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685A -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8685A KR20110068685A KR1020090125756A KR20090125756A KR20110068685A KR 20110068685 A KR20110068685 A KR 20110068685A KR 1020090125756 A KR1020090125756 A KR 1020090125756A KR 20090125756 A KR20090125756 A KR 20090125756A KR 20110068685 A KR20110068685 A KR 201100686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plate
- joining
- closing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35—Aluminiu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리월(slurry wall) 또는 지하외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를 접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측면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측면 보강부재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자유단부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측면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재와;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하부면 보강부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자유단부 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하부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하부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하부부재와; 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부재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제 1 하부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2 하부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측면부는 폐합부재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전면부재와; 접 합되어지는 철골보의 상부 플랜지 상에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며, 철골보의 좌우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재의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내부폭만큼 고정용 플레이트(41)가 하부면에 부착된 위치고정부재와; 철골보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도록 상기 전면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 속으로 삽입되어져서 서로 고정결속되어지는 폐합부재로 이루어지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립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공사품질이 향상된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러리월(slurry wall) 또는 지하외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를 접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측면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측면 보강부재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자유단부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측면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재와;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하부면 보강부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자유단부 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하부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하부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하부부재와; 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부재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제 1 하부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2 하부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측면부는 폐합부재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전면부재와; 접합되어지는 철골보의 상부 플랜지 상에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며, 철골보의 좌우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재의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내부폭만큼 고정용 플레이트(41)가 하부면에 부착된 위치고정부재와; 철골보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도록 상기 전면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 속으로 삽입되어져서 서로 고정결속되어지는 폐합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립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공사품질이 향상된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리월(slurry wall, 지하연속벽) 또는 지하외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철골보 부재가 접합되는 위치에 철근콘크리트 테두리보용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후, 상단에 철골보 부재를 고정시킨 다음 슬래브와 연속 철근 콘크리트 테두리보의 콘크리트를 동 시에 타설하여 철골보를 접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골보 접합방법은 상기 테두리보용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나 브라켓을 테두리보의 전체 구간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가설공사비가 상당히 증가한다는 문제점과 함께 각종 건설 폐자재가 대량으로 배출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연속 테두리보를 슬러리월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다월(dowel)용 철근 또는 다월(dowel)용 앵커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축 공사비를 원천적으로 상승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나아가, 건축공정상에서도 상기 외곽 철근콘크리트 테두리보 공정이 상당히 길게 소요되기 때문에 지하골조가 철골조인 경우 주 공종인 철골공종과의 각종 간섭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공정관리 상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어 원활한 공사가 진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테두리보 시공용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법이 동바리 지지법인 경우에는 내부소단(지하공사시 지하외벽측의 토사나 암 등을 토압이나 시공상 등의 목적으로 굴토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로 남겨 놓은 부분)의 제거시기가 길어짐에 따라서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슬러리월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를 조립할 때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공사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확보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골보 조립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측면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측면 보강부재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자유단부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측면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재와;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하부면 보강부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자유단부 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하부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하부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하부부재와; 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부재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제 1 하부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2 하부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측면부는 폐합부재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전면부재와; 접합되어지는 철골보의 상부 플랜지 상에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며, 철골보의 좌우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재의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내부폭만큼 고정용 플레이트가 하부면에 부착된 위치고정부재와; 철골보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도록 상기 전면부재 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 속으로 삽입되어져서 서로 고정결속되어지는 폐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슬러리월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를 접합할 때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전용성이 우수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면서도 공사품질의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은, 슬러리월의 철근망 제작시 철근콘크리트 테두리보용 다월(dowel) 철근을 최소화하고,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각종 가설부재를 최소함으로서 건축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각종 부재를 재사용(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설 폐기물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철골부재 접합공사시 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주 공종인 철골공종과의 간섭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공기지연을 방지하고 시공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건설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조립기구의 전체 모습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조립기구는 기본적으로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측면부재(10)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하부부재(20)와, 상기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와 함께 결속되어지는 전면부재(30)와, 접합되어지는 철골보(M)의 상부 플랜지 상에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는 위치고정부재(40)와 그리고 상기 전면부재의 폐합용 홈(33) 속으로 삽입되어져서 서로 고정결속되어지는 폐합부재(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전면부재(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부재(6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측면부재와 하부부재가 접합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재(10)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1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10)는 접합용 측면플레이 트(11)를 앵커를 사용하여 슬러리월과 같은 콘크리트 벽에 접합되어지는데, 차후 측면부재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앵커체는 롯드식 앵커에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고정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측면플레이트(12) 상에 측면 보강부재(13)가 설치되어질 수 있다. 즉, 거푸집 형태로 사용되는 측면부재의 특성상 차후 철골보를 거치할 때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위치고정부재(40)가 측면플레이트의 상단에 지지되어져서 시공하중이 측면부재로 전달되는데, 이때 측면부재의 응력집중 및 변형현상을 방지하고 철골보 하중이 앵커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측면 보강부재(13)가 설치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보강부재(13)는 측면플레이트(12)에 사선으로 접합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측면 보강부재(13)는 차후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측면부재(10)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보강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보강부재(13)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부재를 제작할 때 미리 형성되는 부재이므로 현장제작 작업과는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앵글 또는 플레이트로 제작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부재(10)에는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어지는 제 1 측면 체결부재(14)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자유단부쪽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제 1 측면 체결부재(14)는 차후 측면부재(10)의 단부에 전면부재(30)의 단부가 결속되어질 때 양 부재들이 서로 고정체결 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14)와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는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이 사용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요소인 하부부재(2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하부부재(20)는 앞서 살펴본 측면부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즉,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부재(20)는,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20)는 측면부재(1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지는데,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부재(20)의 폭은 적어도 상기 측면부재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부부재(20)는 한쌍의 좌우 측면부재(10)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도 있으며, 측면부재(10)의 밀림방지턱(도시되지 않음)이 하부부재(20)의 표면에 미리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재(10)와 같이 하부부재(20)도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를 앵커를 사용하여 슬러리월과 같은 콘크리트 벽에 접합되어지며, 차후 측면부재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앵커체는 롯드식 앵커에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20)는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하부플레이트(2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부면 보강부재(23)가 하부플레이트(22) 상에 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전면부재의 제 2 하부 체결부재와 결속되어지는 제 1 하부 체결부재(24)가 상기 측면플레이트(22)의 자유단부쪽에 설치되어진다. 비록 도면에서는 하부면 보강부재(23)가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좌우 측면부재(10)와 하부부재(20)는 사용재료의 하중에 따라서, 시공 편의성을 고려하여 3개면을 각각 분리,조립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일체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한쌍의 측면부재와 하부부재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으로 철골부재가 위치되어지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좌우 측면부재(10)와 하부부재(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으로 철골부재(M)는 위치되어지며, 도 5에서 도시된 위치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되어진다. 즉, 먼저 철골부재(M)를 크레인이나 백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한쌍의 측면부재와 하부부재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으로 위치시킨 후, 철골부재(M)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부재의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가 형성하는 내부폭 만큼 고정용 플레이트(41)가 하부면에 부착된 위치고정부재(40)를 측면부재(10)를 가로질러 철골부재(M) 상부에 위치시키고 철골부재의 위치를 최종확인 한 후, 철골부재(M)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위치고정부재(40)를 결속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철골부재(M)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위치고정부재(40)는 용접에 의해서 결속고정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철골부재(M)의 수직 변위는 철골부재 및 슬래브 등 바닥부재의 자중과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의 고정용 앵커에 의해서 지지되어지며(필요에 따라서는 철골부재에 부분적으로 서포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 철골부재(M)의 수평변위는 상기 위치고정부재(40)의 하부면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고정용 플레이트(41)가 측면부재의 안쪽면에서 구속하는 형태로 지지되어진다. 상기 위치고정부재(40)는 슬래브에 매립되는 부재이지만, 앞서 시공된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와는 용접 등 어떠한 접합도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차후 본 발명에 따른 부재들의 해체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고정부재가 철골보의 상부 플랜지 상에 위치되어지는 상태를 정면에서 본 모습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부재(40)와 고정용 플레이트(41)는 앵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41)는 측면부재(10)의 좌우 측면플레이트(12)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41)는 측면플레이트(12)의 내부에만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전면부재(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재(30)는 상기 측면부재(10) 및 하부부재(20)가 형성하는 공간 속으로 철골부재(M)가 삽입고정되어진 후, 미리 설치된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와 결속설치 되어지는 부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부재가 철골보를 따라서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30)는 미리 설치된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와 접합시 차후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전면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쪽 측면부 및 하부면은 상기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체결부재와 결속되어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재(30)는, 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10)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하부부재(20)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14)와 결속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 체결부재(31)가 측면부에 형성되어있고, 상기 하부부재의 제 1 하부체결부재(24)와 결속되는 제 2 하부체결부재(32)가 하부면에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전면부재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전면부재(30)의 양쪽 측면부는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폐합부재(50)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33)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는 철골부재(M)가 중앙부를 지나갈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필 요에 따라서는 리브 플레이트와 같은 보강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14)와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24)가 서로 고정체결 되어지고, 하부부재의 제 1 하부체결부재(24)와 전면부재의 제 2 하부체결부재(32)가 서로 고정체결 되어짐으로써,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 그리고 전면부재는 서로 결속되어진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 그리고 전면부재의 각각의 체결부재는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이 사용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주요 구성요소인 폐합부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한쌍의 측면부재(10)와 하부부재(20)를 슬러리월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고정 시킨 후, 철골부재(M)를 상기 측면부재와 하부부재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위치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위치고정시키고, 전면부재(30)를 상기 측면부재 및 하부부재와 결합시킨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폐합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부재(30)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33) 속으로 삽입하여 철골부재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부재의 폐합용 홈 속으로 폐합부재가 삽입설치 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모습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 와 같이, 전면부재(30)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33)을 통해서 철골부재(M)의 하부 플랜지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는 폐합부재(33)는 좌우 측면부재를 한번에 통과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이 되며, 서로 다른 규격의 철골부재가 위치되어도 전면부재의 폐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소형의 폐합부재로 이루어져서 복수개의 폐합부재가 서로 적재됨으로서 필요한 높이만큼 폐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전면부재(30)의 중앙 폐합용 틈 부분은 철골부재의 웨브(web)가 위치하게 되어 막혀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부분을 통과하는 폐합부재는 통과형이 아닌 전면부재의 양쪽 마구리로부터 철골부재의 웨브까지만 서로 폐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폐합부재는 복수개의 소형 폐합부재를 이용하여 폐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철골부재의 웨브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규정된 높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높이까지 단면치수가 큰 하나의 폐합부재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철골부재의 상부는 소형치수의 폐합부재를 여러개 삽입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폐합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부재의 폐합용 홈 속으로 폐합부재가 삽입설치 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폐합부재(5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합부재는 하부면은 아랫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은 내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아래쪽에 위치된 폐합부재 및 위쪽에 위치된 폐합부재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 는 것이 선호되며, 철골부재(M)의 하부 플랜지 하부를 통과하여 폐합하는 복수개의 소형 폐합부재와 중간 웨브부분을 폐합하게 되는 대형 폐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합부재(50)는 몸통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져서 이를 통과하는 폐합부재 결속수단으로 서로 고정체결 됨으로써, 각각의 폐합부재들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진다. 즉, 폐합부재(50)에 의해서 전면부재(30)의 폐합이 완료되면 각각의 페합부재(50)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몸통부를 관통하는 중공부 속으로 폐합부재 결속수단을 삽입한 후, 전면부재의 하부 마구리면에서 상기 폐합부재 결속수단을 회전시켜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폐합부재 결속수단은 차후 본 발명에 따른 부재들의 해체시에 하부에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풀어서 인발할 수 있도록 폐합부재의 최상단부재에는 너트가 매입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폐합부재 결속수단은 고정용 연결볼트 또는 롯드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재(30)가 콘크리트 타설시에 측압에 의해서 밀려나지 않도록 버팀부재(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버팀부재가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 른 버팀부재(60)는 삼각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는데, 버팀부재의 전면부 플레이트는 상기 폐합부재에 직접 맞닿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전면부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해서 전면부재가 밀려나지 않도록 내부에 지지대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지지대는 대각선 방향으로 하부 플레이트와 접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팀부재(60)는 다양한 치수의 철골부재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골부재의 높이(춤) 보다 작게 제작되어지며, 버팀부재의 일측단부인 상부플레이트는 버팀부재가 변위되지 않도록 철골부재의 상부 플랜지 하부면에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지며, 버팀부재의 타측단부인 하부 플레이트는 철골부재의 하부 플랜지의 견고하게 맞물려서 밀려나지 않도록 바인더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버팀부재가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가 설치된 전체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이러한 전체 모습을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10), 하부부재(20) 그 리고 전면부재(30)는 강판, 알루미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유로폼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지만,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되어진다.
먼저, (a)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1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재(10)를 접합용 측면플레이트(11)를 통해서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시킨다(제 1 단계). 이때 상기 측면부재(10)는 앵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고 차후 측면부재의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앵커체는 롯드식 앵커에 너트로 고정되는 것이 선호된다.
다음으로, (b)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부재(20)를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를 통해서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시킨다(제 2 단계).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재와 하부부재는 각각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c) 접합하고자 하는 철골부재(M)를 상기 측면부재(10)와 하부부재(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에 위치시키고, 상기 철골부재(M)의 상부 플랜지를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며 하부면에는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의 내부폭만큼 고정용 플레이트(41)가 부착된 위치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철골부재를 상기 측면부재(10) 및 하부부재(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에 위치시킨다(제 3 단계).
다음으로, (d) 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10)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하부부재(20)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부는 폐합부재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전면부재(30)를 상기 측면부재(10) 및 하부부재(20)와 결합시킨다(제 4 단계).
그 후, (e) 상기 전면부재(30)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33) 속으로 폐합부재(50)를 삽입하여 철골부재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고, 상기 폐합부재(50)를 서로 고정시킨다(제 5 단계).
다음으로, (f) 상기 측면부재(10), 하부부재(20), 전면부재(30) 그리고 철골부재(M)가 형성하는 공간 상부에 데크(deck)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제 6 단계), (g)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의 역순으로 해체한다(제 7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단계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전면부재(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재(6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버팀부재(60)의 일측단부는 철골부재 상부플랜지의 하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철골부재 하부플랜지에 고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은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가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각각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가 접합된 상태를 정면, 측면 그리고 평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조립기구의 전체 모습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측면부재와 하부부재가 접합되는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한쌍의 측면부재와 하부부재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으로 철골부재가 위치되어지는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고정부재가 철골보의 상부 플랜지 상에 위치되어지는 모습
도 6은 상기 도 5를 정면에서 본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부재가 철골보를 따라서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모습
도 8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전면부재의 폐합용 홈 속으로 폐합부재가 삽입설치 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모습
도 9는 상기 도 18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
도 10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폐합부재를 도시한 모습
도 1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버팀부재가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모습
도 12는 상기 도 1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가 설치된 전체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상기 도 13을 밑에서 바라본 모습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보가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상기 도 20을 각각 정면, 측면, 평면에서 본 모습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면부재 11 : 접합용 측면플레이트
12 : 성형용 측면플레이트 13 : 측면 보강부재
14 : 제 1 측면 체결부재 20 : 하부부재
21 : 접합용 하부플레이트 22 : 성형용 하부플레이트
23 : 하부면 보강부재 24 : 제 1 하부 체결부재
30 : 전면부재 31 : 제 2 측면 체결부재
32 : 제 2 하부체결부재 33 : 폐합용 홈
40 : 고정부재 41 : 고정용 플레이트
50 : 폐합부재 60 : 버팀부재
M : 철골보
Claims (18)
-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합기구는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1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측면플레이트(12) 상에 설치된 측면 보강부재(13)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자유단부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측면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측면 체결부재(14)를 포함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재(10)와;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하부플레이트(2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부플레이트(22) 상에 설치된 하부면 보강부재(2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2)의 자유단부 쪽에 설치되어지며 전면부재의 제 2 하부 체결부재와 결속되는 제 1 하부 체결부재(24)를 포함하는 하부부재(20)와;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10)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하부부재(20)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 기 측면부재의 제 1 측면 체결부재(14)와 결속되는 좌우 한쌍의 제 2 측면 체결부재(31)와 상기 하부부재의 제 1 하부체결부재(24)와 결속되는 제 2 하부체결부재(32)를 포함하며, 측면부는 폐합부재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전면부재(30)와;접합되어지는 철골부재(M)의 상부 플랜지 상에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며, 철골부재(M)의 좌우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재의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의 내부폭만큼 고정용 플레이트(41)가 하부면에 부착된 위치고정부재(40)와;철골부재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도록 상기 전면부재(30)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33) 속으로 삽입되어져서 서로 고정결속되어지는 폐합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전면부재(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재(60)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60)의 일측단부는 철골부재 상부플랜지의 하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철골부재 하부플랜지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부재(50)는 하부면은 아랫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은 내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아래쪽에 위치된 폐합부재 및 위쪽에 위치된 폐합부재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부재(50)는 몸통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져서 이를 통과하는 폐합부재 결속수단으로 서로 고정체결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측면 보강부재(13)는 사선으로 접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20)는 한쌍의 좌우 측면부재(10)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40)의 고정용 플레이트(41)는 측면부재(10)의 측면 보강부재(13)의 내부면 및 외부면에 한쌍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 하부부재(20), 전면부재(30)는 강판 또는 알루미늄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유로폼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기구
- 슬러리월 등과 같은 콘크리트 벽체에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방법은(a)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측면플레이트(1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재(10)를 접합용 측면플레이트(11)를 통해서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시키는 단계와;(b)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되는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로 형성되며, 타측면은 철골부재를 접합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부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부재(20)를 접합용 하부플레이트(21)를 통해서 콘크리트 벽체에 접합시키는 단계와;(c) 접합하고자 하는 철골부재(M)를 상기 측면부재(10)와 하부부재(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에 위치시키고, 상기 철골부재(M)의 상부 플랜지를 가로질러 고정되어지며 하부면에는 좌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의 내부폭만큼 고정용 플레이 트(41)가 부착된 위치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철골부재를 상기 측면부재(10) 및 하부부재(2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속에 위치시키는 단계와;(d) 일측면은 상기 측면부재(10)의 성형용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하부부재(20)의 성형용 하부플레이트(22)의 단부면과 만나도록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부는 폐합부재가 관통하도록 폐합용 홈(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전면부재(30)를 상기 측면부재(10) 및 하부부재(20)와 결합시키는 단계와;(e) 상기 전면부재(30)의 측면부에 형성된 폐합용 홈(33) 속으로 폐합부재(50)를 삽입하여 철골부재와 전면부재가 형성하는 전면부 빈 공간을 폐합하고, 상기 폐합부재(50)를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와;(f) 상기 측면부재(10), 하부부재(20), 전면부재(30) 그리고 철골부재(M)가 형성하는 공간 상부에 데크(deck)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g)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의 역순으로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콘크리트 타설시 전면부재(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재(60)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60)의 일측단부는 철골부재 상부플랜지의 하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철골부재 하부플랜지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부재(50)는 하부면은 아랫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은 내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아래쪽에 위치된 폐합부재 및 위쪽에 위치된 폐합부재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부재(50)는 몸통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져서 이를 통과하는 폐합부재 결속수단으로 서로 고정체결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측면 보강부재(13)는 사선으로 접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는 한쌍의 좌우측면 부재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41)는 측면부재의 측면 보강부재(13)의 내부면 및 외부면에 한쌍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0), 하부부재(20) 및 전면부재(30)는 강판 또는 알루미늄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유로폼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부재 접합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756A KR101098998B1 (ko) | 2009-12-16 | 2009-12-16 |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756A KR101098998B1 (ko) | 2009-12-16 | 2009-12-16 |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8685A true KR20110068685A (ko) | 2011-06-22 |
KR101098998B1 KR101098998B1 (ko) | 2011-12-28 |
Family
ID=4440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5756A KR101098998B1 (ko) | 2009-12-16 | 2009-12-16 |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899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384B1 (ko) * | 2013-07-10 | 2014-06-03 | 김건영 |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
KR101433632B1 (ko) * | 2013-04-10 | 2014-08-25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콘크리트 브라켓 일체형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공법 |
KR101636246B1 (ko) * | 2015-05-07 | 2016-07-06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판-pc 복합보 및 이의 제작 방법 |
KR102457880B1 (ko) * | 2022-03-24 | 2022-10-21 | 윤정식 | H빔 웹의 양단 플랜지 사이 빈공간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4198B1 (ko) * | 2015-10-07 | 2018-07-1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75184B2 (ja) | 1991-10-29 | 2002-04-15 | 清水建設株式会社 | 柱梁接合工法 |
-
2009
- 2009-12-16 KR KR1020090125756A patent/KR1010989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3632B1 (ko) * | 2013-04-10 | 2014-08-25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콘크리트 브라켓 일체형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공법 |
KR101402384B1 (ko) * | 2013-07-10 | 2014-06-03 | 김건영 |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
KR101636246B1 (ko) * | 2015-05-07 | 2016-07-06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판-pc 복합보 및 이의 제작 방법 |
KR102457880B1 (ko) * | 2022-03-24 | 2022-10-21 | 윤정식 | H빔 웹의 양단 플랜지 사이 빈공간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8998B1 (ko) | 2011-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1097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 |
KR100747661B1 (ko) |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1379305B1 (ko) |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 |
KR101196472B1 (ko) | 티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CN105569224A (zh) | 钢管混凝土边缘约束叠合整体式剪力墙及制备和安装方法 | |
KR101432260B1 (ko)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
KR100854224B1 (ko) | 반단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01076B1 (ko) |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98998B1 (ko) |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 |
KR20180072968A (ko) |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 |
KR100343960B1 (ko) |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 |
KR100775359B1 (ko) |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 |
KR102621195B1 (ko) | 생산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이중벽 구조물 | |
KR101140627B1 (ko) |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 |
CN205382595U (zh) | 钢管混凝土边缘约束叠合整体式剪力墙 | |
KR100694824B1 (ko)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664668B1 (ko) |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 |
KR101309005B1 (ko) | 절곡 연결판에 의한 일시적인 힌지구조 이후의 강결을 이용한 모서리부의 부모멘트 경감구조의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47665B1 (ko) |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 |
KR101688440B1 (ko)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
KR101219459B1 (ko) |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 |
KR20180098938A (ko) |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 |
KR101078292B1 (ko) |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 |
KR200391986Y1 (ko) |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 |
KR20060096706A (ko) | 데크 현수식 지하 구조물 역타설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