 (5) (289 밀리몰, (4)로부터의 수율 70%, (3)으로부터의 수율 52%)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7.33-7.20 (m, 12H, H Ar), 5.28 (m, 1 H1 H1-α), 4.88 (m, 2H 벤질), 4.75-4.59 (m, 5H, 4H 벤질 + H1-β), 4.11 (q, 6.6 Hz, 1H, H-5α), 3.97 (dd, 1H, J2 ,3 10.4Hz, J2 ,1 3.7 Hz, 1H, H2-α), 3.87 (dd, J3 ,2 10.4Hz, J3 ,4 2.7 Hz, 1H, H3-α), 3.70-3.46 (m, 5H, H2-β, H3-β, H4-β, H5-β, H4-α), 3.22 (bs, 1H, 1OH-β), 2.90 (bs, 1H, 1OH-α), 1.24 (d, 6.6Hz, 3H, H6-β), 1.17 (d, 6.6Hz, 3H, H6-α).
실시예 7
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1-O-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6)의 제조. (P= 4- 클로로벤질인 IIa 의 화합물)
42 ml의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및 1.1 ml (7.4 밀리몰)의 1,8-디아자비시클로 [5.4.0]운데크-7-엔을 무수 디클로로메탄(250 ml) 중의 (5)(50.0 그램, 92 밀리몰) 용액에 첨가하였다.
30'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2x150 ml의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렇게 얻은 정제되지 않은 트리클로로아세토이미데이트 오일 (73.8 그램) (6)을 추가적인 정제 없이 결합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300MHz, CDCl3): 8.64 (s, 1H, NH-β), 8.52 (s, 1H, NH-α), 7.32-7.18 (m, 12H, H 방향족), 6.53 (d, 3.3 Hz, 1H, H1-α) 5.72 (d, 8.1 Hz, 1H, H1-β), 4.95- 4.60 (m, 6H, 3CH2 벤질), 4.17 (dd, 1H, J2 ,3 10.2 Hz, H2-α), 4.11(q, 6.6 Hz, 1, H5-α), 4.01 (m, 1 H, H2-β), 3.97 (dd, 1H, J3 ,4 2.7 Hz, H3-α), 3.72-3.64 (m, 2H, H4-αβ + H5-β), 3.62-3.55 (m, 2H, H3-β + H4-β), 1.27 (d, 6.4 Hz, 3H, H6β), 1.20 (d, 6.3 Hz, 3H, H6α).
실시예 8
메틸 2,3,4-트리-O-(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7)의 제조. (P= 2- 클로로벤질인 식 V의 화합물)
3.0 g (16.8 밀리몰)의 (3)을 8.3 ml (60 밀리몰)의 트리에틸아민, 5,7 ml의 무수 아세트산 (60 밀리몰), 14 g의 KOH (0,24 몰) 및 8.5 ml (67 밀리몰)의 2-클로로벤질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처리하였다.
워크-업의 완료 후, 용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부피를 감소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용리액으로서 8:2의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농축시켜 무색의 시럽으로서 6.4 그램 (69%)의 메틸 2,3,4-트리-O-(2-클로로벤질)-6-데옥시-L-갈락토피라노시드 (7)를 얻었다.
1H NMR (30OMHz, CDCl3): 7.0-7.1 (m,12H, H Ar), 5.14-4.73 (m, 7H, 3CH2 벤질 α 및 β, H1-α), 4.30 (d, 7.5Hz, H1-β), 4.13 (dd, 1 H, J2 ,3 2.6 Hz, J2 ,1 3.3 Hz, H2-α), 4.06 (dd, 1H, J3 ,4 2.7 Hz, J3 ,2 10.2 Hz, H3-α), 3.96 (q, 1H, 6.6 Hz, H5-α), 3.83 (d, 1H, 1.5 Hz, H4-α), 3.57 (s, 3H, OCH3-α), 3.43 (s, 3H, OCH3-β), 1.33 (d, 3H, 6.6 Hz, H6-β), 1.25 (d, 3H, 6.6 Hz, H6-α).
13C NMR (75 MHz, CDCl3), α 아노머: 137.0-126.6 (C Ar), 98.72 (C1), 79.64, 79.13, 76.92, 72.21, 70.47, 70.43, 66.32, 55.52 (OCH3), 16.66(C6). β 아노머: 137.0-126.6 (C Ar), 105.02 (C1), 82.86, 79.56, 78.14, 72.10, 71.79, 70.47, 70.33, 57.22 (OCH3), 16.89 (C6).
실시예 9
정제되지 않은 메틸 2,3,4-트리-O-(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 시드 (7)의 제조. (P= 2- 클로로벤질인 식 V의 화합물)
10.0 g (56 밀리몰) 의 (3)을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시키는 단계를 제외하고, 실시예 8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처리 및 유기층의 농축 후, 40.8 g의 시럽을 얻어 추가적인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2,3,4-트리-0-(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8)의 제조. (P= 2-클 로로벤질 인 식 VI 의 화합물)
150 ml의 80% 아세트산 및 28 ml의 2M 염산을 실시예 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정제되지 않은 시럽 (7)(40.8 g, 39 밀리몰)에 첨가하였다.
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킨 후,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10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소듐 중탄산염 포화용액으로 먼저 세척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소듐 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시럽으로 농축시킨 후, 조 생성물을 헥산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14.9 그램 (28 밀리몰, (7)로부터의 수율 72%, (3)으로부터의 수율 50%)을 수득하였다.
1H NMR (200MHz, CDCl3): 7.60-7.19 (m, 12H, H Ar), 5.40 (d, 1H, 3.2 Hz, H1-α), 5.23-4.71 (m, 13H, 3CH2 벤질, H1-β), 4.21 (q, 1H, 6.6 Hz, H5-α), 4.11 (dd, 1H, J2 ,3 9.8 Hz, J2 ,1 3.2 Hz, H2-α), 4.00 (dd, 1H, J3 ,2 9.8 Hz, J3 ,4 2.6 Hz, H3-α), 3.88-3.58 (m, 5H, H2-β, H3-β, H4-β, H5-β, H4-α), 1.31 (d, 3H, 6.4 Hz, H6-β), 1.25 (d, 3H, 6.6 Hz, H6-α).
13C NMR (50 MHz, CDCl3): 137.0-126.6 (C Ar α+β)
α 아노머: 91.73, 79.24, 78.57, 77.05, 72.05, 70.60, 70.01, 66.83, 16.67;
β 아노머: 97.61, 82.83, 80.85, 77.78, 72.04, 71.83, 70.88, 70.05, 16.87.
실시예 11
2,3,4-트리-0-(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L- 갈락토피라노시드 1-O-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9)의 제조. (P= 2- 클로로벤질인 IIa 의 화합물)
8.5 ml의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및 0,22 ml (1.5 밀리몰)의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중의 (8) (10.0 그램, 18.6 밀리몰) 용액에 첨가하였다.
30' 간 교반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2x30 ml의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에 의해 수득된 정제되지 않은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9)를 추가적인 정제 없이 결합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200 MHz, CDCl3): 8.68 (s, 1H, NH β 아노머), 8.57 (s, 1H, NH α 아노머), 7.65-7.15 (m, 12H, 방향족 수소 α+β), 6.66 (d, 3.4 Hz, 1H, H1- α), 5.85 (d, 7.8Hz, 1 H, H1-β), 4.35 (dd, J2 ,3 9.8 Hz, 1H, H2-α), 4.26-4.14 (m, 2H, H3-α + H5-α), 4.19 (dd, J2 ,3 9.4 Hz, 1H, H2-β), 3.91 (dd, J2 .6 e 1.0 Hz, 1H, H4-α), 3.86-3.84 (m, 3H, H3-β + H4-β + H5-β), 1.36 (d, 6.4 Hz, 3H, 3H6-β), 1.29 (d, 6.6Hz, 3H, 3H6-α).
13C NMR(50 MHz, CDCl3):
α 아노머: 161.20 (C=NH), 130.0-126.0 (C Ar), 95.23 (C1), 78.75, 78.39, 76.14, 72.1, 70.10, 70.04, 69.62, 16.63 (C6).
β 아노머: 161.62 (C=NH), 130.0-126.0 (C Ar), 98.77 (C1), 82.70, 78.39, 77.63, 72.14, 71.85, 71.71, 70.24, 16.74 (C6).
실시예 12
0-[2,3,4-트리-0-(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0-(6-0-벤조일-3,4-0- 이소프로필리덴 -β-D- 갈락토피라노실 )-(1->4)-2,3:5,6-디-O-이소프로필리덴-D-글루코오스 디메틸아세탈 (10)의 제조. (P= 클로로벤질 R 3 = 벤조일인 IIIa 의 화합물)
정제되지 않은 (5.1 그램, 10.0 밀리몰의 (1)로부터 시작하여 실시예 2에 기술된 대로 제조)된 (2)의 시럽을 무수 디클로로메탄(32 ml)에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23㎕)를 첨가하였다.
40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 중에 정제되지 않은 (6)의 시럽(10.0 g, 18.6 밀리몰의 (5)로부터 시작하여 실시예 7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됨)을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 용액을 상기 용액에 교반 하에 첨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 용액을 실온에서 30' 동안 두었다.
혼합물의 TLC는 예상된 생성물의 주요한 스팟(spot)(2:1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Rf =0.7), 소량의 β 배열을 갖는 응축(condensation) 생성물, 미반응 수용체 (2)의 스팟 및 글리코실 공여체의 일부 분해된 스팟을 나타냈다.
트리에틸아민 (23㎕)으로 중화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작은 부피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2:1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을 통과시켰다.
9.71 그램 (8.6 밀리몰, 수용체 (2)로부터 계산된 수율: 86%)의 (10)을 무색의 시럽으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8.05 (d, 7.2 Hz, 2H Bz), 7.57 (m, 1H Bz), 7.45 (m, 2H, Bz), 7.30-7.20 (m, 12H Ar Bn), 5,59 (d, 3.0 Hz, 1H, H1"), 4.90-4.45 (m, 10H, 3CH2 벤질, H1', H2, 2H6'), 4.34 (d, 5.7Hz, 1H, H1), 4.27 (m, 1H), 4.20-4.00 (m, 9H), 3.91 (dd, J 6.6 e 8.1 HZ, 1H), 3.73, (dd, J 6.3 e 8.1 Hz, 1H) 3.63 (bs, 1H, H4"), 3.37 (s, 3H, OCH3), 3.35 (s, 3H, OCH3), 1.50 (s, 3H), 1.43 (s, 3H), 1.37 (s, 6H), 1.32 (s, 3H), 1.15 (d, 6.2 Hz, 3H, H6").
13C NMR (75 MHz, CDCl3) 166.19 (ArCOO); 137.72, 137.39, 137.25, 133.18, 133.11 , 133.03 (C 4차 Ar) 130.0-128.1 (CH Ar), 110.32, 109.86, 108,49 (C 4차 이소프로필리덴); 105.08 (C1), 101.06 (C1'), 94.79 (C1"); 80.3, 78.84, 78.68, 77.65, 76.46, 75.13, 74.19, 73.84, 72.23, 71.65, 70.86, 66.28; 64.97, 63.67 (CH2 e CH2'), 56.00, 53.03 (2 OCH3); 27.83, 27.11, 26.84, 26.70, 26.43, 25.02 (이소프로필리덴 기의 CH3); 16.81 (C6").
실시예 13
O-[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0-(3,4-0-이 소프로 필리덴-β-D- 갈락토피라노실 )-(1->4)-2,3:5,6-디-O- 이소프로필리덴 -D-글루코오스 디메틸아세탈 (11)의 제조. (P=4- 클로로벤질인 IIIb' 의 화합물)
4.00 g (3.5 밀리몰)의 (10)을 4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0.39 ml(3.9 밀리몰)의 30% 소듐 히드록시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유지시키고 그 후 진공 하에서 시럽으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2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20 ml의 물로 2회 세척하였다.
분리 후, 유기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무색의 시럽으로서 3.5 g의 (11) (3.4 밀리몰, 97%)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7.3-7.2 (m, 12H Ar), 5.57 (d, 2.4 Hz, 1H, H1"), 4.92-4.52 (m, 8H, 3 CH2 벤질 + H2+ H1'), 4.35 (d, 6.8 Hz, 1H, H1), 4.30-3.50 (m, 15H), 3.48 (s, 6H, 2-OCH3), 1.46 (s, 3H), 1.43 (s,3H), 1.38 (s, 6H), 1.29 (s, 6H), 1.13 (d, 6.4 Hz, 3H, H6").
13C NMR (50 MHz, CDCl3): 137.71, 137.39, 137.30, 133.27, 133.18, 132.93 (4차 Ar), 130.0-128.0 (CH Ar), 110.54, 109.78, 108.71 (C 4차, 이소프로필리덴), 107.60(C1), 101.45 (C1'), 94.94 (C1"), 80.88, 78.86, 78.77, 78.04, 77.58, 76.49, 75.52, 75.07, 74.58, 74.25, 74.06, 72.29, 71.77, 66.29, 64.93 (C6), 62.46 (C6'), 57.72 (OCH3), 54.14 (OCH3), 16.90 (C6").
실시예 14
O-[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O-(6-O-벤조일-β-D- 갈락토피라노실 )-(1->4)-D-글루코오스 (12)의 제조. (P= 4- 클로 로벤질 및 R 3 = 벤조일인 IIIb "의 화합물)
5.00 g (4.4 밀리몰)의 (10)을 40 ml의 아세토니트릴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40℃에서 가열시키고, 7.5 ml의 2M 염산을 첨가하고 40℃에서 40' 동안 두었다.
상기 기간 후, TLC(2: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는 시작 물질의 소멸을 나타냈다.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소듐 히드록시드로 중화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30 ml의 디클로로메탄에서 용해시키고 용액을 20 ml의 물로 2회 세척하였다. 물 세척물(water washing)을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켰다.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조 생성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켰다. 3.37 그램 (3.4 밀리몰, 77%)의 (12)를 얻었다.
녹는점= 111 -112 ℃.
1H NMR (200 MHz, CDCl3+ D2O): 7.98 (pst.7.0 Hz, 2H Ar), 7.49 (m, 1H Ar), 7.35 (m, 2H Ar), 7.35-7.20 (m, 12H Ar), 5.22 (d, 3.2 Hz1 1H, H1"), 4.88-4.33 (m, 10H, 3CH2 벤질, H1 , H1', 2 H6'), 411-3.21 (m, 14H, H2, H3, H4, H5, 2 H6, H2', H3', H4', H5', H2", H3", H4", H5"), 1.17-1.11 (m, 3H, H6").
13C NMR (50 MHz, CDCl3): 166.60 (C 4차 ArCOO), 136.99, 136.83, 135.64, 133.68, 133.56, 130.06, 129.65, 129.60, 129.37, 128.81, 128.57, 101.88 (C1' α+β), 99.94 (C1"-β), 99.83 (C1"-α), 96.48 (C1-β), 92.31 (C1-α), 79.63, 79.21 , 78.46, 78.06, 77.49, 75.22, 75.07, 74.49, 73.85, 73.25, 72.77, 72.64, 72.19, 71.73, 70.52, 68.39, 68.30, 63.23, 63.02, 61.23, 61.06, 16.80 (C6").
실시예 15
중간체 IIIb' 를 통한 O-[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O-β-D- 갈락토피라노실 -(1->4)-D-글루코오스(13)의 제조. (P= 클로로벤질 R 4 = H인 식 IVa 의 화합물)
조 생성물 19.5 그램 (31 밀리몰)의 (2) 및 6 그램 (25.0 g, 46 밀리몰의 (5)로부터 시작하여 제조됨)으로부터 시작하여 실시예 12에 기술된 반응을 다시 수행하였다.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54.9 그램의 시럽을 얻었다.
시럽을 25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중의 30% 소듐 메톡시드 3.6 ml (15.7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 대조군(2:1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표시되는 바에 의해, 시작 생성물(10)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실온에 두었다(약 24시간 동안).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킨 후, 용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얻은 잔여물을 20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40℃에서 가열시키고, 28 ml의 2 M 염산을 첨가하였다.
40℃에서 45' 후, TLC 대조군(1:1 에틸아세테이트/헥산(exane))은 중간체 (11)의 소멸을 나타냈다.
그 후 현탁액을 디칼리트(dicalite) 상에서 여과시키고 30%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pH 6.5-7.0으로 중화시켰다. 실온에서 천천히 냉각시키 후, 백색 결정 침전물을 얻었다.
그 후 고체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 50℃에서 건조시켰다.
15.6 그램 (17.8 mmoies)의 (13)을 얻었고, (2)로부터의 수율은 57% 였다.
[α]D 20=-84.7 (MeOH 중 C=1.O, 평형까지). Pfus = 118-124 ℃.
HPLC 순도: 96%.
1H NMR (300 MHz, DMSO-d6): 7.4-7.2 (m, 12H 방향족), 6.65 (d, 6.6 Hz, OH β 아노머), 6.33 (d, 4.5 Hz, OH α 아노머), 5.54 (dd, 2.4 Hz, 1H, H1"), 5.00-4.52 (m, 11.4 H, 5OH, 6 CH2 벤질, H1-α), 4.39-4.12 (m, 3.6 H, 1 OH, H1', H1-β, H5"), 3.85-2.95 (m, 15H), 1.08, 1.96 (2 d 중첩, 6.0 Hz , 3H, H6").
13C NMR (75 MHz, DMSO-d6): 138.09, 138.06, 137.90, 131.88, 131.79, 131.77 (6C 4차 Ar); 129.46, 129.08, 129.06, 128.17, 128.10, 128.07 (CH 방향성); 101.03, 100.89 (C1' α e β); 96.59 (C1, β); 95.97 (C1" α+β); 91.96 (C1, α), 79.52, 78.88, 78.04, 77.96, 75.41, 75.25, 75.19, 74.83, 74.68, 74.51, 73.56, 73.46 (CH2 벤질), 72.34, 70.94 (CH2 벤질), 70.30, 69.44 (CH2 벤질), 68.72, 65.39; 60.31, 60.15, 60.11 (C6 e C6' α e β); 16.32, 16.23 (C6" α e β).
실시예 16
중간체 IIIb "을 통한 O-[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 피라노실]-(1->2)-O-β-D- 갈락토피라노실 -(1->4)-D-글루코오스 (13)의 제조. (P= 로로벤질 및 R 4 = H인 식 IVa 의 화합물)
조 생성물 19.5 그램 (31 밀리몰)의 (2) 및 조 생성물 36.9 그램의 (6)(25.0 g, 46 밀리몰의 (5)로부터 시작하여 제조)로부터 시작하여 실시예 12에 기술된 반응을 다시 수행하였다.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54.2 그램의 시럽을 얻었다.
시럽을 20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40℃에서 가열시켰다.
그 후 28 ml의 2M 염산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40' 동안 놓아 둔 후,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TLC 대조군(2: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의 양성 반응(10 시작 생성물 스팟의 부재) 후, 혼합물을 소듐 히드록시드로 중화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250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0 ml의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시럽을 25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메탄올 중의 30% 소듐 메톡시드 3.6 ml (15.7 밀리몰) 첨가 후, 용액을 실온에 24시간 동안 두었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키고 숯으로 탈색시키고, 디칼리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다시 농축시켰다.
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의 결정화 후, (2)로부터의 수율이 49% 인, 13.3 g (15.2 밀리몰)의 (13)을 얻었다.
[α]D 20=-83.9 (MeOH 중에서 C=1.O, 평형 까지). 녹는점=114-124℃. 94%의 HPLC 순도. NMR 데이터는 실시예 15에 보고된 것과 일치한다.
실시예 17
O-[2,3,4-트리-O-(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O-(6-O-벤조일-3,4-O- 이소프로필리덴 -β-D- 갈락토피라노실 )-(1->4)-2,3:5,6-디-O- 이소프로필리덴 -D-글루코오스 디메틸아세탈 (14)의 제조. (P= 2- 클로로벤질 e R3 = 벤 조일인 IIIa 의 화합물)
(2)의 정제되지 않은 시럽 (5.1 그램, (10.0 밀리몰), 의 (1)으로 부터 시작하여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됨)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32 ml)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23㎕)를 첨가하였다.
(9)의 정제되지 않은 시럽(10.0 g, 18.6 밀리몰의 (8)에서부터 시작하여 실시예 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을 40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 용액을 교반 하에 앞서 수득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의 종료 후, 용액을 실온에서 30' 동안 두었다.
혼합물의 샘플에 수행한 TLC는 예상된 생성물의 주요한 스팟(헥산/에틸 아세테이트 2:1 중에서 Rf =0.7), 미반응 수용체 (2)의 스팟 및 분해된 글리코실 공여체의 일부 스팟을 나타냈다.
트리에틸아민 (23㎕)으로 중화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작은 부피로 농축시키고,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2:1로) 실리카 겔 컬럼을 통해 통과시켰다.
6.91 그램의 (14) (6.1 밀리몰, 수용체 (2)로부터의 수율: 61%)를 무색의 시럽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8.05 (d, 7.2 Hz, 2H Ar), 7.65-7.14 (m, 15 H Ar), 5.15- 4.70 (m, 7H, 3CH2 벤질 + H2), 4.56-4.48 (m, 3H, 2H6' + h1'), 4.36 (d, 5.7 Hz, 1H, H1), 4.34-3.94 (m, 11H), 3.84 (m, 1H), 3.78 (m, 1H), 3.37 (s, 3H, OCH3), 3.35(s, 3H, OCH3), 1.51 (s, 3H), 1.48 (s, 3H), 1.41 (s, 3H), 1.38 (s, 3H), 1.30 (s, 3H), 1.28 (s, 3H), 1.22 (d, 6.6 Hz, 3H, 3H6").
13C NMR (75 MHz, CDCl3): 166.42 (ArCOO), 137.5-126.5 (C Ar), 110.47, 110.12, 108.73 (C 4차 이소프로필리덴); 105.17(C1), 101.36 (C1'), 95.00 (C1"); 80.31, 79.61, 79.17, 77.87, 77.83, 77.00, 75.37, 75.23, 74.02, 73.91, 72.26, 71.04, 70.04, 69.65, 66.65, 65.08, 63.89; 56.14, 53.12 (2 OCH3); 27.96, 27.30, 27.01, 26.77, 26.45, 24.95 (6 CH3 이소프로필리덴); 16.90 (C6").
실시예 18
O-[2,3,4-트리-O-(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O-(3,4-O-이 소프로 필리덴-β-D- 갈락토피라노실 )-(1->4)-2,3:5,6-디-O- 이소프로필리덴 -D-글루코오스 디메틸아세탈 (15)의 제조. (P=2- 클로로벤질인 IIIb' 의 화합물)
2.20 g (1.9 밀리몰)의 (14)를 4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0.21 ml (2.1 밀리몰)의 30% 소듐 히드록시드 용액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둔 후, 진공 하에서 시럽이 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15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210 ml의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층 분리 후, 유기 층을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1.85 g (1.8 밀리몰, 94%)의 무색 시럽을 얻었다.
1H NMR (200 MHz, CDCl3): 7.65-7.10 (m, 12H Ar), 5.68 (d, 3.4 Hz, 1H, H1"), 5.16- 4.68 (m, 7H, 3 CH2 벤질 + H2), 4.61 (d, 8.0 Hz, 1H, H1'), 4.36 (d, 6.6 Hz, 1H, H1), 4.32-3.60 (m, 15H), 3.49 (s, 6H, 2 OCH3), 1.50 (s, 3H), 1.48 (s, 3H), 1.39 (s, 6H), 1.29 (s, 3H), 1.27 (s, 3H), 1.20 (d, 6.6 Hz, 3H, 3H6").
13C NMR (50 MHz, CDCl3): 137.07, 136.87, 136.79, 132.65, 132.61, 133.15, 129.74, 129.68, 129.04, 129.01, 128.63, 128.46, 128.34, 128.25, 126.3, 126.73, 126.63 (C Ar); 110.59, 109.92, 108.80 (C 4차, 이소프로필리덴); 107.66 (C1), 101.65 (CT)1 95.03 (CT'), 80.91, 79.65, 79.13, 78.25, 77.74, 76.99, 75.63, 75.08, 74.67, 74.29, 74.09, 72.27, 70.38, 69.57, 66.54, 64.93, 62.55, 57.80 (OCH3), 54.08 (OCH3); 28.02, 27.22, 26.84, 26.80, 26.48, 24.88 (CH3 이소프로필리덴), 16.92 (C6").
실시예 19
중간체 IIIb' 를 통한 O-[2,3,4-트리-O-(2-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2)-O-β-D- 갈락토피라노실 -(1->4)-D-글루코오스 (16)의 제조. (P=2-클로로벤질 및 R 4 = H인 식 IV 의 화합물)
실시예 17에 기술된 반응을 동일한 양상(modality) 및 양으로 다시 수행하였다.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20.8g의 시럽을 얻었다.
시럽을 100 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1.1 ml (11 밀리몰)의 30% 소듐 히드록시드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TLC 대조군(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2:1)이 시작 생성물 (14)의 완전한 부재를 나타낼 때까지, 반응물을 실온에 두었다.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킨 후, 용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80 ml의 아세토니트릴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40℃에서 가열시키고, 11.2 ml의 2 M 염산을 첨가하였다. 40℃에서 30' 후, TLC 대조군이 중간 생성물 (15)의 부재를 나타냈다. 그 후 현탁액을 디칼리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30%의 소듐 히드록시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pH 6.5-7.0로 중화시켰다. 실온에서 천천히 냉각시킨 후에 백색 결정 침전물을 얻었고, 이를 이 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진공 하에서 건조시킨 후, 4.65 g (5.3 몰, (2)로부터의 수율: 53%)의 (16)을 얻었다.
[α]D 20=- 65.7 (MeOH 중에서 C=1.O, 평형까지), Pfus= 125-130 도
1H NMR (300 MHz, DMSO-d6): 7.75-7.20 (m, 12H 방향성), 6.68 (d, 6.6 Hz, 0.7 H, OH β 아노머), 6.35 (d, 4.5 Hz, 0.3 H, OH α 아노머), 5.63 (bs, 1H, H1"), 5.05-4.60 (m, 11,3 H, 3CH2 벤질, 5 OH, H1-α), 4.45-4.23 (m, 2.7 H, H1', H5", H1-β), 4.26 (s, 0.7H, OH), 4.14 (s, 0.3H, OH), 4.00-3.25 (m, 14.3 H), 2.99 (m, 0.7H), 1.10 (pst, 6.0Hz, 3H, H6").
13C NMR (75 MHz, DMSO-d6): 136.45, 136.34, 136.29, 131.90, 131.63, 131.52 (6C 4차 Ar); 129.56, 129.42, 128.90, 127.04, 126.96, 126.89 (CH 방향족); 100.99, 100.83 (C1'α 및 β); 96.60 (C1 , β); 96.04 (C1" α + β); 91.97 (C1, α), 79.41, 78.71, 78.56, 78.40, 76.00, 75.39, 75.21, 74.80, 74.70, 74.53, 73.69, 73.55, 72.36, 71.27 (CH2 벤질), 70.98, 70.30, 69.50, 69.44 (CH2 벤질), 68.66, 67.68 (CH2 벤질), 65.47, 60.32, 60.15, 16.14 (C1"-α), 16.05 (C6"-β).
실시예 20
중간체 (13)으로부터의 2'-O-α-L- 푸코피라노실락토오스 (17)의 제조.
12.00 g (13.7 밀리몰)의 (13)을 600 ml의 메탄올 및 8.1 g (49.3 밀리몰)의 소듐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1.5 g의 숯 상의 10% 팔라듐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수소로 포화시키고, 현탁액을 격렬한 교반 하에,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두었다. TLC 대조군(톨루엔, 메탄올, AcOH 10:10:1)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그 후 현탁액을 데칼리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시럽까지 농축시키고 두 개의 이온 교환 수지 상에서 탈이온화시켰다.
농축 및 메탄올/n-프로판올로부터의 결정화 후 5.70 그램 (85%)의 2'-α-L-푸코피라노실락토오스를 얻었다.
HPLC 순도: 99%
NMR 스펙트럼은 문헌과 일치하였다 (Y. Ishizuka et al. J. Carbohyd. Chem. (1999), 18(5), 523-533).
실시예 21
중간체 (16)으로부터 2'-O-α-L- 푸코피라노실락토오스 (17)의 제조.
4.00 g (4.6 밀리몰)의 (16)을 200 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2.7 g (16 밀리몰)의 소듐 아세테이트 및 0.5 g의 숯 상의 10% 팔라듐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수소로 포화시키고 현탁액을 격렬한 교반 하에,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두었다. TLC 대조군 (톨루엔, 메탄올, AcOH 10:10:1)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그 후 현탁액을 데칼리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시럽까지 농축시키고 두 개의 이온 교환 수지 상에서 탈이온화 시켰다.
농축 및 메탄올/n-프로판올로부터의 결정화 후 1.98 그램 (88%)의 2'-α-L-푸코피라노실락토오스를 얻었다.
HPLC 순도: 98%
NMR 스펙트럼은 문헌과 일치하였다 (Y. Ishizuka et al. J. Carbohyd. Chem. (1999), 18(5), 523-533).
하기 실시예 22-26은 하기에 간략히 나타낸 합성의 실험 세부사항을 보고한다.
Figure pct00026

실시예 22
4,6-0- 벤질리덴 -2- 아세트아미도 -2- 데옥시 -D- 글루코피라노시드 (18)의 제조.
44.3 g (0.2 몰)의 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시드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현탁시키고 3.82 g (20 밀리몰)의 p-톨루엔 술폰산 및 50 ml의 벤즈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을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60℃에서 가열시키고 80분 후 3.5 ml (25 밀리몰)의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150g 까지 농축시키고 물로 결정화시켰다. 44.2 g (71%)을 얻었다.
1H (300 MHz, DMSO-d6) 7.81 (d, 8.1 Hz, 1H, NH), 7.49-7.37 (m, 5H, Ar), 6.75 (d, 5.7 Hz, 1 H, OH 1), 5.61 (s, 1H, CHPh), 5.2 (d, 5.4 Hz, 1 H, OH3-β), 5.05 (d, 5.4 Hz, 1 H, OH3-α), 4.99 (t, J 4.2 e 3.6 Hz, 1H, H1-α), 4.62 (t, 1H, H1-β), 4.18 (dd, 6.0 Hz, 1H, H6-β), 4.10 (dd, J 4.5 e 9.9 Hz, H6-α), 3.90-3.56 (m, 4H, H2, H4, H5, H6), 3.45 (t, 9.0 Hz, 1H, H3), 1.85 (s, 3H, CH3Ac-α), 1.83 (s, 3H, CH3 Ac-β)
13C(75 MHz, DMSO-d6): 169.43 (COAc), 137.82 (C 4차 Ar), 128.81, 127.99, 126.35 (CH Ar), 100.85 (CH Ph-β), 100.67 (CH Ph-α), 96.0 (C1β), 91.45 (C1α), 82.46 (C4α), 81.51 (C4β), 70.49, 68.27, 67.94, 67.18, 65.85 (C6β), 62.05 (C6α), 58.03 (C2β), 54.74 (C2α), 23.07 (CH3 Ac-β), 22.63 (CH3 Ac-α)
실시예 23
1,3-디-O-아세틸-4,6-O- 벤질리덴 -2- 아세트아미도 -2- 데옥시 -D- 글루코피라노시 드 (19)의 제조.
20 그램 (64.7 밀리몰)의 (18)을 아세토니트릴 (200 ml) 및 트리에틸아민 (22.5 ml) 중에 현탁시켰다. 15 ml의 무수 아세트산을 50℃에서 미리 가열된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첨가의 종료 후, 용액을 침전물의 형성이 관찰될 때까지 65℃에서 수 분동안 두었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고체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였다. 12.1 g의 생성물을 얻었다.
모액을 농축시키고 추가적인 11.8 g의 생성물을 회수하였다.
총 산출은 23.9 그램 (94%)이었다.
1H NMR (300 MHz, CDCl3): 7.46-7.35 (m, 5H, Ar), 6.14 (d, J1, 23.6 Hz, 1H, H1), 5.83 (bd, 1H, NH), 5.54 (s, 1H, CHPh), 5.33 (t, 10.5 Hz, 1H1 H3), 4.48 (ddd, 1H, H2), 4.30 (dd, 1H, H6), 3.92 (dd, 1H, H6), 3.79 (t, 9.6 Hz, 1H, H5), 3.76 (t, 9.3, Hz, 1H, H4), 2.07, 1.94, 1.93 (3s, 9H, CH3 Ac)
13C NMR (75 MHz, CDCl3): 171.96, 170.24, 169.10, (COAc), 136.88 (C 4차 Ar), 129.36, 128.39, 126.27 (CH Ar), 101.79 (CH Ph), 91.35 (C1), 78.60, 69.95, 68.72 (C4, C3, C5), 65.04 (C6), 51.82 (C2), 23.11 (CH3 NHAc), 22.63 (CH3 OAc)
실시예 24
1,3-디-O-아세틸-6-O-벤질-2- 아세트아미도 -2- 데옥시 -D- 글루코피라노시드 (20)의 제조.
5.0 그램 (12.7 밀리몰)의 (19)를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시아노 보로히드리드(4.0 g, 63.6 밀리몰) 및 분자체(molecular sieve)(10g)와 함께 N2 대기 하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1 시간 후, 6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2% 메탄술폰산을 적가하였다.
첨가 시작 후 3 시간 후, 용액을 냉각시키고 75 ml의 히드로겐 카르보네이트로 포화된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현탁액을 디칼리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여 소듐 카르보네이트로 포화된 용액으로 세척하고, 그 후 물로 세척하고 소듐 술페이트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액을 건조상태까지 농축시켜 4.1 g (80%)의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7.36-7.31 (m, 5H, Ar), 6.13 (d, J1 ,2 3.6 Hz, 1H, H1), 5.68 (d, JNH ,2 8.4, 1H, NH), 5.12 (dd, J2 ,3 11.1, J3 ,4 8.7 Hz, 1H, H3), 4.57 (q, 12 Hz, 2H, CH2Bn), 4.34 (ddd, J 3.6, 8.7, 11.1, 1H, H2), 3.90-3.64 (m, 4H1 H4, H5, 2H6), 3.04 (bs, 1H, OH4), 2.16, 2.12 (2s, 6H, CH3 OAc), 1.87 (s, 3H, CH3 NHAc)
13C NMR (75 MHz, CDCl3): 172.49, 170.34, 169.26 (COAc), 137.45 (C 4차 Ar), 128.70, 128.19, 127.99 (CH Ar), 91.10 (C1), 74.10 (CH2Bn), 73.07, 71.83, 70.22 (C3, C4, C5), 68.11 (C6), 51.25 (C2), 23.21 (CH3 NHAc), 21.14 (2CH3 OAc)
실시예 25
O-[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4)-O-1,3-디-O-아세틸-6-O-벤질-2- 아세트아미도 -2- 데옥시 -D- 글루코피라노시드 (21)의 제조. (P=4- 클로로벤질인 III 의 화합물)
2.6 g (6.55 밀리몰)의 (20)을 실시예 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해 톨루엔/메탄올=4/1을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2.95 g의 백색 고체 (51%)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7.29-7.14 (m, 15H Ar), 6.17 (d, 3.6 Hz, 1H, H1), 5.58 (d, 9.0 Hz, 1H, NH), 5.19 (dd, 1H, H3), 5.00 (d, 3.6 Hz, 1H, H1'), 4.83 (d, 11.4 Hz, 1H, 벤질 H) 4.65-4.40 (m, 7H, 벤질 CH2), 4.39-4.31 (m, 1H, H2), 3.95-3.74 (m, 7H, H4, H5, 2H6, H2', H3', H5'), 3.6 (bs, 1H, H4'), 2.17, 2.06 (2s, 6H, 2CH3 OAc), 1.92 (s, 3H, CH3 NAc), 1.12 (d, 6.3 Hz, 3H, H6').
13C NMR (75 MHz, CDCl3): 172.44, 170.7, 169.00 (3 CO Ac), 138.30, 136.96, 136.90, 133.68, 133.61 (7C 4차 Ar); 129.57, 129.38, 128.70, 128.63, 128.51, 128.43, 128.32, 127.63, 127.59, 127.55 (CH Ar); 99.56 (C1'-α); 90.91 (C1-α), 79.01, 78.18, 76.38, 75.62, 74.43, 73.65, 73.10, 72.77, 72.09, 68.26 (C6), 67.55, 51.51 (C2), 23.12 (CH3 NAc), 21.31, 21.12 (2 CH3 AcO), 16.54 (C6').
실시예 26
O-[2,3,4-트리-O-(4- 클로로벤질 )-6- 데옥시 -α-L- 갈락토피라노실 ]-(1->4)-O-6-O-벤질-2- 아세트아미도 -2- 데옥시 -D- 글루코피라노시드 (22)의 제조. (P=4- 클로로벤질인 IV 의 화합물)
1.25 g (1.37 밀리몰)의 (21)을 7.5 ml의 메탄올 중에 현탁시키고 79 ㎕의 메탄올 중의 30 % 소듐 메톡시드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1 시간 동안 실온에 두었다.
생성된 현탁액을 아세트 산(23 ㎕)으로 중화시키고 물 (8 ml)로 처리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메탄올/물 1:1로 세척하였다. 1.05 g의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6): 7.71 (d, 7.8 Hz, NH), 7.4-7.2 (m, 17H Ar), 6.56 (d, 4.2 Hz, 아노머 OH), 5.0 (d, 3.3 Hz, 1H, H1'-α), 4.96-4.94 (m, 1H, H1-α), 4.80- 4.53 (m, 8H, OH, 3 CH2Bn, H3), 4.35-4.26 (m, 3H), 3.85-2.95 (m, 10H), 1.84 (s, 3H, CH3 NAc), (d, 6.6 Hz, 3H, H6').
13C NMR (75 MHz, DMSO-d6): 169.37 (CO Ac), 138.41, 138.02, 137.81, 137.60, 131.93, 131.87, 131.83 (7C 4차 Ar); 129.35, 129.32, 128.91, 128.17, 128.14, 128.11, 128.07, 127.33 (CH Ar); 97.46 (C1'α); 90.32 (C1α), 78.36, 77.89, 75.66, 73.45 (벤질 CH2), 72.22, 71.98, 71.70, 70.34, 69.44 (벤질 CH2), 69.23, 68.79, 66.29 (C6); 54.42 (C2), 16.35 (C6').

Claims (10)

  1. 식 (I)을 가지며,
    Figure pct00027

    상기 식 중,
    R은 유리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인 것인 푸코실 유도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 식 (IV)의 중간체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pct00028

    상기 식 중 P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29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는 R에 상응하여,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이고,
    상기 벤질기에 의해 보호되는 히드록시기는 -OCH2Ph 또는 -OP이고;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히드록시기는 R" 상에 n개의 히드록실이 존재하는 경우, n이 짝수인 경우 최대 n/2개 또는 n이 홀수인 경우 최대 (n-1)/2개가 상기 벤질기에 의해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을 얻기 위해 중간체 (IV)로부터 벤질기를 제거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들이 상기 c)단계 전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a) P는 전술된 것과 같고; X는 아노머 탄소 활성화기인 것인, 식 (II)의 2,3,4-트리-O-벤질-푸코피라노실 유도체 공여체를
    Figure pct00030

    R'은 R에 상응하여, 히드록시기가 적절히 보호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으로서, 상기 히드록시기는 최대 2개가 유리 상태이고, 선택적으로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되고, 나머지 히드록시기는 벤질기를 보존하고, 특히 푸코실 모이어티에 존재하는 -OP 기를 보존하기 위한 조건에서 제거되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작용기(group)로 보호되는 것인 식 R'OH의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 글리코실 수용체 (acceptor)와 결합시켜;
    P 및 R'이 전술된 바와 같은 것인 식 (III)의 중간체를 얻는 단계;
    Figure pct00031

    b) 푸코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OP 기를 보존하고, 선택적으로는 R' 상에 존재하는 벤질기를 보존하는 조건 하에서, 당 모이어티 R'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R" 및 P는 전술된 바와 같은 식 (IV)의 중간체를 얻는 단계.
    Figure pct00032

  4. 하기 식 (II) 또는 (IV)의 2,3,4-트리-O-벤질-L-푸코실 유도체 화합물로서,
    Figure pct00033

    상기 식 중, P는 서로 독립적인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34

    상기 식 중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X는 이미데이트이고;
    R"은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 것인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이고,
    식 (II)의 화합물에서, X는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네이트이고 R1은 p-클로로인 경우, R2는 수소가 아닌 것인 조건을 만족하는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은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로 부분적으로 보호된 것인, 락토오스, 푸코오스, (2-아세틸아미노)-락토오스, (2-아미노)-락토오스, (2-아지도)- 락토오스, 락토-N-비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2-아미노)-글루코오스 및 (2-아지도)-글루코오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식 (IV)의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 은 그의 히드록시기가 유리 상태이거나 또는 벤질기로 부분적으로 보호된 것인, 2'-락토오스, 3-락토오스, 3-(2-아세틸아미노)-락토오스, 3-(2-아미노)-락토오스, 3-(2-아지도)-락토오스, 4-락토-N-비오스, 2-갈락토오스, 3-글루코오스, 3-(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3-(2-아미노)-글루코오스, 3-(2-아지도)-글루코오스, 4-(2-아세틸아미노)-글루코오스, 4-(2-아미노)-글루코오스 및 4-(2-아지도)-글루코오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은 P는 전술된 바와 같고; R4는 수소, 벤질 또는 P인 것인 하기 식 (IVa)의 화합물인 2'-락토오스인 것인 화합물.
    Figure pct00035
  8. 제4항 내지 제7항에 기술된 식 (IV)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공여체로서의 식 (II)의 화합물의 용도로서,
    상기 식 (II)에서
    X는 이미데이트 또는 할로겐 중에서 선택되는 아노머 탄소 활성화기이고; P는 서로 독립적인 하기 식의 벤질기이고,
    Figure pct00036

    상기 R1은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고; R2는 수소, 염소, 브롬, 알콕시 및 니트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9. 제8항에 있어서, X가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또는 α-브롬인 것인 화합물의 식(II)의 용도.
  10. 제8항 및 제9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방법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푸코실 공여체로서의 식 (II)의 화합물의 용도.


KR1020117016534A 2008-12-18 2009-12-18 L-푸코실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 및 그의 신규한 2,3,4 트리벤질-푸코실 유도체 중간체의 합성 방법 KR20110101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8A000244 2008-12-18
ITFI2008A000244A IT1392456B1 (it) 2008-12-18 2008-12-18 Processo per la sintesi di di- o oligosaccaridi l-fucosilati e loro nuovi intermedi 2,3,4-tribenzil-fucosil-derivat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207A true KR20110101207A (ko) 2011-09-15

Family

ID=4105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534A KR20110101207A (ko) 2008-12-18 2009-12-18 L-푸코실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 및 그의 신규한 2,3,4 트리벤질-푸코실 유도체 중간체의 합성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10245488A1 (ko)
EP (1) EP2382226B1 (ko)
JP (1) JP2012512865A (ko)
KR (1) KR20110101207A (ko)
CN (1) CN102256988A (ko)
AU (1) AU2009329067A1 (ko)
BR (1) BRPI0922381A2 (ko)
CA (1) CA2746436A1 (ko)
CO (1) CO6501145A2 (ko)
IT (1) IT1392456B1 (ko)
MX (1) MX2011006357A (ko)
NZ (1) NZ593882A (ko)
RU (1) RU2011129688A (ko)
SG (1) SG171990A1 (ko)
WO (1) WO2010070616A2 (ko)
ZA (1) ZA2011051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5934A1 (en) 2009-04-07 2010-10-14 Glycom A/S Synthesis of 2'-o-fucosyllactose
CN103025749B (zh) * 2010-06-01 2016-06-01 格礼卡姆股份公司 2’-o-岩藻糖基乳糖的多晶型物及其制备
ITFI20120143A1 (it) 2012-07-12 2014-01-13 Inalco S A S Di Giovanni Cipollett I & C Polimorfi idrati e anidri del 2'-o-fucosillattosio e loro metodi di produzione.
WO2014075680A1 (en) * 2012-11-13 2014-05-22 Glycom A/S Crystalline 3-o-fucosyllactose
EP3041946B1 (en) 2013-09-06 2021-05-26 Glycom A/S Fermentative production of oligosaccharides
CN105017341B (zh) * 2014-04-22 2018-05-15 华东师范大学 硫酸化岩藻-半乳四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202015009782U1 (de) 2014-06-11 2020-02-10 Glycom A/S Trennung von 2'-O-Fucosyllactose aus Fermentationsbrühe
CR20170134A (es) 2014-09-12 2017-06-13 Basf Se Método para preparar 2´-o-fucosil-lactosa
US10676770B2 (en) 2014-12-16 2020-06-09 Glycom A/S Separation of 2′-FL from a fermentation broth
CN108602845A (zh) * 2016-02-03 2018-09-28 巴斯夫欧洲公司 生产2’-o-岩藻糖基乳糖的方法
CN108699093A (zh) * 2016-03-09 2018-10-23 巴斯夫欧洲公司 制备2′-o-岩藻糖基乳糖的方法
SG11201907911PA (en) * 2017-03-06 2019-09-27 Dupont Nutrition Biosci Aps Process for crystallizing 2'-fucosyllactose and related compositions
CN108236115A (zh) * 2017-12-28 2018-07-03 大连医科大学 一种具有促进双歧杆菌和乳酸杆菌生长的核心岩藻糖基化寡糖及其应用
EP3746456A1 (en) 2018-10-18 2020-12-09 Basf Se Crystalline form ii of 2'-o-fucosyllactose, process for its preparation, nutritional, cosmetic or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ntaining the same
CN115279778A (zh) 2020-03-12 2022-11-01 格礼卡姆股份公司 2’-fl的结晶
CN114990175B (zh) * 2021-10-22 2023-03-31 岩唐生物科技(杭州)有限责任公司 一种岩藻糖衍生物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92A (ja) * 1992-07-03 1994-01-25 Nisshin Oil Mills Ltd:The 新規糖誘導体
JP2625620B2 (ja) * 1992-12-01 1997-07-02 株式会社ディ・ディ・エス研究所 フコシル‐グルコサミン誘導体
JPH08217786A (ja) * 1995-02-17 1996-08-27 Sumitomo Pharmaceut Co Ltd ルイスx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87271A (ja) * 1995-07-18 1997-03-31 Sumitomo Pharmaceut Co Ltd ルイスx/a−C−グリコシド誘導体
WO1997018222A2 (en) * 1995-11-13 1997-05-22 Glycomed, Inc. Novel oligosaccharide glycosides having mammalian immunosuppressive and tolerogenic properties
JPH09301988A (ja) * 1996-05-17 1997-11-25 Sumitomo Pharmaceut Co Ltd グルコサミン誘導体
US5945314A (en) 1997-03-31 1999-08-31 Abbott Laboratories Process for synthesizing oligosacchar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105102B (en) 2012-03-28
BRPI0922381A2 (pt) 2015-08-11
WO2010070616A3 (en) 2010-10-07
JP2012512865A (ja) 2012-06-07
SG171990A1 (en) 2011-07-28
RU2011129688A (ru) 2013-01-27
EP2382226B1 (en) 2013-12-04
WO2010070616A8 (en) 2011-07-28
WO2010070616A2 (en) 2010-06-24
MX2011006357A (es) 2011-09-26
CA2746436A1 (en) 2010-06-24
AU2009329067A1 (en) 2011-07-28
EP2382226A2 (en) 2011-11-02
NZ593882A (en) 2013-02-22
CN102256988A (zh) 2011-11-23
ITFI20080244A1 (it) 2010-06-19
US20110245488A1 (en) 2011-10-06
IT1392456B1 (it) 2012-03-09
CO6501145A2 (es)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2226B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l-fucosyl di- or oligosaccharides and novel 2,3,4 tribenzyl-fucosyl derivatives intermediates thereof
EP2828275B1 (en) Synthesis of the trisaccharide 3-o-fucosyllactose and intermediates thereof
EP2417144B1 (en) Synthesis of 2'-o-fucosyllactose
EP2536737B1 (en) A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tetrasaccharide lacto-n-neotetraose (lnnt) containing n-acetyllactosamine
EP2678348A1 (en) Novel glycosyl phosphites
JP5738272B2 (ja) 6’−シアリルラクトース塩並びに6’−シアリルラクトース塩及び他のa−シアリルオリゴ糖の合成方法
JP2518739B2 (ja) 腫瘍抑制サツカライド包合体
Lindberg et al. Efficient routes to glucosamine-myo-inositol derivatives, key building blocks in the synthesis of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anchor substances
JP6140830B2 (ja) α−ガラクトシルセラ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KR20140042802A (ko) N-치환된 만노사민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WO2008069303A1 (ja) フラノース誘導体の製造方法
Le Guen et al. Allyl 4, 6-O-benzylidene-2-deoxy-2-trichloroacetamido-β-d-glucopyranoside
JPH09241288A (ja) グリコシル化合物の立体選択的な製造方法
Wieczorek et al. Ferrier Glycosylation for Formation of Modified Lewis X and Lewis A Disaccharide Structures.
ITFI20120017A1 (it) SALI DI 6Âeuro¿-SIALILLATTOSIO E PROCESSO PER LA LORO SINTESI E PER LA SINTESI DI ALTRI Ï¿¡-SIALILOLIGOSACCARID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