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931A - Micro 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Micro bubble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3931A KR20100123931A KR20090042899A KR20090042899A KR20100123931A KR 20100123931 A KR20100123931 A KR 20100123931A KR 20090042899 A KR20090042899 A KR 20090042899A KR 20090042899 A KR20090042899 A KR 20090042899A KR 20100123931 A KR20100123931 A KR 20100123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ylinder
- generating device
- air
- contact
- microbubble gen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02F3/223—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using "air-lif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물기름이나 식물유 등으로 더러워진 물이나 오니 물의 배수시의 정화를 위해 호기성균을 이용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오수처리 시스템에서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오수에 공급, 혼합하는 미세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generate a microbubble in the sewage treatment system to purify using aerobic bacteria for the purification of the dirty water or sludge water drained with mineral oil or vegetable oil,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bubble generator for supplying and mixing sewage.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공장 등에서 광물기름이나 식물유 등으로 더러워진 물을 정화함에 있어서 정화조 내 더러워진 물에 호기성균 등을 작용시키고 이 호기성균 등을 정화조 내에서 번식시켜 더러워진 성분을 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오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Generally, in purifying water soiled with mineral oil or vegetable oil in a factory using water, aerobic bacteria or the like is acted on the soiled water in the septic tank, and the aerobic bacteria and the like are propagated in the septic tank to digest the dirty components. The treatment method is widely used.
이와 같은 오수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에서는 호기성균을 번식시키기 위해 오수에 미세한 기포를 혼합하여 산소 호흡을 재촉함으로써 호기성균 등의 생존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요구된다.In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sewage treatment, it is required to prepare a living environment such as aerobic bacteria by mixing microbubbles in the sewage to promote oxygen breathing to breed aerobic bacteria.
상기와 같이 오수 중에 미세한 기포의 혼합이나 발생을 수행하는 종래의 장 치는 정화하려고 하는 오수 내에 배치되는 원형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공기공급원에 접속되어 파이프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분출구, 상기 파이프 내에 설치되는 나선상의 날개 등과 같은 와류형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ventional devices for mixing or generating fine bubbles in the sewage as described above is a circular pipe disposed in the sewage to be purified, an air outlet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and connected to an air supply source to supply air into the pipe; And vortex forming means such as spiral wings installed in the pipe.
즉, 종래의 기포혼합장치나 기포발생장치에서는 공기분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파이프 내에서 오수와 함께 나선상의 날개를 통과하게 되면서 상방으로의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생기는 와류상의 수류에 기포가 혼입된다. 동시에 파이프 내에 다수의 돌기를 가진 기포미세화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기포를 미세화하여 오수의 정화를 촉진하게 된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bubble mixing device or bubble generating devi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port passes through the spiral wing together with the sewage in the pipe, and vortices are generated upward. Bubbles are mixed in the water stream. At the same time, by arranging the bubble microniz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in the pipe, it is possible to refine the bubbles to promote the purification of sewage.
이와 같이 종래의 기포혼합장치 또는 기포발생장치에서는 오랜기간에 걸쳐 소용돌이 수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류의 교반이 촉진되는 동시에 오수 내에서 기포의 발생과 혼합이 촉진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bubble mixing apparatus or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the stirring of the water flow is promoted by forming the vortex water stream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generation and mixing of bubbles in the sewage are promoted.
또한 오수 등의 정화를 위한 종래의 기포혼합장치 또는 기포발생장치에서는 수류 중의 공기(기포)를 돌기물에 충돌시키고 이것에 의해 기포를 미세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자는 오수 중에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을 발생시키고 수압의 변화로 기포를 붕괴시키는 것이 보다 효율적으로 오수를 정화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bubble mixing apparatus or bubble generating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filthy water, etc., the method of colliding air (bubble) in the water stream with the projection and thereby miniaturizing the bubble is generally us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generation of cavitation and the collapse of bubbles due to changes in water pressure can purify sewage more efficiently.
오수 내에 캐비테이션 등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소용돌이 수류를 발생시키거나 원통 또는 파이프 내에 흐르는 수류를 분산시키는 것이 아닌, 수류를 앞당기고 수류 중에 압력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generate cavitation or the like in the sewage, it is necessary not to generate vortex water flow or to disperse the water flow in the cylinder or pipe, but to accelerate the water flow and cause a pressure change in the water flow.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종래의 기포혼합장치 또는 기포발생장치에서 소용돌이 수류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오수 등에 있어서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효율적으로 오수를 정화시키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true that only forming a vortex water flow in the conventional bubble mixing device or bubble generating device has a limit in effectively promo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the sewage and the like and purifying the sewage efficient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공기를 불어넣어 급격한 물(오수)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공기를 잘게 부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미세 기포와 혼합되는 물의 와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미세 기포와 오수의 교반력 및 산소의 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 기포와 혼합된 오수를 정화조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결국 정화조 내 용존 산소량 및 정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oints, and induces a rapid flow of water (sewage) by blowing air and crushing the air to generate fine bubbles and at the same time induce the generation of vortex of water mixed with the fine bubble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irring power and oxygen dissolution efficiency of the fine bubbles and filthy water, and to disperse the filthy water mixed with the fine bubbles evenly throughout the septic tank, and thu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in the septic tank. The object is to provide a bubble generating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통과, 공기공급원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외통에 삽입 설치되어 외통의 내부에서 출구단을 통해 상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비된 공기분출관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분출관의 상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분출관의 출구단에서 분출된 공기가 오수와 함께 통과하는 동안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blowing tube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and connected to an air supply source and blows air upward through an outlet end in the outer cylinder; It is instal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ir blowing pipe in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and comprises a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fine bubbles whil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end of the air blowing pipe passes along with the sewage,
상기 미세 기포발생수단은, 나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어 돌기부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접촉부재들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조립체가 상기 외통의 내부에 지지부를 매개로 고정되어 구 성되고, The microbubble generating means is formed in a helical structure, the guide member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the interior of the outer cylinder, and fixedly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member is formed repeated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bble generation assembly including a contact member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through the support,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와 오수가 에어리프트 효과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부재, 접촉부재 및 돌기부에 접촉되면서 공기와 오수의 와류 형성 및 공기 분쇄에 의한 미세 기포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한다.Inside the outer cylinder, the air and the fil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the contact member and the proj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guide member by the airlift effect, and the air bubbles form the vortex of the filthy water and the fine bubbles by air pulverization. It provides a fine 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ion is made.
여기서, 상기 기포발생조립체는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부재를 상기 접촉부재가 내측에서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ubble generating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member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tegrated in a spiral structure.
또한 상기 두 가이드부재는 각각 나선형 구조로 된 판상형의 길이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두 가이드부재가 교대로 배치되면서 이격 배치되도록 서로 포개진 상태로 상기 접촉부재들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 guide members are each formed of a plate-shaped length member of a spiral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cylinder, and the two guide members are fixed by the contact members in a superimposed state so that the two guide members are alternately arrang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접촉부재들은 봉 형상의 길이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가이드부재의 사이를 내측에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하되, 상기 접촉부재들이 두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members are formed as a rod-shaped length member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guide membe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inside, the contact memb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arranged up and down along the two guide members .
또한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두 가이드부재가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직경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하로 적층된 접촉부재들이 나선상의 배열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정해진 각도(α)만큼 비틀어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members are disposed long in the radi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two guide members, the contact members stacked up and down in a sequentially twisted by a predetermined angle (α) so that the spiral arrange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또한 상기 미세 기포발생수단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 복수의 기포발생조립체 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assembly side by side inside the outer cylinder.
여기서, 상기 기포발생조립체는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상기 접촉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ubble generating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contact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formed in a spiral structure.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나선형 구조로 된 판상형의 길이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재들은 봉 형상의 길이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is formed of a plate-shaped length member of the spiral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cylinder, the contact members are formed as a rod-shaped length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member .
또한 상기 접촉부재들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직경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하로 적층된 접촉부재들이 나선상의 배열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비틀어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members are disposed long in the radi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guide member, the contact members stacked up and down are arranged in a long twiste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form a spiral arrangement It is done.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외측 돌기부들이 상기 접촉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tact member.
또한 상기 외측 돌기부의 표면에는 기포 발생을 촉진하는 노치가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outer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 for promo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is formed long along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에 정해진 길이의 돌기부들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각 돌기부의 표면에는 기포 발생을 촉진하는 노치가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long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 for promo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long along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각 돌기부의 표면에는 기포 발생을 촉진하는 노치가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발생장치.In additio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 for promo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projections are formed long along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공기와 오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판상으로 제작되어, 주연부가 외통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면에 가이드부재의 단부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기포발생조립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plate-like hole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air and sewage can pass through, the end of the guide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in the state that the peripheral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to fix the bubble generating assembly It features.
또한 상기 외통의 출구가 되는 외통 상단부에 원추형의 막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ical membrane memb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to be the outlet of the outer cylind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미세 기포발생장치에서는 공기를 불어넣어 급격한 물(오수)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공기를 잘게 부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미세 기포와 혼합되는 물의 와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미세 기포와 오수의 교반력 및 산소의 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 기포와 혼합된 오수를 정화조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결국 정화조 내 용존 산소량 및 정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s blown to generate a rapid flow of water (sewage), the air is crushed finely to generate microbubbles, and at the same time inducing the generation of vortex of water mixed with the microbubbles, The agitation power of the sewage and the dissolution efficiency of oxygen can be increased, and the sewage mixed with the fine bubbles can be evenly dispersed throughout the septic tank, which in turn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increasing the dissolved oxygen amount and purification efficiency in the septic tank.
특히, 외통의 하부에서 물을 끌어들이는 것으로 순환류를 발생시키고 미세 기포와 물의 순환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정화조 전체에 고르게 산소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혐기조건에 치우치기 쉬운 정화조 내 코너부분 등도 호기조건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drawing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ylinder to generate a circulation flow and improve the circulation of fine bubbles and water, oxygen can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eptic tank, and corners in the septic tank, which are easy to be biased to anaerobic conditions, are also aerobic conditions. Can be maintained.
또한 오니 등이 정화조 바닥쪽에 퇴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산기관 폐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별도의 유지 관리 불필요). In addition, sludge and the like can be minimized to b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eptic tank, and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the obstruction of the diffuser can be solved (no separate maintenance is required).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본 발명은 광물기름이나 식물유 등으로 더러워진 물이나 오니 물의 배수시의 정화를 위해 호기성균을 이용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오수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미세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sewage treatment system for purifying by using aerobic bacteria for the purification of the dirty water or sludge water with mineral oil or vegetable oil.
오수처리 시스템에서 정화조(또는 폭기조) 내 오수의 효과적인 호기처리(호기적 생물처리)를 위해서는 정화조 전체에서 높은 용존 산소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오수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The effective aerobic treatment (aerobic biotreatment) of sewage in septic tanks (or aeration tanks) in sewage treatment systems requires high dissolved oxygen throughout the septic tanks.
즉, 호기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정화조 전체를 호기상태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미세 기포(micro bubble)를 발생시켜 정화조 전체에서 오수와 고르게 혼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도 정화조 전체적으로 널리 미세 기포가 퍼지지 않으면 정화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등 아무런 의미가 없고, 특히 정화조 바닥쪽에서 용존 산소가 낮고 오니가 퇴적되기 쉽다. 이로 인해 산기관의 폐쇄와 같은 문제가 생기고, 결국 이에 대한 유지 관리가 필요해진다. In other words, when the aerobic treatment is to be carried ou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entire septic tank into an aerobic stat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micro bubbles to mix the sewage with the septic tank evenly. In addition, even if microbubbles are generated, if the microbubbles are not widely spread throughout the septic tank, there is no meaning such as to greatly reduc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n particular, low dissolved oxygen and sludge are easily deposited at the bottom of the septic tank. This causes problems such as the closure of the diffuser, which in turn requires maintenance.
따라서, 오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일종의 산기관으로서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절단, 분쇄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고 오수에 고르게 혼합시키는 효율적인 기포발생장치의 사용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n efficient 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air as a kind of diffuser that supplies air to sewage, cuts and pulverizes it to generate fine bubbles and evenly mixes the sewage.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는 공기를 불어넣어 급격한 물(오수)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공기를 잘게 부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미세 기포와 혼합되는 물의 와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미세 기포와 오수의 교반력 및 산소의 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 기포와 혼합된 오수를 정화조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결국 정화조 내 용존 산소량 및 정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apid flow of water (sewage) by blowing air, and finely breaks the air to generate fine bubbles, and at the same time induces the vortex generation of water mixed with the fine bubbles, the stirring force of the fine bubbles and sewage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solution efficiency of oxygen, to evenly disperse the sewage mixed with fine bubbles throughout the septic tank, it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amount and purification efficiency in the septic tank.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포발생장치가 공기분출관이 조립된 상태로 정화조 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첨부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평면사시도이고, 도 2b는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stalled in the septic tank with the air blowing pipe assembled. In addition, Figure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lan perspective view, Figure 2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ure 1 to be.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미세 기포발생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미세 기포발생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외통 내부에 배치되는 미세 기포발생수단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가이드부재에 조립된 접촉부재의 배치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접촉부재의 배치방향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cylinder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is shown,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tact member assembled to the guide member well.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act member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발생장치(100)의 하단부에는 송풍 블로어(blower)와 같은 공지의 공기공급원에 접속된 공기분출관(120)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기포발생장치(100)에서 상기 공기분출관(120)의 출구단(121) 상측으로는 미세 기포발생수단(130)이 배치된다.As shown, the lower end of the
이때, 기포발생장치(100)에서 미세 기포발생수단(130)이 넣어지는 외통(110)의 하단부에 상기 공기분출관(12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공기분출관(120)의 출구단(121)이 외통(110)의 내부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출구단(121)을 통해 분출된 공기가 외통(11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공기분출관(120)을 통해 분출된 공기가 상측의 미세 기포발생수단(1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분출관(120)의 출구단(121) 상측에 미세 기포발생수단(130)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130 is locat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장치(100)는 정화조(또는 폭기조, 수처리조)(1) 내의 오수 중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기포발생장치(100)가 고정구(122)에 의해 정화조(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10)에 삽입된 공기분출관(120)에 고정구(122)를 설치하고 이 고정구(122)를 정화조(1) 내 바닥면에 고정함으로써 기포발생장치(100)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by installing a
한편, 기포발생장치(100)에서 외통(110)은 장치의 외곽을 구성하는 부품으로, 소정 직경의 원통 관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외통(110)의 내부에 오수의 와류 발생을 유도하면서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와류에 혼입시키는 미세 기포발생수단(130)이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100)에서 수중에 침지되는 상기 미세 기포발생수단(130)은 공기분출관(120)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절단, 분쇄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고, 또한 기액(氣液) 접촉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나선상의 수류(水流), 즉 오수의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means 130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도 4 및 도 5는 기포발생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발생수단(130)은 나선형 구조로 된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32a,132b)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32a,132b)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면서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다수의 돌기부(134)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재(133)를 포함하는 기포발생조립체(131)를 상기 외통(110)의 내부에 고정시켜 구성된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s show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0 is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132a, 132b) of a spiral structure and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132a) While integrating and integrating the 132b, the
좀더 상세히는, 상기 가이드부재(132a,132b)는 소정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의 길이부재를 나선형으로 가공하여 제작된 것으로, 외통(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넣어져서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이때 복수의 가이드부재(132a,132b)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포개어져서 조립된다.In more detail, the
예컨대, 두 개의 가이드부재(132a,132b)가 교대로 배치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서로 포개어져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두 가이드부재(132a,132b)는 둘 사이를 연결하는 접촉부재(133)들에 의해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되어 조립되게 된다.For example, the two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32a의 나선형 가이드부재가 도면부호 132b의 나선형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서 두 가이드부재(132a,132b)가 교대로 반복 배치되도록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이때 두 가이드부 재(132a,132b)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4 and 5, the
이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부재(132a,132b)가 포개어져서 조립됨으로써, 실제 두 가이드부재(132a,132b) 간에는 일정 간격이 존재하지만,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윤곽 형상에 있어서는 두 가이드부재(132a,132b)가 외통(110)의 내부에 넣어질 수 있는 원통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Thus, as the two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100)에서는 외통(110)의 내부에 나선형 구조를 갖는 가이드부재(132a,132b)를 설치하고, 이 나선형 구조의 가이드부재(132a,132b)가 물의 나선상 선회 흐름, 즉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133)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의 길이부재로서, 두 가이드부재(132a,132b)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길게 설치되며, 특히 두 가이드부재(132a,132b) 사이를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촉부재(133)의 표면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돌기부(134)들이 접촉부재(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부(134)들은 접촉부재(133)를 중심으로 좌우 양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접촉부재(133)의 횡단면 상에서 180°간격의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상기 접촉부재(133)의 표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노치(133a)가 길게 형성되며, 이때 접촉부재(133)의 횡단면 상에서 180°간격이 되는 상, 하 표면에 각각 노치(13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노치(133a)는 기포 발생을 더욱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각 돌기부(134)의 표면에도 축방향을 따라 노치(135)가 길게 형성되는데, 돌기부(134)의 횡단면 상에서 180°간격이 되는 상, 하 표면에 각각 노치(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노치(135)는 기포 발생을 더욱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도 5는 가이드부재(132a,132b)와 접촉부재(133)의 조립체인 기포발생조립체(131)에서 접촉부재(133)가 배치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축방향 표시),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접촉부재(133)들의 축선을 직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상기 접촉부재(133)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2a,132b)가 형성하는 원통의 형상에서 그 중심을 지나는 직경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접촉부재(133)들(상하의 접촉부재들)이 순차적으로 소정 각도(α)만큼 비틀어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The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접촉부재(133)들이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부재(132a,132b)의 내측에서 접촉부재(133)들이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구조가 되는데, 공기분출관(120)에서 분출된 공기가 오수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하로 적층된 상기 접촉부재(133)들을 통과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100)에서는 외통(110)의 내부에 접촉부재(133)들을 다수 배열하여 설치하는 바, 종래의 장치에서는 통 내에서의 공기와 물의 통과속도가 빨라 내부에서 공기와 물을 충돌시키는 시간이 짧았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접촉부재들을 배열하여 해결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특히, 접촉부재(133)들이 소정 각도만큼 순차적으로 비틀어지게 배치되므로 접촉부재(133)의 배열은 가이드부재(132a,132b) 내에서 나선상의 배열이 되며, 단순히 접촉부재들을 다수 배열하는 것이 아닌, 나선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내부에서 공기와 물의 접촉시간을 더욱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since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32a,132b)의 외주면에는 외측 돌기부(136)들이 접촉부재(133)의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각 외측 돌기부(136)의 표면에도 축방향을 따라 길게 노치(137)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이때, 각 외측 돌기부(136)의 횡단면 상에서 180°간격이 되는 상, 하 표면에 각각 노치(13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노치(137) 역시 기포 발생을 더욱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this case,
가이드부재(132a,132b)의 외주면에 돌출된 외측 돌기부(136)들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2a,132b)가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 상에서 나선형을 따라 배치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포발생조립체(131)는 외통(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132a,132b)의 단부가 일체로 고정된 지지부(138)를 매개로 하여 외통(1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지지부(138)는 가이드부재(132a,132b)를 포함한 기포발생조립체(131)를 외통(110)과 결합시키고 외통(110)에서 기포발생조립체(131)를 지지하는 구성부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와 오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판상형으로 제작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가이드부재(132a,132b)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주연부가 외통(110)의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써 가이드부 재(132a,132b), 지지부(138), 외통(110)이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되게 된다.The
결국, 공기분출구에서 상방으로 분출되어 외통(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오수와 함께 가이드부재(132a,132b)의 내부와 외부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공기와 오수가 가이드부재(132a,132b), 접촉부재(133) 및 돌기부(134), 외측 돌기부(136)에 접촉하면서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the air that is ejected upward from the air outlet port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100)에서는 공기와 오수가 나선형 구조의 가이드부재(132a,132b), 상하로 적층 배치된 접촉부재(133), 노치(135,137)가 형성된 접촉부재(133)의 돌기부(134) 및 가이드부재(132a,132b)의 외측 돌기부(136)와 부딪치면서 이들 사이를 통과하며, 특히 공기분출관(120)에서 분출된 공기가 접촉부재(133) 및 돌기부(134,136) 등을 통과하면서 절단, 분쇄되어 미세 기포가 발생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외통(110)의 내부에 다수의 접촉부재(133)들과 돌기부(134,136)들을 설치하여 공기와 물의 접촉시간을 길게 하며, 이에 의해 수중의 용존 산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이하,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에서 미세 기포가 발생되고 와류가 발생하여 혼합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fine bubbles are generated and vortices are mixed and mixed in the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공기공급원에 접속된 공기분출관(120)을 통해 공기가 기포발생장치(100)의 외통(11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분출되며, 이때 상방으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외통(110) 하부에 있는 오수, 즉 물과 오니(슬러지)가 에어리프트 효과에 의해 외통(110)의 내부로 끌어올려지게 된다. First, the air is eject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결국, 공기와 함께 오수가 외통(11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끌어올려지면서 기포발생조립체(131)를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the wastewater is pull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기포발생조립체(131)에서는 공기와 오수가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한 분산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급격한 압력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캐비테이션에서 수중에 강제로 산소를 녹이게 되면서 높은 농도로 함유시키게 된다. In the
특히, 공기를 불어넣어 급격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 급격한 물의 흐름 속에서 공기가 기포발생조립체(131)의 접촉부재(133) 및 돌기부(134) 등을 통과하여 절단,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미세 기포가 발생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air is blown to generate a rapid flow of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s cut and pulverized through the
또한 오수가 나선형 구조의 가이드부재(132a,132b)와 부딪치고 또한 비틀어지게 배치된 접촉부재(133)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되면서, 오수의 흐름은 나선형으로 선회하는 흐름이 되며, 기포발생조립체(131)의 가이드부재(132a,132b)와 접촉부재(133), 돌기부(134)들의 구성부에 의해 기액(氣液)의 접촉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와류(나선상의 수류)의 발생이 유도되게 된다. In addition, while the wastewater collides with the
와류가 발생하면, 그 회전축 부분에 공동(空洞)이 형성되고, 회오리 바람에 의해 강력한 힘이 발생한다. 또한 흡입한 공기를 절단, 분쇄시키기 위해 압력이 가해지고, 산소를 보다 많이 용해한 상태에서 물의 유속이 빨라지는 동시에 압력이 내려가는 것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어 거품 폭발 및 미세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When a vortex occurs, a cavity is formed in the rotating shaft part, and a strong force is generated by the whirlwind. In addition, pressure is applied to cut and pulverize the inhaled air, and in the state where oxygen is dissolved more, the flow rate of water is faster and the pressure is lowered, thereby causing cavitation and foaming and microbubbl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100)에서는 급격한 물의 흐름 속에 불어넣어지는 공기를 잘게 부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고, 물의 와류로 미세 기포의 발생 및 교반력 증가를 유도하여 산소를 높은 농도로 오수에 용해시킬 수 있는 바(수중 용존 산소의 극대화), 높은 농도의 산소를 정하조(1) 내에 공급할 수 있게 되며(용해 효율 향상), 정화조 내 용존 산소량 증가 및 정화 효율 향상의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외통(110)의 하부에서 물을 끌어들이는 것으로 순환류를 발생시키고 미세 기포와 물의 순환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정화조(1) 전체에 고르게 산소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혐기조건에 치우치기 쉬운 정화조 내 코너부분 등도 호기조건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높은 농도의 산소를 정화조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므로 전체적인 용존 산소량 및 정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drawing wat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접촉부재 및 접촉부재의 돌기부, 가이드부재의 외측 돌기부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와 오수가 접촉부재(133) 및 돌기부(134,136) 주변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 하 표면의 노치(133a,135,137)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노치(133a,135,137)는 유체의 속도를 올리고 압력을 내리는 것으로 소용돌이(캐비테이션)를 발생시키는 바, 이에 의해 거품 폭발 및 미세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7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that the cavitation occurs in the contact member and the projection of the contact member, the outer projection of the guide member 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3 and the periphery of the
또한 본 발명의 기포발생장치(100)에서 외통(110)의 출구가 되는 외통 상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이부재(111)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막이부재(111)가 외통 상단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면 중심에 집중되어 직상방으로 향하려고 하는 유체의 힘을 측방으로 분산시켜 정화조(1) 내부에서 기포 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막이부재(111)는 외통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1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한편,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포발생장치가 공기분출관이 조립된 상태로 정화조 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기포발생장치의 평면사시도이고, 도 11은 기포발생조립체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stalled in the septic tank with the air ejection pipe assembled, Figure 9 is a view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addi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ure 8,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assembly.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외통(110)의 내부의 기포발생수단(130)이 복수의 기포발생조립체(131)로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0 inside the
즉, 공기분출관(120), 외통(110), 지지부(138) 등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외통(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포발생조립체(131)가 복수로 구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각 기포발생조립체(131)에서 가이드부재의 경우 하나의 나선형 가이드부재(132)가 사용되고, 이때 각 접촉부재(133)는 일단부가 가이드부재(132)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를 제외하고는 각 기포발생조립체(131)에서 접촉부재(133), 돌기부(134), 외측 돌기부(136)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Except for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1을 참조하면, 외통(110)의 내부에 넣어지는 3개의 기포발생조립체(131)가 나란하게 배치됨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ree
또한 외통(110)의 상단부에 원추형의 막이부재(111)도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복수의 기포발생조립체를 사용한 구성에서 공기 분출, 기포 발생, 와류 형성, 공기와 오수의 혼합 및 산소 용해 등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원리나 과정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onfiguration using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on assembly, air blowing, bubble generation, vortex formation, air and filth mixing, oxygen dissolution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principles or processes will be omitt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erely represent a part of various embodiments to whic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포발생장치가 공기분출관이 조립된 상태로 정화조 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bble generating device showing an example installed in the septic tank with the air blowing pipe assemble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a는 평면사시도이고, 도 1b는 저면사시도, Figure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1a is a top perspective view, Figure 1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도 3은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미세 기포발생수단을 도시한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미세 기포발생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means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접촉부재의 배치방향을 보여주는 평면 개략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ontact member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에서 접촉부재 및 접촉부재의 돌기부, 가이드부재의 외측 돌기부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7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that the cavitation occurs in the contact member and the projection of the contact member, the outer projection of the guide member 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포발생장치가 공기분출관이 조립된 상태로 정화조 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stalled in the septic tank with the air blowing pipe assembled;
도 9는 도 8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8;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기포발생장치의 평면사시도, 10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shown in FIG. 8;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기포발생장치에서 기포발생조립체의 배치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assembly 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정화조 100 : 기포발생장치1: Septic tank 100: Bubble generator
110 : 외통 111 : 막이부재110: outer cylinder 111: membrane member
120 : 공기분출관 121 : 출구단120: air outlet pipe 121: outlet end
130 : 기포발생수단 131 : 기포발생조립체130: bubble generation means 131: bubble generation assembly
132, 132a, 132b : 가이드부재 133 : 접촉부재132, 132a, 132b: guide member 133: contact member
133a : 노치 134 : 돌기부133a: notch 134: protrusion
135 : 노치 136 : 외측 돌기부135: notch 136: outer protrusion
137 : 노치 138 : 지지부137: notch 138: support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42899A KR101036227B1 (en) | 2009-05-18 | 2009-05-18 | Micro bubble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42899A KR101036227B1 (en) | 2009-05-18 | 2009-05-18 | Micro bubble gen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3931A true KR20100123931A (en) | 2010-11-26 |
KR101036227B1 KR101036227B1 (en) | 2011-05-20 |
Family
ID=4340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42899A KR101036227B1 (en) | 2009-05-18 | 2009-05-18 | Micro bubble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6227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6685B1 (en) * | 2010-12-23 | 2011-08-12 |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 Apparatus for offensive odor removal both in gaseous and liquid phase |
CN104591400A (en) * | 2014-04-17 | 2015-05-06 | 朱明� | Induced interface convection bioreactor and application thereof |
CN106219744A (en) * | 2016-09-18 | 2016-12-14 | 四川森涛科技有限公司 | Gas-solution water generator |
KR20220087609A (en) * | 2020-12-17 | 2022-06-27 | 주식회사대신정공 |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
KR102484090B1 (en) * | 2022-04-18 | 2023-01-04 | 덕인환경주식회사 | treatment apparatus for livestock wastewater using ozone |
WO2023068427A1 (en) * | 2021-10-21 | 2023-04-27 | 주식회사 세종씨아이 | Energy-saving air diffus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9629B1 (en) | 2011-02-24 | 2013-06-27 | 이광헌 | Apparatus for making minute bubbles |
KR101166457B1 (en) | 2012-05-31 | 2012-07-19 | 주식회사 케이디 |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with two stage complex structure including vortex generating part and vortex removing part and method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using that |
KR101166389B1 (en) * | 2012-06-08 | 2012-07-23 | 안병하 | Ultra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
KR101206899B1 (en) | 2012-06-11 | 2012-11-30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Water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plasma discharging |
KR101248103B1 (en) | 2012-10-22 | 2013-04-02 |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 Air diffuser |
KR102177110B1 (en) * | 2018-11-11 | 2020-11-10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Flotaion type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 water |
KR102040275B1 (en) | 2019-05-14 | 2019-11-04 | 덕인환경주식회사 |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 bubble |
KR102360216B1 (en) | 2019-06-12 | 2022-02-0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nano or micro bubble using porous membrane and ultrasonic transduc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77516B2 (en) | 2001-03-05 | 2005-08-03 | 健 宮川 | Fine bubble water generator |
KR20030063776A (en) * | 2002-01-24 | 2003-07-31 | 남영우 | minute an air bubble generation device |
-
2009
- 2009-05-18 KR KR20090042899A patent/KR10103622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6685B1 (en) * | 2010-12-23 | 2011-08-12 |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 Apparatus for offensive odor removal both in gaseous and liquid phase |
CN104591400A (en) * | 2014-04-17 | 2015-05-06 | 朱明� | Induced interface convection bioreactor and application thereof |
CN106219744A (en) * | 2016-09-18 | 2016-12-14 | 四川森涛科技有限公司 | Gas-solution water generator |
CN106219744B (en) * | 2016-09-18 | 2023-04-28 | 四川森涛科技有限公司 | Dissolved air water generator |
KR20220087609A (en) * | 2020-12-17 | 2022-06-27 | 주식회사대신정공 |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
WO2023068427A1 (en) * | 2021-10-21 | 2023-04-27 | 주식회사 세종씨아이 | Energy-saving air diffusion device |
KR20230057297A (en) * | 2021-10-21 | 2023-04-28 | 주식회사 세종씨아이 | Energy reduction aeration diffuser for purifying sewage or waste water |
KR102484090B1 (en) * | 2022-04-18 | 2023-01-04 | 덕인환경주식회사 | treatment apparatus for livestock wastewater using oz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6227B1 (en) | 2011-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6227B1 (en) | Micro bubble generator | |
JP3677516B2 (en) | Fine bubble water generator | |
JP5028637B2 (en) | Microbubble generator | |
KR101166389B1 (en) | Ultra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 |
WO2010107077A1 (en) | Microbubble generator, activated sludge aeration system, and ballast water sterilizing system | |
KR101834183B1 (en) | Low energy & vast water flow type micro bubble generator | |
JPWO2008139728A1 (en) | Gas-liquid mixing and circulation device | |
KR20110088355A (en) | Gas/liquid mixing circulatory flow generating device | |
JP2011218343A (en) | Nozzle for gas-liquid mixing, gas-liquid mixing mechanism and application of the same | |
KR100975366B1 (en) |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ies having micro bubble generator | |
KR101841958B1 (en) | Slope type rapid air-melt and apparatus generating of micro bubbles for water treatment | |
KR101824240B1 (en) | High-density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 |
EP2853308B1 (en) | Aeration equipment | |
JP2002045667A (en) | Device for generating circulating flow | |
RU2553875C2 (en) | Device for water saturation with oxygen | |
JP2018130653A (en) | Bubble generator for sewage purification | |
JP2018130653A5 (en) | ||
JP4706669B2 (en) | Microbubble generator | |
KR20020041693A (en) | Mixer for mixing fluids and electrolytic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the same | |
WO2017124128A1 (en) | Jet aeration and mixing nozzle | |
KR20160028170A (en) | Micro-bubble generator | |
KR102088777B1 (en) |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 |
KR102228305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for fire retardant board | |
KR101324133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 |
KR101343346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