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577A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5577A KR20110035577A KR1020090093362A KR20090093362A KR20110035577A KR 20110035577 A KR20110035577 A KR 20110035577A KR 1020090093362 A KR1020090093362 A KR 1020090093362A KR 20090093362 A KR20090093362 A KR 20090093362A KR 20110035577 A KR20110035577 A KR 201100355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diation pattern
- frequency band
- low frequency
- block
- antenna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제시된다. 제시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다면체 블록과,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방사 패턴과,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M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실생활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항상 휴대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실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급격한 진보를 보이고 있는 부분이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부분들로, 현재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는 기능들이 추가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즉, 이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 통화만을 위한 무선 전화기가 아닌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과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통신 수단이 복합된 통합 휴대 기기로 취급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 영화를 보고, 음악을 듣고, 통신도 하다가 필요시 음성 통화도 하는 등,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 고 사용하는 시간은 점차 늘어만 가고 있다. 하지만, 다운로드 받은 영화,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들은 사용자가 새롭게 내용을 갱신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신선한 내용을 추가적인 부담 없이 즐기기 위하여 FM 라디오 방송 수신 청취 기능의 추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된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 중 음악관련 기능에 치중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FM 라디오 방송 수신부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FM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하지만, FM 라디오를 수신하며 전파 수신의 효율이 높은 안테나의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안테나 길이 때문에 단말기에 집적하기가 쉽지 않았다. FM을 수신하는 안테나의 경우 대략 87.5 ~ 108MHz의 저주파 대역에서 공진해야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방사라인이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안테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안테나의 물리적인 크기는 사용하려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즉 파장이 길어질수록 커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유전율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경우, 저주파대역에서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테나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다면체 블록;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방사 패턴; 다면체 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방사 패턴; 및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연결부재는 비아 홀 및 연결선 중에 하나를 포함하되, 비아 홀은 다면체 블록의 일측에 천공되어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다르게는, 다면체 블록;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방사 패턴; 다면체 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방사 패턴; 및 다면체 블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측부 방사 패턴을 포함한다.
상부 방사 패턴과 하부 방사 패턴 및 측부 방사 패턴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부 방사 패턴은,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하부 방사 패턴은, 다면체 블록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다면체 블록 및 하부 방사 패턴 중에 하나에는 급전을 위한 급전부가 형성된다.
다면체 블록 및 하부 방사 패턴 중에 하나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부가 형성된다.
다면체 블록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자성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ㄷ' 타입의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저주파 대역에서 대역폭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ㄷ' 타입의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헬리컬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비해 신호 대 잡음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명확한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다면체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상부 방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하부 방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다면체 블록(100), 상부 방사 패턴(200), 하부 방사 패턴(300), 비아 홀(400)을 포함한다. 이때, 상부 방사 패턴(200) 및 하부 방사 패턴(300)은 비아 홀(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ㄷ' 형태의 방사 패턴을 형성한다. 상부 방사 패턴(200) 및 하부 방사 패턴(300)은 비아 홀(400)을 대신하여 연결선(즉,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ㄷ' 형태의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면체 블록(100)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자성체로 구성된다. 이때, 자성체(Magneto-dielectric)란 자성을 띠는 것이 가능한 물질을 말하며, 산화철, 산화크롬, 코발트, 페라이트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면체 블록(100)을 구성하는 자 성체로는 페라이트가 사용된다.
다면체 블록(100)은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급전을 위한 급전부(500) 및 접지를 위한 접지부(600) 중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다면체 블록(100)은 회로기판(700)에 형성된 급전단(720) 및 접지단(740)과 결합되는 위치에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블록(100)은 하부면이 회로기판(700)과 결합되므로,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는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면체 블록(100)에 급전부(500)만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는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하고,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형성되는 경우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가 다이폴 안테나 또는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내용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학식 1은 안테나 사이즈가 변하지 않을 때, 투자율과 유전율 사이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의 대역폭(BW)이 증가함을 나타내는 식이다. 여기서, λ0 는 파장이고, μr은 투자율이며, εr은 유전율이고, t는 안테나의 두께이다. 일반적으 로, 안테나에 적용되는 고유전율의 유전체의 경우 투자율이 유전율보다 작다. 하지만, 투자율이 유전율보다 큰 자성체(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자성체의 투자율은 약 18이며, 유전율은 약 10이다.)를 이용할 경우 수학식 1에 근거하여 동일한 안테나 사이즈에서 고유전율의 유전체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넓은 대역폭을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소형화를 위해 고유전율의 유전체 블록을 이용하여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를 구현할 경우 대역폭이 좁아지는 현상을 자성체의 저유전율과 투자율을 이용하여 극복해 줌으로써, 대역폭은 유지하면서 안테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면체 블록(100)은 각기 다른 투자율 및 유전율을 갖으므로 구현하고자 하는 공진 주파수에 따라 취사선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면체 블록(100)의 크기 및 모양은 구현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부 방사 패턴(200)은 다면체 블록(10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사 패턴(2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면체 블록(100)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부 방사 패턴(200)은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위해 패턴 일부를 식각하여 다면체 블록(100)의 상부면 전체를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도 4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사 패턴(200)은 내장형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을 위해 일부가 식각되어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부 방사 패턴(200)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방사 패턴(300)은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하부 방사 패턴(300)은 상부 방사 패턴(200)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위해 패턴 일부를 식각하여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 전체를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하부 방사 패턴(300)은 내장형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을 위해 일부가 식각되어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원형, 마름모형 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4 참조).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에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 방사 패턴(300)은 다면체 블록(100)의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를 제외한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하부 방사 패턴(300)은 일측에 급전부(500) 또는 접지부(600)가 형성된다.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일측에 급전부(500)가 형성되고, 타측에 접지부(6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다면체 블록(100)에 형성되지 않고, 하부 방사 패턴(300)에 형성된다. 이때, 다면체 블록(100)이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부 방사 패턴(300)에는 급전부(500)만 형성된다. 이 경우,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500)가 비아 홀(400)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면 다이폴(Dipole) 안테나로 동작하고, 급전부(500)가 비아 홀(400)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모노폴(Monopole) 안테나로 동작한다.
다면체 블록(100)이 자성체로 구성되는 경우, 하부 방사 패턴(300)에 급전부(500)만 형성되면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는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하고,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형성되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가 다이폴 안테나 또는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내용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비아 홀(400)은 다면체 블록(100)의 일측에 천공되어 상부 방사 패턴(200) 및 하부 방사 패턴(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비아 홀(400)은 상부 방사 패턴(200)과 하부 방사 패턴(300) 및 다면체 블록(100)에 천공되어 형성된다. 비아 홀(400)은 상부 방사 패턴(200) 및 하부 방사 패턴(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전성 재질로 코팅된다. 여기서, 비아 홀(400)은 상부 방사 패턴(200) 및 하부 방사 패턴(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위치라면 형성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다면체 블록(100), 상부 방사 패턴(200), 하부 방사 패턴(300), 측부 방사 패턴(800)을 포함한다. 이때, 상부 방사 패턴(200)과 하부 방사 패턴(300) 및 측부 방사 패턴(800) 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물론, 상부 방사 패턴(200)과 하부 방사 패턴(300) 및 측부 방사 패턴(8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상부 방사 패턴(200)은 다면체 블록(10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부 방사 패턴(2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면체 블록(100)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부 방사 패턴(200)은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위해 패턴 일부를 식각하여 다면체 블록(100)의 상부면 전체를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상부 방사 패턴(200)은 내장형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을 위해 일부가 식각되어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부 방사 패턴(200)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부 방사 패턴(200)은 측부 방사 패턴(800)을 통해 하부 방사 패턴(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비아 홀(400)을 형성되지 않는 점이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하부 방사 패턴(300)은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하부 방사 패턴(300)은 상부 방사 패턴(200)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위해 패턴 일부를 식각하여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 전체를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하부 방사 패턴(300)은 내장형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을 위해 일부가 식각되어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원형, 마름모형 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도면에 도시 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다면체 블록(100)의 하부면에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 방사 패턴(300)은 다면체 블록(100)의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를 제외한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하부 방사 패턴(300)은 일측에 급전부(500) 또는 접지부(600)가 형성된다.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일측에 급전부(500)가 형성되고, 타측에 접지부(6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는 다면체 블록(100)에 형성되지 않고, 하부 방사 패턴(300)에 형성된다. 이때, 하부 방사 패턴(300)에 급전부(500)만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는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하고,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가 형성되는 경우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가 다이폴 안테나 또는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내용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하부 방사 패턴(300)은 측부 방사 패턴(800)을 통해 상부 방사 패턴(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비아 홀(400)을 형성되지 않는 점이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측부 방사 패턴(800)은 다면체 블록(10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측부 방사 패턴(8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면체 블록(100)의 일측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물론, 측부 방사 패턴(800)은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위해 패턴 일부를 식각하여 다면체 블록(100)의 일측면 전체를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측부 방사 패턴(800)은 내장형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을 위해 일부가 식각되어 직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원형, 마름모형 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하부 방사 패턴(30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면체 블록(100)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다면체 블록(100)에 헬리컬 타입의 방사 패턴을 형성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형의 방사 패턴을 형성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이다.
도 9에 도시된 그래프 상에서 보면, 두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대역에 미세한 차이를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ㄷ'형의 방사 패턴을 형성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에서 미세하지만 헬리컬 타입의 방사 패턴을 형성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에 비해 광대역을 형성한다.
고주파 대역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정도의 공진 주파수 대역의 변화는 안테나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FM 주파수 대역과 같은 저주파 대역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공진 주파수 대역의 변화만으로도 안테나의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끼친다. 즉, 미세한 주파수 공진 주파수 대역의 확장은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가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신호 대 잡음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의 형성 여부에 따라 2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즉, 급전부(500) 및 접지부(600)를 모두 형성하는 경우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되고, 급전부(500)만 형성하는 경우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도 10의 'A'는 종래의 헬리컬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의 신호 대 잡음비(SNR(Signal to Noise Ratio))이고, 'B'는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ㄷ'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의 신호 대 잡음비이고, 'C'는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ㄷ'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의 신호 대 잡음비이다.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 상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가 종래의 헬리컬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보다 높은 신호 대 잡음비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ㄷ'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가 종래의 헬리컬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안테나 장치보다 낮은 잡은 수준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신호라면 종래의 헬리컬 타입 안테나보다 명확한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ㄷ' 타입의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저주파 대역에서 대역폭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ㄷ' 타입의 안테나를 형성함으 로써, 종래의 헬리컬 타입의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비해 신호 대 잡음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명확한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다면체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상부 방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하부 방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공진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SNR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다면체 블록 200: 상부 방사 패턴
300: 하부 방사 패턴 400: 비아 홀
500: 급전부 600: 접지부
700: 회로기판 720: 급전단
740: 접지단 800: 측부 방사 패턴
Claims (9)
- 다면체 블록;상기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방사 패턴;상기 다면체 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방사 패턴; 및상기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는 비아 홀 및 연결선 중에 하나를 포함하되,상기 비아 홀은 상기 다면체 블록의 일측에 천공되어 상기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다면체 블록;상기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방사 패턴;상기 다면체 블록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방사 패턴; 및상기 다면체 블록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방사 패턴 및 하부 방사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측부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상부 방사 패턴과 상기 하부 방사 패턴 및 상기 측부 방사 패턴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상부 방사 패턴은,상기 다면체 블록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하부 방사 패턴은,상기 다면체 블록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다면체 블록 및 상기 하부 방사 패턴 중에 하나에는 급전을 위한 급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다면체 블록 및 상기 하부 방사 패턴 중에 하나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다면체 블록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3362A KR20110035577A (ko) | 2009-09-30 | 2009-09-30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3362A KR20110035577A (ko) | 2009-09-30 | 2009-09-30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5577A true KR20110035577A (ko) | 2011-04-06 |
Family
ID=4404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3362A KR20110035577A (ko) | 2009-09-30 | 2009-09-30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557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25183A1 (ko) * | 2012-08-07 | 2014-02-13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형 기지국 |
KR20170011885A (ko) * | 2015-07-24 | 201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안테나, 차량용 레이더,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
CN112257245A (zh) * | 2020-10-16 | 2021-01-22 | 昆山睿翔讯通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手机天线及其设计方法 |
-
2009
- 2009-09-30 KR KR1020090093362A patent/KR201100355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25183A1 (ko) * | 2012-08-07 | 2014-02-13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형 기지국 |
CN104508995A (zh) * | 2012-08-07 | 2015-04-08 | 株式会社Kmw | 用于移动通信系统的小基站 |
US9491799B2 (en) | 2012-08-07 | 2016-11-08 | Kmw Inc. | Small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CN104508995B (zh) * | 2012-08-07 | 2018-12-04 | 株式会社 Kmw | 用于移动通信系统的小基站 |
KR20170011885A (ko) * | 2015-07-24 | 201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안테나, 차량용 레이더,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
US10871563B2 (en) | 2015-07-24 | 2020-12-22 | Lg Electronics Inc. | Antenna, vehicle radar, and vehicle equipped with same |
CN112257245A (zh) * | 2020-10-16 | 2021-01-22 | 昆山睿翔讯通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手机天线及其设计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10011964A1 (en) | Dual band bowtie/meander antenna | |
EP2416442A2 (en) | Internal antenna module | |
US20150244063A1 (en) |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US7439919B2 (en) | Multilayer PCB antenna | |
JP2002517923A (ja) | 多重周波数帯域アンテナ | |
WO2008051057A1 (en) | Loop antenna | |
JP2006025392A (ja) | イヤホンケーブルアンテナ装置、接続ケーブル及び放送受信装置 | |
CN101999191B (zh) | 天线装置 | |
CN102099962A (zh) | 天线结构 | |
JP2011119949A (ja) | カードデバイス | |
KR101030148B1 (ko) | 내장형 안테나 모듈 | |
KR100848038B1 (ko) | 다중대역 안테나 | |
KR20110035577A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
JP4201696B2 (ja) | 携帯無線機 | |
US7940218B2 (en) | Multilayer PCB antenna | |
JPH09232854A (ja) | 移動無線機用小型平面アンテナ装置 | |
KR101151945B1 (ko) | 이중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0987271B1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
KR101030141B1 (ko) | 내장형 안테나 모듈 | |
KR100881469B1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 |
JP3596496B2 (ja) | 伸縮アンテナ | |
KR100987238B1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 |
KR101116006B1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1090005B1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
KR101029164B1 (ko) |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