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666A - Lead tab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sing insert molding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ad tab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sing insert molding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0666A KR20100110666A KR1020090029115A KR20090029115A KR20100110666A KR 20100110666 A KR20100110666 A KR 20100110666A KR 1020090029115 A KR1020090029115 A KR 1020090029115A KR 20090029115 A KR20090029115 A KR 20090029115A KR 20100110666 A KR20100110666 A KR 20100110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
- bar
- lead
- secondary battery
- lead tab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39 conversio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86 Nickel(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4 electrolyte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66 eth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0 hydrogen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MMRZOWCJAIUJA-UHFFFAOYSA-L nickel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i]Cl QMMRZOWCJAIUJ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LGQLOGILCSXPEA-UHFFFAOYSA-L nickel sulfate Chemical compound [Ni+2].[O-]S([O-])(=O)=O LGQLOGILCSXPEA-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3 nickel(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밀성을 향상시킨 이차 전지용 리드 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d tab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airtightness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와 같은 전자 기기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전력원으로도 사용된다.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and recently, are also used as a power source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이러한 이차 전지의 외장재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성형 가공하여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 등으로 제작한 캔이 사용되거나, 혹은 알루미늄 박판과 열 융착 필름 등을 라미네이트하여 제작하는 파우치형 전지 외장재 등이 사용된다.As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secondary battery, a can formed by forming a metal, such as aluminum, into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the like, or a pouch type battery exterior material manufactured by laminating an aluminum thin plate and a heat-sealed film or the like is used.
특히, 고용량 및 고율 방전이 필요한 전기 자동차용 전지에는, 전지의 형태적 장점을 가지는 파우치형 전지 외장재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파우치형 전지 외장재는 전지의 형태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기 자동차용 전지에서 요구되는 밀봉성 (즉, 기밀성), 내식성, 성형성,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 등과 같은 특성을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In particular, in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requires a high capacity and a high rate discharge, a pouch type battery exterior material having a form advantage of the battery is mainly used. However, in spite of the morphological advantages of the battery, the pouch type battery exterior material does not sufficiently satisf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sealing property (ie, airtightness), corrosion resistance, moldability, st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and the like, which are required for electric vehicle batteries. .
파우치형 전지 외장재는 알루미늄 박판 (포일)과 다층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구조로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전지 케이스 성형 시 알루미늄 층 및 폴리프로필렌 층 등의 이종 물질간 연신율 차이로 인하여 알루미늄 층과 폴리프로필렌 층의 박리 현상 등이 발생하고, 이러한 요인으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성형이 불가하다. The pouch-type battery casing is a structure in which a thin aluminum foil (foil) and a multilayer film are laminated, and the aluminum layer and the polypropylene layer are peeled off due to the difference in elongation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such as the aluminum layer and the polypropylene layer when the battery case is molded to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Phenomenon occurs, and molding is impossible beyond a certain depth due to these factors.
또한, 전지를 진공 밀봉 시 알루미늄 파우치 외장재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핀홀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 및 강도를 증가시킨 알루미늄 파우치 외장재가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성형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파우치형 외장재를 사용하여 전지를 밀봉하는 경우 외부 물체에 의해 외장재가 쉽게 손상되고 관통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is vacuum-sealed, deformation of the aluminum pouch sheathing material is crushed, such as a pinhole. To improve this, aluminum pouch sheaths have been proposed which increase the thickness and strength of aluminum foil, but still have problems with molding. In particular, when the battery is sealed using an aluminum pouch-type exterior material, the exterior material is easily damaged and penetrated by an external object.
또한, 파우치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해액에 불화수소산(HF)이 증가할 경우, 알루미늄 파우치의 알루미늄 층에 급격한 부식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며, 이는 전지의 내식성 저하 및 전해액 누액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ydrofluoric acid (HF) is increased in the electrolyte, the pouch-typ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ts as a factor causing rapid corrosion of the aluminum layer of the aluminum pouch, which is a cause of lower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leakage of the electrolyte. It is becoming.
또한, 파우치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전지 외장재로 밀봉 시 전극 조립체의 그리드부와 연결되는 리드 탭의 기밀성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경우,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이용한 여러 겹의 실런트 필름을 이용하여 리드 탭을 밀봉하고 있다. 이러한 실런트 필름을 알루미늄 또는 니켈 등으로 이루어진 리드 탭 상에 열 융착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열에 강하고 수축 등의 변형이 적은 필름 층이 있어야 한다. 또한, 소형 IT 기 기용 전지에서는 이러한 실런트 필름을 이용하여 리드 탭 및 전지 외장재를 밀봉해도 무방하였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 등에서와 같이 고율 방전이 요구되는 전지는 리드 탭의 두께가 두껍고 폭 또한 넓어,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 탭 상에 여러 겹의 실런트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서는 리드 탭의 엣지부까지 완벽하게 밀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ouch-typ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sealed with a battery packaging material, airtightness of the lead tab connected to the grid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very importan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ouch typ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lead tab is sealed using several layers of sealant films using an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or the like. In order to thermally fusion such a sealant film on a lead tab made of aluminum, nickel, or the like, there must be a film layer that is resistant to heat and has little deformation such as shrinkage. In addition, in the battery for small IT devices, such a sealant film may be used to seal the lead tab and the battery exterior material. However, a battery that requires a high rate discharge, such as in an electric vehicle, has a thick and wide width of the lead tab.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plurality of layers of sealant film are laminated on the lead tabs, so that the edges of the lead tabs are laminated. Difficult to seal completely to the part.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 탭 상에 여러 겹의 실런트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제작한 리드 탭 조립체를 이용하여 전지의 탑 실(top seal)을 할 경우, 상기 실런트 필름 및 리드 탭의 두께와, 두 리드 탭의 간격과, 상기 실런트 필름의 폭에 맞추어 파우치의 실링부를 제작해야 하며, 양산 시 파우치의 실링부와 리드 탭 조립체 간의 정열이 쉽지 않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전지의 밀봉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a top seal of a battery is formed using a lead tab assembly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yers of sealant film on a lead tab, the thicknesses of the sealant film and the lead tab may be reduced. The gap between the two lead tabs and the width of the sealant film should be manufactured to produce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During mass production, alignment betwe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and the lead tab assembly is not easy, and these factors adversely affect the sealing of the battery.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이차 전지용 리드 탭의 엣지부까지 완벽하게 밀봉하여 리드 탭의 기밀성을 향상시킨 이차 전지용 리드 탭 조립체를 제공하고, First, to provide a lead tab assembly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is completely sealed to the edge of the lead tab for secondary batteries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lead tab,
둘째, 전지 제작 시 전해액의 대기 노출을 최소화하여 전해액 내 불화수소(HF)의 발생을 억제하고, 상기 리드 탭 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 외장재의 진공 히트실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Second, to minimize the atmospheric exposure of the electrolyte during battery manufacturing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hydrogen fluoride (HF) in the electrolyte, and the lead tab assembly to perform the vacuum heat seal function of the pouch-type battery casing complex,
셋째, 전지 외장재의 성형성, 내식성 및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Third, to improve the mold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safety against external impact of the battery packaging material.
이러한 목적들은 다음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se objects can be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동일 평면 또는 평행한 두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된 이차 전지용 양극 리드 탭 및 음극 리드 탭과;(1) a positive electrode lead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tab for secondary batteri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or parallel planes;
상기 양극 리드 탭 및 상기 음극 리드 탭 각각에 의해 빈틈없이 관통되도록 사출 성형된 실런트 사출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리드 탭 조립체.And a sealant injection molded injection molded to be penetrated by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tab.
(2) 전극 조립체와;(2) an electrode assembly;
상기 전극 조립체의 서로 다른 두 극성과 각각 전기 접속되는 양극 리드 탭 및 음극 리드 탭과,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 각각에 의해 빈틈없이 관통되도록 사출 성형된 실런트 사출체를 포함하는 리드 탭 조립체와;A lead tab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lead tab and a negative lead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wo different polaritie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sealant injection molded injection-molded by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lead tabs;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 중 적어도 하나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봉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리드 탭이 인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봉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전지 외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 first sealing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tabs are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lead tabs are not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It includes a battery packaging material having a seal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sealing portion extending extending in the non-direction,
상기 실링부 중 적어도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실런트 사출체와의 접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At least the first sealing part of the sealing part is sealed by bonding with the sealant injection molded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 내에 양극 리드 탭 및 음극 리드 탭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접착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리드 탭의 엣지부까지 완벽하게 밀봉하여 리드 탭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접착성 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에 사용해왔던 여러 겹의 실런트 필름의 층간 박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positive lead tab and the negative lead tab into the mold and integrating by injection molding using an adhesive resin, the airtightness of the lead tab can be improved by completely sealing up to the edge of the lead tab. . Moreover, only the adhesive resin can be used by injection molding al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lamination phenomenon of several layers of sealant films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또한, 리드 탭 조립체와 전해액 주입구 및/또는 가스 배출구를 일체화함으로써 전해액의 대기 노출을 최소화하여 전해액 내 불화수소(HF)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lead tab assembly with the electrolyte inlet and / or the gas outle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electrolyte to the atmosphere and thereby suppress the generation of hydrogen fluoride (HF) in the electrolyte.
또한, 전지 외장재로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 등을 사용하여 성형성, 내식성 및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표면의 부동태 처리로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using a stainless steel sheet or the like as the battery exterior material to improve the mold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safety against external impac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by passivating the stainless steel sheet surface.
또한,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전지 외장재, 리드 탭 조립체 등의 부품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such as a battery packaging material and a lead tab assembly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simplifi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리드 탭 조립체(1)는 양극 리드 탭(10) 및 음극 리드 탭(20)과, 실런트 사출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A and 3B, the lead tab assembly 1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은 동일 평면 또는 평행한 두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양극 리드 탭(1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를 발생하는 전극 조립체의 양극과 전기 접속된다. 상기 음극 리드 탭(20)은 니켈 및/또는 동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음극과 전기 접속된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ositive and
상기 실런트 사출체(30)는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 각각에 의해 빈틈없이 관통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이 경우, 인서트 사출을 위하여 금형의 캐비티를 코팅하여 상기 접착성 수지의 이형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런트 사출체(30)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과 같은 접착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금형 내에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상기 금형 내에 무수말레인산 혹은 불포화 카르본산이 중합된 폴리올레핀계 열 접착성 수지를 주입하고 성형한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접착성 수지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ealant injection molded
기존의 필름 형태로 된 실런트 필름의 경우, 리드 탭과의 열 융착 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변형이 심해 단독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다른 필름과 라미네이트하여 사용해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과 실런트 사출체(30)가 일체화되므로,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기존에 사용해왔던 실런트 필름의 층간 박리 현상 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실런트 필름을 사용하여 리드 탭 조립체 제조 시, 리드 탭의 엣지부에서 기포 발생이 매우 용이하고, 이는 전해액의 누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 1b 참조). 종래에는 이러한 리드 탭 엣지부에서의 미세한 기포를 어느 정도 용인하고 전지를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리드 탭 조립체를 제조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In the case of the sealant film in the conventional film form, the acid-modified polypropylene resin is severely deformed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when thermally fused with the lead tab, and has been use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film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ve and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세 가지 실시 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re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제1 실시 형태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런트 사출체(30)는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관통되는 탭 관통 바(bar)(3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탭 관통 바(30)는 서로 포개지는 두 전지 외장재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전지 외장재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탭 관통 바(30)는 동일 평면 상에 나란히 정렬된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에 의해 관통되는 일자형 바(bar)일 수 있다. As a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제2 실시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런트 사출체(30')는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관통되는 탭 관통 바(bar)(31')와,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리드 탭(10, 20)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탭 미관통 바(bar)(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탭 관통 바(31')와 상기 탭 미관통 바(32')는 동일한 두께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탭 관통 바(31') 및 상기 탭 미관통 바(32')는 서로 포개지는 두 전지 외장재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전지 외장재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은, 동일 평면 또는 평행한 두 평면 상에서, 나란히 정렬될 수도 있지만 (도 4 참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거나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정렬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본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 상기 실런트 사출체(30')는, 도 4 및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전지 외장재가 서로 포개지는 실링부 전체에 대응되도록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기존의 파우치형 전지 외장재에서의 성형성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 파우치형 외장재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게 해 준다.As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제3 실시 형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런트 사출체(30")는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관통되는 탭 관통 바(bar)(31")와,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리드 탭(10, 20)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탭 미관통 바(bar)(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탭 미관통 바(32")는 상기 탭 관통 바(31") 양단에,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10, 20)이 배치된 동일 평면을 포함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각각 수직 연결되며 상기 탭 관통 바(31")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탭 관통 바(31")는 서로 포개지는 두 전지 외장재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전지 외장재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 미관통 바(32")는, 서로 포개지는 두 전지 외장재를 용접에 의해 밀봉할 때, 용접 부위와 전극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여 용접 열에 의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탭 미관통 바(32")의 외측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3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돌기(32a")는 서로 포개지는 두 전지 외장재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고, 나아가 각 전지 외장재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As a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탭 관통 바(30, 31', 31")의 전지 외장재와의 접합 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에서 리드 탭이 인출되는 부위의 실링부를 살펴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 탭 조립체의 두께가 부위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이 두께를 보정해 줄 수 있는 단차진 모양을 갖는 실링부가 필요했고, 또한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차진 모양을 갖는 실링부의 정확한 위치에 리드 탭 조립체가 정렬되어야 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라 인서트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한 리드 탭 조립체와 전지 외장재를 히트 실링할 경우, 상기 탭 관통 바(30, 31', 31")의 전지 외장재와의 접합 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밀봉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탭 미관통 바(32')의 전지 외장재와의 접합 면도 열 융착에 의한 접합 의 편의성 및 전지 밀봉성의 극대화 측면에서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joining surface of the tab through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런트 사출체(30', 30")에는, 상기 실런트 사출체(30', 30")를 상기 리드 탭(10, 20)과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두 개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장공 중 하나는 전해액 주입구(33', 33")이고, 다른 하나는 가스 배출구(34', 34")이다. 이러한 전해액 주입구(33', 33") 및 가스 배출구(34', 34")는, 전술한 인서트 사출 공정 시 금형 캐비티 내에 상기 리드 탭과 함께 전해액 주입구 및 가스 배출구 형성을 위한 각각의 핀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다. 이 경우, 상기 핀의 이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핀을 테프론 코팅하고 인서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3', 33") 및 상기 가스 배출구(34', 34")가 형성된 실런트 사출체 부위는 일정 길이 이상의 주입 관로를 확보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런트 사출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3', 33")와 상기 가스 배출구(34', 34")는 전해액 주입 및 초기 충방전에 의한 가스 배출(degassing) 후 열 융착에 의해 밀봉된다. 밀봉 후 상기 돌출 부분은 절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장공만이 형성되어, 상기 전해액 주입구(33', 33")가 상기 가스 배출구(34', 34")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4 and 5, the
이하, 위와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한 리드 탭 조립체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 관하여 살펴보겠다.Hereinafter,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lead tab assembly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a 내지 도 6c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100)와, 리드 탭 조립체(200)와, 전지 외장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A to 6C,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전기를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양극 및 음극이 이들 두 전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채 교대로 적층되어 있거나 젤리-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상기 리드 탭 조립체(200)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의 서로 다른 두 극성의 전극과 각각 전기 접속되는 양극 리드 탭(210) 및 음극 리드 탭(220)과,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210, 220) 각각에 의해 빈틈없이 관통되도록 사출 성형된 실런트 사출체(230)를 포함한다. 이 리드 탭 조립체(200)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The lead tab assembly 200 includes a
상기 전지 외장재(300)는 전부 또는 일부 (예컨대, 네 측 중 세 측)가 분리된 두 외장재 부분이 서로 포개어져,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310)와, 상기 수납부로(310)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밀봉되는 실링부(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320)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210, 220) 중 적어도 하나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봉되는 제1 실링부(321)와, 상기 수납부(310)로부터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리드 탭(210, 220)이 인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봉되는 제2 실링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320) 중 적어도 상기 제1 실링부(321)는 상기 실런트 사출체(230)와의 접합에 의해 밀봉된다.The battery packaging material 300 includes two housing parts in which all or part of the battery packaging material 300 is separated (eg, three of four sides)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지 외장재(300)로 종래의 파우치형 외장재를 사용 할 수도 있지만, 외장재의 성형성, 내식성 및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포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은 시임 용접성이 우수하여 소재의 변형과 발열이 거의 없으므로, 용접에 의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포일을 성형하고 그 표면을 탈지 및 부동태 처리한 후 상기 리드 탭 조립체와 열 융착할 수도 있다. 또한,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접착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동태 처리를 하고 폴리비닐알콜이 함유된 화합물로 포일 표면을 코팅한 후 200도 이상에서 건조한 다음 상기 리드 탭 조립체와 열 융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강) 표면에 니켈을 도금한 후 화성 코팅을 실시하여, 전해액 내에서 실링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전지 외장재(300)로서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을 사용할 경우, 0.06~0.12 mm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진공 실링 시 종래의 알루미늄 파우치는 모서리부의 찌그러짐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알루미늄보다 강인한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포일)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었다. 특히, 전기 자동차 등 큰 용량의 전지가 필요하고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보다 강인하고 부식에 강한 전지 외장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pouch type exterior material may be used as the battery exterior material 300, it is preferable to use a stainless steel sheet (foil) to improve the form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safety against external impact of the exterior material. Do. In particular, the stainless steel sheet has excellent seam weldability and hardly deforms and generates heat, thus enabling sealing by welding. Furthermor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the stainless steel foil may be molded and its surface may be degreased and passivated and then thermally fused with the lead tab assembly.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enhance adhesion to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the passivation treatment and coating the surface of the foil with a compound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followed by drying at 200 degrees or more, and then heat-sealed with the lead tab assembly It may be. In addition, after plating nickel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a chemical conversion coating may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sealing strength in the electrolyte. When using a stainless steel thin plate as the battery packaging material 300, a thickness of about 0.06 ~ 0.12 mm is preferred. Conventional aluminum pouches have a problem that crushing of corners frequently occurs during vacuum sealing, and this problem is solved by using a stainless steel sheet (foil) that is stronger than aluminum. In particular, when a large capacity batter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is required and exposed to a harsh environment, it is suitable in a situation where a more robust and corrosion-resistant battery exterior material is required.
앞서 설명한 리드 탭 조립체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실링부(320)는 다양한 방법으로 밀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lead tab assembly described above, the sealing
예컨대, 상기 리드 탭 조립체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 (도 3a 및 도 3b 참조)를 따르는 경우, 상기 제1 실링부(321)는 서로 포개어진 두 외장재 부위 사이에 상기 리드 탭 조립체의 실런트 사출체 (즉, 탭 관통 바)를 끼운 상태에서 열 융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탭 관통 바의 상기 제1 실링부와의 접합 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링부(322)는 서로 포개어져 직접 접촉하는 두 외장재 부위를 열 융착 또는 용접하여 밀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ad tab assembly i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ee FIGS. 3A and 3B), the
또한, 상기 리드 탭 조립체가 전술한 제2 실시 형태 (도 4 참조)를 따르는 경우,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링부(321) 및 상기 제2 실링부(322) 모두 서로 포개어진 두 외장재 부위 사이에 상기 리드 탭 조립체의 실런트 사출체 (즉, 탭 관통 바 및 탭 미관통 바)를 끼운 상태에서 열 융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탭 관통 바(231)의 상기 제1 실링부(321)와의 접합 면과, 상기 탭 미관통 바(232)의 상기 제2 실링부(322)와의 접합 면은 모두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lead tab assembly follows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see FIG. 4), as shown in FIGS. 6A to 6C, the
또한, 상기 리드 탭 조립체가 전술한 제3 실시 형태 (도 5 참조)를 따르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링부(321')는 서로 포개어진 두 외장재 부위 사이에 상기 리드 탭 조립체의 실런트 사출체 (즉, 탭 관통 바)(231')를 끼운 상태에서 열 융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탭 관통 바(231')의 상기 제1 실링부(321')와의 접합 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링부(322')는 서로 포개어져 직접 접촉하는 두 외장재 부위를 열 융착에 의해 밀봉할 수도 있지만, 용접에 의해 밀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런트 사출체의 탭 미관통 바(232')는, 서로 포개어진 두 외장재 부위를 용접에 의해 밀봉할 때, 용접 부위와 전극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여 용접 열에 의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탭 미관통 바(232')의 외측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232a')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돌기(232a')는 상기 제2 실링부(322')의 용접 부위 내측에서 서로 포개어진 두 외장재 부위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고, 나아가 각 외장재 부위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d tab assembly i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see FIG. 5), as shown in FIG. 7, the
통상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파우치형 전지는 수분 및 가스 투과가 문제된다. 즉, 수지를 이용하여 전지 케이스를 밀봉함으로써 수지를 통한 수분 및 가스 투과가 문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링부(321')를 제외한 상기 제2 실링부(322')는 용접에 의해 밀봉을 하였다. 이 경우, 수분 투과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수명이 요구되고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지에는 상기 제2 실링부를 용접하여 밀봉한 전지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전히 수지로 밀봉한 상기 제1 실링부(321')의 수분 투과성 문제가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링부(321')를 기밀성이 우수한 부틸 고무(410)를 이용하여 추가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살펴보면, 전지 양 측면의 제2 실링부(322)가 열 융착에 의해 실런트 사출체와 밀봉 접합되어 있는데, 상기 수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수분 투과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해액 주입구 및 가스 배출구의 형성을 위해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고 전지 양 측면의 제2 실링부(322)를 부틸 고무(420)를 이용하여 추가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상기 실링부 중 적어도 상기 실런트 사출체가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부틸 고무를 이용하여 추가 밀봉 처리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Pouch-type cells in which films are usually laminated have problems with water and gas permeation. That is, water and gas permeation through the resin is a problem by sealing the battery case using the resi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sealing portion 322 'except for the first sealing portion 321' was sealed by welding. In this case, it was found that the water perme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a battery sealed by welding the second sealing part is preferable for a battery used for a long life and used in a harsh environment. However, the water permeability problem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321 'sealed with the resin still remai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8, it is preferable to further seal the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목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se examples are only presented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termin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실시예Example
양극 리드 탭은 알루미늄 순도 99.5% 이상인 연질 알루미늄박으로 두께 0.2 mm, 폭 20 mm, 길이 35 mm로 준비하고, 3가 크롬과 불소와 코발트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30초간 코팅을 한 후 수세 건조하였다. The anode lead tab is made of soft aluminum foil having a purity of 99.5% or more in aluminum, 0.2 mm thick, 20 mm wide, and 35 mm long, coated with water for 30 seconds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rivalent chromium, fluorine, and cobalt, and washed with water. It was.
음극 리드 탭은 순도 99.9% 이상의 연질 동박으로 두께 0.2 mm, 폭 20 mm, 길이 35 mm로 준비하고, 염화니켈, 황산니켈, 붕산 등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전해 도금을 실시하여 상기 동박 표면에 니켈을 0.002 mm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The negative electrode lead tab was prepared with a thickness of 0.2 mm, a width of 20 mm, and a length of 35 mm with a soft copper foil having a purity of 99.9% or more, and electrolytic plat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compound such as nickel chloride, nickel sulfate, boric acid, and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copper foil. Nickel was coated to a thickness of 0.002 mm.
사출 성형용 수지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였고, 사출 성형을 위해 금형 캐비티를 코팅하여 금형과 사출물 간의 이형을 원활하게 하였다. As the resin for injection molding, acid-modified polypropylene resin was used, and a mold cavity was coated for injection molding to facilitate mold release between the mold and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직경 1.0 mm, 길이 50 mm인 두 개의 금속 핀을 각각 테프론 코팅하여 상기 양극 및 음극 리드 탭과 같이 금형 캐비티 내에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하였다. 상기 두 개의 금속 핀은 각각 전해액 주입구와 가스 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전지 외장재와 리드 탭 조립체의 열 융착 후 전해액 주입 시 리드 탭 조립체와 이형이 용이하도록 테프론 코팅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별도의 전해액 주입구 및 가스 배출구를 둠으로써, 전해액 주입 및 전극 조립체의 전해액 함침 공정을 밀폐 시스템에서 행할 수 있어 전해액의 대기 노출을 최소화하였다.Two metal pins having a diameter of 1.0 mm and a length of 50 mm were respectively coated with Teflon and inserted into a mold cavity, such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lead tabs, to perform injection molding. The two metal pins are formed to form an electrolyte inlet and a gas outlet, respectively, and are teflon-coated to facilitate release of the lead tab assembly and release during electrolyte injection after thermal fusion of the battery packaging material and the lead tab assembly. As such, by providing a separate electrolyte inlet and a gas outlet, the electrolyte infusion and the electrolyte impregnation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performed in a closed system, thereby minimizing the atmospheric exposure of the electrolyte.
전지 외장재를 준비하기 위해, 니켈, 크롬, 몰리브덴 등이 함유된 두께 0.08 mm의 스테인리스 강 박판을 성형 후 탈지하고 불산 및 질산 등의 혼합 산에서 2시간 동안 침적하여 산세 후 질산 용액에서 2시간 동안 침적하여 부동태 처리를 하였다. 일반 스테인리스 강 포일은, 전해액의 유기 용제에 상기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팽윤하고, 불산에 의해 스테인리스 강이 침해를 받는 영향으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요인이 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강 표면층은 내식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식성 피막의 구성 물질은 크롬, 인 등을 포함한 무기물이 효과적이다. 이 무기 피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강을 부동태 처리하여 표면의 크롬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 피막의 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유기 피막을 고려 할 수 있으며, 탄화수소계 전해액에 침해를 받지 않는 PVA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폴리비닐알콜이 함유된 코팅제로 코팅 후 열처리하여 폴리비닐알콜을 폴리비닐에테르화시키면 접착 강도가 더욱 증가한다 (표 1 참조). 스테인리스 강의 부동태 처리 후 스테인리스 강 표면의 크롬 양이 증가하여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접착 강도는 더욱 증가하지만, 전해액의 유기 용제에 상기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접착성 수지가 팽윤하고, 불산에 의해 스테인리스 강이 침해를 받는 영향으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요인이 있다.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폴리비닐알콜이 함유된 코팅액을 코팅하여 220 ℃에서 건조하였더니 전해액 내 실링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에 니켈을 0.001 mm 정도 도금을 실시한 후 표면에 화성 코팅을 실시하였는데, 전해액 내에서 실링 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니켈이 상대적으로 불산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으로 보인다.In order to prepare a battery exterior material, a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0.08 mm containing nickel, chromium, molybdenum, etc. was formed, degreased, and then immersed in a mixed acid such as hydrofluoric acid and nitric acid for 2 hours, and then immersed in a nitric acid solution for 2 hours after pickling. Passivation treatment. In general stainless steel foil, the acid-modified polypropylene resin swells in the organic solve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due to the influence that the stainless steel is impaired by hydrofluoric acid, there is a factor that can reduce the adhesive strengt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corrosion resistant film is formed in the stainless steel surface layer, and the inorganic substance containing chromium, phosphorus, etc. is effective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a corrosion resistant film. To form this inorganic film, stainless steel can be passiva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hromium on the surfac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organic coating, an additional organic coating may be considered, and PVA, which does not invade the hydrocarbon-based electrolyte, was used as an auxiliary. The adhesive strength is further increased by polyvinyl etherification of polyvinyl alcohol by coating and heat treatment after coating with a polyvinyl alcohol-containing coating agent (see Table 1). After passivation of the stainless steel, the amount of chromium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but the acid-modified polyolefin adhesive resin swells in the organic solvent of the electrolyte, and the stainless steel is caused by hydrofluoric acid. Due to the influence of this infringement, there is a factor that can lower the adhesive forc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is,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was coated and dried at 220 ° C., and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the sealing strength in the electrolyte. In addition, after plating nickel about 0.001 mm in stainless steel, a chemical conversion coating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ling strength increased in the electrolyte. This is because nickel i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hydrofluoric acid.
[표 1]TABLE 1
(80℃ 전해액 내 실링 강도, kgf/10mm) (Sealing strength in electrolyte at 80 ℃, kgf / 10mm)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을 부동태 처리하거나, 부동태 처리 후 코팅하거나, 혹은 니켈 도금 후 화성 코팅하여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지 외장재가 스테인리스 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강에 화성 코팅을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압연 강판에 크롬 도금을 시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스테인리스 강판의 경우 두께가 0.06~0.12 mm인 박판이 전지 외장재로 적합하였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inless steel is passivated, coated after passivation, or nickel-coated and then chemically coated, but the battery exterior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tainless steel. For example, a chemical coating may be used for aluminum and aluminum alloy steel, or chrome plating may be used for a rolled steel sheet. In the case of the stainless steel sheet, a thi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06 to 0.12 mm was suitable as a battery exterior material.
한편, 통상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파우치형 전지는 수분 및 가스 투과가 문제된다. 즉, 수지를 이용하여 전지 케이스를 밀봉함으로써 수분 및 가스 투과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의 탑 실(top seal) 부를 제외한 측면부는 용접을 실시하였다 (도 7 참조). 측면부의 스테인리스 강 박판을 일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용접 폭 1 mm로 시임 용접을 실시하 고, 열 접착성 수지부를 열 융착하여 밀봉하였다. 특히, 스테인리스 강 박판은 시임 용접성이 좋아서 소재의 변형과 발열이 거의 없었다. 또한, 수지부의 단열 효과로 용접 열에 의한 전극 조립체의 손상은 우려되지 않았다. 또한, 용접부의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측면에 수지부를 성형한 리드 탭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신뢰성을 가질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 pouch type battery in which a film is usually laminated has problems with water and gas permeation. That is, the problem of water and gas permeation arises by sealing a battery case using resi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portions except for the top seal portion of the battery were welded (see FIG. 7). The stainless steel sheet of the side portion was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to perform seam welding with a welding width of 1 mm, and the heat-adhesive resin portion was heat-sealed and sealed. In particular, the stainless steel sheet had a good seam weldability, so there was almost no deformation and heat generation of the material. Moreover, the damage of the electrode assembly by welding heat was not concerned by the heat insulation effect of the resin part. In addition, in order to block heat transfer of the welded part, as shown in FIG. 5, the lead tab assembly formed by molding the resin part may be more reliable.
위와 같이 전지의 측면부를 용접한 제품과, 일반 파우치형 전지 제품 (무 용접)의 수분 투과성을 테스트하였다.The water permeability of the product welded to the side of the battery as described above and the general pouch type battery product (no welding) was tested.
[표 2]TABLE 2
(60℃ 90%Rh, ppm) (60 ° C 90% Rh, ppm)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지 외장재의 측면을 용접하고 전지의 탑 실(top seal) 부만 수지로 실링한 경우 수분 투과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수명이 요구되고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지에는 측면부를 용접하여 밀봉한 전지가 바람직하다. 하지만, 여전히 탑 실 부의 기밀성 문제가 남아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 실 부를 기밀성이 뛰어난 부틸 고무를 이용하여 실링처리하였다 (도 8 참조). 부틸 고무를 이용하여 측면부도 용이하게 실링 처리할 수 있다 (도 9 참조). As shown in Table 2, it was found that the water perme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side of the battery envelope was welded and only the top seal of the battery was sealed with the resin. Therefore, batteries that are welded and sealed to side surfaces are preferred for batteries that require long life and are used in harsh environments. However, the problem of airtightness of the tower seal remai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op seal portion was sealed using butyl rubber having excellent airtightness (see FIG. 8). Side surfaces can also be easily sealed using butyl rubber (see FIG. 9).
이상, 본 발명을 도시된 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 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xamples, which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rries ou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실런트 필름을 이용한 리드 탭 조립체의 사시도 및 X-X'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X-X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lead tab assembly using a conventional sealant film.
도 2는 종래의 리드 탭 조립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탑 실(top seal) 부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p seal por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using a conventional lead tab assembly.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의 사시도 및 Y-Y' 단면도이다.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of the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 및 Z-Z' 단면도이다.6A to 6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 coupl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Z-Z 'of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espectively.
도 7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드 탭 조립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lead tab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이차 전지의 제1 실링부를 부틸 고무를 이용하여 추가 밀봉 처리한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first sealing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7 is further sealed with butyl rubber.
도 9는 도 6b에 나타낸 이차 전지의 양 측면의 제2 실링부를 부틸 고무를 이용하여 추가 밀봉 처리한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second seal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6B are additionally sealed using butyl rubber.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115A KR101051958B1 (en) | 2009-04-03 | 2009-04-03 | Lead Tab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sing Insert Inje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115A KR101051958B1 (en) | 2009-04-03 | 2009-04-03 | Lead Tab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sing Insert Inje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0666A true KR20100110666A (en) | 2010-10-13 |
KR101051958B1 KR101051958B1 (en) | 2011-07-26 |
Family
ID=4313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9115A KR101051958B1 (en) | 2009-04-03 | 2009-04-03 | Lead Tab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sing Insert Inje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195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400B1 (en) * | 2010-12-08 | 2013-10-25 |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 Method for Molding Sealing Film |
KR20140137906A (en) * | 2013-05-24 | 2014-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ttery cell module of Electronic vehicles |
US9537121B2 (en) | 2011-03-18 | 2017-01-03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flexible collecting tab extending through a cap plat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5007B1 (en) | 2014-12-11 | 2018-02-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102175453B1 (en) * | 2016-09-01 | 2020-11-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Cell Including Polymer Resin Having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Point of Specific Tempera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4867B1 (en) * | 1998-03-10 | 2000-12-15 | 김순택 | Lithium ion polymer battery |
KR100325873B1 (en) * | 2000-04-12 | 2002-03-07 | 김순택 | Lithium ion polymer battery employing taps coated with polymer |
JP5055714B2 (en) | 2005-04-27 | 2012-10-24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Battery exterior structure |
JP5045002B2 (en) | 2006-06-26 | 2012-10-10 | ソニー株式会社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
-
2009
- 2009-04-03 KR KR1020090029115A patent/KR101051958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400B1 (en) * | 2010-12-08 | 2013-10-25 |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 Method for Molding Sealing Film |
US9537121B2 (en) | 2011-03-18 | 2017-01-03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flexible collecting tab extending through a cap plate |
KR20140137906A (en) * | 2013-05-24 | 2014-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attery cell module of Electronic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1958B1 (en) | 2011-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86969B2 (en) | Power storage module | |
KR100879893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Safety-improved Sealing Portion | |
KR102157892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KR101216422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Sealing Portion of Improved Insulating Property | |
US11545707B2 (en) | Battery case comprising various kinds of metal barrier layers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 |
KR101229228B1 (en) |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Moisture Barrier | |
KR20100126226A (en) | Water resistant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JP2019016459A (en) | Powe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6109058B2 (en) | Seal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051958B1 (en) | Lead Tab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sing Insert Inje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0910624B1 (en) | Double-Typed Secondary Battery | |
JP7366769B2 (en) | Power storage device | |
KR20120042537A (en) | Battery case and the method of producing secondary battery using the case | |
CN111201657B (en) | Power storage module | |
WO2018116729A1 (en) | Power storage module | |
CN112585799B (en) | Power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module | |
KR101368236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a plastic-bag, and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546002B1 (en) |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 |
WO2019073717A1 (en) | Power storage module | |
JP2015095433A (en) | Laminate pack battery | |
CN215896535U (en) | Button cell and electronic product thereof | |
JP2020119669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module | |
JP2020053160A (en) | Power storage module | |
JP2020030954A (en) | Power storag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2020030982A (en) | Power storage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