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2970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970A
KR20110072970A KR1020090130098A KR20090130098A KR20110072970A KR 20110072970 A KR20110072970 A KR 20110072970A KR 1020090130098 A KR1020090130098 A KR 1020090130098A KR 20090130098 A KR20090130098 A KR 20090130098A KR 20110072970 A KR20110072970 A KR 2011007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signal
content provider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훈
김운영
구상준
유경희
이형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970A/ko
Priority to US12/976,634 priority patent/US20110149173A1/en
Priority to EP10196538A priority patent/EP2357805A1/en
Publication of KR2011007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의 온라인 공유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공급자를 해당 컨텐츠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방대한 컨텐츠의 업로드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어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여,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IPTV(Internet Protocol TV)와 같이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 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에게 개별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화상전화 서비스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자신이 보유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대한 양의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의 온라인 공유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공급자를 해당 컨텐츠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방대한 컨텐츠의 업로드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 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컨텐츠 공급자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는 네트워크 운영자(20),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영상표시장치(10)는 컨텐츠 제공자(3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유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에는 컨텐츠 제공자(3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3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3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3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펌웨어는 영상표시장치(1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20) 또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20)는 영상표시장치(10)에 컨텐츠 제공자(3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영상표시장치(1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 또는 영상표시장치(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30)에게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영상표시장치(10)의 하드웨어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20)는 컨텐츠 제공자들(31, 32, 33, 34)이 제공한 컨텐츠들을 영상표시장치(10)에 제공할 때 필요한 기본 화면 프레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20)는 영상표시장치(1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관련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20)는 영상표시장치(10)의 제조자와 동일 주체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3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1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영상표시장치(1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자(3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자(30)가 인터넷을 통해 직접 영상표시장치(1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운 영자(20)를 거쳐 영상표시장치(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영상표시장치(10)는 컨텐츠 제공자(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10)는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TV,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텐츠 제공자(30)는 영상표시장치(1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들거나 또는 배포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30)는 통상적인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외에도, VOD(Video On Demand) 사업자 및 AOD (Audio On Demand) 사업자와 같이,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사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VOD나 AOD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들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30)는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MOD(Music On Demand)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영상표시장치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 전화 사업자, 여러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는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을 편집 및 저장하는 툴을 제공해주는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컨텐츠 제공자(30)는 PF(Packet Filter) 서버, EPG 서비스 제공자, ECG(Electronic Content Guide) 서비스 업자, 포털 서버(Portal Server) 운영자 등 인터넷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 운영자일 수 있다.
PF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로케이션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EPG 정보를 제공한다.
ECG 서비스는 컨텐츠 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와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컨텐츠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 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포털 서버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국이나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서버로 연결한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5), 신호입출력부(128), 복조부(130), 센서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75), 디스플레이부(180) 및 음향 출력부(1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튜너(12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20)는 디지털방송 신호와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바로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튜너(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튜너(120)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튜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 튜너(미도시)는, 튜너(120)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와 별개로, 기저장된 방송 채널의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 튜너(미도시)는, 튜너(120)와 유사하게, 수신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30)는, 튜너(12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30)는, 8-VSB (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3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3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3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5)는 이더넷(Ethernet)단자 등을 포함하여, 유선으 로 인터넷과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상술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5)의 이더넷(Ethernet) 단자,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인터넷 네트워크 접속 또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128)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 입출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신호입출력부(128)는,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128)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영상 신호, 외부 입력 음성 신호, 및 외부 입력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 내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 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와의 영상/음성/데이터 신호의 입/출력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6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제어부(160)에 입력되거나 또는 별도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신호입출력부(128)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한편, 신호입출력부(128)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에 입력되어 처리될 수 있다.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다양한 규격에 따른 신호일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스트림 신호인 것을 도시한다.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13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의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는, 제어부(160)에 입력되어,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에 입력되기 전에,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미도시)에 입력되어 채널 브라우징을 위한 처리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3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운영자(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3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OSD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튜너(12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예를 들어 MPEG-2 TS 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향 출력부(185),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외부출력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120) 또는 신호입출력부(128)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표시되며,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향출력부(185),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 호에 기초하여,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생성된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각각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신호입출력부(12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7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75)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18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신호입출력부(128)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을 통해 직접 데이터나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화면에 나타난 특정 오브젝트나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stylus) 펜과 같은 물체가 화면을 터치했을 때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손 끝과 스타일러스 펜이 아닌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 정압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고, 본원 발명은 터치 스크린의 구현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80)를 구성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위치 또는 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음성 센서는 사용자 음성 또는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다양한 소리를 센싱할 수 있다. 위 치 센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동작 센서는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위치 센서 또는 동작 센서는 적외선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 사용자의 움직임 유무, 사용자의 손동작, 사용자의 키, 사용자의 눈 높이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센서는 사용자의 음성, 터치, 위치, 동작들을 센싱한 결과를 별도의 센싱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전달하거나, 또는 센싱 결과를 1차적으로 해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입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85)는, 제어부(1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85)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61)와 포맷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61)는,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거친 방송 신호 또는 신호입출력부(128)를 거친 외부입력신호 중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영상처 리부(161)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 신호가 역다중화된 신호일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C-C part 3 의 깊이(depth) 영상인 경우, MPEC-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시차(disparity) 정보가 복호화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처리부(161)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일 수 있다.
포맷터(163)는,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3D 영상 신호를 복수 시점의 영상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OSD 생성부(165)와 믹서(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SD 생성부(165)는, 영상처리부(161)로부터, 캡션 또는 데이터 방송 등과 관련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캡션 또는 데이터 방송 등과 관련된 OSD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믹서(167)는, 복호화된 영상 신호와 OSD 생성부(165)에서 생성된 OSD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서(167)의 출력은 포맷터(163)에서 입력 받아 각종 OSD 를 포함한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6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6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의 원격제어장치로 공간 리모콘(301)의 사용될 수 있다.
공간 리모콘(3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 리모콘(301)에 대응하는 포인터(30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 리모콘(3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 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302)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4b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간 리모콘(30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공간 리모콘(3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302)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도 4a 및 도 4b는 공간 리모콘(30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302)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302)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 리모콘(30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 리모콘(301)이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2의 인터페이스부와 도4의 공간 리모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간 리모콘(301)은, 무선 통신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서부(340), 출력부(350), 전원공급부(360), 메모리(370),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2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3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3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콘(3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 (3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3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3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공간 리모콘(3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3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콘(3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3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0)를 조작하여 공간 리모콘(3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공간 리모콘(3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 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 리모콘(3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340)는 자이로 센서(341) 또는 가속도 센서(343)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41)는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341)는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41)는 공간 리모콘(30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3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3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3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3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3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공간 리모콘(3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360)는 공간 리모콘(3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공간 리모콘(3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공간 리모콘(3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공간 리모콘(301)이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3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 리모콘(301)과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 리모콘(301)의 제어부(380)는 공간 리모콘(301)과 페어링(pairing)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3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공간 리모콘(3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사용자 입력부(3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340)에서 센싱한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3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310)는, 공간 리모콘(3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320)와,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20)는 RF 모듈(321)을 통하여 공간 리모콘(3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323)을 통하여 공간 리모콘(3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315)는 무선 통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3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공간 리모콘(301)의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송된다. 제어부(160)는 공간 리모콘(3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화면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 Provider)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접속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에 진입했을 때의 초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이다.
상기 메뉴 화면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CP)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주제를 갖는 배경 화면(610)도 포함할 수 있다.
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수, 크기, 위치 및 배열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오브젝트(620)는 각 컨텐츠 제공자(CP)의 명칭, 컨텐츠 제공자(CP)를 나타내는 정지 영상,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620)는 네트워크 운영자(20) 또는 컨텐츠 제공자(30)에 의해 업데이트되거나, 영상표시장치가 직접 컨텐츠 제공자(30)의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한편, 배경 화면(610)은 임의의 정보나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정보나 안내 메시지는 네트워크 운영자(20) 또는 컨텐츠 제공자(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오브젝트들(620)은 각각 컨텐츠 제공자(CP)에 대응하고, 사용자는 오브젝트들(620)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CP)의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들(620)을 배경 화면(610)의 주제와 관련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영상은 각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CP)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상술한 공간 리모컨(301)과 같은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CP_A(621), CP_B(622), CP_C, CP_D, CP_E라는 컨텐츠 제공자(CP)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지만, 메뉴 화면에는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종류와 수는 가변될 수 있다. 오브젝트들(620)의 좌우에는 스크롤바(630)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스크롤바(630)를 선택하면 추가적인 오브젝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CP)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과학, 날씨 정보, 영화, 사진과 같이, 특정 주제 또는 분야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일 수 있다.
사용자가 오브젝트(620) 중 하나, 예를 들어, 오브젝트 CP_B(622)를 선택하면 CP_B(622)는 다른 오브젝트(621)와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오브젝트 CP_B(622)가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살표 버튼을 조작하거나, 원격제어장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하이라이트가 선택된 오브젝트로 이동될 수 있다.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의 선택 키 또는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는 키를 누르면 선택된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로 접속하고,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12는 도 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단계(S710)와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단계(S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은 컨텐츠의 명칭과 같은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사진, 즉 컨텐츠 그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이미지는 해당 컨텐츠에서 추출된 썸네일 영상일 수 있으며,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에는 가수, 연주자 등과 같이 음악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오브젝트는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사용자 또는 타인이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보유한 컨텐츠의 수가 많아지고, 연결 가능한 컨텐츠 제공자의 수도 많아지면, 사용자는 수많은 컨텐츠를 각각 어떤 컨텐츠 제공자에 전송하였는지 기억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컨텐츠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해당 컨텐츠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브젝트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즉 영상표시장치가 접속하여 전송받은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제공자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유사한 컨텐츠를 이용하고 싶을 때 표시된 컨텐츠 제공자에 우선적으로 접속하여 컨텐츠 검색의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8A를 살펴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810)들이 표시되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831, 832, 833, 834)들이 각 컨텐츠 제공자와 공유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표시된다.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오브젝트(831, 832, 833, 834)들은 각각 다른 컨텐츠 제공자에 대응한다.
제1 오브젝트는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로고, 사진, 아이콘, 동영상 등일 수 있으며, 제1 오브젝트가 이미지(180) 내에서 표시되는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가 스티커와 같이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부착된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공간 리모콘(301) 등을 조작하여 제1 오브젝트가 부착되는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목 또는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항목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가변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810)들을 공유된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의 종류 등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drag)하여 상기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드랍(drop)하는 경우,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 기능에 대응하는 휴지통 아이콘(840)으로 이미지(810)가 드래그, 드랍되는 경우 드랍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항목,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1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는 3D 오브젝트일 수 있다. 도 8b는 도 8a의 화면이 3D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3D 오브젝트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된 것으로 보이는 3D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D 영상의 돌출되어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깊이(depth)와 3D 영상의 크기를 가변하며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처리부(161)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호 처리하고, 포맷터(163)에서 3D 영상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3D 오브젝트의 깊이(depth)는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오브젝트 중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 은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크기, 투명도, 색상, 위치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8C를 살펴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850)의 제1 영역(860)에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61, 862)가 표시된다. 즉, 영상표시장치가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한 컨텐츠 제공자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의 업로드 공유 현황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850)의 제2 영역(870)에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71)을 표시한다. 즉, 해당 컨텐츠의 제공자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C에서는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61, 862)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71)의 표시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양자를 쉽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일예를 들었으나, 오브젝트의 크기, 투명도, 색상, 밝기 등을 상이하게 표시하여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931, 932, 933)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각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911, 912, 913)가 표시되고, 화면의 우측에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931, 932, 933가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영상표시장치와 해당 컨텐츠 제공자와의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의 크기, 투명도,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 이상 등으로 인하여 특정 컨텐츠 제공자와의 접속 상태가 좋지 않다면, 대응하는 제2 오브젝트의 크기를 작게 표시하거나, 흑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 또는 인터넷에 문제가 있다면 전체 또는 대부분의 컨텐츠 제공자와의 접속 상태가 나쁠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에는 전체 또는 대부분의 제2 오브젝트의 작거나, 흑백으로 표시하여 접속 상태가 양호한 컨텐츠 제공자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3개의 제2 오브젝트가 화면의 우측에 표시되는 일예를 도시하였으나,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의 수와 표시되는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드랍하거나,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로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드래그 동작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장치의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이동, 설정, 편집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실행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302)로 복수의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포커싱 또는 선택한 후, 화면의 다른 지점까지 공간 리모콘(301)을 이용하여 포인터(302)를 드래그한 뒤 포커싱 또는 선택을 해제하면 드랍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911, 912)를 드래그하여 컨텐츠 제공자 CP_A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931)로 드랍하면, 선택된 이미지(911, 912)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된다.
컨텐츠 제공자에 대응하는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미지(960)를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 드랍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유 정보는 컨텐츠의 전체 용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중인 경우에는 전송 비율, 전송 소요 시간, 전송 속도, 전송 완료시간 및 전송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숫자, 그래프 등을 조합하여 다양하게 오브젝트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의 전송 중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전송이 완료되면, 도 10과 같이 해당 컨텐츠가 전송, 업로드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934)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브젝트(934)와 제2 오브젝트(931)는 일관성을 위하여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경우에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drag)하여 상기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드랍(drop)하는 경우,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전송 기능에 대응하는 이메일 오브젝트(940)로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가 드래그, 드랍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이메일 전송하고, 삭제 기능에 대응하는 휴지통 오브젝트(950)로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가 드래그, 드랍되는 경우 드랍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들과 오브젝트가 3D 영상으로 표시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160), 특히 포맷터(163)는 3D 오브젝트의 표시 크기 및 깊이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도록 신호처리할 수 있고, 깊이가 클수록, 좌안용 3D 오브젝트와 우안용 3D 오브젝트의 거리감(disparity)이 작아지게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 특히 포맷터(163)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960)는 다른 이미지보다 더 돌출되게 보이도록 신호처리할 수 있다.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드랍하거나,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로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오브젝트들(971, 972, 973, 97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미지(960)로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된 제2 오브젝트(972)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미지(960)를 제2 오브젝트로 드래그, 드랍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휴지통 오브젝트(980)를 이용한 컨텐츠의 삭제도 이와 유사하다.
한편, 선택된 오브젝트(972)의 크기를 가변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전송중인 경우 또는 드래그 동작 중인 경우에 도 12와 같이 해당하는 오브젝트(975)의 색상, 크기 등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제스처 신호가 기설정된 이동, 설정, 편집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2는 사용자의 제스처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다양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와 함께 표시하여 컨텐츠의 온라인 공유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공급자를 해당 컨텐츠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방대한 컨텐츠의 업로드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콘, 제스처 인식을 통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방법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즐거움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이용, 관리할 수 있는 등 사용 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영상 감상 기능을 넘어서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방대한 컨텐츠 공유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 허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컨텐츠 공급자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2의 인터페이스부 중 일부와 도 4의 공간 리모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2는 도 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상기 이미지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브젝트 표시 단계는,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의 크기, 투명도,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로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항목 또는 상기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드랍하는 경우,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브젝트 중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크기, 투명도, 색상, 위치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컨텐츠의 전체 용량, 전송 비율, 전송 소요 시간, 전송 속도, 전송 완료시간 및 전송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또는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항목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가변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1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는 3D 오브젝 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스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스처 신호가 기설정된 이동, 설정, 편집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장치의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이동, 설정, 편집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컨텐츠에 대응하는 항목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의 공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은 컨텐츠 제공자,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목 또는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드래그하여 상기 항목 또는 이미지로 드랍하는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2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는 영상 처리부;
    OSD 신호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
    상기 복호화된 영상 신호와 상기 OSD 신호를 믹싱하는 믹서; 및
    상기 믹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3D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시점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스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제스처 신호가 기설정된 이동, 설정, 편집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장치의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이동, 설정, 편집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90130098A 2009-12-23 2009-12-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2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98A KR20110072970A (ko) 2009-12-23 2009-12-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2/976,634 US20110149173A1 (en) 2009-12-23 2010-12-22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0196538A EP2357805A1 (en) 2009-12-23 2010-12-22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98A KR20110072970A (ko) 2009-12-23 2009-12-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70A true KR20110072970A (ko) 2011-06-29

Family

ID=4373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098A KR20110072970A (ko) 2009-12-23 2009-12-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49173A1 (ko)
EP (1) EP2357805A1 (ko)
KR (1) KR201100729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62A1 (ko) * 2011-07-2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26B1 (ko) * 2012-04-08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US20140245368A1 (en) * 2013-02-28 2014-08-28 Jiwu Media Co., Ltd. Smart receiver for mashup service based on convergence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WO2014172658A1 (en) * 2013-04-19 2014-10-23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gital assets
US9716737B2 (en) 2013-05-08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Video strea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48483B2 (en) * 2016-12-08 2020-11-24 Ricoh Company, Ltd. Shared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3799B1 (en) * 1999-11-24 2003-06-24 Shutterfly, Inc. Image uploading
US20040218269A1 (en) * 2002-01-14 2004-11-04 Divelbiss Adam W. General purpose stereoscopic 3D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KR100609916B1 (ko) * 2004-11-25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64163B2 (en) * 2006-09-06 2011-01-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tructured electronic documents
KR101364885B1 (ko) * 2007-02-21 201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콘을 이용한 메시지 수신 표시 방법 및 단말기
US8782698B2 (en) * 2007-04-30 2014-07-15 Google Inc. Customizable media channels
US9179086B2 (en) * 2007-05-07 2015-11-0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ally updating applications in a television display environment
US8191001B2 (en) * 2008-04-05 2012-05-29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Shared virtual area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apparatus and methods
US8533284B2 (en) * 2008-05-28 2013-09-10 Cooliris, Inc. Sharing of media and other content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US8304733B2 (en) * 2009-05-22 2012-11-06 Motorola Mobility Llc Sensing assembly for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62A1 (ko) * 2011-07-2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49173A1 (en) 2011-06-23
EP2357805A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6747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069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609381B2 (en) Method for playing contents
CN102598701B (zh) 为网络电视提供内容信息
US201102735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EP2424264A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11819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US8397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056917A (ko)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US2011011344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7297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000063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65935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2016004438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1002680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4221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4091A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1017204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179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80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5997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298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