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79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1794A KR20100131794A KR1020090050569A KR20090050569A KR20100131794A KR 20100131794 A KR20100131794 A KR 20100131794A KR 1020090050569 A KR1020090050569 A KR 1020090050569A KR 20090050569 A KR20090050569 A KR 20090050569A KR 20100131794 A KR20100131794 A KR 201001317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module
- optical unit
- ground pad
- substrat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다수개의 그라운드 패드가 구비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입되는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광학 유니트; 및 상기 광학 유니트의 외측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광학 유니트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호 접촉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전자파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 광학 유니트, 전자파 차단 부재, EMI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단부에 광학 유니트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그라운드 패드와 상호 접촉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이나 PDA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가 필수적으로 내장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카메라들은 CCD, CMOS 등의 촬상소자에 렌즈를 부착시켜 피사체를 촬상하고 이와 같이 촬상된 피사체 데이터가 소정의 기록매체를 통하여 기록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의 휴대폰과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의 멀티 컨버전스 기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 죽에 카메라 모듈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 과 동시에 자동 초첨(AF), 광학 줌 (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한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자기적인 힘에 의해 렌즈 모듈이 장착된 구동부가 상, 하 구동되도록 함에 의해서 자동 초점이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립 사시도로,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1),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이미지센서(도면미도시)를 구비한 기판(13) 및 전자파 차단 부재(1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부에 상기 렌즈 배럴(1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배럴(11)이 삽입된다.
상기 기판(13)의 상면에는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4)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 패드(13a) 및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측면 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4)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해 이미지센서의 구동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2)을 감싸도록 조립한다.
이때,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4)의 하단에는 상기 접속 패드(13a)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14a)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4a)와 상기 접속 패드(13a)는 솔 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및 고정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접속 패드(13a)와 상기 연결부(14a)의 접합 계면에 도포되는 솔더가 상기 기판(13)의 측면 패드쪽으로 흘러넘쳐 인접한 측면 패드들 간의 쇼트불량이 종종 발생되었다. 이는 카메라 모듈의 수율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14a)가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4)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증가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제기되는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부에 광학 유니트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그라운드 패드와 상호 접촉하는 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다수개의 그라운드 패드가 구비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입되는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광학 유니트; 및 상기 광학 유니트의 외측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광학 유니트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호 접촉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전자파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가 노출되도록 오픈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픈 영역의 내측으로 굽어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되, 양 끝단은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연결부의 접합계면 내측에 도포되는 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단부에 광학 유니트의 측벽을 연장 형성되어 그라운드 패드와 상호 접촉하는 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시켜 기타 부품 설계의 자유도를 높여 기구적, 회로적 간섭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외곽 치수 관리가 용이해져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부와 그라운드 패드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포되는 전도성 접착제가 상기 연결부와 상기 그라운드 패드의 접합 계면 내측에 도포됨으로써, 기판의 측면 패드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인접한 측면 패드들 간에 쇼트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110), 광학 유니트(120) 및 연결부(131)를 구비한 전자파 차단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상면에 이미지센서(도면 미도시)가 실장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Driver-IC와 저항 등 각종 전자 부품 및 반도체 소자들이 실장되는 기판이다. 이때,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 세라믹 기판, 연성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지며, 렌즈 배럴(123)을 통해 하우징(121) 내부로 들오는 빛을 디지털 영상신호롤 변환시켜 준다.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는 그라운드 패드(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는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30)의 연결부(131)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전도성 물질 즉, 금(Ag) 도막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금 도막층은 전기 도금 방식, 무전해 도금 방식 및 증착과 같은 다양한 도금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는 외부로부터 뜻하지 않은 정전하가 유입될 시에 이를 흡입하고 흡입된 정전하를 외부로 흘려 보냄으로써 외부의 정전하와 같은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판(110)의 측면에는 소켓과 같은 외부장치와 사이드 방식으로 접속되기 위한 측면 패드(1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유니트(120)는 상기 기판(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21)과 렌즈 배럴(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렌즈 배럴(123)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원통형의 상기 렌즈 배럴(12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렌즈 배럴(123)이 상기 하우징(121)에 내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에는 상기 기판(110)의 그라운드 패드(111)를 노출시키는 오픈 영역(a)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오픈 영역(a)은 상기 기판(110)의 그라운드 패드(111)와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30의 연결부(131)간의 연결공간으로 이용된다.
상기 렌즈 배럴(123)은 내부에 비구면 렌즈(L)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렌즈(L)가 적층 결합되어 구성되며, 외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상기 렌즈(L)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판(110)이 상면에 실장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수광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 모듈(100)이 초점 무조정 타입인 경우, 상기 광학 유니트(120)는 상기 하우징(121)과 상기 렌즈 배럴(123)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이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타입 경우 상기 하우징(121) 내부에는 상기 렌즈 배럴(123)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장치(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30)는 상기 광학 유니트(120)의 사방 측벽을 전체적으로 감싸며, 그 중앙에 상기 광학 유니트(120)의 렌즈 배럴(123)를 노출시키는 천공부(13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30)의 하단부에는 상기 광학 유니트(120)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와 상호 접촉되는 연결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30)의 하단부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1)의 형상은 상기 전자파 차단 부재(130)의 벌어지는 성질 때문에 상기 하우징(121)의 오픈 영역(a) 내측으로 굽어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되, 양 끝단은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13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부(131)가 상기 광학 유니트(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31)의 오픈 영역(a)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외곽 치수 관리가 용이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1)와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의 접합 계면 내측에 전도성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연결부(131)와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가 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거나 인접한 장치 또는 부품으로부터 유입되는 정전하를 효 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도성 접착제는 솔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납땜에 의해 상기 연결부(131)와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도성 접착제가 상기 연결부(131)와 상기 그라운드 패드(111)의 접합 계면 내측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기판(110)의 측면 패드(113)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인접한 측면 패드들 간에 쇼트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카메라 모듈 110 : 기판
120 : 광학 유니트 130 : 전자파 차단 부재
131 : 연결부
Claims (4)
- 상면에 다수개의 그라운드 패드가 구비된 기판;상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입되는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광학 유니트; 및상기 광학 유니트의 외측을 감싸며, 하단부에는 상기 광학 유니트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호 접촉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전자파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가 노출되도록 오픈 영역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의 형상은 상기 오픈 영역의 내측으로 굽어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되, 양 끝단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와 상기 연결부의 접합계면 내측에 도포되는 전도성 접착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569A KR101003653B1 (ko) | 2009-06-08 | 2009-06-08 |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569A KR101003653B1 (ko) | 2009-06-08 | 2009-06-08 |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1794A true KR20100131794A (ko) | 2010-12-16 |
KR101003653B1 KR101003653B1 (ko) | 2010-12-23 |
Family
ID=4351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0569A KR101003653B1 (ko) | 2009-06-08 | 2009-06-08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36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27085B1 (en) | 2010-10-04 | 2020-11-2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encoding/decoding block information using quad tree, and device for u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6805B1 (ko) * | 2015-09-18 | 2022-01-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612541B1 (ko) | 2016-10-18 | 2023-12-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03550A (ja) * | 2004-04-08 | 2005-10-27 | Sharp Corp |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情報機器 |
-
2009
- 2009-06-08 KR KR1020090050569A patent/KR1010036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27085B1 (en) | 2010-10-04 | 2020-11-2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encoding/decoding block information using quad tree, and device for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3653B1 (ko) | 2010-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167909B (zh) | 成像模组及电子装置 | |
US9531932B2 (en) | Camera module for portable device | |
US20080252774A1 (en) | Camera module with circuit board | |
KR101060951B1 (ko) | 카메라 모듈 패키지 | |
KR20050016220A (ko) | 소형 촬상모듈 | |
KR10100847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0813599B1 (ko) | 칩 내장형 기판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 |
KR101133135B1 (ko) |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100904181B1 (ko) |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 |
KR101003653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10030091A (ko) | 카메라 모듈 | |
KR100947974B1 (ko) |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 |
KR100730062B1 (ko) | 노이즈 특성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 | |
KR20190019729A (ko) | 카메라 모듈 | |
KR20080005733A (ko) | 이미지 센서 모듈과 카메라 모듈 | |
KR20080081726A (ko) |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KR20100123010A (ko) | 카메라 모듈 | |
KR100832635B1 (ko) | 멀티 카메라 모듈 | |
CN210839778U (zh) | 感光芯片、感光组件、摄像模组及智能终端 | |
KR200464059Y1 (ko) | 카메라 모듈 | |
JP2008153881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 |
CN110881094A (zh) | 镜头模组 | |
KR101026830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090128852A (ko) |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51521B1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